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18세기 호락논변에 끼친 율곡학의 영향 - ‘理通氣局說’을 중심으로

        이천승 (사)율곡학회 2014 율곡학연구 Vol.28 No.-

        This paper is an examination of Yul-gok(栗谷)’s theory of ‘Li-tong Ki-kuk(理通氣局)’, which is representative of Korean philosophy, and the related discourse of successive academics. Korean philosophers have sought to be liberated from the quintessential search for tangible desires that inevitably plague human kind, in achieving a morality that overleaps the bounds of human nature. Yul-gok refers to the natural state of human desire as ‘Ki(氣)’, or ‘Ki-jil’ essential energy(氣質), and argues that humans are, from the outset, imbued with a morally pure essential energy. Yul-gok’s notion of ‘Li-tong Ki-kuk’ fundamentally asserts that this pure, moral essential energy allows one to attain the universal logic that underlies the world. However, Yul-Gok acknowledges the reality that humans do not solely possess a pure essential energy. Subsequently, he emphasises the need to constantly strive to transform other various kinds of essential energy in order to restore one’s original, pure heart. Two schools of thought centred upon the eighteenth-century scholars ‘Nam-dang(南塘)’ and ‘Whe-am(巍巖)’ largely characterise the contention surrounding Yul-gok’s propositions. Nam-dang suggests that irrespective of the extent to which a human is pure, they can not entirely rid themselves of the essential energy that is ground in their biological configuration more specifically, the influence of Ki-jil or natural disposition. He argues that strict, external moral codes that regulate humans are necessitated by our potential to conduct evil as a result of the longing to pursue our natural desires. On the contrary, Whe-am emphasises that humans possess a pure heart that is untainted by greed, from birth. He presents a hopeful and optimistic perspective, contending that the primary aim of study is to locate this pure essential energy that exists within the human heart. This theoretical approach has been coined ‘Ho-rak(湖洛)’ discourse. Although ‘Ho-rak’ discourse has been the subject of debate that, at times, has rendered its expression in extreme terms, ‘Ho-rak’ discourse does not, to a large extent, diverge from ‘Yul-gok’ philosophy. This may be attributed to the breadth of the spectrum of essential energy encompassed by Yul-gok’s proposal that various kinds of natural tendencies should be transformed so as to achieve the practice of pure morality. However, Ho-rak theory may be distinguished from Yul-gok philosophy, in terms of the rationale it proposes for the inability to narrow the breadth of this essential energy. 이 논문은 18세기 한국 성리학계의 쟁점이었던 호락논변에서 율곡의 ‘理通氣局’에 대한 남당과 외암의 논변을 통해 율곡학의 전개양상을 검토하려는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기의 발동을 통해서만 본연의 리가 구현될 수 있음을 주장하는 율곡의 입장에서는 본체가 구현될 토대로서 사사로운 감정에 변절되지 않을 기에 대한 적극적 해명이 필요했다. 그는 이통기국설을 통해 형체를 지니지 않지만 본체와 현상에 두루 통하는 보편적 리의 실재성을 재확인함과 동시에, 국한되고 다양한 기의 변화 속에서도 우리 인간에게는 리와 직결되는 담일청허한 순선한 기의 본체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선악이 교차하는 긴장의 연속이 현실적 삶의 진솔한 모습이다. 기질을 변화시키려는 각고의 노력을 통해 보편적 리가 구현될 수 있는 순선한 기를 회복하는 과정이 인간다움의 길임을 보여주려 한 것이다. 본체와 현상의 적절한 조화로움을 설명하려는 이통기국설은 아이러니컬하게도 18세기 남당과 외암을 비롯한 율곡학의 후예들을 격론의 현장으로 불러일으켰던 계기로 작용하면서 논의의 폭과 깊이를 더했다. 율곡학의 후예로서 남당과 외암을 축으로 하는 호론과 낙론의 대립적 견해인 호락논변에서 율곡의 논리를 확대할 때 나타날 수 있는 극단적 견해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남당은 현실적으로 기질이라는 체질(형기)이나 심리적 차이로 인해 본체와의 합일을 찾기 어렵다는 판단에서 기질 자체의 한계를 극복하기 보다는 기질을 초월한 엄격한 도덕규범의 필요성을 희망한다. 이와 달리 외암은 본체와 직결되는 담일청허한 본연의 기를 내면에서 찾는 과정을 공부의 핵심으로 보고 인간의 본성에 대한 낙관적인 희망의 싹을 놓지 않는다. 상대의 예리한 비판을 염두에 둔 논변의 전개과정에서 비록 극단적 양상을 보이기는 했지만, 호락논변은 크게 보면 율곡학의 테두리를 벗어난 것은 아니었다. 본체와 현상을 관통하는 리와 그 구현기제로서 기질변화를 염두에 두고 율곡이 제시했던 기의 스펙트럼은 그만큼 넓었던 것이다. 그러나 호락논변에서 율곡학의 후예들이 보여주듯 그 넓이만큼이나 좁힐 수 없는 사유의 차이를 가져왔다.

