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平城京遷都と外京の設置について

        임남수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人文硏究 Vol.- No.72

        There is the square-shaped protrusion called Gekyo in the eastern area of Sakyo of Heijokyo. This study which investigates the propose of establishment of Gekyo builds the hypothesis as the followings after researching the traits of various temples that were relocated from Fujiwarakyo to Heijokyo. First, as the time Heijokyo capital relocation, Daikandaiji which the emperor of Japan set up and Yakushiji were moved to the place corresponding the temple site of Fujiwarakyo. Second, Kofukuji which is the temple of Fujiwara family is assumed that it was moved to the present temple site by Fujiwara-no-Fuhito, one of the prominent figures in politics who promoted the capital relocation around AD. 710. Third, Asukadera which is the national temple was not easy to be symmetrical vertically, because Kawaradera was not moved. In addition, as the southern area of Shichijo(7th street) was the residential area it was not appropriate to be the temple site, therefore, I assume, the eastern area of Sakyo was chosen. However, though Asukadera was the national temple, it was located at lower area than Kofukuji which is a lower class temple. Asukadera must be unsatisfied thus I think there could be the some who have hard feeling about the relocation of the temple. For these reasons it was presumed Gekyo was founded by combining the sites of Asukadera and Kofukuji. 헤이죠쿄의 사쿄 동쪽에는 게쿄라고 불리는 방형의 돌출부가 있다. 본 논문은 헤이죠쿄 게쿄의 설정목적에 대하여 검토한 것으로, 후지와라쿄에서 헤이죠쿄로 이전한 여러 사원들의 성격을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르렀다. 첫째, 헤이죠쿄 천도에 즈음하여, 천황이 발원한 사찰인 다이칸다이지와 야쿠시지는 후지와라쿄의 절터에 상응하는 장소로 이전되었다. 둘째, 후지와라 씨의 씨사인 고후쿠지는 천도를 추진한 실력자 후지와라노후히토에 의하여 710년 무렵에 京外이나 勝景인 현재의 절터를 획득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셋째, 후지와라노후히토는 경외 지역을 京內化하기 위하여 아스카데라(간고지)를 현재의 절터로 선정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아스카데라는 씨사인 고후쿠지보다 낮은 지역에 위치하게 되어 불만이 있어서 이전에 반감을 지니고 있었을 것으로 논증하였다. 이처럼 게쿄는 고후쿠지의 경내화를 위하여 아스카데라를 이전시키면서 설정된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淸涼寺 傳藥師如來坐像考

        임남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9 민족문화논총 Vol.43 No.-

        By this paper, I investigated the production technique of the Seated Bhaisajyaguru(藥師如來) of Cheongryang-sa(淸涼寺) using X-ray equipments, reviewed characteristics of it, and compared with that of Buddha images in dried lacquer technique in Japan. I drew following conclusion. First, Image of Bhaisajyaguru of Cheongryang-sa was made by lacquer technique using hemp cloth, which is considered to be built in middle of Koryo Dynsty, judging from features in style and techniques. So, Image of Bhaisajyaguru of Cheongryang-sa is the oldest Buddha image in dried lacquer technique in now. Especially, it bears very important meanings, as full-sized image in lacquer technique with the earth-touching gesture has never been reported so far. Second, as to the fact that there is no example of use of wooden core in Buddha images in lacquer technique in Korea, I examined the opinion of Lim Seok-gyu who thinks it is because of its lacquered hemp cloth, and reviewed its link with carving technique which Nishimura Kocho(西村公朝) and Homma Toshio(本間紀男) point out, finally to reconfirm the characteristic of the Korean Buddha image in dried lacquer technique. Third, I pointed out that the technique of inserting crystal pupil of Bhaisajyaguru image was imported from China, judging from evidences in 『Paintings and Plastic Arts of Yüan China』(元代畵塑記), and reviewed the process of change to the crystal eyes after 12th century in Japan. 청량사의 약사여래좌상을 X선 투과 촬영 장치(이하 X선 장치)를 이용하여 조사하고, 그 조성시기와 제작기법에 대하여 살펴보고, 나아가 일본 협저불상과도 비교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먼저, 약사여래좌상의 양식적 특징과 제작기법상의 특징을 살펴보고, 조성시기는 고려 중기까지 소급되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따라서 청량사 약사상은 最古級의 협저불상이며, 특히 등신대의 항마촉지인 협저불상은 이제까지 보고된 바가 없으므로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고 말할 수 있겠다. 둘째, 약사상의 내부에 심목이 보이지 않는 점에 대해서는, 漆布의 두께와 층수에 이유를 찾는 임석규씨의 견해와 아울러 西村公朝씨와 本間紀男씨가 지적한 塑型 제작방법과의 연관성을 검토하고, 한국 협저불상의 특징임을 재확인하였다. 셋째, 약사상의 눈동자 감입 기법은 『元代畵塑記』에 보이는 예를 통하여 중국의 기법이 수용된 것임을 지적하고, 일본에서는 12세기 이후 玉眼기법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검토하였다.

