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청각 사건관련전위 P300의 비대칭성

        전양환,한상익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 환자들에게 청각 사건관련전위 P300의 비대칭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 되었다. 방법: 대상군은 DSM-VI에 의해 진단된 정신분열병 환자군 20명과 나이와 성별을 일치시킨 정상인 대조군 20명으로 하였다. 청각 사건관련전위 P300은 'oddball'모형을 기록하였다. P300의 결정은 고전적 방법에 의해 결정하였으며 5군데에 위치한 전극(Fz, Cz, Pz, T₃,T₄)에서 측정하였다. 결과: 정신분열병 환자군의 P300 전위는 정상 대조군 보다 5개 전극 부위 모두에서 감소되어 있었다. 두 군사이에 비대칠성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이 소견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청각 사건관련전위 P300과 그 정보처리 과정이 비대칭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Objectives :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whether asymmetry of auditory event-related potential P300 was shown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or not. Methods :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patients(N=20) with schizophrenia by DSM-IV and normal controls(N=20). The auditory event related potential P300 was measured by "oddball paradigm". P300 component was determined by classic method at 5 electrodes(Fz,Cz, Pz, T3, T4). Results : P300 amplitudes of patients were smaller than those of controls across all electrodes. Asymmetry of auditory event-related potential P300 was not shown betwee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normal controls. Conclusion : It is implicated that auditory event-related potential P300 and its information processing should not be elicited asymmetrically in schizophrenia.

      • KCI등재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지형학적 청각 사건관련전위 P300의 생물학적 표시자로서 임상적 의의

        전양환,한상익,방승규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3

        연구목적: 저자들은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지형학적 청각 사건관련전위 P300의 소견이 생물학적 표시자로서 의의가 있는 지를 알아 보고, 이를 임상적으로 상태표시자 또는 성향표시자로서 사용할 수 있는 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방 법: 대상은 정신분열증 환자군 30명(남자=12명, 여자=18명 ; 나이 30.2±9.9세)과 정상 대조군 30명(남자=12명, 여자=18명 ; 나이 33.5±7.6세)으로 연구하였다. 정신분열증 환자군은 입원후 1주 이내에 첫 검사를 한 초기군과 4주 후 추적검사를 한 추적기군으로 나누었다. 지형학적 청각 사건관련전위 P300과 N100은 표준화된 방법인 "oddball paradigm"으로 검사하였으며, 각 검사 시점에 양성 및 음성 증상 평가척도(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를 사용하여 양성증상, 음성증상, 일반정신병리, 그리고 전체증상 등으로 나누어 임상증상을 평가하였고, 환자군의 초기와 추적기의 변화는 P300과 PANSS의 원점수를 Z 변환으로 표준화하여 사용하였다. 결 과: P300 잠복기는 대조군 315.8±24.2msec, 초기군 403.8±42.3msec, 추적기군 364.7±43.2msec로서, 각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1), N100잠복기, 나이, CCP(correct counted percent) 등을 공변인으로 공분산분석후에도 이러한 차이는 여전히 유의하였다(p<0.01). P300 전위값은 대조군 8.8±2.7μV, 초기군 4.4±1.9μV, 추적기군 4.4±2.5μV로서, 대조군과 초기군, 대조군과 추적기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1), 초기군과 추적기군간의 차이는 없었으며, N100 전위값, 나이, CCP 등을 공변인으로 공분산분석후에도 이러한 차이는 여전히 유의하였다(p<0.01). 정신분열증의 양성증상, 음성증상, 일반정신병리, 전체증상 등은 초기군에 비해 추적기군에서 유의하게 호전되었다.(p<0.01). 임상증상이 호전되면서 P300 잠복기는 감소하였으나, P300 전위값은 변화가 있었다. 결 론: P300은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정상인과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었으며, 이러한 소견은 외부자극에 의한 영향을 배제한 뒤에도 나타났다.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임상증상이 호전됨에 따라 P300 잠복기는 감소하였으나, P300 전위값은 변화가 없었으며, 이는 P300 잠복기가 정신분열증의 상태표시자이고 P300 전위값은 정신분열증의 성향표시자임을 시사하는 소견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availability of topographic auditory event related potential P300 as a biological marker in patents with schizophrenia.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normal controls(N=30) and patients(N=30) with schizophrenia by DSM-IV. Topographic auditory event related potential P300 and N100 were measured by "oddball paradigm", which was known as a standard method. Schizophrenics were evaluated twice, initial and follow-up, by 4 week interval. P300 latency and N100 latency were determined by Global Field Power. At this time point the maximum amplitude and its location, according to X-Y coordinates, were determined in brain topography. Clinical symptoms were evaluated by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PANSS). P300 latencies of normal controls, initial group of schizophrenics, and follow-up group of schizophrenics were 315.8±24.2msec, 403.8±42.3msec, and 364.7±43.2msec, respectively. P300 amplitudes of normal controls, initial group of schizophrenics, and follow-up group of schizophrenics were 8.8±2.7μV, 4.4±I.9μV, and 4.4±2.5μV, respectively. They had significantly different P300 latencies one another by measuring ANCOVA, of which covariables were N100 latency, age, and CCP(correct counted percent)(p〈0.01). X-Y coordinates was not significant. In P300, there were some different characters between normal controls and schizophrenics even though excluding N100, which was supposed to be exogeneous component by external stimuli. When clinical symptoms were improved, P300 latency was decreased. However, P300 amplitude was not chang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P300 woald be available clinically as biological marker, P300 latency be a state marker, and P300 amplitude be a trait marker in schizophrenia.