      • KCI등재

        17세기 이후 율곡학의 계승 양상과 절충파 등장의 意義(의의) -성리설을 중심으로-

        최영성 ( Young Sung Choi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5 율곡학연구 Vol.30 No.-

        이 글은 17세기 이후 학계ㆍ사상계의 주류를 이룬 율곡학의 계승을 고찰하고, 율곡학파의 분화 과정에서 등장한 절충파의 성격과 사상사적 의의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조선 성리학사를 보면 학파간 대립의 연속이었다. 그러나 내면적으로는 17세기 후반 무렵부터 퇴계학파와 율곡학파 학인들 사이에서 상대측 학설을 의식하는 움직임이 일었다. 또 이것을 지속시켜 조선 성리학사를 새로운 국면으로 이끌어갔다. 퇴계학파와 율곡학파 사이를 좁히고자 먼저 행동으로 옮겼던 쪽은 기호학파 학인들, 특히 김창협(金昌協) 계열이었다. 그들은 학문적으로 율곡학파의 계통을 이었고 정파상으로도 노론에 속하였지만, 율곡설을 기본으로 하면서 퇴계설을 수용하여 ‘제삼의 학설’을 이끌어냈다. 또 김창협을 전후 한 시기의 박세채(朴世采)ㆍ조성기(趙聖期)ㆍ임영(林泳) 등 소론계 학인들 역시 율곡학파의 우산 속에 포함되는 인물이면서도, 율곡 학설에 이의를 제기하고 퇴계의 설을 수용하여 이른바 ‘절충파’를 형성하였다. 김창협 계열의 학자와 절충파 학자들은 율곡설이 지닌 한계와 문제점에 대하여 명확하게 인식하였다. 또 퇴계ㆍ율곡의 학설을 상호 보완적인 것으로 파악하였다. 학파와 당파의 장벽이 엄연하던 시절에 율곡설의 한계를 극복할 만한 대안을 퇴계설에서 찾으려 했던 점, 또 존재론의 차원과 도덕론의 차원을 구분해서 보아야 한다고 강조한 것은 학술 발전사에서 중요한 진전이라 하겠다. 성리학이라는 범주 안에서 학설에 대한 해석을 놓고 학파가 나누어지는 것은 자연스런 일이다. 또 성리학의 발전에 긍정적인 기능을 하였다고 본다. 특정한 학설을 놓고 오랫동안 연구가 계속되고 비판과 수용이 이루어지며, 또 한 학파의 전통이 수백년 동안 이어졌던 것은 특기할 만한 일이다. This thesis is aimed at consideration of the succession of Yulgok’s school, which comprised the main stream of academia in Joseon since 17th century, and research on features and implications of the eclectic faction, rising while the Yulgok’s school split. The history of Neo-Confucianism in Joseon was a concatenation of factional strife among different schools. However, there was a new wave of embracing the other’s idea between the Toegye’s school and Yulgok’s school. It had led to making a new phase in the history of Neo-Confucianism in Joseon. Those who made the very first gesture to bridge each other schools were some scholars from the Yulgok’s school, especially the people of Kim Chang-hyeop. Although they academically succeeded the Yulgok’s school and politically belonged to No-ron (老論, the hard-liners of Western faction), they accepted the theory of Toegye and constructed the third theory without excluding their academic basis of the Yulgok’s. In addition to Kim Chang-hyeop, there were other scholars from So-ron(少論, the moderates of Western faction) including Park Se-chae, Jo Seong-gi and Im Yeong, as another academic stream of the Yulgok’s school, that raised objections to the Yulgok’s theory and embraced the perspective of the Toegye’s form the eclectic faction. The scholars from Kim Chang-hyeop and from the eclectic faction clearly appreciated the limits and drawbacks of Yulgok’s theory. Moreover, they regarded the theory of Toegye as complementary. Considering that era was in the strict barrier of schools and factions, it is noticeable progress in the development of academic history that they made great efforts to find the answer to the limits of Yulgok’s theory in that of the opponent, Toegye’s school, and emphasized the necessity of distinguishing the matter of ontology from that of ethics. In Neo-Confucianism, it is natural for the schools to split while in argument of how to comprehend the theory. Furthermore, it seems to have played a positive role in development of Neo-Confucianism. It is worth special attention that the tradition of a school had been succeeded for hundreds of years as well as there had been continuous studies upon a certain theory through numerous diatribe and acknowledgement.

