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대학생의 프랑스어 작문 오류에서 나타나는 영어 간섭현상

        한정길 ( Jung Kil Han ) 경희대학교 언어연구소 2008 언어연구 Vol.25 No.1

        This article analyses major errors observed in French composition, especially those closely connected to syntactic structures. I have collected the relevant data from a French composition class for sophomore students in a university. During my analysis, I first show how Korean sentence structures are transmitted to French in composition. Then, I show that many errors occur as a consequence of English interference; for example, the conversion of indirect object to subject in passive construction, the position of an attributive adjective in a noun phrase, the use of the lexical items which differ in syntactic representation, etc. In the use of the article, moreover, the Korean learners often refer to the English system as Korean lacks the article system. As a consequence, many errors occur in the employment of (in)definite articles in plural nouns, attributive phrases, and abstract/mass nouns.

      • KCI등재

        근대 이후 한국의 양명학 연구

        한정길 ( Han Jeong-gil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0 No.47

        이 글은 근대 이후 한국의 양명학 연구 성과를 검토하고, 새로운 연구 방향과 방법을 모색한 것이다. 근대 이후 한국의 양명학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성을 지닌다. 1) 양명학을 마음 공부의 측면보다는 경세의 측면에서 읽어내고 있다. 2) 양명학을 주관유심주의로 읽어내려는 조류가 형성되지 않았다. 이것은 중국의 양명학 연구 경향과 비교할 때 특징적이다. 3) 근대 이후 각 시대마다 다양한 방면에서 나타나는 사회문제들에 대한 해법을 양명학에서 찾고자 했다. 4) 양명학의 전개를 중국-한국-일본의 동아시아 지평에서 조명하려는 관점이 형성되었다. 한국의 양명학 연구가 취할만한 방향과 방법으로 다음 몇 가지 사항을 제안하고자 한다. 1) 양명학을 동아시아의 지평에서 보다 폭 넓게 연구할 필요가 있다. 동아시아에서 양명학이 전개된 양상을 폭 넓게 살피기 위해서는 양명학의 이론이 변이를 일으키는 내적 과정만이 아니라, 그것의 외적 배경이 되는 한·중·일의 특수한 정치문화와 사회문화 및 심리양태와의 연관 속에서 조명할 필요가 있겠다. 2) 양명학의 공부와 경세 두 측면을 통일적으로 다룰 필요가 있다. 양명학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內聖과 外王의 두 측면 가운데 한쪽에 치우친 감이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양명학에 대한 균형 있는 시각을 갖기 위해서는 양명학을 공부와 경세의 통일이라는 시각에서 읽어낼 필요가 있다. 3) 양명학에 관한 연구주제를 다양화할 필요가 있겠다. 이를 위해서는 현대 사회의 문제점을 냉철히 직시하고, 그에 대한 대응방안을 끊임없이 모색해야 한다. 이러한 분투 과정에서 양명학이 새롭게 되살아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주제와 관련하여 특기할만한 것은 근래 束景南 선생이 『陽明年譜長編』을 출간함으로써 양명학 연구에 새로운 사유와 공간을 열어주었다는 점이다. 이 저술은 양명 자신과 그 사상에 관한 방대한 자료들을 수집하고 세밀하게 고증하여, 錢德洪의 『양명선생연보』를 전면적이고 체계적으로 수정한 책이다. 앞으로의 양명학 연구는 기본적으로 이 『陽明年譜長編』을 토대로 진행될 것이다. 그 이전에 얼마동안은 이 『長編』 자체와 束景南의 양명학 이해를 탐구대상으로 삼을 필요가 있겠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achievements of Yang-ming Studies in Korea since the modern era and sought new research directions and methods. Since the modern era, Korean Yang-ming studies have several characteristics. 1) They understand Yang-ming studies, in terms of governance, rather than aspects of mind study. 2) There was no tendency to read Yang-ming studies as a subjective spiritualism. This is characteristic when compared with China's Yang-ming studies trend. 3) They wanted to find a solution to various social problems in Yang-ming studies since the modern era. 4) In the Korean Yang-ming studies, the viewpoint of study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Yang-ming studies in the East Asian horizon of China-Korea-Japan was formed. I would like to suggest some points in the direction and method that Korean Yang-ming Studies can take. 1) It is necessary to study Yang-ming Studies more broadly in East Asian horizons. In order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study Yang-ming Studies not only in the internal process of its theory variation, but also in relation to the particular political culture, social culture,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Korea, China and Japan that are the external background of it. 2) In both aspects of mind study and governing, it is necessary to study Yang-ming Studies in a unified way. Previous research on Yang-ming Studies was biased toward self-discipline rather than ruling the world.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nd have a balanced view of Yang-ming Studies, it is necessary to read it from the perspective of unification of mind study and governing. 3)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study subject of Yang-ming Studies. To this end, we must constantly look at the problems of modern society and look for ways to solve them. What is remarkable about the research topic is that Professor Shu Jing-nan(束景南) has recently opened a new thought and space in Yang-ming Studies by publishing “陽明年譜長編”. This book is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revision of Qian de-hong(錢德洪)'s “陽明先生年譜” by gathering and thoroughly examining the vast amount of data about Yang-ming himself and his thoughts. Future research on the annals of Wang Yang-ming will be based on this “陽明年譜長編”. For some time before that,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of Shu Jing-nan(束景南) on Yang-ming Studies as well as the study of “陽明年譜長編” itself.