      • KCI등재

        고령 반룡사(盤龍寺) 비로자나삼존불좌상

        임남수,김준영,배영진,최강국,윤선영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0 민족문화논총 Vol.46 No.-

        Banryong Temple is located at Mt. Misung, Ssangrim-myeon, Goryeong-gun, Gyeongsangbuk-do. This temple was a Buddhist Temple to be no less than Haein Temple. Recently in 2009, a document for production was found from the left Buddhist statue of the Vairocana Three Seated Buddhist Images(毗盧遮那三尊佛坐像) located in the Dae-jeok-Gwang-jeon(大寂光殿) of the temple, showing that the images were produced by Hyehee(慧熙) who was Su-Hwa-won(首畵員) in 1642 (the 15th year of Sung-jeong 崇禎). These statues are unique among those made in the 17th century: they show the traditional way of putting on clothes of the 17th century, but earth was added in order to realistically express the cloth wrinkles of the lower half of the principal statue as partial plastic artistic technique. The document says these statues were produced in 1642 by Hyehee, a representative artist of the 17th century, indicating the statues were one of his earliest works. Meanwhile, it is noteworthy that the document says that Joneung(祖能), one of the representative monk artists with Hyehee in the 17th century, was assistant artist. There have been attempt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because they had similar style, but from this research, it can be understood that this similarity may be caused not only by effects of their master Beobryeong(法靈) but their interrelationship. 반룡사는 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 미숭산에 위치한 사찰로, 14세기에는 화엄종단에서 해인사에 못지 않은 위치에 있었으며 지금까지 법등이 이어지고 있는 유서 깊은 사찰이다. 최근 2009년에 이 사찰의 대적광전에 안치되어 있는 비로자나삼존불의 좌협시보살상에서 불상의 조성기(造成記)가 발견되어 이 불상이 수화원(首畵員) 혜희에 의해 1642년(숭정 15년)에 제작되었음이 밝혀졌다. 이 불상은 17세기의 전형적인 착의(着衣)형식을 따르면서도 본존의 하반신 옷주름을 보다 사실감 있게 표현하기 위해 흙을 덧대어 부분적으로 소조기법으로 처리한 점이 매우 독특하며 17세기의 불상으로서도 드문 예이다. 조성기에는 이 불상이 17세기 후반의 대표적 화원으로 알려져 있는 혜희에 의해 1642년에 조성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어 이 작품은 그의 가장 초기의 것으로 이해된다. 그런데 조성기에는 혜희와 함께 17세기 대표적 화원의 한명인 조능이 보조화원으로 등장하고 있어 주목된다. 근래에 혜희와 조능의 작풍이 서로 유사하다는 점 때문에 이들의 관계를 규명하려는 시도가 있어왔지만 이번 조사연구를 통해서 이로서 이들의 유사한 작풍이 스승 법령의 영향 외에 혜희와 조능 두 사람의 상호관계가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했음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 KCI등재