      • KCI등재

        栗谷(율곡)의 經世論(경세론)과 疏通(소통)의 精神(정신)

        손흥철 ( Heung Chul Son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3 율곡학연구 Vol.27 No.-

        栗谷李珥(1536∼1584)의 經世觀은 철저하게 君主·士林(官僚)·百姓의 소통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그 가운데서도 율곡은 君主의 역할을 매우 중시한다. 율곡의 道學政治의 신념에 따라 聖人君主를 주장한다. 따라서 군주는 최선을 다하여 修身과 修養을 해야 하며, 현명한 臣下를 등용하고, 백성들의 소리를 적극 수렴해야 한다. 이것이 王道政治를 실현하기 위해서 군주가 해야 하는 소통의 정신이다. 신하(선비, 관료)는 최선을 다해서 자신을 수양하고, 백성들의 여론이 군주에게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수렴되도록 해야 하며, 君子의 품위를 잃지 않아야 한다. 왕도정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먼저 백성들의 生業을 안정시킨 후에 그들을 가르쳐야한다. 율곡은 養民이 敎民보다 優先한다고 보았다. 왜냐하면 “쌀독에서 인심난다.”는 속담처럼 衣食住가 안정되지 않으면, 道德倫理를 지킬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런 면에서 율곡은 “恒産”을 강조하였으며, 이러한 율곡의 철학이 조선후기의 근대적 경세사상으로 발전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율곡은 왕도정치의 실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언론의 자유가 보장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언론의 자유에 대한 율곡의 자세는 매우 단호하고 그 사상적 체계도 훌륭하다. 그의 왕도정치는 여론정치라고 할 만큼 현대적이다. 율곡이 주장한 여론정치는 언로의 확대 곧 언론의 자유보장, 공론의 소통, 군주와 신하의 공론수렴, 正名에 근거한 공론의 형성을 강조하였다. 율곡은 우리에게 “훌륭한 지도자는 어떤 사람인가?”, “선비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진정한 福利란 어떤 것인가?”, “자유롭고 정의로운 言論이란 어떤 것인가?”를 제시해 주었다. Yulgok Li Yi(栗谷李珥. 1536∼1584) developed his administration theory with rigorous communication between absolute monarch, Confucian scholar and the public. Particularly, he emphasized the role of monarch. Yulgok insisted saint monarch at his request of ethics politics. So, absolute monarch must do self-discipline, engage men of ability and wise, and act in accordance with public opinion. This is for realizing royal politics(王道政治) plumb the mind of communication. For realizing royal politics, Yulgok insisted three conditions. First is rearing people(養民) and education of public(敎民). Because poor people can`t observe moral ethics. Second, He layed stress on the freedom of the press, and the communication of public opinion(公論). So, Yulgok`s administration theory showed us the best leader, the spirit of classical scholar, and free and justice of the press.

      • KCI등재

        栗谷 性理學과 21세기 리더십

        손흥철 (사)율곡학회 2019 율곡학연구 Vol.40 No.-

        Today in the 21st century desperately needs a leader and leadership that will lead to the right The Change. This article is aimed at examining the leadership of Yulgok(栗谷) Lee-Yi(李珥, 1536~1584)'s ideas and exploring its modern feasibility. In this article, I first studied the academic spirit of Yulgok along with the course of his academic achievement. Yulgok did extensive reading the Three Thought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Through this, I argued that the study of Yulgok, which sought truth extensively, could be the basis for communication and convergence. Second, I explained that Yulgok’s the theory of the all penetrating Li(理) and defining Qi(氣) became a metaphysical basis for enabling the special meaning and universal communication of things and people. Third, we looked at the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activities of Yulgok and his the view of dealing with worldly affairs. Here I confirm that Yulgok has fulfilled its patriotism, respect for humanity and justice through religious piety. Fourth, it is a thorough sense of mission to national society. The reason why Yulgok opposed the party was because of the national interest. Yulgok proposed many reform theories, such as the Daedongbeop, for the sake of the nation and the people. This is the spirit of practical philosophy. Lastly, Yulgok's philosophy is not truly evaluated due to its academic research attitude, such as heresy and the enemy of disrupting Confucianism(斯文亂賊). The philosophy of Yulgok contains a genuine academic spirit, patriotism and leadership that is needed in this era. However, the philosophy of Yulgok contains a genuine academic spirit, patriotism and leadership needed in this era, which should be revived as a problem of today. 21세기 현대는 올바른 변혁을 이끌어 갈 지도자와 지도력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이 글은 한국의 대유학자이면서 위대한 경세가(經世家)였던 율곡(栗谷) 이이(李珥, 1536~1584)와 그의 사상에 담긴 지도력을 탐구하고 그 현대적 실현 가능성을 탐색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 글에서는 먼저 율곡의 학문성취 과정과 함께 그의 학문 정신을 연구하였다. 주지하듯이 율곡은 유·불·도(儒佛道) 삼교를 섭렵하였다. 필자는 이를 통하여 폭넓게 진리를 추구한 율곡의 학문은 소통과 융합의 토대가 될 수 있음을 논증하였다. 둘째, 율곡의 리통기국론(理通氣局論)이 사물과 사람의 특수(特殊)와 보편(普遍)의 의미 및 상호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형이상학적 근거가 됨을 설명하였다. 셋째, 율곡의 경세(經世)와 처세관(處世觀)을 살펴보았다. 여기서 필자는 율곡이 종교적 경건함으로 애국정신, 인간존중, 정의를 실현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국가사회에 대한 투철한 사명의식이다. 율곡이 붕당을 반대한 이유는 국익(國益)을 위해서였다. 율곡은 국가와 백성을 위하여 대동법과 같은 많은 개혁적 이론을 제안하였다. 이것은 실천철학의 정신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율곡의 철학은 이단(異端)과 사문난적(斯文亂賊)과 같은 편 가르기식의 학문연구 태도 때문에 진정한 평가를 받지 못한다. 그러나 율곡의 철학에는 진정한 학문 정신과 애국정신 그리고 이 시대에 필요한 리더십이 담겨있으며, 이를 오늘의 문제로 되살려야 한다.

