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습식 스프레이용 폴리머 모르타르의 성능 평가

        황금식(Hwang Geum-Sic),박찬기(Park Chan-Gi),최강진(Choi Kang-Jin),장계호(Jang Gye-Ho)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학회 2006 한국구조물진단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Vol.10 No.1

        The major objective of this study was evaluated mechanical properties and chemical resistance of five types of premix type wet process polymer mortar. Also, the effects of two type construction methods were studied. The results of the test of wet process sprayed method were compared with previous hand method. For five type pre mix type polymer mortar, test results show that wet process sprayed method had shown good performance in all of mechanical properties and chemical resistance than hand method. Specially, chemical resistance test results indicate excellent performance.

      • 변화의 시대 지방문화원의 역할

        황금자 ( Hwang Geum-ja )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2020 지역문화연구 Vol.19 No.1

        지역문화의 가치관을 발견하는 일은 우리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이며 더 나은 지역미래의 모습을 함께 꿈꾸는 일이다. 우리에게 참다운 지역문화는 지역의 관점에서 문화를 바라보는 주체가 지역민들로 자발적 참여에서 행동하고 활동하는 데서 시작된다. 그만큼 지역문화의 중요성은 지역만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어떻게 현대적 감각으로 녹이고 담아내어 현대인들이 인정하고 공감할 때 비로소 문화는 활짝 꽃피는 것이다. 지금까지 문화원들은 과거를 주로 다뤄왔다. 과거를 표현하는 향토, 역사, 전통은 지역문화원들이 사용하는 친숙한 주제어들로 이제 ‘전통은 지역문화’라는 말로 ‘향토는 마을’이라는 말로 ‘역사는 일상’이라는 말로 전환되어져 왔으나, 이제 지방문화원은 단편적인 일상의 주름진 이야기들이 모인 마을의 공동체 리빙아카이브와 거버넌스를 통한 기록 주권의 회복이라는 주제에도 집중해야 한다. 오늘의 일상이 뉴노멀(시대 변화에 따라 새롭게 떠오르는 기준) 시대의 일상문화가 무엇인지 지 역문화원이 답을 찾아가야하는데, 그 시작의 뿌리는 지역학에서 찾을 수 있다고 하겠다. 지역학은 미래지향적 학문으로 다양한 학문의 결합체이다. 지역학연구소 운영은 지역의 자료은행으로 알기(연구), 알리기(교육), 챙기기(조사), 활용하기, 상생하기, 소통하기(연계) 이와 같은 노력을 통해서 지역사회에 뿌리를 깊게 내릴수록 발전할 수 있다고 본다. 지방문화원의 미래도 바로 여기에 있다고 생각한다. 지방문화원은 그 지역의 정체성을 담보하는 수많은 정보를 축적해 놓고 있기 때문에 지역학적 접근이 매우 용이하다는 것이 최고의 장점인 만큼 지역대학과 연계하여 발전방향을 모색함이 바람직하다할 것이다. Discovering the values of local culture is a process of finding our own uniqueness and dreaming of a better local future together. Local culture that is true to us begins when the subject who sees the culture from a local perspective acts and acts through voluntary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The importance of such a local culture is that culture blooms in full bloom only when modern people recognize and empathize with how to dissolve and embo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in a modem sense. Until now, cultural centers have mainly dealt with the past. Locality, history, and tradition that express the past are familiar keywords used by local cultural centers. Now, the word‘tradition is local culture’ and‘locality is village’ has been converted into ‘history is daily life’. We should also focus on the theme of the recovery of documentary sovereignty through a community living archive in a village where fragmentary stories of daily life are gathered and governance. Today’s daily life is the new normal (a standard that emerges from the change of the times) The local cultural center has to find the answer to what the daily culture is, and the root of the beginning can be found in regional studies. Regional studies are future-oriented studies and are a combination of various studies. The operation of the regional studies research center is a local data bank that develops the more deeply rooted in the local community through such efforts: know (research), inform (education), take care (investigation), use, win-win, and communicate (linkage). I think I can. I think the future of the local cultural center is also here. Since local cultural centers have accumulated a lot of information that guarantees the identity of the region, it is desirable to seek a direction for development in connection with local universities, as the best advantage is that the regional approach is very easy.

