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사회학적 패러다임에 비추어 본 감성 연구

        함인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3 한국문화연구 Vol.5 No.-

        이 글은 1980년대 후반부터 서구 학계를 중심으로 주요 화두로 등장하고 있는 감성을 주제로 한 사회학적 연구를 조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회학 영역에서 감성이 새로운 연구 주제로 부상하기까지의 과정을 지성사 및 사회구조적 변동의 맥락에서 간략히 살펴본 후에, 감성 연구의 태동 및 발달 과정을 선구적 학자들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감성 사회학 분야는 현재 미시적 행위 및 거시적 구조 수준에서 감성을 종속변수로 보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으며, 부분적으로 감성을 매개변수 및 특정 행동의 유발요인으로 자리매김하는 연구들이 나오고 있다. 뒤를 이어 구체적으로 경험되는 감정의 하나로서 수치심(shame)을 실례로, 수치심과 사회적 동조성 간의 연결고리를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 더불어 수치심의 표면적 퇴조 현상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등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탐색해보았다. 결론 부분에서는 감성 사회학 분야의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면서, 전반적으로는 감성의 보고(寶庫)라 해도 과언이 아닌 한국사회에서 감성을 주제로 한 사회학 연구의 가능성을 확인해보았다 This paper reviews the outline of the sociology of emotions, which is a relatively new substantive topic within sociology. Recent work in the sociology of emotions has gone beyond the development of concepts and perspectives to elaboration of theory and empirical research. The paper briefly explores the question why the emotions have been ignored in sociology until 1980s. Then the micro-level approaches to emotion and the macro-level approaches are introduced. The micro-level includes social construction theorists and symbolic interactionists, and the macro-level includes a couple of interesting historical and cross-cultural studies of the shaping of the emotional experience and emotion cultural. The next part shows that shame has played a continuing role in explanations of social conformity. The last part discuses prospects of the sociology of emotion.