      • KCI등재

        연구논문 : 율곡학의 심학적 계승과 변용

        김세정 ( Sea Jeong Kim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1 율곡학연구 Vol.23 No.-

        다양성과 유연성 그리고 비판의식과 창조정신을 율곡과 율곡학파의 주요한 학문적 특징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율곡학의 이러한 특성을 함축하고 있는 흐름 가운데 하나가 바로 ``율곡학의 심학적 계승과 변용``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흐름은 明齊 尹拯을 징검다리로 하여 霞谷 鄭齊斗를 통해 완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율곡학이 명재를 거쳐 하곡에 이르러 어떻게 심학적으로 계승되고 변용되었는지를 고찰하였다. 2장에서는 율곡의 양명학에 대한 입장과 율곡의 誠 사상을 중심으로 율곡학에 내재된 심학적 요소에 대해 고찰하였다. 3장에서는 율곡-명재-하곡으로 이어지는 학문적 연원 관계에 대해 살펴보면서 명재를 통한 하곡으로 계승된 誠 사상의 특징에 대해 고찰하였다. 율곡으로부터 발원하여 명재를 통해 하곡으로 이어지는 심학적 변용과 창조의 밑바탕에는 ``誠``과``寬``이라는 공통분모가 존재한다. 그들에게 있어``誠``·``寬``은 우주자연과 인간의 진실한 생명본질이자 또한 역동적인 삶의 표현방식이다. 명재가 율곡의 誠과 寬의 계승이라는 바탕 위에 務寬寬學을 꽃피웠다면, 하곡 또한 이들을 계승하여 良知心學을 꽃피웠다. 4장에서는 율곡 이기론에 대한 하곡의 비판과 더불어 하곡의 心理說에 대한 고찰을 통해 하곡의 良知心學으로의 변용적 측면을 살펴보았다. 하곡은 율곡과 주자의 物理와 차별화된理氣一體的 존재로서의 생리生理를 제시한다. 生理는 존재 원리와 도덕규범을 창출하는 주재자임과 동시에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도덕 실천력으로서 율곡에 비해 보다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인간으로 한 발 더 나아간다. 또한 하곡은 體用一源·體用合一體로 서의 良知를 제시한다. 양지는 知行合日體로서 하곡의 良知心學은 知行竝進을 주장하는 율곡에 비해 인간의 주체성과 능동성은 물론 실천성을 보다 더 강조하고 강화하는 방향으로 變容되었다고 할 수 있다. The main characteristics of Yulgok and the Yulgok school are diversity, flexibility, critical consciousness and creativity. One of the characteristics that contain such feature is the Simhak success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Yulgok philosophy.` This trend was completed by Hagok Jeong Jaedu through Myeongjae Yoon Jeung. In this area, it examined how the Yulgok philosophy was succeeded and transformed in terms of Simhak to Hakgok through Myeongjae. The common features of such Simhak transformation and creativity were ``Seong(誠)and ``Sil(實)``. ``Seong`` and ``Sil`` are dynamic expression of life and the true essence of life. While Myeongjae blew practical Silhak based on the succession of ``Seong`` and ``Sil``, Hagok also produced flowers of ``Yangji Simhak`` by succeeding it. Hagok suggested the natural laws and life laws. Life laws are initiators of creating existing principle and moral norms as well as represent subjective and active moral practicality. Thus, it went a step further to more subjective and proactive than that suggested by Yulgok. The Hagok philosophy was transformed to reinforce practicality on top of human subjectivity and activity compared with the Yulgok philosoph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우암의 율곡 이해와 전승 -그 持守와 變通