      • KCI등재

        암 환자의 우울과 통증 : 일 예비적 연구

        양문정,전양환,한상익,한치화,엄현석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6

        연구목적 : 암 환자에서 우울과 통증의 정도, 우울과 통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을 조사하고, 우울과 통증사이에 어떤 연관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종양내과에 입원한 암 환자 25명(남자 : 10명, 여자 :15명)을 대상으로 하여 내과 병록지 거모, 환자 및 가족과의 면담을 시행하였다. 정신과적 진단은 DSM-IV진단 기준에 의하였으며, 우울의 정도는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HRSD)로 평가하였고 통증의 유무를 평가한 뒤, 통증이 있는 경우 Brief Pain Inventory(BPI)를 시행하여 통증의 강도(최대, 최소,평균,현재), 통증에 의한 기능 방해 정도, 진통제에 의한 호전정도를 점수로 평가하였다. 결 과 : 전체 환자중 주요 우울증이 32%(8명), 경도 우울증이 16%(4명), 적응장애가 16%(4명)이었다. HRSD점수는 통증의 최대강도, 평균강도, 현재강도, 통증에 의한 기능방해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통증의 최소강도, 진통제에 의한 호전 정도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이환 기간과 HRSD점수 및 통증 점수 사이에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성별, 종교, 암의전이여부,병황의 인식 여부에 따라 HRSD점수와 통증 점수에 차이가 없었으나, 현재 미혼 또는 사별 상태에 있는 환자들에서 결혼하여 배우자가 있는 환자들보다 HRSD점수와 통증의 최소강도, 평균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결 론 : 암환자에게서는 우울증과 통증이 있는 경우가 많았다. 우울증과 통증간에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암 환자에서 우울증과 통증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평가와 개입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how much depression and pain symptoms could be shown, what kink of factors affect them, and whether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could be or not in patients with cancer. Methods :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25 patients with cancer who admitted a the department of oncology(male:10, female :15).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 and interviewed patients and their family. A psychiatric diagnosis was made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the DSM-IV, and depressive symptoms were evaluated by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HRSD). The intensity of pain(maximal, minimal, mean, present), disability due to pain, te effects of analgesics were measured by Brief Pain Inventory(BPI). Results : 32% of patients had major depressive disorders, 16% of patients had depressive disorders, NOS and 16% of the patients had adjustment disorders. The score of HRSD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 the maximal intensity, mean intensity and present intensity of pain and disability due to pain, but not with minimal intensity and the effects of analgesics. Depression and pain were not correlated with duration of illness. Scores of depression and pain did not differ in sex, religion, metastasis, and the knowledge of illness. The widowed or unmarried pati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patients living with the spouse in HRSD, minimal intensity and mean intensity of pain. Conclusion : In patients with cancer, depression and pain were highly prevalant.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pain was shown in patients with canc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re active evaluation and intervention of depression and pain should be carried out in patients with cancer.