      • KCI등재

        蒙山德異선사의 간화선수행에 관한 고찰

        황금연(Hwang Geum Yeon) 보조사상연구원 2011 보조사상 Vol.36 No.-

        본 논문은 蒙山德異[1232-1308,南宋末∼元初期스님]의 간화선 수행관에 관한 중점적 연구이다. 지금까지 몽산덕이에 관한 연구를 종합하면, 크게 세 갈래로 연구되어왔다. 그 첫째로는 고려후기 선수행과 관련하여 몽산의 선법이 미친 영향과 관련한 사학적인 접근이며, 둘째는 몽산덕이의 저술과 관련한 국어학계나 서지학적 연구다. 마지막으로 이들을 바탕으로 한 몽산덕이의 간화선 사상을 살펴 본 연구의 세가지가 기존연구의 주된 방향이다. 이 중 논자는 지금까지의 연구를 바탕으로 『몽산법어』를 종합정리 체계화함으로써 그의 간화선 수행관을 정립하는데 핵심을 두고 있다. 그 첫 번째로 몽산의 선사로서의 특색을 살펴보고, 그 다음으로 그의 법어에 나타난 간화선 수행의 특성을 간화선 수행단계별로 정리해 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그가 말하는 발심관 및 화두관을 살펴보고, 공부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에 대한 그의 해법을 정리했다. 나아가 몽산이 말하는 깨달음이 가까운 경계의 공부경지를 살펴보고 그의 깨달음 이후의 점검관[悟後保任]을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몽산의 염불화두법의 요지를 살펴보고, 몽산에게 있어 염불을 수용하는 요점이 무엇인지 규명하였다. 이상을 통해 몽산이 그의 법어를 통해 말하고 있는 간화선수행의 핵심을 규명 정리하고자한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This article is an investigation focusing on Chan Master Mengshan Deyi’s (蒙山德異 1232-1308) view of Ganhwaseon. The existing research works done in Korea on the subject of Master Mengshan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those works done in the historical perspective focusing the influence of his Chan method on the late Goryeo Seon practice; second, those in the linguistic or philological approach, analyzing the master’s writings; third and the last, those from the viewpoint of his Ganhwaseon thoughts based on the above researches. The author focuses on the establishment of the master’s Ganhwaseon system by examining in a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manner Mengshan’s Dharm Talk 『蒙山法語』 on the basis of the outcome of the studies hitherto done in this field. To be more specific, this paper reviews some characteristics of Menshan as a Chan master in the first place and then presents key features of his Ganhwaseon as shown in his dharma talks by elucidating his cultivating process. To serve its purpose, the author examined the master’s thought of ‘resolution to achieve enlightenment’ and ‘hwadu’, and further discussed his way of solutions to the hindrances during the cultivation. Furthermore, the author investigated the near-enlightenment state he stated and clarified his idea of maintaining practice after enlightenment 悟後保任. Finally the author studied the essentials of Mengshan’s chanting-hwadu method and brought to light what is the gist of his combining chanting and Ganhwaseon. In conclus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core of Ganhwaseon as described in Mengshan’s Dharma Talk.

      • KCI등재

        無住淸華의 先悟後修와 頓漸論에 관한 연구

        황금연(Hwang, Geum-Yeo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9 佛敎學報 Vol.0 No.88