        곽신환 (사)율곡학회 2009 율곡학연구 Vol.19 No.-

        Someone said that Songsiyeol keep deepfaith of Chushi and practice theory of justice of the Book of Spring and Autumn, through Yulgok school. In act, he studied Chushi thoroughfully, and practiced his moral principles and political ideas eagerly. His research documents about Chushi and deed gave evidences. For him, the scholar who understand chushi theories correctly is Yulgok in Choson Dynasty. Songsiyeol thougt that Yulgok's theories and the direction of life are right and correct. Therefore he decided to observe his thought and if needed, to modify them. At that time, there were academic struggles between Toegye school and Yulgok school. It is necessary to study Chushi's theories hard in order to justify yulgok's theory against Toegye 's theories. He tried to search the criterion in Chushi's books for judging those theories right or wrong. He seeked the references for critic and debating them. For him, overcoming Toegye means succeeding Yulgok. Naturally, Songsiyeol indulged in studying Toegye systematically as well as studying Chushi's theory. He read Toegye 's material thoroughly. And he had debates about his asking of four classics critically and suggested some alternatives. Especially about the theories of li-operating, thing arriving, above form and below form, root and branch. In these consequences, he tried to manage to edit some books about Chushi's Neo-Confucian theories named Chushi ta chuan cha-i, Chushiyenluntong-ikao, Yulei shaopun. On the one hand, Songsiyeol exaggerated to sustain yulgok's business. Among these, there were some books and materials edited by him and gave protections him again various attacking by enemies. And also he engaged in real society by the idea of true mind and true theory which originated by Yulgok. He devoted himself to the country, society, and his neighbours. He tries to establish justice of the time and justice of through times, and to plant them in the people and throw his body at stake to solve the problems of his time. In result, he enjoyed good reputations of a figure of righteousness in Choson dynasty, and a figure who passed Yulgok's position and fame. 우암의 평할 때 흔히 주자를 尊信하고 春秋義理를 높이 실천했음을 들고 또한 율곡을 통하여 이에 접근했다고 한다. 그는 일생 주자를 철저하게 연구하고 그 사상을 적극적으로 실천하였다. 그의 여러 가지 주자 관련 연구물과 행적이 이를 입증한다. 그에게 있어 주자의 이론을 옳게 이해한 사람은 율곡이었다. 우암은 율곡의 이론이 옳고 그 삶의 향방이 바르다고 생각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持守할 것은 지수하고 變通할 것은 변통하여 받들어 나가기로 하였다. 우암 당시 조선의 학계에서 학설의 대립은 퇴계와 율곡 진영 사이에서 전개되었다. 율곡의 옳음을 증명하기 위해서도 그 정당성을 입증하기 위해 주자에 대한 연구와 주자의 이론으로 시비 판결의 기준으로 제시할 수밖에 없기도 하였다. 비판을 위한 논거도 주자에서 찾아냈다. 퇴계에 대한 극복이 율곡의 이론에 대한 繼述이기도 하였다. 자연 우암은 퇴계를 깊이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일면 주자학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에 매진하였다. 그는 퇴계의 문집을 샅샅이 깊이 읽었다. 퇴계의 四書質疑를 비롯한 저술과 이론에 대해서 심도 있는 비판과 代案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理發說 物格說 形而上下 本末說에 대한 퇴계의 이론에 대하여 철저한 고증에 입각하여 비판하기도 하였다. 朱子大全箚疑 朱子言論同異攷 語類小分 등 주자학관련 연구서의 편찬과 도구서의 편찬은 이런 맥락에서 이루어진 사업이다. 한편 우암은 율곡의 사업을 지수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여기에는 율곡의 文廟 配享과 율곡문집에 대한 편찬 그리고 율곡에 대한 각종 공격으로부터 율곡을 지켜내는 일이 들어있다. 또한 그는 율곡과 같이 實心과 實理로 현실 문제에 개입하였다. 적극적으로 經世에 대한 관심을 갖고 헌신하였다. 국가의 時宜와 만고의 通義를 밝히고 이를 부식하기 위한 노력과 함께 時弊를 變通하기 위한 노력으로 심신의 危難을 무릅썼다. 결과적으로 그는 義理의 인물로 조선 유학사에서 우뚝 섰고 이로 인하여 율곡을 넘어서는 평가를 받았다.

