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생물 해석관점에 나타난 주역인문학 ―현륙(莧陸)과 석서(鼫鼠)의 동식물 해석 사례 중심―

        황병기 ( Hwang Byong Kee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98 No.-

        이 글은 “『주역』 상징어의 의미변천에 대한 문화사적 연구” 프로젝트의 연속 기획의 하나로서, 『주역』 경문의 생물 관련 물상(物象)에 대한 주석의 변천 사례를 통해 상징성의 문화적 상대성을 분석하여 주역학을 폭넓은 의미의 인문학으로 재해석하고자 한 논문이다. 기본적으로 홑괘(單卦)는 8개의 범주에 따라 분류된 각각의 대상을 단독적으로 지시하지만, 겹괘(重卦)의 단계가 되면 64개의 상황에 따라 새롭게 형성된 상하의 관계, 호응의 관계, 각 지위에 따른 변화의 관계 등 복잡한 관계망의 형성과 함께 홑괘의 지시 대상들이 복잡하게 얽혀 새로운 상이 창출된다. 겹괘에 등장하는 복합 상은 팔괘 각각의 상을 온전히 보전하기도 하지만, 전혀 다른 상으로 전화하기도 한다. 여기에 더해 주석자의 해석 관점에 따라 전혀 다른 사물로 인식되기도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역사(易詞)의 상징성을 동물과 식물 각각의 사례를 가지고 통시적으로 그 변화 양상을 검토하였다. 역사(易詞)의 상징성을 보편과 특수라는 해석 관점에 따라 조망하면서, 상징성의 시공간적 함의와 역사(易詞) 해석을 둘러싼 상징성의 차별적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해석 관점의 차이는 시대와 공간에 따라 현격해지며, 주석자의 신분과 정치적 성향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해석자의 관점에는 그가 속해 있는 특수한 역사와 문화가 녹아 있게 마련이다. 따라서 역사(易詞)의 의미 변천에 대한 문화사적 접근이 가능하다. 역학은 한대에서 위진시대로 넘어가며 전변하고, 수당시대, 송명시대, 원대와 청대에 각각 다른 양상을 띤다. 특히 원대와 청대에는 역상의 상징성이 다른 시대와는 매우 다른 모습을 보인다. 홑괘(팔괘)의 상징뿐만 아니라 그것들이 중첩되어 만들어지는 겹괘(64괘)의 상징들도 해석 관점의 차이가 존재하고 사조별 의미의 변천이 있다. 384개 역사 전체에 등장하는 물상들은 각 주석자만의 독특한 시대정신을 담고 있는 것이다. 해석자의 관점에 따라 전쟁의 상이 될 수도 있고, 평화의 상이 될 수도 있다. 대인의 장쾌한 상이 될 수도 있고, 소인이 갈구하는 희망의 상이 될 수도 있다. 역사(易詞)를 독해할 때 사전의 고정적 의미에 얽매이지 않고, 전체 문맥을 따라 이해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날다람쥐의 생태적 특징을 잔뜩 설명해 놓고 번역어는 생쥐라고 하는 경우처럼 전혀 엉뚱한 언어가 되는 것이다. 동일한 역사(易詞)의 한 물상을 동물로도 식물로도 또는 전쟁과 평화로도 해석하는 각각의 해석 관점에 대한 이해를 통해 역학이 오랜 기간 동아시아에서 누려왔던 다양한 인문학적 콘텐츠를 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is one of the continuous projects of the “The Study of Culture and History that involve changes of inner meaning of Symbols in the I Ching: Focusing on the ideological Origins of the Symbolism in the I Ching of Jeong Yak-yong” project, and aims to reinterpret Yi-ology as a wide-ranging humanities by analyzing the cultural relativity of symbolism through the case of annotations on biological objects in the I Ching scriptures. Basically, the Single-Gua(8 Trigrams) instructs each object classified according to eight categories, but at the stage of the double-Gua(64 Hexagrams), a new image is created by complicated network formation, such as the newly formed upper and lower relationship, the response relationship, and the relationship of change according to each position. The complex statues that appear in the double-Gua completely preserve each of the eight-Gua statues, but they are also changed to completely different statues. In addition, it is also recognized as a completely different object depending on the commentator’s interpretation point of view. This paper reviewed the change pattern with the case of each animal and plant for the symbolism of this I Ching scriptures. While looking at the symbolism of I Ching scriptures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 perspective of universality and speciality, the spatiotemporal implications of symbolism and the discriminatory changes in symbolism surrounding the interpretation of I Ching scriptures were examined. The difference in interpretation perspective varies according to the times and space, and also depends on the status and political orientation of the commentator. From the interpreter's point of view, the special history and culture to which he belongs are always melted. Therefore, a cultural and historical approach to the transformation of the meaning of I Ching scriptures is possible. Yi-ology change from Han period to the Wei-Jin period, and it takes on different patterns in the Sui-Tang period, Song-Ming period, Yuan period and Qing period. In particular, in Yuan period and Qing period, the symbolism of I Ching scriptures is very different from other times. Not only the symbols of the 8 Trigrams but also the symbols of the 64 Hexagrams created by overlapping them have differences in interpretation perspectives and changes in the meaning of each trend. The statues that appear throughout 384 statements contain the unique zeitgeist of each interpreter. Depending on the interpreter's point of view, it can be an image of war or a statue of peace. It can be an image of noble person's future or a statue of hope that lowly person craves. When reading I Ching scriptures, you should not be bound by the fixed meaning of the dictionary, but should be understood according to the entire context. Otherwise, it becomes a completely wrong language, such as explaining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flying squirrel and translating it as a mouse. Through an understanding of each interpretation perspective that interprets an object of the same I Ching scriptures as an animal, plant, or war and peace, various humanistic contents that Yi-ology has enjoyed for a long time in East Asia can be activated.

