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중국조선족집거구문제에 대한 사고

        허명철 전남대학교 아시아태평양지역연구소 2000 아시아태평양지역연구 Vol.3 No.1

        21세기 새로운 민족적 비전을 꿈꾸고 있는 중국조선족사회는 현재 인구감소와 인구류동에 의한 기존의 집거구해체와 이에 따라 나타나고 있는 사회성적인 문제들로 하여 고민을 겪고 있다. 집거구해체는 민족교육의 위기를 초래하게 되고 민족언어와 문자를 사용할 수 있는 문화공간을 좁아지게 하는바 이는 결국 민족동화를 가속화하게 되며 나중에는 민족정체성 유지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이 일부 학자들의 주장이다. 그렇다면 집거구해체를 어떤 입장에서 평가해야 하고 이에 따라 초래되고 있는 문제들은 또 어떤 시각에서 풀어나가야 하는가? 이 문제어 대해서 우리는 기존의 집거구가 형성되고 보존되어 올 수 있었던 원인들을 검토해 보고 그 기초상에서 응당 시대성, 민족성, 발전성적인 시각에서 그 답안을 모색해야 한다. 여기에서 우선 중요한 것은 우리들의 의식전환이다. 오늘날 우리민족의 진로는 농촌에 있는 것이 아니라 도시어 있으며 현대문명에로의 이행에 있는 것이다. 우리는 연해개방도시들에 새로 일떠서고 있는 새로운 집거지 즉 "코리아타운'에 민족의 미래를 기탁하고 기존의 농촌집거구건설을 잘하여 질적으로 제고시키는 한편 보다 많은 정력을 도시집거구건설에 몰부어야 하고 새로운 집거구형성과정에서 나타나고 있는 산재지구에서의 민족교육실시, 민족문자와 언어보급, 민족정체성 보존등 문제들의 해결에 주력해야 한다. 그러고 이러한 문제점 해결에 있어서 그 시야를 보다 넓혀 세계화적 추세와 정보화문명에 입각점을 두어야 한다. In the 21st century, the Chinese-Korean(Korean minority in china) who are striving for a leap in their ethnical improvement is now vexed by population decline and migration which are disintegrating the old Chinese-Korean community. Some scholars believe that the disintegration of Chinese-Korean community will lead to a series of problems: a crisis of ethnic education, a reduction of the cultural space where the Chinese-Koreans can learn and use their language, ethic assimilation, and consequently disintegration of Chinese-Korean community. How can we solve the Problem on the disintegration of Chinese-Korean community? We should reconsider the reasons why Chinese-Korean community can de formed and developed. In addition to that, We should seek the answer to this problem from the perspective of time, ethology and development. thus, the development of Chinese-Korean. The approach towards the development of Chinese-Korean does not rely on the rural area, but on the more developed and civalized urban area.. the future of the Chinese-Korean lies on the "Korean Town", i · e · the new Chinese-Korean communities in the new opening cities along the east coast line of China. In addition to improve the qualits of the old Chinese-Korean communities which mainly inhabited in the hew Chinese-Korean communities which considerately live in the urban cities. During the course of the formation of the hew Chinese-Korean communities in the eastern urban area of China, we should put great effort on the ethnic education, popularization of Korean language, and maintenance of the integrity of the Chinese-Korean community. Furthermore, we should enlarge our perspective and focus our attention at the trends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alized civilization in the world.

      • KCI등재후보

        중국조선족공동체에 대한 이론적 접근

        허명철 在外韓人學會 2003 在外韓人硏究 Vol.13 No.1

        본 논문은 조선족공동체의 형성과 발전과정에 대한 역사적인 고찰과 시대발전추세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미래지향적인 시각에서 조선족공동체의 진로를 진지하게 탐구하였다. 논문은 건국을 전후로 조선족공동체를 형성과 발전이라는 두 가지 단계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조선족공동체의 형성에 대해서는 민족의식, 민족교육, 집단거주 및 그 시대적 배경을 주요원인으로 지적하였으며 이렇게 형성된 공동체는 사실상 단순한 경제생활을 목적으로, 혈연과 지연과 문화적인 동질성을 바탕으로 한 동족공동체라고 지적하였다. 건국 후 조선족공동체의 발전에 대해서는 정치적, 제도적,주체적 차원에서 많이 접근하였으며 그 성격에 대해서도 민족성보다 국민성이 더 돋보이는 의지공동체로 규명하였다. 상기 분석을 바탕으로 현재 조선족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문제점, 그리고 정보화시대의 도래와 함께 변화되고 있는 사람들의 의식구조의 변화, 삶의 질에 대한 추구, 집거형태의 변화등에 입각하여 조선족공동체의 진로를 동족공동체와 의지공동체를 지양하고 민족성과 국민성의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문화공동체에 대한 지향에 있다고 지적하였다. In this article I survey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Korean ethnic community in China and analyze its future directions. The Korean ethnic community is divided into two stages by the time of the founding of China. At the formation stage before the founding of China ethnic consciousness, ethnic education, collective inhabitation played important roles. The community at this time was more or less a tribal community based on common economic life and cultural homogeneity of blood and regional ties. At the development stage after the founding of China political, institutional, and independent aspects became more prominent. The community at this stage is viewed as the will community where nationality takes precedence over ethnicity. After reviewing the current problems of the Korean ethnic community, changes in people's consciousness at the time of the information age, the pursuit of quality of life, and changes in residential patterns, I point out that the Korean ethnic community should aim at the cultural community where ethnicity and nationality harmonize with each other.