      • KCI등재
      • 위당 정인보의 양명학 연구와 다산 이해

        한정길(Han, Jeong-gil)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5 다산과현대 Vol.8 No.-

        이 글은 위당 정인보의 다산 이해의 특징과 의의를 규명하려는데 그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 글의 주요 논지는 정인보의 양명학적 관점이 다산 이해의 기반이 되고 있다는 점이다. 정인보는 강화학파 양명학의 중심인물인 난곡 이건방으로부터 양명학의 대의(大義)에 대한 가르침을 받는다. 그것은 양명학을 실심(實心)에 기반을 둔 실학(實學)으로 이해한 점, 양명학을 통하여 사회의 병폐를 치유하려고 한 점 등을 들 수 있다. 정인보는 이것을 지적 배경으로 하여 양명학의 관점에서 세계를 인식하고 판단하게 된다. 정인보 양명학 이해의 특징은 우리의 본심이 타인의 아픔을 자기의 아픔으로 느끼는 ‘감통(感通)" 능력을 지니고 있다고 본 점이다. 정인보에 따르면 이 본심은 조선의 민중과 나라에 감통하여 그들을 애틋하게 여기는 데서 그 참모습이 나타난다. 어떤 학술이 실학인지의 여부는 본심이 민중과 나라에 감통하여 그들을 애틋하게 여기는지에 달려 있다. 정인보는 이러한 관점에서 정약용의 인물과 학설을 조명한다. 정인보는 다산의 학문 동기를 백성과 국가를 구제하고자 하는 정성스러운 마음에서 찾는다. 그리고 그 마음이 다산의 모든 저술에 표현되었다고 본다. 다산의 저술 속에 양명학의 정신인 ‘백성을 애틋하게 여기는 마음’이 흐르고 있다고 본 것이다. 그는 다산의 학문 목적을 국가와 민생의 실리 · 실익을 도모하였다는 점에서 찾는다. 이것은 다산 학문의 핵심을 백성과 국가를 구제하려는 경세사상에 있다고 본 것이다. 그는 다산의 경학(經學)까지도 경세를 지향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한다. 이와 같이 정인보는 다산실학이 실심을 기반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다. 이것은 다산이 ‘국가와 민생의 실리실용’을 중시했다는 점에만 초점을 맞추어 다산 실학을 공리(功利)를 중시하는 실용실학(實用實學)으로 이해한 입장과는 차이가 있다. 그동안의 실학 연구는 결과적인 공리를 중시하는 실용실학의 측면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정인보가 구상한 실심에 기반한 실학은 이제는 그 명맥을 찾아보기 어렵다. 앞으로의 과제 가운데 하나는 정인보가 제창했던 실심실학을 어떻게 발전시킬 것인가 하는 점이다. This thesis aims at clarifying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understandings of Dasan accomplished by Jung In Bo. The main theme is that the standpoint of Jung In Bo’s Yang-ming Studies has become the basis of understanding Dasan Studies. Jung In Bo learned the grand idea of Yang-ming Studies from Lee Gun Bang who was the main figure of the Yang-ming Studies of Ganghwa school. That Yang-ming Studies could be understood as a Practical learning based on Sincere mind and that it is possible to heal the social issues through Yang-ming Studies. The main characteristic of understanding Jung In Bo’s Yang-ming Studies is that it is said that our Original mind has the ability of ‘being acted upon and penetrating things’ that feels the pain of others as one’s own pain. According to Jung In Bo, this original mind shows its true self by being acted upon and penetrating the people and country of Chosun and caring for them. Whether a certain academy is an authentic Practical learning or not totally depends on Sincere mind by which acts upon and penetrates the people and country. At such point, Jung In Bo looks into the character and academics of Jung Yak Yong. Jung In Bo finds the core motive of Dasan Studies in terms of the mind of sincerity to save the people and country. Also, that mind is said to be have been expressed in all books of Dasan, especially in his Confucian classical studies. It is said that in the books of Dasan, the ‘heart of caring people’ which is the spirit of Yang-ming studies flows within. He finds the purpose of Dasan’s studies in pursuing the true interest and welfare of the country and people. This means that the core of Dasan’s academics lies in the spirit of saving the world which saves its people and country. It is understood that he thinks Dasan’s Confucian classical studies pursues the spirit of ‘saving the world’. As such, Jung In Bo sees the Practical learning of Dasan as the basis of the Sincere mind. This shows its eminent difference among other Practical academies of Chosun dynasty in its standpoint of Practical learning based on Sincere mind. Owing to influence of Sincere mind inherited from Yang-ming studies, Dasan produced hundreds of books for Practical learning (실학) focused only on the ‘real interest and welfare of the country and people’

      • KCI등재

        19세기 강화학파 학자들의 현실 인식과 대응 논리 ― 이시원(李是遠)과 이건창(李建昌)을 중심으로

        한정길 ( Han Jeong-gil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8 大東文化硏究 Vol.104 No.-