        본 논문은 무주청화[無住淸華, 1923-2003]선사의 수행관의 핵심과 그 원류는 어디서 온 것이며, 또 선사가 표방한 수행의 관점 가운데 대표적인 ‘선오후수(先悟後修)’라는 명백한 주장의 내용은 무엇인지를 밝힌 데 있다. 아울러 지금까지 많은 논쟁이 있어왔던 ‘돈오(頓悟)’와 ‘점수(漸修)’를 보는 선사의 관점을 육조혜능[六祖慧能, 638-713]과 비교하여 중점적으로 천착하는 데 그 중심을 두었다. 법어집 전체를 관통하고 있는 선사의 사상과 수행관은 무엇보다 부처님을 종주로 하는 일원주의와 선과 교의 회통주의적 입장에 서있다. 또 그가 주장하는 ‘선오’란 우리가 다만 업장에 가려 모를 뿐 내 본바탕, 천지우주의 바탕은 실상묘유(實相妙有)요, 진공묘유(眞空妙有)임을 확실히 깨닫는 것이며, 설사 명백히 깨닫지 못하더라도 우선 개념적으로라도 명심하고 신해(信解)하라는 것이 그 핵심이다. 또 이런 깨달음이 선 뒤에 후수, 즉 닦음이라는 과정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후수의 내용은 사가행(四加行)을 비롯해 간화선과 묵조선, 염불선 등 모든 수행에 고루 개방적 입장을 지녔다. 후수의 필요성을 역설한 그의 관점은 무엇보다 현대의 수행자들은 대체로 돈오점수의 근기에 속하므로 깨달음을 얻었다고 할지라도 다생의 습기를 녹여 제거하기 위한 과정이 반드시 있어야한다는 데 있다. 따라서 그가 생각하는 점수는 해오(解悟) 이후이든, 증오(證悟) 이후이든 동일하게 요구되는 필수적 수행과정이다. 다만 그가 생각하는 이 깨달음 이후의 점수는 그 성격이 ‘무념(無念)의 수(修)’, 즉 ‘무염오(無染汚)의 닦음’으로서 구경각, 즉 불지(佛地)에 이르기 위한 성자의 위치에서 닦는 수행이며, ‘무념의 수’라는 점에서 돈오돈수(頓悟頓修)와의 문제에 있어서도 하등 문제가 될 것이 없다는 것이 그의 뚜렷한 입장이다. 그러므로 전체적으로는 돈오점수의 입장에 서있지만, 그것조차도 상대가 어떤 사람인가에 따라 그 집착을 부수기 위해 지혜롭게 설해야 하는 것으로서 수행인의 집착의 성향에 따라 점수에 치우치는 자에게는 돈오돈수를, 본래 부처인데 닦을 것이 있겠는가라고 하는 자에게는 돈오점수를 역설해야 한다는 것이 그의 명백한 주장이다. This paper discusses the concepts and performance of the venerable Muzu Cheongwha (無住淸華, 1923-2003). It also attempts to reveal his characteristic concept of “realizing Buddha’s teachings and then practicing them later (先悟後修)” among the aspects of performance he pursued. In addition, this paper focuses on his controversial view of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practicing (頓悟漸修)” compared to the ideas of Master Dajian Huineng (慧能大師; 638-71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harmonize Buddhist monotheism, Seon, Buddhist teachings with Muzu Cheongwha’s thoughts and practices. Hisconceptof“realizing the Buddhas teachings” implies that we do not know the truth because we are covered by karma . The foundation of one’s self and the universe is to realize the “true emptiness and marvelous being.” The key is to understand the concept first, even if we do not obviously realize it. After this realization, he argues that there must be a process called performance (修). The content of “practicing it later” includes all performances, including the Four Kuśalamūlas (四加行), such as Ganhwa Seon (看話禪), Silent-Penetrative Seon (默照禪), and Amitabha Recitation Seon (念佛禪). He emphasizes “to practice it later” even if they have been enlightened, modern performers generally have the character of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practicing,” so they must undergo a process of removing their habits. His idea of “gradual practicing” (漸修) involves performing without thinking after this realization. Thatistosay, a performer becomes a Buddha through “sudden enlightenment and sudden practicing (頓悟頓修).” Overall, “sudden enlightenment and sudden practicing” must be explained wisely according to a persons temperament. Muzu Cheongwha claims clearly that performers who correspond to “gradual practicing” should learn about “sudden enlightenment and sudden practicing,” while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practicing” should be explained to those who think that they have nothing to perform because we are originally Buddha.