      • KCI등재

        집단별 통일의식 차이에 관한 연구 : 청소년ㆍ여성ㆍ386세대를 중심으로

        함인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0 사회과학연구논총 Vol.5 No.-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group differences of "Unification Consciousness" which has been closely related with the socio-political situations in the Korean Peninsula. The research focuses on the dissimilarity among groups toward the various aspects of the Unification-related issues. The youth, women, and the so-called 386 Generation are selected as the target group of the research.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are composed of two parts. The first part asks about the attitudes toward Unification; interest and hope of the Unification, expectation of the Two Korea's future, evaluation of the Unification process, and obstacles of the achievement of Unification etc.. The questions of the second part include attitudes against North Korea, predic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memory or image of North Korea etc.. The researches are carried by the telephone and question naire survey, from May 31st to June 14th. in 2000. The final sample sizes by groups are 250 of the telephone survey, 348 for the Youth, 260 for Women, 203 for the 386 Generation. A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s represented, each group shows quite different attitudes, values and perspectives of the Unification and North Korea. In sum, the Youth shows a more pragmatic attitude toward Unification. It is relatively low for the Youth to show the interests in the Unification, and not eager to show the aspiration of the Unification. The youth considers the present speed of the Unification proper and evaluates mean prices 5.5/10 of the degree of similarity and dissimilarity between the two Koreas. Without an exception, the Youth refers the obstacle of Unification to the dominant groups and political systems of North Korea. And the Youth think that the Unification cost is much larger than the Partitioned cost. In the case of Women, it is quite obvious for them to show relatively low interest and aspiration to the Unification as compared with other groups. The reason to expect the Unified country for women is because we are the unique country which has carried the purity of one nationality for over 5,000 years. Women are also usually worried about the social turmoil or instability which is assumed to be caused by the Unification. So, women's Unification Consciousness can be regarded as an internalization of the stereotypical attitude of the Unification. Though women show quite a high percentage of whom want to be a citizen of the Unified Nation in the near future, they hope to keep the current speed of the Unification process. Also women share with the Youth as for pointing out the North Korean political system and their dominant class as the main barriers of Unification. As a result, women are reluctant to admit how beneficial Unification will be. It is interesting to find out that the degree of interest and hope for the 386 Generation to the Unification is very high. The 386 Generation shows the most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Unification, and wants to have a more realistic logic of Unification. To the cost of Unification, the 386 Generation evaluates relatively low compared with other groups. To clearly define the "Unification Consciousness", to examine systematically multiplicity of the "Unification Consciousness", and to include such alienated groups in the Unification research such as the soldier and the old are the subjects waiting for the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통일환경의 변화에 민감하게 조용하는 통일의식의 현주소를 보다 면밀히 분석할 필요가 있음에 착안하여, 지금까지의 통일 여론조사에서 간과되어온 집단별 통일의식의 이질성 내지 차별성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조사와 더불어, 청소년과 여성 그리고 386세대 3집단간 통일의식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설문조사에는,통일의식의 구체적 내용을 통일관과 북한관으로 나누어 통일관에는 통일에 대한 관심과 희망, 분단상황에 대한 예측과 통일과정에 대한 평가 그리고 통일의 걸림돌 및 통일비용에 대한 평가 등을 포함시켰으며, 북한관에는 북한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 여부와 남북관계에 대한 평가, 그리고 북한에 대한 기억을 포함시켰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전화조사와 집단별 조사를 병행하였다. 조사는 전화조사의 경우 6월 3일, 설문조사의 경우 5월 31일부터 6월 14일에 걸쳐 이루어졌고, 최종 분석에 포함된 표본 수는 전화조사 250명, 청소년 348명, 여성 260명, 386세대 203명이다. 조사 결과 나타난 바 각 집단별 통일의식의 특성을 간략히 요약해보면, 청소년의 경우는 통일에 대한 관심이나 열망이 다른 집단에 비해 낮은 반면 통일을 원하는 이유와 원치 않는 이유에서는 명분보다 실리를 추구하는 경향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아울러 현재 통일진행 속도는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을 보이고 있고, 남북한 동질성에 대한 평가는 평균 5.5점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다. 한편 통일의 걸림돌로는 북한지도층과 북한의 정치체제를 지목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고, 통일비용이 분단비용 보다 높다는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다음 여성의 경우는 다른 집단에 비해 통일에 대한 관심과 열망이 다소 낮은 동시에, 통일을 원하는 이유로서 민족의 지상과제를 들고 있고 원하지 않는 이유로는 사회적 불안정을 들고 있어, 통일과 관련된 전형적 이데올로기를 내면화하고 있음을 추측해볼 수 있다. 나아가 당대 통일을 원하는 비율이 높긴 하나 현재 통일과정의 속도를 그대로 유지하기를 바라는 비율 또한 높게 나타나고 있다. 여성의 경우도 통일의 걸림돌로는 북한체제 및 북한지도층의 태도를 지목하고 있고 통일비용에 대한 우려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남북관계의 실리성을 인정하는데 있어 상대적으로 소극적인 특성을 보이고 있다. 한편 386세대의 경우는 다른 집단과 비교해볼 때 통일에 대한 관심과 희망이 매우 높음은 물론 북한에 대해서도 가장 우호적인 태도를 견지하고 있다. 실제로 386세대는 통일을 원하는 이유에 있어서도 보다 현실적인 논리를 개발할 것을 요구하고 있고, 통일비용 및 분단비용에 대해서도 가장 진보적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국민의 통일의식 관련 연구에 있어서는 "통일의식"규정을 둘러싼 정확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국민의 통일의식의 다면성을 체계적으로 파악하는 노력이 요구되는 동시에, 군인이나 노인과 같은 특수 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 또한 확대되어야 할 것이며, 통일의식 형성 과정에 대한 심층적 분석이 요구된다 하겠다.