      • KCI등재

        『주역』의 상징성과 그 역사적 기원

        황병기 ( Hwang Byong Kee ) 온지학회 2017 溫知論叢 Vol.0 No.52

        『주역』의 경문과 이에 대한 주석들은 모두 특정한 어느 시기와 공간의 텍스트이다. 괘효사는 은말주초 문왕(文王)과 주공(周公)의 작품이므로 괘효사에는 은말주초의 시대상이 노출되어 있고, 공자의 「단전」과 「상전」 등에는 춘추시대의 명분론이 반영되어 있으며, 왕필(王弼)의 『주역주(周易註)』는 중국의 삼국시기 위진조를 시대배경으로 하고 있으므로 위진의 명교(名敎)적 시대상이 반영되어 있다. 정이(程?)의 『이천역전』에는 북송대에 성장한 사대부층의 정치경제적 이념인 이기심성론이 깊게 자리하고 있다. 원대 오징(吳澄)의 『역찬언』에는 중화의 문화와 이민족의 통치를 결합하고자 하는 이념적 장치들이 발견된다. 조선의 정약용(丁若鏞)은 조선후기 실학시대의 인물이므로 그의 대표작인 『주역사전(周易四箋)』에는 19세기 초 조선의 시대상이 녹아 있다. 역상은 8괘의 상징성을 기반으로 한다. 『주역』의 사유는 이 여덟 가지의 류(類) 개념에 의지하고 있다. 『역』의 8괘가 탄생한 이후 동아시아인은 우주계와 인간계 전체를 8개의 류(類)로 통관해 왔다. 한편 『역』은 64괘로 이루어져 있고, 각 괘는 8괘 소성의 중첩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8괘의 상징성이 중첩하여 결합된 2차적인 상징어들이 있게 된다. 이러한 상징어들은 『역』의 독자 혹은 점자(占者)가 어떤 사람인지와는 상관없이 준비단계, 도약단계, 활동단계, 절정단계, 회귀단계 등을 보편적으로 지시한다. 그러나 괘효사의 상징어들은 역사적으로 의미의 변천을 겪었고, 당대의 역사환경과 문화, 정치환경 등이 반영되어 있다. 주석가들은 당대의 역사와 정치와 문화를 기술하고, 문명 개조 및 정치 개혁적 의지를 표명하기 위해 『역』의 상징기호들을 비유와 은유 등의 형식으로 활용하였다. 정치와 외교의 수사로 활용하기도 하고, 문명 개조와 정치 개혁 등의 주장을 표명하기도 하고, 보편적 인간의 행위를 설명 또는 바로잡기 위해 『주역』의 상징기호들을 이용하였다. 또한 해석방법도 역사적 변천을 겪었다. 한대 순상의 승강설(升降說)은 위(位)에 따른 인간사회의 신분질서가 반영되어 있고, 정현의 효진설(爻辰說)은 대인과 소인, 군자와 소민(小民)으로 구별하는 정치적 신분질서가 반영되어 있다. 경방의 괘기설(卦氣說)은 벽괘(闢卦또는 月卦)와 연괘(衍卦)로 통일전제국가의 상하 위계질서를 투영하고 있다. 정약용의 양호작괘법(兩互作卦法)은 중국의 금(金)과 원(元) 시대에 방법론의 하나로 공고화된 것이었다. 이는 호체를 이용해 새로운 괘를 만들고 본괘와의 상호연계를 통해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는 것이다. 중심과 주변 논리로 볼 때, 본괘는 중심이며 호괘는 주변에 해당한다. 이민족의 시대에 주변의 논리가 해석의 중심에 오게 된 것은 시대정신과 문화의 반영이라 해야 할 것이다. The hexagram statements and line statements of the Zhouyi and the commentaries on the text were also the product of a certain time and space. Statements of hexagrams and lines authored by King Wen and the Duke of the Zhou reflects the situation in the era between the late Yin and early Zhou. The Commentary on Judgements and the Commentary on the Images reflects the idea of duty in accordance with one`s name and status in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Wang Bi`s commentary on the Zhouyi reflects the theory of names in the Wei Jin period. In Cheng Yi`s commentary of the Zhouyi are entrenched the concepts of mind-heart in the li-qi 理氣 and the ruling political economical ideology of Confucian literati in the northern Song period. The philosophical apparatus integrating barbarian rule in the Yuan period is found in Wu Cheng`s commentarial remarks on the Zhouyi. The Juyeok sajeon 周易四箋(The Four Notes on the Book of Changes) by Jeong Yak-yong, a representative of practical Confucianism in the late Joseon, reflects conditions in Joseon society in the early 19th century. Images in the Zhouyi were founded upon the symbolism of the eight trigrams. The way of thinking in the Zhouyi is based on the eight categories. After the creation of the eight trigrams, East Asians understood the cosmos and humans comprehensively through these eight categories. The Zhouyi is composed of the sixty-four hexagrams with the trigrams duplicated in each hexagram. Thus, the derivative symbolism synthesized by the trigrams is possible. These symbolic remarks refer universally to stages of