      • KCI등재

        척담(滌痰).축어(逐瘀).고본치료효천적경험(固本治療哮喘的經驗) -척담(滌痰).축어(逐瘀).고본(固本)의 방법에 따른 천식에 관한 치험-

        황금,Hwang Geum-Seong 대한한방소아과학회 2001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Vol.15 No.1

        본 논문은 척담(滌痰) 축어(逐瘀) 고본(固本)의 방법으로 천식을 완화시킨 치험에 관한 내용이다. 천식의 병인병기는 폐(肺) 비(脾) 신(腎) 삼장(三臟)의 본허(本虛)로 인한 알레르기성 체질이 내적인 근본요인으로 간주된다. 담어복폐(談瘀伏肺)는 천식의 병리적인 결과로서 증상유발의 요인이기도 하다. 즉 담어(痰瘀)는 천식의 병리적인 부산물이며, 동시에 천식을 일으키는 치병요인이 된다. 담어(痰瘀)가 내복(內伏)하여 철저히 제거되지 않으면 천식은 결코 완치될 수 없다. 이와 같은 한의학적인 관점은 현대의학에서 천식을 기도의 만성 염증에 의하여 유발된 증상으로 파악하고 있는 기전과 일맥상통하다. 또한 담(痰) 어(瘀) 허(虛)는 천식의 병리변화 과정에서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인식이 지배적이며, 이는 천식치료를 위한 처방구성에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치료: 천식은 발작기와 완화기로 분류하여 치료하며, 발작기는 냉효(冷哮)와 열효(熱哮)로 구분된다. 냉효(冷哮)의 경우 치료원칙은 온폐산한(溫肺散寒), 척담평천(滌痰平喘), 화어행체(化瘀行滯)를 기본으로 한다. 처방은 구마황(灸麻黃) 행인(杏仁) 황금(黃芩) 세신(細辛) 계지(桂枝) 오미자(五味子) 당귀(當歸) 울김(鬱金) 목단피(牧丹皮) 지룡(地龍) 정력자(?歷子) 담남성(膽南星) 황기(黃?) 감초(甘草) 등을 기본적으로 사용한다. 열효(熱哮)의 경우 치료원칙은 청열사폐(淸熱瀉肺) 척담평천(滌痰平喘), 화어행체(化瘀行滯)를 근본으로 삼고, 처방으로는 구마황(灸麻黃) 행인(杏仁) 황금(黃芩) 목단피(牧丹皮) 적작약(赤芍藥) 당귀(當歸) 정력자(?歷子) 담남성(膽南星) 지룡(地龍) 어성초(魚腥草) 포공영(蒲公英) 황기(黃?) 감초(甘草) 등을 기본적으로 사용한다. 완화단계도 역시 두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지는데, 폐신음허형(肺腎陰虛型)은 익기양음(益氣養陰) 척담행어(滌痰行瘀)를 치료원칙으로 하고, 처방에는 남북사삼(南北沙蔘) 구자울(灸紫?) 및 관동화(款冬花) 당귀(當歸) 목단피(牧丹皮) 울김(鬱金) 정력자(?歷子) 세신(細辛) 오미자(五味子) 구기자(枸杞子) 산수황육(山茱黃肉) 황기(黃?) 감초(甘草) 등을 기본적으로 사용한다. 비신양허형(脾腎陽虛型)은 온보비신(溫補脾腎) 화어척담(化瘀滌痰)을 원칙으로 하며, 처방에는 구마황( 灸麻黃) 세신(細辛) 오미자(五味子) 당귀(當歸) 단삼(丹蔘) 울김(鬱金) 정력자(?歷子) 반하(半夏) 보골지(補骨脂) 선령비(仙靈脾) 태자삼(太子蔘) 황기(黃?) 감초(甘草) 등을 기본적으로 사용한다. 치험(治驗): (1) 천식의 실증(實證)은 치료를 한 뒤 완화단계에 접어들면서 허증(虛證)으로 전화되는데, 허천(虛喘)도 역시 천식이니 만큼 단순히 보법(補法)만 사용하여서는 안된다. 시종일관 천식치료에는 척담화어(滌痰化瘀)의 원칙을 지켜야 한다. 폐내(肺內)의 담어(痰瘀)가 철저하게 제거되어야 폐(肺)의 순환기능을 개선시켜 기도(氣道)의 염증을 신속히 흡수하고 치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치료과정은 약 3-6개월이 필요하다. 완화단계의 기간이 길어질수록 완치될 확률도 높아진다. (2) 급성기 천식은 폐(肺)를 다스려야 한다. 폐(肺)를 다스리는 방법에는 선폐(宣肺), 청폐(淸肺), 온폐(溫肺), 윤폐(潤肺) 및 척담거어(滌痰祛瘀) 등이 있다. (3) 증상이 완화되면 신(腎)을 다스린다. 천식은 신허(腎虛)가 근본적인 원인이므로 완화단계에서 심지어 발작기에도 보신제(補腎劑)를 추가하여 사용하면 배의 효과를 얻을

