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대학의 강의 모니터링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사례연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수업 개선 지원 방안 탐색

        한재범,김효정,신윤호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monitoring program in the A university and to investigate teaching improvement support plans in the post-COVID-19 era.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researchers used the Kirkpatrick model and analyzed participants’ survey, teaching improvement strategies, and course evaluation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were satisfied with the program and support for teaching strategies. Also, the participants presented their plans for changes in their courses based on the consultation. The researchers confirmed the improvement of teaching from course evaluations.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pla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teaching monitoring program that have implications for teaching improvement in the post-COVID-19 era.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 개선 방향에 대한 재학생 요구도 분석: 교양교육과 전공교육 간 관계를 중심으로

        한재범,김효정,신윤호 중앙대학교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3 교양학연구 Vol.- No.25

        본 연구는 교양교육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경기도 및 강원권역에 캠퍼스를 두고 있는 A대학의 학생 37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양교육의 만족도와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해 교양교육 편성 및 운영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만족도와 교양교육의 핵심역량별 기여도, 교양교육과 전공교육 간의 관계 인식, 교양교육 개선 요구의 영역으로 기술통계분석과 평균차이검정을 통해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학생들은 교수학습 방법에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교육과정편성 시 학생들의 의견 반영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교양교육의 핵심역량 함양에 대한 기여도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는 전공계열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교양교육과 전공교육 간 관계에 대한 인식에서도 전공계열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교양교육 개선 요구분석에 있어서는 교양교육과정 편성에 학생들의 요구를 미반영하는 것에 문제점을 꼽았다. 본 연구는 전공과 교양교육의 연계의 필요성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전공계열에 따른 교양교육과의 연계의 차이점을 시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general education and suggest development directions by conducting a survey of 371 students at A University which has multiple campuses in Gyeonggi and Gangwon provinc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and needs of general education, the researchers analyzed satisfaction with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general educa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contributions to core competencies, perce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education and major education, and needs for improvement of general education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and mean difference tests. As a result, students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with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the lowest satisfaction with the reflection of students' opinions when organizing the curriculum.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majors in their perceptions of the contribution of general education to fostering core competenci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found in the perce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education and major education. The analysis of the needs for improvement of general education indicated that students' needs are not reflected in the curriculum of general education. This study is valuable in that it confirms the need for students to connect their majors with general education and suggests differences in the connection between majors and general education.