preparation, jump, action, culmination, and returning, regardless of the reader or diviner. The statements of hexagrams and lines have undergone historic changes reflecting historical, cultural, and political circumstances. Commentators have made use of symbolism as allusion and metaphor in describing history, politics, and culture of their own eras and expressing their intentions to reform civilization and politics. Symbols have been also used in political and diplomatic rhetoric, explaining and correcting human conduct. There are cultural differences not only in changes in the symbolism, but also in the interpretation method in the study of the Zhouyi. Xun Shuang`s theory of ascending and descending echoes social hierarchy. Zheng Xuan`s theory of yao as twelve divisions is closely related with status distinctions between great and petty person, nobleman and commoner. Jing Fang`s bigua 闢卦 yangua 衍卦 in the theory of the hexagram as qi correlates with the hierarchy of the absolute state. The most important method of Jeong Yak-yong`s Yangho jakgwe 兩互作卦 is the use of the central lines from the second to the fifth. Jeong`s method is that consolidated in the Jin and Yuan era. It was to create a new hexagram and interpret it in relation to the original hexagram. In terms of core and periphery, the original hexagram is the core and the created hexagram is the periphery. The emergence of his method is closely related to the zeitgeist and culture of his own era.

      • KCI등재

        芝村 金邦杰의 정치활동과 禮訟

        황병기(Hwang, Byong-Kee) 한국인물사연구회 2015 한국인물사연구 Vol.23 No.-

        This is an article written aiming to explain the philosophy of KIM BangGeol(芝村 金邦杰, 1623~1695). Just because it is difficult to explain the whole of his philosophy as a lack of data, this mainly deals with his Yesong(禮訟, Controversy about the Confucian funerary ritual). His life was related with this Controversy in the mid Chosun Dynasty. His official life was with its beginning and ending. King Hyeonjong, the 18th king of the Chosun Dynasty, reigned for 15 years. During his reign, he underwent two political incidents named the Controversy about the Confucian funerary rituals. Although it started out as a trivial dispute about which mourning dress did the Queen Dowager Ja-eui(stepmother of King Hyojong, Hyeonjong’s father) put on, it advanced to a political incident concerning the acknowledgement of King Hyeonjong’s legitimacy and political pride of the king and the vassals. The Controversy became a serious political conflict between the party of Namin(南人) and the party of Seoin(西人). SONG SiYeol(宋時烈), the leader of Seoin(西人), and HEO Mok(許穆), the leader of Namin(南人), who led the controversy all agreed a funeral ceremony according to kinship. But there were disagreements about the funeral proceedings. KIM BangGeol stood at the forefront to eradicate SONG SiYeol and his faction. He made a manifestation of political views based on the theory of the party of Namin. Based on the theory of Heo Mok and Yun Hyu etc. who had preached through the 1st and 2nd Controversy, h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helping to eradicate the opposition.