      • 정보화와 가족생활의 변화

        함인희 서울여자대학교 여성연구소 2000 여성연구논총 Vol.15 No.-

        Arguments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ormation society and family life usually include the empirical research on the current state of information-technology influencing upon the family life as well as the futuristic approach in which tries to predict various aspects of the transformations families will confront in near future. This paper reviews and synthesizes the flows of these two types of arguments. First, the paper reviews the opposite, positive and negative, evaluation and prediction of the information society. The author does not intend to judge which side of prediction is right or wrong, in the light of the degree of accurate predictability. The intention to analyze is to figure out the fact that under what conditions the negative or the positive prediction will be realized. If the question, whether the domestic automation will bring into more egalitarian role sharing with family members, especially with husband and wife, the pre-conditions to make possible the egalitarian sexual division of labor have to be explored, the author strongly suggests. Second, the issue of whether the development of new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spread of tele-communication system will affect on the family structure, family relationships, and domestic labor patterns is examined. More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 with the cyber community constructed by the computer networking and the real family within our daily lives is also discussed. Third, effects of the family and work integration which is assumed to be a common social phenomena in the information society on the quality of life are explained. Though it will take more time for us to make a living in the so-called "electronic cottate", as the number of the home-staying worker are increased, the ideology of two split sphere of the workplace and family is to be demised, the author predicts. Fourth, changing patterns of role structure in the family system is summarized. Parental role will become the team effort, because the step-parents and the child professionals involvement into the nurturing and educational role strengthens. Child raising will become very much creative work, because the information society strongly needs a creative mind and a flexible adaptabililty into the repidly changing society. Nurturing pattern will be adapted to the two-earner family, as the full-time housewife will be the minority. Variety of the new role models will be increased, which will be derived from the transformation of role structure itself. The characteristic of social role will be recognized as more personalized one rather than routine one, naturally goes with the possibility of role conflict. Fifth, for the future research agenda in the information society, a couple of questions are raised. Such questions as whether 'the split between family and work place' 'the rigid sexual division of labor' 'the transformation of intimacy' and 'family as the private sphere' will be strengthen or not, and whether the affinity between the information society and family exists are waiting for pursuing the answers. Finally, go back to the basic, the need to expand the definition of families is necessary. In the information society, any type of "living arrangements", as for as they can fulfill the "need of intimacy", should be admitted ad "families".

      • KCI등재

        "IMF 위기"로 인한 중산층 해체 논의의 비판적 고찰 : 신문 기사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a content analysis of the newspaper articles

        함인희 梨花女子大學校 社會科學大學 社會科學硏究所 1999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 No.-