      • KCI등재

        집합건물 점유자의 서면결의권 인정에 관한 연구

        한재범,김홍배 한국집합건물법학회 2021 집합건물법학 Vol.40 No.-

        The number of residential officetels is increasing at an average annual rate of 22% as of 1995, and it is positioned as one of the forms of urban housing. Although a residential officetel is actually an apartment building, the Collective Building Act is applied because it is classified as a business facility under the Building Act. The Collective Building Act is a law that regulates matters related to the ownership and management of individual owners of collective buildings, and the rights of occupants are very limited. For this reason, occupants of the collective building do not receive as much protection as occupants of the apartment complex. The number of single person households was 6,148,000 households as of 2019, accounting for 30.2% of the total households, the share of Jeonsei-to-Monthly rent is 69.4% As of 2016, the proportion of occupants among residential officetels in Seoul was 84.2%. Recently, as the proportion of occupants of collective buildings has increased, the need to expand their rights is growing. Because the building operation, management, and authority of occupants of the collective building are restricted, the assembly of the management group would be not activated. As a result, the assembly resolu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building is absent or invalid, resulting in poor management. Poor management is becoming a factor that threatens the safety of residents and lowers the quality of life. Furthermore, it is highly likely to become a problem in the city, such as undermining the aesthetics of the city and threatening city safety. However, looking at the literature,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ways to improve the rights of occupan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mprove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collective building occupants' rights enhancements in order to solve building management issue and urban problems. Specifically, by examining whether the occupant's right to make a written decision is acknowledged or not, a plan to revitalize the assembly and strengthen the occupant's right is suggested. Article 41 of the Collective Building Act stipulates that only divided owner can make a written resolution. For this reason, the question arises as to whether occupant can exercise his/her written decision without holding an assembly Considering the legislative purpose of the occupant's voting system and the realistic necessity of the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the occupant's written voting right should be recognized. However, unless there is a written regulation, it cannot be recognized only by interpretation, so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legislation. Accordingly, as a legislative theory, it was proposed to make a regulation relating to notification of owners on issues of implementation of written resolutions, provisions for recognizing the supplementary written resolution of the occupants and the method of selecting one person to exercise voting rights of the co-occupants. 주거용 오피스텔은 1995년을 기준으로 연평균 22%씩 증가하고있으며, 도시 주거형태의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주거용 오피스텔의 실질은 공동주택임에도 건축법상 업무시설로 분류되어 집합건물법이 적용된다. 집합건물법은 집합건물 구분소유자의 소유및 관리에 관한 사항을 규율한 법률로서 점유자의 권리는 매우 제한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집합건물의 점유자는 공동주택의 점유자만큼 권리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1인 가구는 2019년 기준 614만 8천 가구로 전체 가구 중 비율은30.2%이며, 전월세 등 점유 형태가 69.4%이다. 2016년 기준 서울시주거용 오피스텔 중 점유자의 비율은 84.2%이다. 최근 집합건물의점유자 비율이 증가하며 그들의 권리를 확대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집합건물 점유자의 건물 운영·관리 권한이 제한되어 관리단 집회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그 결과 건물 운영을 위한 집회결의가 부존재하거나 무효로 되어 관리부실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관리부실은 거주자의 안전을 위협하고,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나아가 도시 미관 저해, 도시 안전 위협 등 도시의 문제가될 소지가 크다. 그러나 문헌을 살펴보면 점유자의 권리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건물관리 및 도시 문제 해결을 위하여 집합건물 점유자의 권리 제고에 대한 일반적 이해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점유자의 서면결의권 인정여부를 검토하여 집회 활성화 및 점유자의 권리 강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집합건물법제41조는 구분소유자만이 서면결의를 할 수 있는 것으로 규정하고있다. 이 때문에 점유자도 집회를 개최하지 않고 서면결의권을 행사할 수 있는지 문제된다. 점유자의 의결권 행사제도의 입법취지,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현실적 필요성을 고려하면 점유자의 서면결의권을 인정해야 한다. 다만 명문의 규정이 없는 이상 해석만으로 인정할 수 없으므로 이에대한 개정입법이 필요하다. 이에 입법론으로 서면결의의 실시·안건에 대한 소유자 통지규정, 점유자의 보충적 서면결의권 인정 조항, 공동 점유자의 의결권 행사 1인 선정방법 규정 신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Measurements on Effects of Locations of Obstacles in an Explosion Chamber

        한재범,이영순,박달재 한국가스학회 2008 한국가스학회지 Vol.12 No.3

        Measuremen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flame and pressure development by varying locations of multiple obstacles in a top-venting explosion chamber. The chamber dimension was 1000 mm in height with a 700 × 700 mm2 cross-section and a rectangular vent area of 700 × 210 mm2. Three different multiple obstacles with blockage ratio of 30% were used by changing from 200 mm, 500 mm to 800 mm in heights within the chamber. Temporally resolved flame front images were recorded by a high speed camera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ropagating flame and the obstacl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riangular bar caused the fastest flame developments at given times whereas the lowest was obtained with the cylindrical bar. It was also found that local flame displacement speeds of different obstacles were sensitive to the locations of obstacles. The local speed becomes larger in going from 200 mm, to 500 mm and to 800 mm in heights. The obstacles in height of 800 mm yielded the highest overpressure whereas the lowest was in height of 200 mm. 폭발챔버에서 전파하는 화염과 장애물 위치 및 형태에 따른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폭발실험을 수 행하였다. 챔버내에 장애물 설치 위치는 점화원으로부터 상부로 200 mm, 500 mm, 800 mm 높이로 변화 를 주어 설치하였고, 장애물 형태는 삼각기둥, 사각기둥 및 원통형으로 변화시켰다. 전파하는 화염과 장 애물 위치 및 형태에 따른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고속카메라를 사용하였다. 고속카메라로 얻어진 화 염 이미지로부터 장애물 주위의 국부 화염속도 및 그 화염속도의 확률밀도함수가 계산되었다. 실험결과, 장애물이 800 mm에 위치하였을 때 화염속도 및 폭발압력이 가장 높게, 200 mm에서는 가장 낮게 나타났 다. 이러한 결과는 폭발거동 특성이 장애물 위치에 큰 의존성을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장 애물 형태가 삼각형이었을 때 화염속도 및 폭발압력이 가장 높게, 원형에서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 KCI등재