      • KCI등재

        국어학 : 『악기조성청의궤』의 어휘 차자표기 연구

        황금연 ( Geum Yeon Hwang ) 배달말학회 2015 배달말 Vol.56 No.-

        이 글은 악기조성청(樂器造成廳)에서 간행한 『인정전·경모궁·사직악기 조성청의궤』를 상으로 한 어휘의 차자표기에 한 연구이다. 의궤의 물명 표기는 근국어시기의 차자표기의 주류를 이루고 있어서 당시의 차자표기의 양상을 살필 수 있다는 점과 우리의 어휘체계를 풍부하게 해 준다는 사실 에서 의의가 있다. 먼저 연구 상 자료에 한 간략한 소개와 함께 기존 연구에 나타난 차자표기 해독과 해석의 오류를 검토하다. 이후 그간 논의 가 제로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논의된 바가 없었던 高音鐵, 無齒鉅의 樑과 樑手, 書道里, 한, 別音과 別音炭, 乫吾所臺를 중심으로 논의하다. 그 결과 高音鐵은 ‘고음쇠’의 표기로 추정하다. ‘고음’은 ‘고다(진액이 나오도록 푹 끓이다)’의 고형(古形) ‘고으-’에 명사형 어미 ‘-ㅁ’이 붙은 형태인데, 다시 ‘쇠(철)’ [鐵]가 결합한 표기이다. 樑과 樑手는 無齒鉅(이 없는 톱)에서만 확 인할 수 있는 표기이므로 톱[鋸]과 관련지어 해석하다. 樑은 ‘톱틀’을 표기 한 차자로, 樑手는 ‘톱손(또는 톱자루)’의 차자표기로 해석하다. 書道里는 ‘서도리’의 표기로 해독하고, 기존 연구에서 ‘작은 망치’로 해석되는 근거가 없다는 점을 감안하여 ‘쇠로 된 연장의 일종’으로 파악하다. 한은 ‘한’의 표기로, 현재 ‘환’으로 남아 있으나 어느 시기에는 두 형태가 공존하다. ‘환’은 줄[려]의 일종으로 풀이하고 있으나 줄과는 다른 연장으로 해석하 다. 別音과 別音炭은 ‘별음’과 ‘별음탄’으로 해독하다. ‘별음-’은 ‘별-+-음’ 으로 분석되며, ‘별-’은 현어 ‘벼리-(불에 달구어 두드려 날카롭게 만들다)’ 로 남아 있다. ‘별음탄’은 벼리는 데 필요한 석탄으로 해석하다. 乫吾所臺 는 ‘*가로바(<갈오바)’의 표기로 추정하다. This study speculated on loanwords used in <Injeongjeon·Gyeongmogung· Sajikakgijoseongcheong Uigwe> published by Akgijoseongcheong. As the names of things in <Uigwe> were usually based on loanwords in the modern period of the Korean language, this study has meaning in that it shows the aspects of loanwords at that time and how they helped us create an abundant vocabulary system. First, this study examined errors in loanwords shown in existing studies with a brief introduction of the target materials of this study. Then, focus was given to Goeumchel(高音鐵), Ryang(樑) and Ryangsu(樑手) of Muchigeo, Seodori(書道 里), Han[한], Byeoleum(別音), Byeoleumtan(別音炭) and Galosodae(乫吾所帶). As a result, it was assumed that Goeumchol was a form of ‘Goeumsoe’. ‘Goeum’ was analysed as follows: ‘-ㅁ’, a nominal ending was added to ‘Goeui-’, an ancient type of ‘Goda(boil down)’ and then ‘soe(iron)’ was added. As Ryang and Ryangsu are words only used in Muchigeo(a saw without teeth), they were interpreted as being related with saw. Ryang is a loanword indicating ‘saw frame’ and Ryangsoo was interpreted as a loanword for saw handle. Seodori is a form of ‘seodori’ and as there is no grounds for its interpretation as ``little hammer``, it was interpreted as a sort of tool made of iron. Han, which was written as Han, exists as Hwan, but at a certain period, the two forms coexisted. Currently, ‘Hwan’ is understood as a kind of Jul[a file], but it was interpreted as a being a different tool from a file now. Byeoleum and Byeoleumtan were decoded as ‘byeoleum’ and ‘byeoleumtan’. ‘Byeoleum-’ was analysed as follows: ‘byeol-+-eum’; ‘byeol-’ exists as a modern word ‘byeori-(reforge the blade)’; and ‘byeoleumtan’ was interpreted as charcoal needed for reforging. It was assumed that Galosodae was a form of ‘*Garobadae(<Galobadae)’.