        한국의 근대는 커다란 곡절을 겪는 매 시기마다 특별한 사정들을 지니고 있다. 한국 근대 강화학파 양명학자들의 시대 인식과 대응 논리도 그 구체적인 시기마다 달라지지 않을 수 없었다. 19세기 병인양요 당시에는 이시원의 절의정신이 대변하듯이 서양을 오랑캐로 인식하고 배척하는 태도를 보인다. ‘成仁取義’의 절의정신은 孔孟으로부터 내려오는 유학의 고유한 정신이다. 따라서 이시원의 절의정신의 근원을 양명학으로만 제한할 수는 없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정치의 중심부에서 밀려난 소론 계통의 강화학자, 그것도 양명학을 가학의 기반으로 삼고 있는 이시원이 유학의 생명인 절의정신을 몸소 구현 했다는 점이다. 이제 이시원으로 인하여 강화학은 다른 어떤 유파의 학문에도 위축됨이 없이 떳떳하게 자신을 드러낼 수 있게 되었다. 이건창에 이르면 ‘실심에 입각하여 실사에서 실천을 통해 실효를 거두는’ 강화학파의 정신이 보다 명료하게 나타난다. 그에게서 實心은 誠=實理=眞心으로 이해된다. 실심으로 실사에서 실천을 통해 실효를 거두고자 하는 강화학파의 정신은 이건창의 학문 활동과 경세사상의 근본원리로 작용한다. 이 원리에 따라 그는 경세방면에서 보수적 위정척사론을 거부함과 아울러 외세 의존적인 개화파를 비판하고, 자주적 개혁론을 주장한다. 그리고 학문 활동에서는 다양한 학문을 비판적으로 흡수하고 자신의 독자적인 학문세계를 건립한다. This paper examines how Yi Si-won and Yi Geon-chang, representative scholars of the Ganghwa School in late 19th century Joseon Korea, perceived their time and how they coped with reality. The Ganghwa School establishes a theoretical base from Yangming Studies. Therefore, what this research investigates is also related to the role of Yangming Studies in resolving the difficulties faced by Joseon in its closing period. Yi Si-won protested against injustice by taking his own life when the Ganghwa fortress was seized by the French army in 1866. Yi dismissed the West as barbarians and took an averse attitude to them. His faithful mind is the unique spirit of Confucianism descended from Confucius and Mencius; therefore, we can not say Yi Si-won's faithful mind was solely influenced by Yangming Studies. What deserves to be emphasized regarding Yi Si-won is that, as a Ganghwa School scholar in the line of the Young Doctrine who had been withdrawn from mainstream politics, he put his faithful mind of Confucianism into practice in person. Indebted to Yi Si-won, the Ganghwa School was able to firmly secure their academic position among other schools of thought. Yi Geon-chang more clearly reveals the spirit of the Ganghwa School, which is based on the Sincere Mind and values actual effects produced by practice in real-life situations. He understands the Sincere Mind as sincerity(誠,) real principle(實理), and true heart(眞心). This spirit of the Ganghwa School serves as a fundamental principle of Yi Geon-chang's academic activities and thoughts on governance. Adhering to this principle, he refutes the conservative stance of Defending Orthodoxy and Rejecting Heterodoxy(衛正斥邪). In addition, he criticizes the Enlightenment party for depending on foreign powers and upholds independent reform. Furthermore, in his academic activities, he absorbs various thoughts critically and builds his own intellectual world.

      • KCI등재
      •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대학』 이해와 그 정치사상적 의미

        한정길(HAN Jeonggil)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0 泰東古典硏究 Vol.44 No.-