      • KCI등재

        알코올의존 환자에서 알코올이 뇌파, 사건관련전위 P300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상익,전양환,이창욱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5

        연구목적: 저자들은 알코올의존 환자들을 대상으로 뇌파, 청각사건관련전위 P300등 신경생리학적 검사와 신경 인지기능 검사를 실시하여 알코올이 뇌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방법: 알코올의존 환자군 33명과 정상 대조군 6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P300의 잠복기를 고전적 방법, Glo-bal Field Power 방법, 그리고 기존의 방법을 변형시킨 수정된 방법 등 세 가지로 결정하였으며 다른 검사값들과의 비교는 Global Field Power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사용하였다. 지능검사는 한국판 웩슬러 지능검사를 사용하였고 웩슬러 기억검사와 Trail Making B검사를 이용하여 신경인지기능을 평가하였다. 뇌파분석은 주파수 영역별로 델타파(δ, 1-3.5Hz), 세타파(θ,4-7.5Hz), 알파파(α,8-13Hz),베타파(β,13.5-18Hz)의 4개 구역으로 나눈 후 상대적 Power로 분석하였다. 결과: P300 은 환자군에서 작고 늦게 나타났으며 측정 방법에 의한 차이도 없었다. 환자군에서 낮은 지능을 보였으나, P300은 지능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환자군에서 Trail Making B 검사 수행시간이 오래걸렸으나 웩슬러 기억검사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뇌파분석 결과 두 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알코올의존 환자들은 신경생리학적인 측면에서 뇌기능의 저하를 보이고 있었고 이는 지능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신경인지기능검사는 이들이 측두엽보다는 전두엽의 기능이 더욱 더 저하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중심단어:알코올 의존·정량적 뇌파·사건관련전위 P300·인지기능.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do have brain dysfunction by auditory event related potential P300, EEG, an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 or not. Method: Subjects were composed of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N=33) and normal controls(N=67). P300 was determined by conventional method, Global Field Power method,and modified method. Also Korea Wechsler Intelligence Scale, Wechsler Memory Scale, and Trail Making B were tested. Spectral EEG was analyzed by the ranges of Hz, delta(δ,1-3.5Hz), theta (θ, 4-7.5Hz), alpha(α,8-13Hz), and beta(β,13.5-18Hz), and compared by relative power. Results: In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P300 was smaller and later,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ment methods of P300. Lower IQ score was shown in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but it did not affect the P300 results. It took more time to perform Trail Making B test in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Wechsler Memory Scale. Spectrum EEG was shown as similar patterns. Conclusion: It suggests that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have brain dysfunction in so-me neurophysiological aspects, regrdless of intelligence. And frontal lobe dysfunction might be more severe than temporal one in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KEY WORDS:Alcohol dependence·EEG·P300·Neurocognitive function.

      • KCI등재

        지형학적 청각 사건관련전위 P300과 정신분열증의 정신병리

        한상익,전양환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7 신경정신의학 Vol.36 No.6

        목 적 : 이 연구를 통하여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지형학적 청각사건관련전위 P300 요소들의 특성을 조사하고 정신병리와 P300요소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대상군은 28명의 정신분열증 환자와 나이 및 성별을 일치시킨 28명의 정상인으로 하였다. 지형학적 청각사건관련 P300은 'oddball'모형으로 기록하였고 컴퓨터화된 뇌전위검사기(brain mapping system)로 분석하였다. P300잠복기는 Global Held power measurement에 의해 결정하였다. 정신분열증 환자의 정신병리는 PAESS로 평가하였다. 결 과 : 잠복기와 전위에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P300 최고부위의 전극위치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P300잠복기는 정신분열증환자에서 PANSS점수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전위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 위 결과는 정신분열증 환자들에서 양성 및 음성증상에 의해 영향을 받는 인지과정 측면의 정신 기능 장애가 있음을 시사한다. 0bject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omponents of topographic auditory event-related potential P300 in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indings of components of P300 and psychopathology. Methods : The subjects consisted of 28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28 normal controls who were matched by age and sex. The topographic auditory event-related P300 was recorded in oddball paradigm and analized by computerized brain mapping system. The latency of P300 was determined by global field power measurement. The psychopathology of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were rated by PANSS. Results :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latency(schizophrenia : 369.5±40.6msec, normal controls 332.6± 34.8msec) and amplitude(schizophrenia 4.1 ±3.1μV, normal controls: 6.7 ± 3.2μV).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electrode location of maximum area of P300 between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normal controls. The latency of P300 showed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amplitud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PANSS scores of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Conclusion : The results implicate that the patients with schizoprenia might have mental dysfunction in the aspects of cognitive process affected by both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 KCI등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연구학회의 발전방향

        김찬형,전양환,김재진,권준수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5 신경정신의학 Vol.44 No.4