      • KCI등재

        중국(中國) 송대(宋代)까지의 『주역(周易)』 주석사(註釋史)에 나타난 중부괘(中孚卦) 돈어(豚魚)의 의미(意味) 연구(硏究)

        黃昞起 ( Hwang Byong-kee ) 한국유교학회 2013 유교사상문화연구 Vol.53 No.-

        이 글은 『주역』 중부괘에 나오는 ‘돈어(豚魚)’의 의미를 규명하기 위해 고대부터 송대 이전까지 중국 내에서 진행된 주석의 역사 속에서 『주역』 경전과 중국 학자들의 대표적인 주석들 그리고 중국의 자서(字書)류 등을 고증한 논문이다. ‘돈(豚)’자와 ‘어(魚)’자는 상고시대부터 이미 그 원형이 존재한다. 그러나 처음 『주역』 중부괘에서 연문(連文)으로 사용된 이래로 여러 해석들이 존재해 왔다. 첫째로 이 두 글자가 각각 하나의 의미소인가 하는 것이 초점이 되어 왔으며, 둘째로 이 두 글자가 합해져서 하나의 의미소가 되는 것이라면 무엇을 의미하는가 하는 점이다. 셋째로 각각 다른 의미소이든 아니면 한 단어로 된 하나의 의미소이든 그것의 함의는 무엇인가 하는 점이다. 넷째로 문맥상의 문제인데 이것이 주어인가 술어인가 하는 문제이다. ‘돈어(豚魚)’는 『주역』 중부괘의 괘사로 처음 연문으로 사용된 이래 다양한 해석과 다양한 오해들을 낳아 왔다. 본 논문은 현대까지의 ‘돈어’ 주석사를 검토하려고 한 의도의 전반부에 해당하는 논문이다. 원대 이후의 주석사에서는 근거 없어 보이는 기이한 견해들이 출현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다른 편에 다룰 것이다. 『주역』 경문의 ‘돈어길(豚魚吉)’도 문제려니와 공자의 「단전」도 ‘신급돈어야(信及豚魚也)’로 풀이하면서 돈어에 대한 아무런 추가설명을 달지 않아 해석의 여지를 남겨놓았다. 그러나 송대까지는 돈어를 돼지와 물고기 두 종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었고 철학적 방면에서 진전들이 있었다. 상수역학가들의 주석에는 해석의 방법이 다양해지는 경향이 있었다. 의리역학 계열의 주석에는 사상적 진전이 있었다. 『주역』의 괘효사가 창작된 이후로 송대까지 2,400여 년간 공자의 「단전」을 위시하여 ‘돈어(豚魚)’는 돼지와 물고기 같은 보잘것없는 짐승으로 이해되었고, 두 종의 짐승으로 이해되었다. 우번과 곽경과 같은 돌출적 주석가가 등장하였지만 이들의 주석은 송대까지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This article is a historical research paper about the meaning of Túnyú(豚魚) in the comments of the Book of Changes(周易) from ancient times to the Sung Dynasty in China. There had been the prototypes about the characters of '豚(tún)' and '魚(yú)' from the ancient China. However, many interpretations have been written after the first original the Book of Changes. Through the history of interpretations of the book, the first issue is that these two letters, '豚(tún)' and '魚(yú)', indicate different meaning. The second issue is that if the two letters indicate one meaning, what does it mean. The third issue is that if they indicate one meaning, what it is. The fourth issue is the problem of nexus. This paper is the first half part of my theses. After the Yuan(元) Dynasty in China, there are many interesting comments, but I will discuss it at the next opportunity. 'Túnyú is auspicious(豚魚吉)' in the original text of the Book of Changes has a problem. The comments of 'Faith leads to pigs and fishes(信及豚魚也)' in Confucius interpretations also has a problem. Because Confucius did not provide a detailed description, many different interpretations existed. However, untill the Sung Dynasty in China, it was common that Túnyú(豚魚) were two species of pig and fish, and there were progresses in the direction of philosophy. After the hexagram statements(卦辭) and six line statements(爻辭) were written, untill the Sung Dynasty, Túnyú(豚魚) were understood as pig and fish or as unimportant and flimsy things, and as two species of animals.