        이 연구는 다산 『대학』관의 특징과 그 정치사상적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그 연구 방법으로는 다산 『대학』관의 정치사상적 의미를 주자학이나 양명학의 그것과 비교하여 고찰하는 방식을 취했다. 이를 통해 다산의 『대학』관이 경학사상사에서 지니는 의의도 함께 살펴보고자 했다. 다산은 ‘대학’을 ‘태학’으로 풀이한다. 그리고 『대학』을 최고 통치자 집단을 양성하는 목민학의 기본 교재로 여긴다. 이것은 다산이 군주를 중심으로 한 관료정치를 지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다산은 ‘명덕’을 효·제·자로 풀이하고, 천하에 명덕을 밝히는 방법을 ‘친민’에서 찾는다. 그는 ‘친민’을 천자가 태학에서 효·제·자의 예를 실천하여 모범을 보임으로써 ‘백성들이 그것을 본받아 서로 친하는 것’으로 풀이한다. 이것은 다산이 유가의 인륜가치가 실현되는 세상을 지향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다산은 ‘격물치지’를 ‘물’의 본말을 헤아리고, ‘일’의 종시를 아는 것으로 풀이한다. 이것은 기존 주자나 왕양명의 ‘궁리’와 ‘치양지’의 정치사상을 부정했다는 의미를 지닌다. 다산은 ‘성의장’을 하나의 독립된 장으로 봄으로써 ‘성의’를 ‘치국·평천하’를 실현하는 근본 공부로 설정할 수 있었다. 다산은 ‘평천하장’을 『대학』의 중심으로 여기고, 그로부터 정치이념과 그것을 실현하는 방법 및 정사의 두 가지 강령을 도출해 낸다. 그는 입현공치와 안민정치를 통해 백성들의 원욕(願慾)을 구현하고자 했다. 이것들은 주자학이나 양명학의 『대학』관과 비교할 때 다산만의 독자성을 확보한다는 점에서 그 경학사상사적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Dasan Jeong Yak-yong’s understanding of the Great Learning and its significance as political thought. It examines Dasan’s political thought reflected in his understanding of the Great Learning in comparison with that of Zhuzi studies or Yangming studies. It also assesses the importance of Dasan’s understanding of the Great Learning in the history of thoughts on Confucian classics. Dasan interprets daxue 大學 as taixue 太學 (Imperial Academy) and regards the Great Learning as the basic textbook of ‘the study of governing the people’ (mumin xue 牧民學) that educates a group of supreme rulers-to-be. This shows that Dasan was pursuing a centralized bureaucracy with the king as its nucleus. Dasan understands mingde 明德 (illustrious virtue) as xiao 孝 (filial duty), ti 悌(politeness) and ci 慈 (benevolence), and find the way to manifest illustrious virtue in qinmin 親民, which, in his interpretation, means that people come to love each other by following the example of the monarch’s practicing xiao, ti and ci in the Imperial Academy. This reveals that Dasan aims for a world where Confucian morality is realized. Dasan interprets gewu zhizhi 格物致知 as discerning the root and branches of ‘the thing’ and knowing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work.’ This interpretation is worth noting since it shows that Dasan’s political thought follows neither Zhu Xi’s theory of ‘exploring the principles of things’ nor Wang Yangming’s theory of ‘extending innate knowledge.’ Dasan deems the “Chengyi” 誠意 (making the will sincere) chapter an independent chapter, which enables him to present ‘making the will sincere’ as a fundamental study for ‘ruling the country and making the world at peace.’ Dasan regards the “Ping Tianxia” 平天下 (making the world at peace) chapter as the core of the Great Learning, and derives political thought and the method of realizing it from this chapter. He also formulates two political measures based on this chapter: employing talented and virtuous men and caring the people. By implementing these measures, he is intent on fulfilling the desires of the people. This political thought endows Dasan with scholarly originality in interpreting the Great Learning, distinguished from Zhuzi studies and Yangming studies. In this regard, Dasan’s political thought derived from the Great Learning has considerable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thoughts on Confucian classics.