      • KCI등재

        잡지 보그 표지 이미지의 립스틱 색상 트렌드 연구 - 1940년도 ~ 2010년을 중심으로 -

        황금빛누리 ( Geum-vit-nu-ri Hwang ),이보람 ( Bo-ram Lee ),임희경 ( Hee-kyung Lim )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13 미용예술경영연구 Vol.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se the use of the colors of the lipsticks used to adorn the Vogue magazine cover page models and figure out the trend of the lipstick color on the basis of the current study. For this study, the cover page of the Vogue published between 1940 to 2010 were collected and the RGB value of the lipstick color that the model was wearing was analysed and the H/VC value was extracted. Tone was carefully added to help the analysing proces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the first, R color set the trend in lipstick color, even if Time period is changed. but, lipstick tone depends on Time period. Second, In spite of changed Time and Season, R color possessing S tone will set the trend now and for ever. On the basis of analysis result, This thesis is to suggest basic information in order to understanding lipstick trend. And, this thesis tends to a better grasping flow of lipstick market in the future in that it is study how its trend is changing with times.

      • KCI등재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의 전라남도 지도군 지명 고찰 : 한자와 한글 대응 지명을 중심으로

        황금연(Geum-yeon Hwang)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21 기전문화연구 Vol.42 No.2

        오이 연구에서는 『조선지지자료』의 전라남도 지도군에 기록된 한자와 한글이 대응하는 지명 156개를 논의의 대상으로 삼았다. 먼저 한자와 한글 지명의 원전을 검토하여 표기상의 오류를 바로잡았다. 다음으로 한자와 한글이대응하는 지명의 표기법을 살피고, 복수 지명(複數地名)을 해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지명에 반영된 방언의 어휘를 살피고, 한글과 한자의 대응 관계가 모호한 몇몇 지명에 대해 해석하였다. 한자에 의한 지명 표기는 대체로 차자표기법(借字表記法)에 의해 이루어졌다. 음차표기, 훈차표기, 음훈병차 등의 방법이 쓰였다. 일부 한자 지명은 그표기 방식을 확정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었다. 한글 지명 표기는 음소적 표기(‘옌낭’, ‘마을압’, ‘느리창밧’)와 형태 음소적 표기(‘겁바우’, ‘장들’)가 함께 사용되었으나 형태 음소적 표기의 빈도가훨씬 높다. ‘ㆍ()’는 ‘’[大]의 표기에만 나타나며, ‘’는 현대국어의 단모음 ‘애’의 표기에 ‘’가 쓰였는데, ‘재(<)’[峙, 嶺], ‘개(<)’[浦]의 순서로빈도가 높이 쓰였고, ‘매(<)’[山], ‘새(<)’[鳥], ‘개(<)’[介], ‘샘(<)’[泉], ‘재(<)’[城]에서 1회만 쓰였다. 경음 표기에 ㅅ-계 합용병서가 쓰이는 것이일부 지명 표기에서 확인된다(‘’, ‘’). 두음법칙이 적용되지 않는 것은 ‘나루’[津]인데, ‘라루’와 ‘라리’로 일관되게 나타나며, ‘ㄱ’구개음화는 ‘진(>긴)’ [長]에서 확인된다. 움라우트(Umlaut)를 반영한 방언 표기로 ‘쇠’[牛], ‘방’ [舂] 등이 있다. 