      • KCI등재

        조선 역학의 시대정신과 문화적 상대성 -정약용의 역상학을 중심으로-

        황병기(Hwang, Byong Kee) 한국도교문화학회 2022 道敎文化硏究 Vol.57 No.-

        이 글은 “『주역』 상징어의 의미변천에 대한 문화사적 연구” 프로젝트의 연속 기획의 하나로서, 조선 역학의 특징적 성격을 검토하고 특히 정약용의 역상학이 갖는 조선 역학 내적 발전상의 시대성과 문화적 상대성을 고찰한 논문이다. 여기에 더해 조선 역학의 문화다원적 상대성에 바탕하여 조선 역학을 경학적 담론에서 벗어나 인문학적 담론으로 재해석한 논문이다. 역학 도통론의 패러다임으로 정통과 이단을 구별하는 이분적 관점에서 벗어나 문화적 다원성이라는 패러다임으로 보면 각각의 역학은 상대성을 지니며 특수한 문화적 상징성이 드러난다. 주석자의 특수한 해석 관점에 따라 역학 언어는 다양한 스펙트럼으로 표현되는데, 그가 속한 특수한 역사와 문화가 배경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선 역학에 대한 문화다원적 접근이 가능한 것이다. 조선 역학의 시대정신과 문화적 상대성을 주제의 한도 내에서 네 가지 정도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가 한글 언해를 통한 독자적 역학을 소유하려는 노력이 끊임없이 지속되었다는 점이다. 조선 역학의 가장 큰 특징을 꼽아야 한다면 한글의 창제와 함께 독해방식에 있어 탈중국화할 수 있었다는 점일 것이다. 한편 조선의 역학을 특징짓는 몇 가지 지표들이 있는데, 권근의 역학이 주자학의 수용과 보급을 목표로 하여 주희의 본의를 발양한 것, 이황의 역학이 지닌 동아시아문명론과 선조 시기 이황의 후학들과 이이에 의해 완성된 역경 언해 사업의 동아시아 문명사적 위상, 그리고 정약용의 종교학적 역학 관점의 세계사적 위상 등이 그것이다. 둘째가 조선 중기 이후 특히 이황의 역학 저술 이후 주희의 권위가 다시 제고되었고, 조선 역학의 특징적 요소인 도서학(圖書學)적 성격이 두드러졌다는 점이다. 이황의 의리와 상수의 결합적 공부론은 이후 조선 역학의 기본적 사조로 자리를 잡았다. 조선의 도서학적 경향은 17세기 즈음 서양학문이 도입되었을 때 서학의 천문학과 물리학적 지식들을 도서학으로 재해석하려는 무리한 시도로 이어졌다. 조선 후기의 도서학적 경향의 역학이 조선만의 특징은 아닐 수 있어도, 이 또한 조선이라고 하는 특수한 시공간의 환경이 요구한 것이다. 셋째가 새로운 상수학의 경향이다. 이익과 신후담과 정약용의 효변설은 조선 중기 이래로 서학(西學)과 서교(西敎)가 소개되면서 형성된 박물학적 계몽주의와 연결된다. 이익의 자질구레한 메모들이 조선 후기 거대한 실학적 흐름의 선구가 되는 기폭제가 되었다. 당시 조선은 서구문명을 봉쇄한 상태에서 서학에 자극받아 실학적 태도가 자체적으로 형성되고 있었다는 점이 조선의 후기 역학을 바라보는 상대적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넷째가 정약용을 정점으로 하는 종교학적 역학의 태동이다. 정약용은 종교학적 해석 관점으로 주역을 이해했다. 그는 자연계와 인간계를 천상계와 구분되는 것으로 보고, 신 대 자연과 인간이라는 신학적 프레임을 사용했다. 정약용의 이러한 역학 관점은 윤정기(尹廷琦)에게 그대로 전수되었고, 조선 역학사의 매우 흥미로운 부분이다. 정약용의 보유론(補儒論)적 역학 관점은 천주교의 신앙대상과는 다른 원시유교의 신앙대상을 언급한다는 점과, 이러한 관점이 조선에서 자체적으로 형성되었다는 것이 조선 역학사의 특징적 현상이라고 할 것이다.