      • KCI등재

        유학(儒學)에서의 정통(正統)과 이단(異端) -주자학적(朱子學的) 도통론(道統論)에 대한 양명학(陽明學)의 대응을 중심으로-

        한정길 ( Jeong Gil Han ) 율곡학회 2010 율곡학연구 Vol.21 No.-

        이 글은 유학이 자신의 정체성과 정통성을 어떻게 확보해 가는지를 논의한 것이다. 유학은 道統論을 정립하고 異端을 비판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정체성과 정통성을 확보해 나간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정통성의 문제를 둘러싸고 유학 내부에서 논쟁이 일어난다. 그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바로 주자학과 양명학 사이의 논쟁이다. 이 글에서는 주자학의 정통성 주장에 대한 양명학의 대응 양상을 살펴보았다. 주자는 孟子와 韓愈, 北宋代 道學의 道統論을 비판적으로 계승하여 도통의 계보를 새롭게 확정한다. 주자는 그 도통의 내용을 ‘천리를 밝히고, 인욕을 제거하는 것’으로 요약한다. 天·人과 內·外를 관통하는 천리가 도학의 핵심내용이 된 것이다. 이 점은 송대 이전의 도통론이 仁義로 대표되는 인륜성을 道의 주요 내용으로 본 것과 비교할 때 특징적이다. 주자학은 천리를 중심으로 한 이론체계를 정립하고, 그에 근거하여 異端을 비판한다. 주자학의 도통론에서 陸象山과 王陽明의 학문은 禪學으로 비판된다. 왕양명은 聖人之學을 心學이라고 규정한다. 그에 의하면 성인지학의 요체는 ‘천지만물을 一體로 간주하는 마음’이며, 그 마음이 바로 中이고, 道心이고, 良知이다. 왕양명은 심학의 입장에서 도통론을 새롭게 정립함으로써 주자학의 정통성에 정면으로 대응한다. 양명의 도통론에서는 외부사물의 理를 궁구하는 주자의 格物法이 도통의 맥락에서 배제되고, 마음을 밝힐 것을 강조하는 상산학이 포함된다. 그런데 양명은 주자가 말년에 窮理學의 支離함을 자각하고 심학으로 전향하였음을 발견하고, 그것을 「朱子晩年定論」으로 엮어 낸다. 이 작업으로 인해 양명은 주자를 다시 도통의 계보 가운데 끌어들일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한편으로 이 작업은 주자의 中年未定說에 빠져 있는 주자학자들을 異端으로 비판하는 근거가 된다. 주자학자들은 양명학을 이단으로 비판하지 않으면 자신이 도리어 이단이 되어버리는 지경으로 몰리게 된 것이다. 退溪를 중심으로 한 조선의 주자학자들이 양명학을 비판하지 않을 수 없었던 그 사상사적 배경도 바로 여기에 있다. This writing is what discussed about how Confucianism proceeds with securing its identity and legitimacy. Confucianism proceeds with securing its identity and legitimacy with a method of establishing the theory of Dao-tong(道統論: the legitimate transmission of the Orthodoxy) and of criticizing heterodoxy(異端). By the way, the controversy occurs in Confucianism surrounding a problem about legitimacy in this process. What is typical in the middle of it is just the controversy between Zhuxi Studies (朱子學) and Yangming Studies(陽明學). This writing examined the coping aspect in Yangming Studies with the assertion of legitimacy in Zhuxi Studies. Zhuxi newly confirms genealogy in Dao-tong by critically succeeding to the existing theory of Dao-tong. Zhuxi summarizes the contents of its Dao-tong as `what clarifies the Principle of Nature(天理) and removes selfish human desires.