        학교현장실습 과정에서 경험한 예비교사의 현실충격 연구

        한재범,김효정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preservice teachers deal with the reality shock during the practicum.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in order to suggest the proper curriculum and the role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preservice teachers to deal with the problems effectively in their school field. To meet the aim of the study, the participants’ episodes of the reality shock have been analyzed based on a qualitative data analysis in Creswell (2014).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when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d reality shock, they tried to cope with the problems under the following categories: 1) involved in the teaching community, 2) taking professional attitudes, or 3) “Who am I? Where am I?” Also, preservice teachers reconsidered teaching as a profession. Finally, the researchers suggested changes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educate preservice teachers effectively.

      • KCI등재

        용도지역제에 기반한 주거용 오피스텔의 문제와 개선방향 -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

        한재범,김홍배 한국집합건물법학회 2022 집합건물법학 Vol.44 No.-

        The use zoning system in urban planning promotes efficient use of land based on each use by dividing residential and commercial areas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functions. Since officetels were first distributed in commercial areas in 1985, the supply of residential officetels has increased every year. A total of 941,737 officetels were supplied nationwide by June 2021, of which 71.5% were residential officetels. Since residential officetels are classified as business facilities under the Building Act, the Act on Ownership and Management of Collective Buildings, not the Housing Act, applies. When a residential officetel is built in a commercial area, the minimum housing standards applied to housing do not apply, and there is no obligation to install convenience facilities for residents. Also, it is excluded from the standard for calculating school facilities under the School Land Act. As such, the expansion of the supply of residential officetels causes problems in urban management. Also, there are problems in building management because the regulations on building management are insufficient in the collective building law that regulates officetels. The problem of urban management and building management for these officetels is due to the conflict between the use zoning system and the government's housing supply policy. In principle, the construction of residential officetels in commercial areas does not meet the purpose of the use zoning system. Therefore, fundamentally, the construction of residential officetels in commercial areas should be avoided or housing measures should be established in line with the purpose of the use zoning system. On the other hand, since officetels built against the purpose of the zoning system are also in accordance with the government's housing supply policy, residents of residential officetels must receive protection equivalent to that of housing residents. Although residential officetels are actually apartment houses, they are classified as business facilities by law, so the Collective Building Act, not the Apartment House Management Act, is applied. As a result, residents of residential officetels do not receive the same protections as tenants under the Apartment Housing Management Act.