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문학(日本文學),일본학(日本學) 편(篇) : 춘계국제심포지엄 ; 인간과 자연의 공생: 환경,언어,지역으로 본 일본문화 : 조선통신사가 본 일본의 원림(園林)과 환경 -신유한과 조엄을 중심으로-

        황소연 ( So Yeon Hwang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1 日語日文學硏究 Vol.78 No.2

        この論文は朝鮮通信使が日本の生態的な環境と文化的な環境をどのように認識したかを明らかにしようとするものである。朝鮮通信使は朝鮮王朝から日本に12回派遣され、膨大な使行記錄を殘した。そのなかでも1718年に派遣された申維翰の『海遊錄』は綿密な觀察と流暢な漢詩などで評價が高い。また、1763年に派遣された趙엄の使行記錄も崔天宗の殺人事件などを含めて注目される点が多い。しかし、同じく18世紀の日本を體驗しながら、二人が書いた日本の姿はだいぶん異なっている。申維翰は、日本の生態的な環境を高く評價し、惠まれた自然環境を漢詩として詠むことができない日本人に代わり、自らの役割を强く意識している。一方、趙엄は申維翰が仙境として詠った日本の自然環境を、時間の經過にしたがって一部は認めながらも、仙境としての位置づけには反對の立場を表明し、韓國の山山を仙境として評價する意見に對しても否定的な立場をとっている。趙엄は日本人が誇りを持っている富士山についても白頭山と比較しながら、物理的な關連性を模索する實證主義的な姿勢を示す。このような兩者の違いは、時代的な推移もあろうが、兩者が置かれた社會的な立場によるものだと思われる。卽ち、申維翰は出世に限界がある庶類の出身で、その文才が評價され朝鮮通信使の一行に加わったと考えられるが、趙엄は由緖ある家柄の出身で、將來が期待される人物である。その使行中に使行團の一員が殺害される事件を經驗したことからも、趙엄の記錄は他のものより比較的、現實を冷靜視したものといえよう。したがって、兩者の記錄の違いは、個人的な趣向の違いを超えて置かれた社會的な立場と個人的な體驗を通して、自分の役割に對する十分な理解が下地にあったと推定される。

      • KCI등재

        일본학(和學)의 성립과 북학(北學)의 전개: 신유한 · 원중거 · 박제가를 중심으로

        황소연(Soyeon Hwang)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20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0 No.51

        Travelog may not be a systematic description due to the differences of its historical background and observers’ emotional experiences, but offers a vivid information reflecting the alien residents’ cultural, psychological attitudes and feelings. For instance, there are a lot of comments concerning Japanese red-light district and Joseon’s gisaeng (geisha) in Shin Yuhan’s travelog (1719) and Kim Ingeom’s (1763) unlike the established travel essays. On the other hand, Won, Junggeo declares his own travelog spares any sexual expressions, which is quite different from these two writers’ descriptive stances. It can be speculated that there is a considerable gap between Won’s attitude toward Japanese custom in view of Neo-Confucianism and Shin’s way to close his psychological distance by encountering heterogeneous Japanese culture personally. Park possibly got information concerning Japan from Won having worked together with him at Gyujanggak Library, but the former’s view of the world differs from the latter’s. It is extraordinary that Won criticized Japanese Confucian scholars but offered his friendly dedication to Japanese genre painting from the Shogunate regime. In addition, public reproach that Park’s writing owes much to Ming’s convention is in line with Won’s disregard for Japanese Confucian scholar Ogjusorai of the time as heretical. When Jeongjo announced his restoration policy to check the classical scholars’ mores, Park didn’t assume his introspective posture in contrast with the others. This presents his will to communicate with a new world by keeping up distance with the Joseon’s hierarchical and conservative culture. In that regard, Park’s mental attitude is similar to Shin’s rather than Won’s sticking to Neo-Confucian position. His recognition of Joseon’s old enemy countries Japan and Qing Dynasty as its friendly ones reflects his introspection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his own native land faced at that time.