` It is what the Principle of Nature(天理), which penetrates nature and human being, internal and external, became the core content of moral philosophy(道學). Zhuxi`s Studies criticizes heterodoxy based on this Principle of Nature(天理). In the theory of Dao-tong of Zhuxi Studies, the studies of Liuxiangshan(陸象山) and Wangyangming(王陽明) are criticized as the doctrine of the Zensect(禪學). Wangyangming(王陽明) prescribes the Doctrine of the Sage(聖人之學) as the Learning of Mind(心學). According to him, the essentials in the Doctrine of the Sage is the mind of regarding Heaven, Earth, and the myriad things as one body, and its mind is just the mean(中), the moral mind(道心), and innate knowledge of good(良知). Wangyangming newly establishes the theory of Dao-tong from the position of the Learning of Mind, thereby squarely coping with the legitimacy of Zhuxi Studies. In Yangming`s theory of Dao-tong(道統論), Zhuxi`s method of the investigation of thing(格物法), which devises Yi(理) in the external object, is excluded from the context of Dao-tong. Xiangshan Studies(象山學), which emphasizes what clarifies mind, is included. By the way, Yangming discovers that Zhuxi turned to the Learning of Mind with perceiving the tediousness in investigating the principle of things at late in his life, and complies it as 「Zhuxi`s final conclusions arrived at late in life(朱子晩年定論)」. Owing to this work, Yangming came to possibly take Zhuxi again to the middle of genealogy in Dao-tong. By the way, in the meantime, this work becomes the ground for criticizing scholars of Zhuxi Studies, who are absorbed in Zhuxi`s tentative conclusions of his middle age(中年未定說) as heterodoxy. The scholars of Zhuxi Studies come to be driven to the state of resulting in being rather heterodoxy given not criticizing Yangming Studies as heterodoxy. Here is just even the ideological background that scholars of Zhuxi Studies centering on Tuixi(退溪) couldn`t help criticizing Yangming Studies.