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MDU and the Collective Building Act, this thesis identified the problems of the Collective Building Act as insufficient protection of occupants' rights, lack of management group assembly regulations, and lack of institutional control devices. Accordingly, the directions for institutional resolution of residential officetel management were divided into improvement of occupants' rights, improvement of management group assembly system, and improvement of institutional control system. Since residents of residential officetels are occupants of apartment houses, the Collective Building Act should be amended to protect them in accordance with the Multi-House Management Act. 도시계획 중 용도지역제는 각각의 기능에 따라 주거지역과 상업지역을 구분하여 각 용도에 따른 토지의 효율적 이용을 도모하고 있다. 오피스텔이 1985년 상업지역에 최초로 보급된 이후로 주거용 오피스텔의 보급은 매년 증가하였다. 2021년 6월까지 공급된 전국의 오피스텔은 총 941,737호로 이중 주거용 오피스텔의 비율은 71.5%이다. 주거용 오피스텔은 건축법상 업무시설로 분류되어 주택법이 아닌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 적용된다. 주거용 오피스텔을 상업지역에 건축할 때에는 주택에 적용되는 최저주거기준이 적용되지 않고, 주민편의시설을 설치할 의무가 없다. 또한 학교용지법상 학교시설 산정기준에서 제외된다. 이처럼 주거용 오피스텔의 공급확대는 도시관리상의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또한 오피스텔을 규율하는 집합건물법에는 건물관리에 관한 규정이 부실하여 건물관리에도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오피스텔에 대한 도시관리 및 건물관리의 문제는 용도지역제와 정부의 주택공급정책의 충돌로 인한 것이다. 원칙적으로 상업지역 내의 주거용 오피스텔 건설은 용도지역제의 취지에 맞지 않는다. 따라서 근원적으로는 상업지역에 주거용 오피스텔의 건설을 지양하거나 용도지역제의 취지에 부합하게 주거 대책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용도지역제의 취지에 맞지 않게 건축된 오피스텔도 정부의 주택공급정책에 따른 것으로 주거용 오피스텔의 거주자는 주택 거주자에 준하는 보호를 받아야 한다. 주거용 오피스텔은 실질은 공동주택임에도 법률상 업무시설로 분류되어 공동주택관리법이 아닌 집합건물법이 적용된다. 그 결과 주거용 오피스텔의 거주자는 공동주택관리법상의 입주자와 같은 보호를 받지 못한다. 본 논문은 공동주택관리법과 집합건물법을 비교 분석하여 집합건물법의 문제점을 점유자의 권리 보호 미흡, 관리단 집회 규정의 미비, 제도적 통제 장치의 미비로 파악하였다. 이에 따라 주거용 오피스텔 관리의 제도적 해소 방향을 점유자의 권리 개선, 관리단 집회 제도 개선, 제도적 통제 장치 개선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주거용 오피스텔의 거주자는 공동주택의 입주자에 해당하므로 공동주택관리법에 준하여 보호하는 방향으로 집합건물법이 개정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경력교사의 전문적학습공동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현 주소와 시사점

        한재범 ( Jaebum Han ),김효정 ( Hyojeong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는 초등학교 경력 교사들의 전문적 학습 공동체 참여 경험의 의미를 탐구하고 교사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전문적 학습 공동체의 활용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두 곳에서 경력교사 네 명과 교감 두 명을 대상으로 교사들이 자신의 경험을 성찰하는 과정을 통해 그 경험을 충분히 이해하고자 현상학적인 방법을 통해 인터뷰 자료를 수집하고 해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발견한 경력교사들의 전문적 학습 공동체 참여 경험의 본질은 1) 심리적 안정감, 2) 반복되는 일상, 3) 부담감의 증가, 4) 울타리를 넘어 서로 구조화되었다. 본 연구는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의 현재 상황과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해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째, 전문적학습공동체 목적에 대한 교사들 간의 이해를 공유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전문적학습공동체가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 행정적인 업무의 부담이 줄어야 한다. 셋째,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를 넘어서 학교 밖 전문적학습공동체를 활성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ived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ir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PLC). In order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how experienced teachers experience their PLC, phenomenological research was conducted. The researchers collected in-depth interview data of fou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wo vice principals. The result showed the meanings of shared teacher experiences and their structures: 1) feeling psychological comfort; 2) undertaking everyday routines; 3) elevating pressure; 4) broadening boundaries toward between schools. There ar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PLC. First, teachers should have the shared understanding about the purpose of PLC. Second, in order to promote effective PLC experiences, reducing administrative tasks are required. Finally, there is a need for PLC between schools to promote teacher professionalism.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일자리 변화에 대한 근로자 인식 연구: 산림산업을 중심으로