      • KCI등재

        일본문화변혁기에 있어서 선서(善書)적인 세계의 역할과 변용

        황소연(Hwang, So-Yeo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7

        본 논문은 야마구치 다케시(山口剛)가 정리한 도쿠가와 시대(德川時代)의 괴담문학의 전통이 근대문화변혁기에 활동한 엔초와 고이즈미 야쿠모를 통해 어떤 양상으로 수용, 전개됐는가를 정리한 것이다. 일본의 도쿠가와 시대(?川時代)에서 메이지 시대(明治時代)로의 이행은 동양적인 세계에서 서양적인 세계로의 전환이라는 극적인 사건이었다. 동양적인 세계관에 기초해 성립된 일본 괴담(怪談)의 세계는 근대화론자가 국민을 대상으로 한 초등교육에서 괴담은 과학적이지 못하다는 교육을 하면서 시대에 역행하는 문학이 됐다. 근대화로 인한 역풍 속에서 엔초(圓朝)는 전통적인 인과론(因果論)에 기초해 유령의 존재를 긍정하며 일본적인 사적 복수담(敵討談)의 흐름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작품들을 발표한다. 일본적인 사적 복수담(敵討)과 유령담이 조화를 이룬 대표적인 작품으로 엔초의 『괴담모란등롱 怪談牡丹?籠』을 들 수 있는데 세론을 의식한 엔초는 괴의성보다는 일본적인 사적 복수담(敵討)을 중심으로 한 윤리적 세계의 형상화에 심혈을 기울였다. 일본천황(天皇)을 정점으로 한 근대 일본 국민의 충의관(忠義?)을 확대하는 과정에서 엔초의 문학이 내면화에 일조를 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고이즈미 야쿠모(小泉八雲)는 『괴담 怪談』을 발표하면서 윤리적 세계와 미적 세계가 유기적으로 결합됐던 전통적인 괴담과 결별하며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한다. 근대 변혁기에 활동한 엔초와 고이즈미 야쿠모의 작품 세계는 도쿠가와 시대 문화에 뿌리를 두고 있지만 새로운 국가주의적 체제 하에서 변용되고 순응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 과정에서 엔초와 고이즈미 야쿠모는 상이한 방식으로 일본 괴담문학의 근대적 특질을 체현해 근대 민속학의 출현을 준비한 인물로 평가된다. The Transition from Tokugawa"s Period to Meizi"s one was as dramatic and sweeping as the movement from Orientalism to Occidentalism. Reformists at that time was strongly against using Kwaidan, one of Oriental canons, as learning material in Primary School education arranged for general public. In the stream of the times, EnCho adhered to his literary position to maintain the theme of traditional punitive justice story haunted by ghosts. Kwaidan Peony Lamp which is well-known as his masterpiece, is the product of his efforts. EnCho"s literary world seasoned with Japanese loyalty and ghosts is divided into an aesthetic world and an ethical one through Koizumi Yakumo. Koizumi Yakumo"s Kwaidan is one that sublimates Kwaidan into an aesthetic level. On the other hand, the literary world dealing with Japanese loyalty is reorganized in the national order, which forms the essence of national ethics based upon Tenno System(the Emperor System of Japan). Japanese Kwaidan, which accepts Continental didactic literature in Tokugawa"s Period and grows into Japanese art, comes to be newly transfigured and developed by EnCho and Koizumi in modern ages.

      • ESS용 리튬이온전지의 열폭주 방지용 오프가스 검출장치 구현

        황소연(So-Yeon Hwang),박찬욱(Chan-Wook Park),이세연(Se-Yeon Lee),이진호(Jin-Ho Lee),최형석(Hyoung-Seok Choi),노대석(Dae-Seok Rho) 대한전기학회 2021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0

        최근, 리튬이온전지에서 발생하는 오프가스 검출을 통해 베터리 열폭주를 예방하거나 호재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어, 국내에서는 배터리의 오프가스를 검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ESS에 사용되는 리튬이온 전지의 열폭주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오프가스 검출 장치부와 제어 및 계측장치부로 구성된 리튬이온전지의 열폭주 방지용 오프가스 검출장치를 구현한다. 한편 구현한 검출장치를 이용하여 UL9540A에 기반한 리튬이온전지 과열 시험을 수행한 결과, 열폭주 발생 메커니즘에 따라 발생하는 오프가스를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어, 리튬이온전지의 열폭주 방지용 오프가스 검출장치의 유효성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홀로 사는 노인의 독거생활에 대한 자발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및 자녀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

        황소연(Hwang So Yeon),하정화(Ha Jung Hwa) 한국노년학회 2016 한국노년학 Vol.36 No.1

        본 연구는 홀로 사는 노인을 대상으로 이들의 독거생활에 대한 자발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및 자녀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1년 노인실태조사 횡단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조사대상자 중 독거가구 노인이면서 생존 자녀가 있는 1,92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은 Baron & Kenny(1986)의 인과적 단계접근법을 적용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독거노인의 거주 자발성은 우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독거노인의 거주 자발성은 자녀관계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녀관계 만족도는 독거노인의 거주 자발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거주 자발성이 독거노인의 우울에 대한 보호요인으로 작용하고, 노인과 자녀관계에서도 긍정적으로 기능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거주 자발성이 높을수록 자녀관계 만족도가 높아져 우울감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독거노인의 우울에 대한 사전 예방적 개입과 독거 전후 노인을 대상으로 거주 자발성을 사정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1) whether voluntarily choosing to live alone affects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2)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arent-adult child relationship. Data were acquired from the National Survey on Korean Older Persons(2011). The analytic sample includes 1,926 older adults who are living alone and have had children. Multiple regression models and Sobel test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ose older adults who voluntarily chose to live alone showed lower levels of depression than those who did not. Second, these older adults also showed more postive parent-adult child relationship. Third, parent-child relationship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voluntariness in residential decisions on depress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voluntariness in residential decisions work as a protective factor in reducing depression and improving parent-adult child relationships. Thus, assessing the level of voluntariness in residential decisions among the elderly before or after living alone can help practitioners develop preventive intervention strategies for decreasing depress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Further, our finding that voluntariness in residential decisions affect older adults’depression through improved parent-adult child relationship suggests that maintaining control over residential choice can enhance not only the mental health of older adults but also their relationship with adult children.