        廣隆寺의 초기밀교와 元興寺

        임남수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人文硏究 Vol.- No.57

        By studying why Koryu-ji(廣隆寺) succeeded to Early Esoteric Buddhism of Nara period, instead of Mantra Esoteric Buddhism, and how it was accepted by Koryu-ji, this paper reached to following conclusions. First, Buddha images of Koryu-ji appearing in 『Inventory Record(實錄帳)』show the feature of Early Esoteric Buddhism, already prevailed in Nara period, and Sutras, as well as Buildings, bears the character of Buddhism of Nara period. Second, our review of『Appointment Order(補任次第)』shows that the Betto(別當, the chief priest) of Koryu-ji from later 8th century till 11th century were monks of the lineage of Three Treatises School(三論宗) of Gango-ji(元興寺). So, we could conclude that academic tradition or Early Esoteric Buddhism was received from Gango-ji. Third, I can grasp Early Esoteric Buddhism of Gango-ji through Akashagarbha Morning Star Mantra(虛空藏求聞持法) succeeded to Gomyo(護命) via Shinei(神叡), Sonoh(尊應), Shogu(勝虞). Image of Thousand-Armed Avalokitesvara enshrined in the Main building and Statue of Bhaisajyaguru of Stupa site would be the evidences of Early Esoteric Buddhism. Such Early Esteric Buddhism of Gango-ji was accepted by Koryu-ji through the Betto's of the past. It is inferred that Gango-ji influenced on construction of Buddhist images of Koryu-ji, too. Finally, there was no example of Mantra Esoteric Buddhist temple at time when Koryu-ji was reconstructed, and Dosho(道昌) was not in direct lineage of Mantra Esoteric Buddhist, either. I inferred that it was reconstructed to be a temple with strong traits of Early Esoteric Buddhism as a result of consideration about situation of Buddhism in Heian capital(平安京) that time. 본 논문에서는 廣隆寺에 현존하는 문헌자료와 불상을 검토하여 廣隆寺의 초기밀교적인 성격을 밝히고, 그것이 어떠한 경로로 廣隆寺에 수용되었는지에 대하여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르렀다. 첫째, 『實錄帳』에 기록된 廣隆寺의 불상들은 奈良시대에 이미 유행했던 초기밀교의 양상을 보이고 있었으며, 경전과 건물도 奈良불교의 요소를 지니고 있었다. 둘째, 『補任次第』를 검토한 결과, 8세기 후반에서 11세기에 이르는 廣隆寺의 역대 別當은 元興寺 三論宗 계열의 승려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廣隆寺의 교학이나 초기밀교는 元興寺로부터 수용되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元興寺의 초기밀교는 神叡와 尊應, 勝虞를 거쳐 護命에 계승된 虛空藏法을 통하여 알 수 있으며, 금당에 안치된 千手觀音像, 탑당원의 약사여래입상은 元興寺의 초기밀교의 實例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元興寺의 초기밀교는 別當을 통하여 廣隆寺에 수용되었고, 불상의 조성에도 元興寺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마지막으로, 道昌은 南都佛敎의 승려로써 眞言密敎의 직계가 아니었으며, 당시의 平安京의 불교 사정과 진언밀교 가람의 전형이 없는 점 등이 고려된 결과 초기밀교적인 성격이 부각된 가람으로 재건되었다고 추정하였다.

      • 4-(p-dimethylaminobenzeneazo)phenymercuric dithizonate의 합성 및 염료로서의 적합성 연구

        백건호,임남수 國立昌原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1994 基礎科學硏究所論文集 Vol.6 No.-

        1:1 Complex of organomercury cation HgR?(Ⅰ; R= 4-(p-dimethylamino benzeneazo) phenyl, Ⅱ; R=p-N, N-dimethylaminophenyl) and dithizone have been prepared, characterized, and examined for their photochemical and phototropic behavior in solution and thermal stability for their solid with IR, Visible, NMR spectrophotometer, DSC, TGA. The photochemical stability of 4-(p-dimethylaminobenzeneazo)phenylmercuric dithizonate in n-propyl alcohol and thermal stability for the solid state were better than those of p-N, N-dimethylaminophenylmercuric dithizon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