        한재범 ( Jaebum Han ),오춘식 ( Chunshik Oh ),신윤호 ( Yunho Shin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는 급격한 산업환경의 변화에 따라 산림일자리의 변화 및 미래 수요를 분석하고 미래 산림분야 일자리 정책 개발을 위한 실천전략을 제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산림청 산하 교육기관에서 교육훈련에 참여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산업환경 변화로 인한 불확실성이 산림일자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산림분야 직업 혹은 일자리 변화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인구감소 및 기술의 변화를 꼽고 있으며, 특히 기술적 발전에 의해 상당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나 준비는 거의 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술 및 사회환경 변화로 인해 산림 일자리의 변화양상을 예측하고, 이에 대한 교육지원체계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산림산업 근로자들의 인식 수준에 대한 기술적 분석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 근로자들의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 및 변화 요인들 간 관계 분석 등을 실시하여 보다 면밀하게 일자리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changes in forest jobs and future demands and to propose action strategies for developing future job policies in the forest sector.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orest workers’ perception of uncertainty caused by environmental chang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descriptive analysis, forest workers perceived that a decrease in population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a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in changing jobs in the forest sector.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forest jobs were expected to be significantly affected by technological development, but there was little preparation for it.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educational system necessary for forest workers. This study has a limitation of relying on a descriptive analysis of forest workers’ perception, so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hanges in forest jobs by analyzing factors that affect workers’ perception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nfluential factors.

      • KCI등재

        다문화교육정책 실행의 일관성 분석: 다문화이해교육을 중심으로

        한재범 ( Jaebum Han ),김효정 ( Hyojeong Kim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1 초등교육연구 Vol.34 No.1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정책 실행의 일관성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초등학교에서 실행되고 있는 다문화이해교육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 최근 3년간 정부의 다문화교육 지원계획 문서를 분석하고 그 중에서 다문화 이해교육과 관련된 내용을 정리하였다. 또한 단위학교에서의 다문화이해교육 실행 내용 분석을 위해 초등학교 세 곳에서 총 여섯 명의 교사들과 면담을 통해 그들의 다문화이해교육과 관련된 경험을 파악하였다. 이렇게 수집한 자료들은 Fullan 과 Quinn(2016)의 정책 일관성을 위한 필요요소를 활용하여, 정책방향성 확립, 협력문화 조성, 책무성 보장, 심화학습의 네 가지의 요소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1) 정책 방향의 제한적인 전달, (2) 다문화이해교육을 위한 협력, (3) 완성하기 힘든 퍼즐, (4) 모든 학생들의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하여 로 도출되었다. 결론적으로 교사들은 교육정책에 대해 능동적인 이해와 협력을 바탕으로 받아들이고 있었으며, 각자의 의미부여(sense-making)과정을 통해 다문화이해교육을 실행하고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이는 지금까지 느슨한 결합을 특징으로 하는 학교조직에서 살펴보기 힘들었던 정책의 일관성을 위한 조직의 재결합 과정을 보여주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다문화이해교육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해 정책 방향에 대한 교사들의 정확한 이해와 다문화교사효능감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herence of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policies in elementary schools. In order to meet the aim of this study, we reviewed three years of recent multicultural education support plans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lso, we interviewed six teachers in three elementary schools to understand their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we used the coherence framework by Fullan and Quinn (2016): focusing direction, cultivating collaborative cultures, securing accountability, and deepening learning. As a result, we constructed the implemention of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into four categories: (1) the limited understanding of the purpose of the policies, (2) collaboration among teachers for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3) the hard puzzle, (4) efforts to promote academic achievement of all students. In conclusion, teachers showed their own understandings and collaboration towards educational policies and implemented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through their own sense-making processes, which led to the reconstruction of the loosely-coupled organization which was not easy to be observed in school organization. Finally, this study provides teacher common understanding and multicultural teacher efficacy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