        Recently,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KCNP) has been expanded greatly in the number of members as well as the qualities in the area of practice and research. There are also 23 affiliated academic societies : Korean Academy of Psychotherapists, Korean Society for Analytical Psychology, the Korean Psychoanalytic Society, the Korean Association for Clinical Art, Kore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the Korean Association of Social Psychiatry,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Korean College of Neuropsychopharmacology,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Psychiatry, Society of Korean Women Psychiatrists, the Korean Society of Clinical Hypnosis, the Society for Human Sexuality, Korean Society of Sleep Research, the Korean Society for Psychopathology and Psychiatric Classification, Korean Academy of Psychiatry and the Law, Korean Psychosomatic Society, Korean Academy of Sleep Medicine, Korean Association for Geriatic Psychiatry, Korean Academy of Psychiatrists in Alcoholism & Addiction, Korean Academy of Adolescent Psychiatry, Korean Academy Schizophrenia, Korean Society for Depressive and Bipolar Disorders, and Korean Academy of Anxiety Disorders. To further encourage the progress of the KCNP affiliated academic societies, the KCNP planning committee has developed the proposed criteria for assessing the societies.

      • KCI등재

        연령증가에 따른 지형학적 청각 사건관련전위 P300 요소의 변화

        한상익,전양환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목 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인에서 연령증가에 따른 지형학적 청각관련전위 P300요소들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함이다. 방 법 : 피험자는 85명(연령분포 : 18∼68세)으로 모두 오른손잡이였으며 교육수준은 최소한 12년 이상의 학력자로 하였다. 이들은 뇌기능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 내외과적 질병의 기왕력이 없었고 검사시점에서 어떠한 신체질환이나 정신질환이 없었다. 지형학적 청각사건관련전위 P300은 'oddball paradigm'으로 기록되었고 P300요소로서 잠복기, 전위, 최대전위의 X-Y좌표 등이 전산화된 기기에 의해 분석되었다. P300 잠복기는 global field power measurement(GFPM)와 고전적 방법에 의해 결정하였다. 결 과 : GFPM의 방법에서, 잠복기는 일년에 1msec씩 증가(잠복기=299.9+1×나이)하였다. 최대 전위의 X 좌표는 일년에 0.018씩 좌측편위(X=3.6-0.018×나이)를 보였고 Y좌표는 0.017씩 전방편위(Y=2.15+0.017×나이)를 보였다. 고전적 방법에서 잠복기는 일년에 0.81msec씩 증가(잠복기=304.76+0.82×나이)하였다. 최대전위의 X좌표는 일년에 0.011씩 좌측편위(X=3.35+0.011×나이)를 보였고 Y좌표는 0.025씩 전방편위(Y=1.86+0.025×나이)를 보였다. 전위는 두 방법 모두에서 변화가 없었다. 결 론 : 이 결과들은 P300의 잠복기와 연령증가 간에 강력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고 최대전위 전극위치의 약간의 좌측 전방편위를 보이고 있다. 이 소견들이 시사하는 바는 P300에 의해 표현된 정신 생리기능이 연령증가 과정에서 감소하고 있으며, 정상대조군의 자료가 연구 및 임상적용에 필수적임을 의미한다. Objects :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s of components of topographic auditory event related potential P300 in normal aging process. Methods :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85(range of age ; 18-68), who were right handed and had education level at least over 12 years. They had no history of medico-surgical and psychiatric illness which could cause brain dysfunction, and had not any physical and mental illness on examination. The topographic auditory event related P300 was recorded in oddball paradigm and the components of P300 including latency, amplitude, and location of maximum amplitude in X-Y cordinates were analyzed by computerized EP mapping system. The latency of P300 was determined by both Global Field Power Measurement and classic method. Results : In global field power measurement, the latency has been increased about by 1m sec per year(latency=299.9+1×AGE). The location of maximum amplitude in X coordinate was moved by 0.018 per year toward left side(X=3.6-0.018×AGE) and in Y coordinate by 0.017 toward frontal direction(Y=2.15+0.017×AGE). In classic method, the latency has been increased about by 0.82m sec per year(latency=304.76+0.82×AGE). The location of maximum amplitude in X coordinate was moved by 0.011 per year toward left side(X=3.35-0.011×AGE) and in Y coordinate by 0.025 toward frontal direction(Y=1.86+0.025×AGE). The amplitudes were not changed in both methods. Conclusion : The results showed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atency of P300 and aging process, and slight left frontal displacement of the location of maximum amplitude. These findings implicate that psychophysiological function expressed by P300 was declined in aging process and database of normal controls should be necessary for both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