      • KCI등재

        율곡 몸공부법의 교육적 재음미 - 『격몽요결(擊蒙要訣)』의 <입지장(立志章)>과 <지신장(持身章)>을 중심으로

        서명석 (사)율곡학회 2016 율곡학연구 Vol.33 No.-

        In the year 1577, at the age of 42, Yulgok published Gyeogmongyogyeol, in which he formulates a practical map of design for sage learning. The chapters of Ibji and Jisin in the book reveal important insights into Yulgok’s form of thinking. This work systematically reviews the learning-questioning and gongfu in Gyeogmongyogyeol, focusing on the chapters of Ibji and Jisin, and inquires into the messages that they bring for the modern day. The main purpose of this work is to investigate and reflect upon the learning-questioning and gongfu within Yulgok’s structure of thinking and the methods he constructed to realize them concretely. Yulgok explains learning very differently from how we do in the present day. He believes that learning lies in sagehood and emphasizes the establishment of the spirit of learning that is the representation of the will to learn in order to become a sage. This kind of learning is very ontological in character. In addition to learning, he greatl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questioning, which consists of posing question such as ‘why must we learn?’, ‘what must we learn?’, ‘how must we learn?’ within the axis of sage learning. To Yulgok, true learning constitutes searching for the answers to these kinds of questions. This manner of learning and questioning consolidate to construct the idea of learning-questioning. This differs greatly from the perspective of science that inquires into the systematic knowledge of a particular sphere. Furthermore, he proposes a set of methods and programs of gongfu for learning-questioning. These are what is called the gongfu method of mom of nine propriety and nine thinking. This gongfu method is the Bildung that regulates and controls the heart and mind to make man into a beautiful and excellent being. Today, the thinking that Yulgok sought to show through sage learning, learning-questioning, establishment of the spirit of learning, nine propriety, and nine thinking is his original humanitas program. Additionally, he shows that even human nature may change through the postnatal effort of man. In other words, Yulgok enlightens us to the point that the gongfu of mom through nine propriety and nine thinking become habit that is second nature. Yulgok evokes the topology and importance of ontological gongfu for the modern man whose only purpose of gongfu in the present day is to actualize his secular desire. 율곡은 그이 나이 42세인 1577년 어린 아이들을 교육시키기 위한 교재로 『격몽요결(擊蒙要訣)』이라는 책을 편찬했다. 율곡은 그가 그리려는 성학(聖學)을 구현하는 실제적인 설계도를 이 책안에 구상해 두었다. 이 책 안에서 <입지장>과 <지신장>은 율곡이 생각하는 사유 방식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는 장들이다. 이 글은 『격몽요결(擊蒙要訣)』의 <입지장>과 <지신장>을 중심으로 거기서 율곡이 보여주는 학문과 공부를 입체적으로 검토하고, 그것들이 오늘날 어떤 메시지를 갖고 있는가를 탐구하는 것이다. 즉 율곡이 그의 사유 구도 속에서 생각하는 학문과 공부 그리고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하여 그가 어떤 방법을 구축해 놓았는가를 입체적으로 탐구하고 성찰하는 것이 이 글의 주요 목적이다. 율곡은 오늘날과 매우 다른 방식으로 배움[學]을 설명한다. 그가 생각하는 배움은 성인됨에 있다. 성인이 되기 위하여 배우겠다는 의지의 표현인 입지를 율곡은 강조한다. 이런 배움의 성격은 매우 존재론적이다. 그리고 그는 배움과 더불어 물음[問]도 매우 강조하게 되는데, 이것은 ‘우리가 왜 배워야 하는가?’, ‘우리가 무엇을 배워야 하는가?’, ‘우리가 어떻게 배워야 하는가?’를 성학의 축 안에서 묻는 것이다. 이러한 물음에 답을 찾아가는 배움이 율곡에게는 진정한 배움이다. 이러한 배움과 물음이 하나로 묶여 학문을 구성한다. 이런 점은 오늘날 특정 분야의 체계적인 지식 등을 탐구하는 것을 학문으로 바라보는 관점과 매우 다르다. 더 나아가서 그는 그가 그리는 학문을 위한 공부의 방법론과 프로그램을 구체적으로 제안한다. 그것들이 이른바 구용(九容)과 구사(九思)라는 몸공부법이다. 이 공부법은 몸과 마음을 잘 규율하고 조절하여 인간을 아름답고 훌륭한 존재로 만들어가는 빌둥인 것이다. 이렇게 율곡이 성학, 학문, 입지, 구용과 구사를 통하여 보여주고자 했던 그의 사유는 오늘날 율곡의 독자적인 인문 프로그램이었다. 또한 인간의 본성도 인간의 후천적인 노력으로 얼마든지 변할 수 있다는 점을 율곡이 알려준다. 즉 구용과 구사를 통한 몸공부는 습관이 제2의 본성이 된다는 점을 율곡이 일깨워 주고 있다. 오늘날 자신의 세속적인 욕망을 실현하는 것이 공부의 유일한 목적으로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율곡은 존재론적 공부의 위상과 중요성을 환기시키고 있다.