지명의 표기에 반영된 주요 방언 어휘로 ‘낭’[木], ‘뻘(>)’[鹵], ‘나박’[廣], ‘기’[蟹], ‘송굿’[錐], ‘독박’[石], ‘’[너덜], ‘여을’[灘], ‘바우’[巖], ‘겁·거벅’ [龜] 등이 확인되었다. ‘중챔이들’[中參坪]의 ‘챔(>참)’은 ‘근처, 부근’의 공간적 의미를 갖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벗’는 ‘막전포(幕前浦)’를 참고하여, ‘소금밭[벗] 앞에 있는 포구’를 나타내는 지명으로 해석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156 toponyms whose Chinese characters correspond to Korean characters recorded in Jeollanam-do Jido-gun Part from the 『Joseonjijijaryo』. Fir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riginal text of Chinese and Korean place names to correct notational errors. Then, notations of toponyms whose Chinese characters correspond to Korean ones were examined and plural toponyms were interpreted. Finally, regional dialects reflected in toponyms were investigated and a few place names whose corresponding relation between Chinese and Korean characters is vague were interpreted. Korean toponym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were generally made using the Chinese Characters-Borrowing systerm. Methods such as borrowing the notes of Chinese characters, borrow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Borrow the notes and meanings of Chinese characters were used. In some cases,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method of writing Chinese characters for some placenames. For notation of Korean toponyms, phonemic writing(Yen-nang-ki, Maeul-ap, and Neuri-chang-bat) and morphemic writing(Geop-bawu and Jang-ki-deul) were used together, but the frequency that the latter was used was much higher. ‘ㆍ ()([ʌ])’ only appeared in writing of ‘Han’[large] and ‘[ʌy]’ appeared in writing of ‘Ae’, a monophthong of modern Korean language. The frequency it was used was high in the following order: ‘Jae’[hill], ‘Gae‘ [riverside]. It was used only one time in ‘Mae’[mountain], ’Sae’[bird], ‘Gae’[piece], ‘Saem’ [fountain] and ‘Jae’[fortress]. It was found in part of toponym writing that for fortis writing of s-family, the same consonant characters were laterally attached(‘sberl’ and ‘sdeul’). ‘Naru’[thick] for which initial law was not applied, consistently appeared as ’Raru‘ and ’Rari‘. ’k‘ palatalization was found in ’Gin‘[long]. Dialect writing for which Umlaut was reflected were Soe[cow] and Bangʌi[mortar]. It was discovered that important dialects that were reflected in toponym writing were Nang[tree], Bbeol[salt], Nabak[wide], Ki[crab], Songgut[gimlet], Dokbak[rock], theal[slope], Yeoeul[rapids], Bawu[rock], Geop and Geobuk[turtle]. It was also discovered that Cham of ‘Jungchameedeul has a spatial meaning of ‘nearby and neighborhood’. ‘Buttki’ was interpreted as a toponym to mean a port in front of salt farm, referring to ‘Magjeonpo‘.

      • KCI등재

        『看話決疑論』에 나타난 普照知訥의 看話禪觀

        황금연(Hwang, Geum-Yeo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8 佛敎學報 Vol.0 No.84