      • KCI등재

        발달변형(DvT)이론의 놀이공간에서 드러난 놀이기능에 관한 연구

        황소연 ( Hwang So Yeon ) 한국드라마학회 2022 드라마연구 Vol.- No.68

        본 연구는 발달변형(Developmental Transformations, 이하 DvT)의 놀이공간에서 놀이가 유희적인 형식을 의미하는 즉흥극이자 이것이 곧 자생적 치유의 근간이 되어 효과적인 치료로써 드러나는 기능을 고찰하는 데 근본적인 이유와 목적을 명시한다. 발달변형 이론은 연극치료사이자 임상심리학자인 데이비드 리드 존슨이 무용치료 개념과 그로토프스키의 가난한 연극, 코메디아 델라르테의 즉흥연기의 연극성을 가져와 새롭게 창안한 연극치료기법으로 핵심요소에는 놀이공간이 존재한다. 연극은 삶의 재현이고 신체, 감정, 정신의 통합이 행동으로 이끄는 예술이므로 연극치료기법에 적용할 때 발달변형의 작동원리가 놀이공간에서 참여한 자, 즉 내담자의 연극놀이가 어떤 변화의 양상을 가져오는지에 대해 고찰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놀이공간에서의 놀이와 바로크 시대의 테아트룸 문디(theatrum mundi) 사조, 즉 변형과 불규칙성의 속성이 깃든 메타연극(meta drama: 극중극)의 이중구조, 내담자에서 비롯된 건강한 정체성이 호모 루덴스(Homo Ludens: 놀이하는 인간)의 관계에 집중한다. 내담자들이 자유롭게 연상한 이미지는 움직임, 소리, 몸짓, 말을 통해 유연하게 분출됨으로써 페르소나를 입고 자아의 몰입이 체현된 행위(action)의 내용과 형식이 되어 극 내부에서 연기(acting)하는 일종의 연극놀이공간을 채우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특별한 놀이공간에서 인간이 즉흥극, 사실적인 움직임, 극 속의 역할들과 조화로운 관계를 맺으며 놀이 그 자체가 지닌 치유의 힘을 저절로 수용하고 내면의 변화를 가져옴으로써 발달변형에서의 놀이가 곧 삶의 무대에서 창조하는 연극미학이라는 점을 증명한다. This study specifies the fundamental reason and purpose of considering the playing function, which means a playful form in the playspace of Developmental Transformations(DvT), and this is the basis of selfsustaining healing and is revealed as an effective treatment. DvT is a new drama therapy technique created by David Reed Johnson, a drama therapist and clinical psychologist, who adopted the concept of dance therapy, Grotowski's poor play, and Commedia Dell’arte's improvisation. There is a playspace in the key elements. Since theater is a representation of life and the integration of body, emotion, and mind leads to ac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how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DvT is changed in the playspace, that is, the client's creative drama. The researcher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 in the playspace and the Baroque’s theatrum mundi trend, that is, the dual structure of meta drama(the play within a play) with the properties of transformation and irregularity, and the healthy identity derived from the client’s playing with Homo Ludens. Images freely associated by the guests are flexibly ejected through movement, sound, gestures, and words, filling a kind of theatrical playspace in which acting is performed inside the play by wearing a persona and becoming the content and form of an action. Therefore, this study proves that play in DvT is a theatrical aesthetics that humans create on the stage of life by forming a harmonious relationship with improvisations, realistic movements, and roles in the play, accepting the healing power of play itself and bringing about inner changes.

      • KCI등재
      • KCI등재

        『기요미즈모노가타리』의 창작의식

        황소연(Hwang, So Yeon) 동아시아일본학회 2014 일본문화연구 Vol.0 No.50

        Kiyomizumonogatari was published in 1638 and is closely related to the mobility of Japanese social conditions early in the seventeenth century. Above all, it was apparent that the Shimabara Rebellion led by Christians in 1637 played a critical role in arousing the necessity of Confucian ruling system. Though Kiyomizumonogatari deals with many Confucian subject matters, there is a belief that the writer’s sense of creation should be found in both political criticism and Buddhistic view of life. Remarkably, Watanabe strongly argues that the writer’s creativity implies his critical spirit of the political system of the Tokugawa Shogunate. But his argument falls short of tangible evidence. Thus, it is more desirable to presume that Kiyomizumonogatari presents an alternative diagnosis in a Confucian context rather than criticizes the political system of the Tokugawa Shogunate, because the lack in a critical perspective of the actualities fails to offer the ways to improve them and makes no sense. The central idea of Kiyomizumonogatari aims at transforming the Tokugawa Shogunate society into an ideal society based upon a Confucian view of life by seeing into the social actualities for a stable community and introducing a Confucian foundational concept to rea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