      • KCI등재

        19세기 심론(心論)의 주재(主宰) 문제로 본 율곡학의 양상 -임헌회, 송병선, 이항로, 기정진 등을 중심으로

        김근호 ( Goun Ho Kim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4 율곡학연구 Vol.28 No.-

        본 논문은 19세기에 한정하여 심성설에 나타난 ‘주재’의 문제를 중심으로 율곡학파의 심성에 대한 이해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한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주재’의 문제는 19세기 율곡학파뿐만 아니라 퇴계학파에 속하는 한주학파와도 부각되었던 주요 논제들 중의 하나였는데, 이는 18세기 명덕에 대한 理氣論的 해석이 本心에 대한 리기론적 규정으로 전개되면서 19세기 심설 논쟁에서 부각되었던 논제였다. ‘주재’는 心性論에서 心의 機能을 가리키는 말로, ‘본성 실현의 현실적 주체’에 관한 문제의식을 담고 있다. 이것은 19세기 국난 극복을 위한 사회실천의 정당화 과정으로 짐작된다. ‘주재’의 주체, 그리고 대상 등이 19세기 율곡학파 내에서 어떻게 정당화되고 있었는지를 밝히기 위해 먼저 퇴계학파에 속한 李震相의 ‘心’을 중심으로 한 율곡학파 비판의 논점을 살펴보았다. 그의 비판에서 19세기 율곡학파의 心論이 가진 퇴계학파와의 차이를 살펴보고, 또한 율곡학파 心論의 특징을 비판적 시각에서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비판을 중심으로 19세기 율곡문인들 중 任憲晦, 淵齋學派의 종장인 宋秉璿, 蘆沙學派의 奇正鎭, 華西學派의 李恒老 등의 ‘주재’에 관한 논의를 개략적으로 밝혔다. 이 연구는 특히 율곡학파의 심설에 나타난 양상을 18세기와의 연관, 즉 율곡사상의 사상사적 전개과정에서 살피기보다 19세기 퇴계학파와의 차이를 밝힘으로써 율곡학의 심론에 담긴 본지가 어떻게 전개되고 있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overview of Yulgok school[栗谷學派] theory on "ChuJae(主宰, preside)" in the 19th century. At that time, the philosophical problem of "ChuJae" had been given a considerable attention of Neo-Confucianism. Especially, there was a marked contrast between Yulgok school and Toegye school[退溪學派]. The Neo-Confucianists of Toegye school insisted that emotions and behaviour were amendable to the workngs of the human mind and the Mind contained principle and material[心合理氣]. Among them, Yi Jin-Sang(李震相) theorized about the mind theory that Mind is principle(心卽理), which was distinction between their mind theory and a concept of School of Mind(心學). In counterpoint to that of them, Neo-Confucianists of Yulgok school in the 19th century accepted Yulgok`s mind theory that Mind is material force(心是氣). The indifference to Mind theory was also met with in the Lichi(理氣) theoretical explanation problem of "ChuJae(主宰, preside)". Nevertheless there remains an unexplained aspect in recent research. By exploring some key singnifying aspects in their Mind theory, I hope to show them how to justify the Lichi theoretical explanation of "ChuJae(主宰, preside)". Basically, their arguments was coupled with their endeavor to overcome of national crisis. They laid much of the theoretical basis of practical morality, and tried to make head against Western powers by the Expulsion Movement of wickedness[斥邪] and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 KCI등재