        본 논문의 핵심은 『看話決疑論』의 총 다섯 가지 문답을 통해 普照知訥(1158-1210)의 看話禪에 관한 견해를 정밀히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의 중심인 『간화결의론』은 보조지눌의 사후 『圓頓成佛論』과 함께 발견되었으며, 서책의 저작연대는 1198년 이후로 추정한다. 그의 제자 眞覺慧諶(1178-1234) 등에 의해 지눌의 사후인 貞祐 3년, 1215년에 판각되었다. 서책의 내용은 『華嚴經』에 이미 法界의 無碍緣起를 밝혀 취하고 버릴 것이 없는데, 무슨 이유로 선문에서는 열 가지 병을 가려 화두를 보는지(看話)에 대한 질문으로 시작하여 모두 다섯 가지의 문답을 통해 지눌이 밝히고자하는 간화선이 피력되어있다. 지눌은 大慧宗杲(1089-1163)의 간화선이론을 전체적으로 수용하고 있어, 그가 논하는 간화선의 큰 줄기는 『대혜어록』과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약 그만이 피력하고 있는 독자적인 내용이 있다면 무엇일까? 이것을 밝혀내는 것이 본 논문의 핵심내용이라 할 것이다. 이 논문에서 논자는 『간화결의론』에 나타나있는 그의 간화선의 특성을 네 가지정도로 요약해보았다. 이 책이 지닌 무엇보다 중요한 핵심은 화엄교학과의 비교를 통해 간화선이 지닌 우월성을 드러낸 데 있다. 지눌은 간화경절문의 화두참구, 즉 活句의 참구야말로 일체의 사량과 분별 및 情識과 교학을 통한 불법의 지견마저도 붙을 여지가 없는 장점을 지니고 있음을 확연히 드러내고 있다. 그는 이 서책에서 간화선의 화두참구는 일체의 교리적 이론이나 분별적 사유를 초월하여 있기 때문에 말길이 끊어지고 마음의 작용이 사라진 마음의 본바탕을 꿰뚫어 들어가는 방편이라 파악하고, 화엄원교가 비록 교학 중에서 뜻과 이치가 가장 원만하고 미묘한 길이긴 하지만, 모두가 알음알이와 뜻으로 들어서 알고 생각으로 헤아리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선문의 화두를 참구해 바로 끊어 깨달아드는 문(경절문)과는 확연히 다르다는 것이다. 이 논서 『간화결의론』은 여러 가지 해석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글자가 표명하는 것처럼 ‘간화선의 의심을 결단하는 논서’ 또는 ‘간화선으로 의심을 결단하는 논서’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is paper presents an elaborate analysis of Bojo Jinul’s perspective on Ganhwa Seon based on the five questions and answers recorded in the Ganhwa Gyeoruiron (看話決疑論; Resolving Doubts about Observing the Hwadu). The Ganhwa Gyeoruiron, which is the focus of this study, was discovered after the death of Jinul, along with Wondon Songbullon (圓頓成佛論), and is thought to have been authored sometime after 1198. It was inscribed on printing woodblocks in 1215 by Jinul’s disciple, Jingak Hyesim(眞覺慧諶; 1178-1234). In this book, Jinul begins by asking why the Seon School investigates the Hwadu by discriminating between ten kinds of illnesses, even though the Flower Ornament Sutra (華嚴經) had already illuminated the unhindered dependent origin of the Dharma realm, and thus revealed that there is nothing to select or reject. He then sets forth his view on Ganhwa Seon by proposing five questions and answers. Jinul’s perspective and the broader framework of Seon, as reflected in Ganhwa Gyeoruiron, is based on the Ganhwa Seon of Dahui Zonggao, as Jinul himself clarified. However, what if there is something about himself that he is telling us? Revealing this is the core of this paper. The essay summarizes the characteristics of his simplified lines in Ganhwa Gyeoruiron in four way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book is that it shows the superiority of the Ganhwa Seon by comparison with the Hwaham Academia. It is evident that investigating the Hwadu in shortcut gate (investigating a living phrase) has the advantage that there is no room to attach all charges, discretion, and knowledge of illegality, although Hwaham Wongyo(華嚴圓敎) is the most peaceful and subtle way of teaching, it is different from the conversation of a preface as everyone goes through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thinking. Ganhwa Gyeoruiron may be viewed from various perspectives. I would say it is also ‘a book which resolves the suspicion of the Ganhwa Seon’, Or ‘an essay that resolves suspicion by Ganhwa Seon’.

      • 습식 스프레이용 폴리머 모르타르의 성능 평가

        황금식 ( Hwang Geum-sic ),박찬기 ( Park Chan-gi ),최강진 ( Choi Kang-jin ),장계호 ( Jang Gye-ho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06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10 No.1

        The major objective of this study was evaluated mechanical properties and chemical resistance of five types of premix type wet process polymer mortar. Also, the effects of two type construction methods were studied. The results of the test of wet process sprayed method were compared with previous hand method. For five type pre mix type polymer mortar, test results show that wet process sprayed method had shown good performance in all of mechanical properties and chemical resistance than hand method. Specially, chemical resistance test results indicate excellent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