      • KCI등재

        조호익 『역상설(易象說)』의 역학사상과 그 위상

        황병기(HWANG Byong Kee)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1 泰東古典硏究 Vol.47 No.-

        본 연구는 조선 전기 조호익의 『역상설』에 나타난 상수역학적 특징을 조선시대 역학의 다원론적 관점에 기초하여 조선의 주역경학사의 한 흐름을 연구한 것이다. 조호익이 수행했던 『주역』의 석해(釋解)는 한국의 역사 이래로 구결과 현토 등을 통해 중국과 차별화하는 조선 특유의 학술현상이며, 비록 그의 『주역석해(周易釋解)』가 현재 전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이황의 문도로서 퇴계학파에서 처음 시도했던 주역언해의 학통을 계승한 것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조호익의 석해 저작은 이황의 사후에 교정청에서 언해사업을 담당하는 당상관으로 임명된 일을 계기로 시작된 것이고, 스승인 이황의 『사서삼경석의』 저작시기와 40여 년의 거리가 있는 것이어서 만약 오늘까지 전해졌다면 언어학사의 좋은 자료가 되었을 것이다. 『역상설』은 조호익의 연보에서 말한 것처럼 『주역석해』와 『역상설』이 모두 정이(程頤)의 역전(易傳)과 주희(朱熹)의 본의(本義)를 가지고 단상(彖象)을 발휘한 것이 정밀했다고 하니, 정이의 의리학과 주희의 상수학을 겸전하여 단상의 의미를 밝힌 것으로 볼 수 있다. 그의 『역상설』이 정이와 주희의 관점을 수용하여 단상을 설명한 책이라고 하지만, 해석방법론은 정이와 주희의 의리적 해석방법론을 부분적으로 계승하면서도 주로 상수역학의 해석방법으로 괘효사를 해석한다는 점에서 상수역학의 방향으로 한 단계 나아갔다고 할 수 있다. 조호익은 의리와 상수의 통합적 관점을 가지고, 상수적 방법론을 통해 의리를 밝히려는 목적의식이 분명 있었지만, 그가 사용한 해석방법론은 정이와 주희의 의리역학적 방법론으로서 중정(中正)과 비응(比應)론으로 괘효사를 해석하면서도 호체(互體)와 효변(爻變) 등 상수역학의 방법론을 주로 사용하였다. 『역상설』에서 조호익이 정주의 역학관점을 발휘했다고 하는 것은 정이의 의리적 목적의식과 주희의 점서(占筮) 원형에 대한 긍정의식을 발휘했다는 의미인 것이고, 그것을 발휘하는 데 사용한 방법론은 정이와 주희를 넘어 상수역학의 해석방법을 적극 수용했다는 것이다. 조호익의 이러한 상수학적 방법론은 조선 후기의 신후담, 정약용의 상수학적 방법론으로 이어지는 조선 전기의 중요한 매개이며, 조선의 역학사에서 최초로 거의 모든 취상(取象)의 방법론을 사용한 것이라고 할 것이다. 이것은 조선의 역학사에서 상(象)을 매개로 한 하나의 학술적 경향을 형성하는 것이다. This paper is about the Learning of Meaning and Principle of his the Theory of the Images of Changes 易象說, focusing on Yi-ology of Cho Ho-ik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Learning of Image and Number of Han Dynasty was strictly a combination of Learning of Image and Learning of Number, and after Song Dynasty, traditions with Learning of Number developed relatively independent of the Iconographic Image-numerology of Shao Kangjie and Zhu Xi, and the Learning of Image played a certain role and function in the large frame of Image and Number combined. Cho Ho-ik s interpretation of Guayao-ci 卦爻辭, such as Haoti 互體, Yao position 爻位, Yaobian 爻變, are typical interpretation frameworks of the Learning of Image. This is related to Zhu Xi s identification of the Zhou-yi 周易 as a Book on Divinations, highlighting the Image and Divination as the core values of the Zhou-yi, but showing that he is on a different line in interpreting the role than Zhu Xi, given that Divination is closely related to Learning of Number. In other words, if Zhu Xi wanted to restore the prototy pe as the Book on Divinations of the Zhou-yi, Cho Ho-ik wanted to reveal the righteous goal of the Image with a Iconographic methodology. Therefore, in the first place, Zhu Xi s purpose, and perhaps Lee Hwang s purpose will be the same as Zhu Xi s, but Cho Ho-ik s purpose is very different. What should be noted in Theory of the Images of Changes 易象說 is that it is following the flow of Yi-ology,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of Zhu Xi who has a different personality from that of the Official studies of Yuan Dynasty China. However, since both Hu Yi-jie 胡一桂 and Hu Bingwen 胡炳文 claim to inherit Zhu Xi s Yi-ology, it should be said that they inherit a separate character of Yi-ology that is different from the official studies within Zhu Xi s Yi-ology.