      • KCI등재

        마음 수양에 관한 조선 유학자들의 성찰 보고서: 『국역 심경 주해총람』(상·하)

        한정길(Han, Jeong-Gil) 역사실학회 2017 역사와실학 Vol.62 No.-

        이 글은 『國譯 心經 註解 總覽』(上·下)을 소개하고, 『심경』 및 『심경부주』에대한 조선 유학자들의 대응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국역 심경 주해총람』은 진덕수(眞德秀, 1178~1235)의 『심경』 및 정민정(程敏政, 1445~1499)의 심경부주에 대한 조선 유학자들의 주석서와 논설 가운데 중요한 내용을 발췌하여 번역·주해한 것이다. 『심경』은 유가 심학의 연원과 그 공부법을 간이하게 정리한 책으로, 주자학적 마음공부의 실천 매뉴얼이라고 할 수 있다. 『심경부주』는 『심경』원문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주석을 송대 여러 학자들의 말 가운데서 뽑아 새롭게 편집한 것이다. 조선에서 『심경』과 『심경부주』에 대한 대응은 한결같지 않다. 16세기 조선 유학자들의 대응은 퇴계학파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당시 퇴계학파의 대응양상은 두 가지로 나타난다. 하나는 『심경』과 『심경부주』를 존숭하여 그에 대한 상세한 해설 작업을 진행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정민정의 『심경부주』를 탐탁지 않게 여겨 새로운 형태의 『심경』주석을 만든 것이다. 이황의 『심경』 연구는 『심경부주』를 성학(聖學)의 지침서로 확고하게 자리를 잡게 했다는 점에서 그 사상사적 의의가 있다. 17세기에는 『심경』 연구가 기호학파에게까지 확산된다. 17세기 기호학파의 『심경』연구 양상도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심경』과 심경부주를 존숭하면서 그에 대한 명료한 주석 작업을 진행한 부류와, 『심경』과 『심경부주』 체제와 내용에 불만을 갖고 『심경』을 새롭게 만들려고 한 부류이다. 기호학파의 『심경부주』연구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송시열의 『심경석의』이다. 송시열은 『심경부주』에 대한 이황의 관점을 대부분 계승하면서도 기호학파의 입장에서 수용하기 어려운 이황의 견해를 직·간접적으로 비판한다. 18세기에는 주자학에 비판적인 양명학자와 실학자들이 새롭게 등장한다. 이에 따라 『심경』과 『심경부주』에 대한 대응도 보다 다양한 양상을 띠고 전개된다. 기호학파에서는 심경석의에 나타난 송시열의 관점을 보다 명료하게 계승·발전시킨 작업들이 이루어진다. 영남학파에서는 『심경부주』에 대한 이황의 관점을 옹호·계승하여 자신들의 학문적 정통성을 재확립하려고 한다. 한편 기존연구와는 그 결을 완전히 달리하는 ‘심학’ 연구가 이때 이루어진다. 바로 정제두의 『심경집의』이다. 『심경집의』는 『심경』과 『심경부주』가 ‘성학서(聖學書)’로서 부적합하다고 판단하고, 정제두 자신이 양명학의 관점에서 ‘성학서’를 새로 편집한 것이다. 조선유학사에서 『심경』 연구가 주자학의 범위를 완전히 벗어난 것이 있다.바로 19세기에 이루어진 정약용의 『심경밀험』이다. 『심경밀험』에는 인간의 심성과 공부법에 대한 정약용의 독특한 이해가 담겨 있다. 정약용의 『심경밀험』은 정제두의 『심경집의』와 더불어 그동안 『심경부주』 연구로 이어져 온 주자학적 수행이론의 한계를 자각하고, 새로운 대안으로 제출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