        이 글은 주요 일간지에 보도된 바, “IMF 위기”로 인해 중산층이 해체되고 있다는 다양한 논의를 비판적으로 고찰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IMF 위기”하에서 중산층이 해체되고 있다는 논거(論據)의 타당성 여부를 살펴보는 동시에, 중산층 해체의 구체적 내용으로 제시되고 있는 실례들을 통해 “IMF 위기”하의 중산층 해체 현상을 비판적으로 논의해보고자 한다. “IMF 위기”와 중산층의 해체 논의를 살펴보는데는 1997년 11월 1일부터 1999년 7월 30일까지 신문지상에 보도된 IMF와 중산층 관련 기사의 내용분석을 하고자 한다. 신문기사의 내용분석을 위해서는 검색어 “IMF·중산층·가족”을 선택하여 관련 기사를 출력하였으며, 검색 대상으로는 대한매일(구 서울신문), 동아일보, 문화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한국일보 등 7개 일간지와 3개 경제신문, 3개 주간지가 포함되었다. “IMF 위기”와 중산층 해체 관련 기사는 검색 기간 중 모두 35편으로, 1998년 1-6월까지는 2편에 불과한 반면 7-12월까지는 모두 29편의 기사가 실려, IMF 위기 1주년을 맞이하는 시점에서 대량실업으로 인한 중산층 해체라는 위기의식의 강도(强度)가 상대적으로 높았음을 보여준다. 이후 1999년에는 4편의 기사가 수집되었다. “중산층 해체” 관련 기사는 주로 가장의 실직으로 인한 소득감소와 그에 따른 중산층 귀속의식의 약화 및 계층 하강이동에 초점을 맞춘 것과 그로 인한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강화되고 있음을 강조하는 기사로 대별된다. 그러나 “IMF 위기”로 인해 중산층이 해체되고 있다는 기사의 판단은 보다 신중한 해석을 요한다. 왜냐하면 IMF 관리체제 직후 부터 1년 까지는 위기의식이 계속 고조되었다가 서서히 위기의식에서 벗어나면서 중산층 귀속의식도 제자리를 찾고 있음을 볼 수 있기에 IMF 위기가 중산층 귀속의식에 미친 장기적 영향력을 판단하기에는 아직 시기상조이기 때문이다. 또한 “IMF 위기”와 중산층 해체를 다루고 있는 기사의 대부분이 중산층의 소득감소 및 실업율 증가, 소비의 양극화 등 주로 경제적 측면의 지표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도 반성을 요한다. 우리나라 상황에서 소득, 직업 등 경제적 요인은 중산층 귀속의식의 필요조건이긴 하나 충분조건이라 보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결국 “IMF 위기”와 중산층 해체를 다룬 기사는 기본적으로 중산층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복합적 요인에 대한 고찰을 결여한 상태에서 경제적 지표상에 나타난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위기의식을 과도하게 강조한 측면이 있다. 그러나 앞으로 한국사회가 저성장·고실업사회로 진입하게 되는 상황에서, “IMF 위기”가 장기적으로 중산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될 것인지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켰다는 점에서는 의의를 갖는다 하겠다. This paper aims to analyse the newpaper articles dealing with the effect of “IMF crisis” on the middle class shrinking. The analysis is focused upon the validity of indicators which is supposed to represent the middles class shrinking caused by the “IMF crisis”. And the analysis is interested in the types of indicators the articles have presented in order to prove the middle class shrinking. For the content analysis, 10 daily newspapers and 3 weekly megazines are searched and 35 articles are collected. The time period covers from November 1st. in 1997 to July 30th. in 1999. Among the articles dealing with the effect of “IMF crisis” on the “middles class destruction”, there are two types, One type emphasizes the decrease of proportion of the “subjective middle-class belongingness” caused by the income downward and the highly increasing level of unemployment. The other type gives a caution that the polarization of stratification system proceeds, that is ‘the poor becomes poorer, the rich becomes richer.’ The result, however, indicates that we need to be careful to interprete the middle class has been shrinking since the “IMF crisis” implemented. Because enough time has not been passed to verify whether the IMF crisis has brought the shrink of middle class. Though the percentage of the “subjective middle-class belongingness” decreased right after the IMF crisis in 1997, but the belongingness level is presently recovering as the business conditions become prosperous. It is interesting for the middle class in the Korean society to keep a relative stability in spite of the worsening of economic conditions. There may be various factors to define middle class belongingness besides of such economic factors as income or occupations. The socio-psychological factors may be more important ones to construct the middle class identity. Though most articles focused on the “IMF crisis” and the middle class shrinking tend to overempasize the shrinking phenomena, they contribute to give a warning that we have to prepare certain safety network for the future crisis as we are entering into the low growthrate and high unemployment society.

      • KCI등재

        베트남 통일의 교훈 : Focusing on the Women's Integration into the Unification Process 여성의 사회통합 과정을 중심으로

        함인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1998 여성학논집 Vol.14-15 No.-

        <Abstract> There are two ways of getting lessons from the unification process of Vietnam. One lesson derives from the integration process of the two different socio-economic structures, those are the socialist North Vietnam and the capitalist South Vietnam, after the unification in 1975. The other lesson is from the system transformation process, which has implemented with the Vietnamese style of perestroika and glasnost, "Doi Moi" since 1986. The unification of Vietnam is surely on going process. Though, scholars shed different lights on the meaning of the Vietnam unification, we can explore a couple of implications of the Vietnam unification on the Korean unification building process. However, it is unfortunate to find a very few articles or publications directly dealing with "women's problems" during the unification in Vietnam. In this article, such issues as gender-related discourse of nationalism, paternal patriarchy of the state socialism, the continuity of traditional kinship structure are discussed hoping to reveal what the Vietnam women might have experienced during the unification. In addition to these issues, effects of the declining social welfare policy, marginalization of women enforced by the so-called "state class relation", and recovering of the traditional sex role division of labor are discussed. From the discussions, we found several clues that the Vietnam women are emerging as one of the victimized groups during the unification process, which is almost the same experience as that of women in German unification. So, we can assume that there would be a good possibility of the North Korean women to be the most discriminated group, if any form of unification proceeds in the Korean peninsul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