      • 해배 이후 인적 교류를 통해 본 다산의 학문세계

        황병기(Hwang, Byong-Kee)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8 다산과현대 Vol.11 No.-

        이 글은 다산 정약용이 해배되어 1818년 9월 고향 마현으로 돌아온 뒤 1836년 여생을 마칠 때까지 약 18년간 인적 교류를 통해 지속된 다산의 학문적 성과를 검토한 논문이다. 현재 다산학이라고 명명하는 학적 시스템은 실상 강진 유배기에 완성되었다. 다산은 일반인의 지성으로는 상상할 수 없는 냉철함을 유지했던 인물로 보이는데, 폐족이 되어 쫓겨간 유형지에서 작심한 듯 저술작업에 몰두하였다. 첫 유배지인 경상도 장기에 도착해서 훗날 「이담속찬(耳談續纂)」으로 수정․보완되는 「백언시(百諺詩)」를 지은 것을 시작으로 전라도 강진으로 이배된 후 해배될 때 까지 그의 경학과 경세학의 체계가 완성되었다. 육경사서의 경학서와 일표이서로 대표되는 경세서가 이때에 완성되었다. 물론 일부 미완인 상태에서 해배되어 고향 마현에서 탈고한 것들이 있고, 이미 완성된 책들도 지속적으로 수정작업을 진행했지만, 그 골격은 강진에서 이루어졌다. 57세의 나이에 고향에 돌아온 다산은 이후의 행적과 자료들에 근거해 볼 때 대체로 강진에서만큼 치열한 연구와 저술에 관심을 두지 않았다. 잔병이 많고 백발이 된 자신의 모습을 보면서 그간의 성과를 수정 보완하는 정도로 남은 인생의 목표를 잡았던 것으로 생각되고, 근교를 유람하면서 소요유의 삶을 살고자 했던 것 같다. 사실 그의 경학과 경세학 체계에 있어 그다지 남은 일도 없었을 것이다. 단지 자신의 성과에 대한 후인의 평가를 기다릴 뿐이었다고 생각된다. 그 여생에 만난 신작과 이재의, 김매순, 홍석주 형제 등은 다산의 성과들이 평가되는 과정에서 만난 행운이자 기쁨이었다. 신작과 김매순 등의 노소론계 학자들의 학문이 주자학을 부정적으로 계승한 것이라고 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그들이 한학을 긍정하면서 훈고학적 태도를 보이는 것은 비교적 객관적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그들은 주자학을 부정하거나 긍정하거나 하는 데에 관심을 가진 것이 아니라, 한학이든 송학이든 어느 것이 진리에 가까운가 하는 것에 관심을 두었다는 것이다. 다산의 경학은 주자학의 연장인 면이 있지만 개념의 지시내용이 다르다는 점에서 반주자학이라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송학의 경학적 지향을 긍정한다는 점에서 보면 주자학적 측면이 분명히 있다. 다산이 한대 경학을 비판한 것은 그들의 근거없는 난삽한 주석들을 불신한 이유도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한대 학자들이 주석을 위한 주석을 했을 뿐 세상을 위하여 도움이 되는 어떠한 지향도 가지고 있지 않다는 데 비판의 초점이 있다. 훈고를 하기 위해 훈고를 하였을 뿐 시대정신을 읽어낼 수 없다는 것이 비판의 초점인 것이다. This paper is designed to review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Jeong Yak-yong after returning to his hometown in September 1818, and until the end of his life in 1836. During this period, he did not pay much attention to fierce research and writings as in the case of Gangjin, based on his later works and materials. In fact, there would not have been much left in his studies. I guess he was just waiting for his evaluation of his performance. Shin Jak(申綽), Lee Jae-eui(李載毅), Kim Mae-soon(金邁淳), and Hong Seok-joo(洪奭周) he met in his life were good fortune and joy in the process of evaluating the achievements of him. He was not able to spend his old age desperately because of the geographical luck of proximity with the literati who reside near his hometown. They sometimes visited and exchanged letters. The controversial discussions with them were closely related to the his works of old age. His studies is an extension of the Zhu Xi’s New Confucianism, but it can be called anti-Zhu Xi’s in that the instructions of the concept are different. However, in terms of affirming the academic orientation of Zhu Xi’s New Confucianism, it is clear that there is a Zhu Xi’s aspect. He criticized the scholarship of the Han dynasty because he disbelieved at their unfounded commentary, but basically he pointed out that literati of the Han Dynasty commented on the comment and did not have any orientation to help the world.