      • KCI등재

        조선족 정체성 담론

        허명철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12 중앙사론 Vol.0 No.36

        自20世纪90年代以来,朝鲜族的民族认同问题备受学术界的关注。究其原因,一方面是朝鲜族社会及文化发生了结构性变化,另一方面在与广泛的对外交流过程中其个体成员产生了一种身份认同和自我归属的渴望。但在众多的身份认同中,最基本且最稳定的是民族认同和国家认同。从历史的角度看,朝鲜族的族源是韩半岛的韩民族,从现实的角度看,朝鲜族是中国的一个少数民族。故在朝鲜族的民族认同与国家认同的研究中,存在着不同的研究视角。一些学者主要立足于朝鲜族社会形成的历史,一些学者则强调其中国国籍。还有一些学者则折中历史事实与现实存在,提出了朝鲜族认同的双重性。笔者认为,在谈论朝鲜族认同问题之前,有必要对“民族”、“认同”、“国家”、“祖国”等一些相关概念和范畴达成共识,界定朝鲜族作为一个民族共同体是一个政治共同体,还是一个血缘共同体。如果这些前提性作业得不到理论上的澄清,则难以确定认同的基本要素。再则,过去谈论民族认同更多地侧重于客观的文化符号,或人为地设立几项标准,很少考虑到个体成员的主体性选择。我们现在生活在多元文化并存的开发的世界,各民族文化在相互接触与交往中,已经形成了你中有我的交融格局。而且,过去表征一个民族的一些文化符号,也随着现代文明的进步逐渐被遗忘或消失。因此,用传统的民族文化符号作为参照系统,去衡量其个体成员的民族认同,值得商榷。在这里,笔者主张要尊重朝鲜族这一民族共同体的形成历史,尊重朝鲜族社会成员具有的多重认同的可能,包括朝鲜族的国家认同。但就民族认同而言,则可以引入离散理论与方法,唤醒其所有成员共有的历史记忆,并由此而界定其民族认同。

      • KCI등재

        연변불교문화에 대한 역사적 성찰

        허명철 대각사상연구원 2011 大覺思想 Vol.16 No.-

        우리민족 문화유산의 중요한 부분이며 또한 우리들의 현실생활 속에서 살아 움직이고 있는 불교문화가 연변지역에서의 정착은 우리 민족의 이 주사와 동반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여러 가지 여건으로 연변지역 의 불교문화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다. 사실 이주당시 조선사회에서 불교가 부진한 상태였기에 연변에서 불교문화정착도 상당한 어려움을 겪 게 되었다. 1920년대 이른바 “순수종교”에 접어들면서 연변불교는 조선 불교계와 일본불교계로 나뉘어 다소 활발한 양상을 보이기도 하였으며 용성스님, 수월스님 등 고승들도 연변지역에서 불법을 전파하였다. 건국 후 불교는 종교적 차원보다는 하나의 관습과 문화로 조선족사회에서 전 승되어왔었다. 1994년 정각사 복구를 계기로 화엄사, 영보사 등 사찰들이 세워졌지만 불교문화에 대한 연구 내지 전파보다는 지역사회의 경제발전 과 밀착되어 하나의 관광코스로 전락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보이고 있 다. As an important part of our national cultural heritage, Buddhist culture,which had settled in Yanbian region with the history of Korean Chinese migration, has still been existing in real life. However, related research is still lack and weak because of the several reasons. Actually, Buddhism and Buddhist culture has gone through the period of low ebb at the early migration time in Yanbian Korean society. In 1920s when so-called pure region entered, Yanbian Buddhism had been divided into Korean Buddhism and Japanese Buddhism and displayed a hot flourishing more or less. The eminent and learned monks, such as Yong-seong, Su-wol, had done much to build up the power of Buddhsimin this area. After the founding of New China, Buddhism has been continued as a habit and culture rather than a religion in the Korean Chinese society. In 1994, with the restoration of Jeong-gak Temple, Hwa-eom Temple and Yeong-bo Temple and many temples had sprung up through Yanbian region. However, Buddhist culture has not been much studiedand propagated as tightly integrated with economic development and become one of tourist courses, which one can’t help but worr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