        북한의 율곡 연구- 반동적 관념론자에서 선진적 사상가로

        김윤경 (사)율곡학회 2017 율곡학연구 Vol.35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the study of Yi, Yulgok, who enjoyed the highest academic status in Joseon society, has come to be associated with influencing the division of North and South Korea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re have been few studies dealing with the advancements in Yulgok scholarship since the Korean War. Various reasons -the lack of North Korean data, difficulties in accessing data, problems with the political situation, etc.- may be behind this lack of studies of Yulgok scholarship. However, there is also an academic climate in which any discussion of North Korea is excluded from East Asian discourse in South Korea, China and Japan. Since the 2000s, East Asian talks have rapidly been centering around China. In this study, I examine how North Korea, a socialist country such as China has been developing Confucianism for the purpose of justifying the North Korean socialist model while China has been advocating "Neo-Sinocentrism" by combining Confucianism and Maois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of Yulgok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s three trends: the study of the analysis which are based on the ontology and cosmology found in Western philosophy, the study of imperialism and the study of socialist analysis. Second, while South Korea has actively accepted and developed the study of Yulgok through maximizing research methods based on Western philosophy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North Korea has actively proceeded the study of Yulgok based on the theory of enhancing the wealth and military strength of their country and socialism. Third, the study of Yulgok intensively appeared in three periods: the emergence of Juche Ideology in 1967, "March of Suffering" in the mid-1990s and in the mid-2000s. Fourth, Neo-Confucianism was defined as "the reactionary ideology of the Middle Ages"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ereas, Yulgok was praised as a progressive scholar. Furthermore, when Juche ideology pushed down Marx-Leninism in 1967 in North Korea after the De-Stalinization of Khrushchev in the Soviet Union, Yulgok also was reinvented as a politician who was motivated by patriotic ideas such as "the self-reliance of national defense". In the period of "March of Suffering", Yulgok was emphasized as an economic reformer who tried to reform tax systems in the Joseon Dynasty. Since the mid-2000s, Yulgok has been identified an "advanced thinker" who expanded the traditional epistemology and humanism. Fifth, positive discussions on Neo-Confucianism since the 2000s include the desire to maintain the hereditary regime of North Korea through building "Confucian Socialism"system. While China has been using Confucianism as a platform upon which to grow an empire under the value of "Neo-Sinocentrism", North Korea has been using Confucian values ​​to stabilize their hereditary system. 1894년 갑오경장과 과거제 폐지, 이후에 ‘조선 성리학’은 제도권 학문으로서의 절대적 지위를 잃었다. ‘지배 이데올르기’라는 위치에서 내려와 새로운 근대 학문과 대조되는 봉건사회의 ‘낡은 가치’를 대변하게 된 것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조선사회에서 가장 높은 학문적 위상을 지니고 있었던 율곡학이 일제강점기를 지나 남북한의 분단을 거치면서 어떻게 이해되어 나갔는가를 고찰하는데 있다. 해방 이후 북한의 율곡연구 성과를 다룬 연구는 거의 없었다. 북한자료의 부족, 자료접근의 어려움, 정치적 원인 등이 원인이겠지만, 한 중 일 삼국의 동아시아 담론에서 ‘북한’이 제외되어 있는 학문풍토도 근본적 이유일 것이다. 2000년대 이후 동아시아담론은 급속하게 중국을 중심으로 형성되어가고 있다. 중국이 유교와 마오이즘을 결부시켜 새로운 ‘중화주의’를 표방하는 가운데, 같은 사회주의 국가인 북한이 북한식 사회주의 모델을 위해 유학을 어떻게 연구하고 있는가를 ‘율곡연구’를 중심으로 규명해 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제강점기의 율곡연구는 세 가지 경향성-서양 철학의 본체론·우주론의 분석 방식에 의한 연구, 제국주의의 부국강병론에 기반 한 연구, 사회주의적 분석에 의한 연구-을 가진다. 둘째, 남한이 일제강점기의 서양철학에 기반 한 율곡 연구방법을 적극 수용하고 발전시켰다면 북한은 부국강병론과 사회주의에 기반 한 율곡 연구방법을 적극 계승하였다. 셋째 북한의 율곡연구는 1967년 ‘주체사상’의 등장, 1990년대 중반 ‘고난의 행군기’ 2000년대 중반 등 세 시기에 집중적으로 등장하며 이것은 북한이 정치와 학문이 일치되는 사회임을 보여준다. 넷째, 해방 이후 성리학은 ‘중세 동양의 반동 사상’으로 규정되었지만 그 가운데에서도 율곡은 진보적 교육가로 칭송되었고, 후루시초프의 스탈린 격하운동 이후 1967년 주체사상이 마르크스 레닌주의를 하위로 밀어내는 시기에 율곡은 애국애민의 ‘자주국방론자’로 부각되었다. 또한 ‘고난의 행군 시기’ 율곡은 공물과 조세를 개혁한 ‘경제개혁가’로 강조되었고, 2000년대 중반에는 조선시대의 위대한 유산인 전통적 인식론과 인성론을 확장시킨 ‘선진적 사상가’이자 ‘전통적 도덕주의자’로 변모하였다. 다섯째, 2000년대 이후 성리학에 대한 긍정적 논의에는 ‘유교사회주의’ 체제를 통한 북한의 체제유지 열망들이 담겨 있다. 중국이 유교를 신중화주의의 기치 아래 제국의 성장을 위한 발판으로 활용하고 있다면 북한은 삼대세습의 체제 안정을 위해 유교적 가치를 활용하고 그 가운데 율곡의 연구가 자리하고 있다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