      • KCI등재

        정약용의 평화사상

        황병기 ( Hwang Byong Kee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7 통일과 평화 Vol.9 No.1

        이 논문은 평화(Peace)라는 단일 주제를 가지고 정약용의 사상을 재구성한 논문이다. 정약용의 언설 속에서 평화의 개념을 규정한다는 목표는 애초 어려운 일이며, 본 논문의 목적도 아니다. 정약용이 살았던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초반의 조선사회는 평화학이 출발하여 정립되기 시작한 근대 서구의 다양한 국가들이 각축을 벌이던 사회와는 근본적으로 달랐다. 당시 조선의 관점에서 정약용만큼 사상적으로 서구의 영향을 받은 사람이 드물고, 종교적으로나 철학적으로 동서사상의 융합을 지향한 철학자는 없었기 때문에 대단히 선진적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지만, 그럼에도 국가들 사이의 평화를 논할 정도로 조선이라는 국가의 주변 상황이 그렇게 복잡한 것은 아니었다. 정약용이 조선이라는 국가를 재조(再造)하고 수호하기 위해 행했던 개혁 조치들과 주장들은 기본적으로는 사대교린의 구도 아래 대국과 소국의 틈바구니에서 조선을 안전하게 지키려는 방책이었다. 18~19세기의 조선이 자존을 지키며 평화를 유지할 수 있는 정책을 제안하고 제도를 개혁하고자 했던 정약용의 헌신과 노력은 대한민국이 국제사회에서 어떻게 처신해야 하는지를 시사한다. 칸트(I. Kant)가 꿈꾼 지구적 차원의 완전한 영구적 평화, 그리고 갈퉁(J. Galtung)이 규정한 모든 폭력이 없는 적극적인 평화는 순수한 관념의 소산일 뿐이지만, 대한민국은 이 시점에서 현실적인 평화를 만들어가야만 한다. 가깝게는 남북의 평화가 절실하고, 좀더 범위를 확장한다면 동아시아의 평화를 기약해야 한다. 정약용의 평화사상에서 길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고구려가 험지에서는 지속적인 투쟁과 갈등 속에서 스스로 강인해지면서 나라를 보존할 수 있었고, 풍요로운 남쪽으로 내려와 안락한 평화를 추구하다가 멸망에 이르렀다고 한다면, 오늘 남한의 현실은 정약용이 말한 험지(險地) 그 자체이다. 지금 우리가 맞닥뜨린 거칠고 험한 국제적 환경을 평화의 유지와 수호를 위한 강인한 정신자세로 직시하면서 대응해 나간다면 능히 헤쳐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정약용이 백년뒤의 미래전쟁에 대비하여 수원 화성을 그처럼 견고하게 설계하였듯이 미래의 평화는 대비하는 자만이 얻게 될 것이다. This paper is a reorganization of Jeong Yak-yong`s thought with a single theme called Peace. However, the goal of defining the concept of peace in his narrative is a difficult one and it is not the purpose of this paper. The Joseon(朝鮮) society in the late 18th and early 19th centuries when he lived wa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e society in which various countries of the modern Western era, in which peace studies began to be established, were established. From the point of view of Joseon Dynasty, there were few intellectuals who had been influenced by Western thought as much as he was, and there could be no philosopher who aimed to fuse East and West ideology religiously and philosophically. However, the situation around the state of Joseon(Korea) was not so complicated as to discuss the peace among the countries. The reform measures and arguments that he tried to reform and defend the state of Joseon were basically a way to safeguard Joseon in the gap between the Great Powers and the small countries. His dedication and efforts to propose policies and to reform the system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suggest how South Korea should act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complete permanent peace on a global scale that I. Kant dreamed of, and all violence-free positive peace that J. Galtung defined is only a product of pure ideas. The Republic of Korea must make a real and practical peace at this point. There is an urgent need for inter-Korean peace, and if we expand the scope further, we must pledge peace in East Asia. We can find a way in Jeong Yak-yong`s thought of peace. If Goguryeo(高句麗) was able to preserve the country by being stronger in the constant struggle and conflict in the rough region, and came down to the abundant south and pursued peaceful peace and therefore reached its destruction, today, the reality of South Korea is just the rough and harsh conditions that Jeong Yak-yong mentioned. We will get peace if we cope with a rough and harsh international environment with a strong mind for maintaining and protecting peace. Just as he designed the Suwon Hwaseong(華城) castle so firmly against the future war after a hundred years, only those who prepare for peace in the future will gain i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