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1발표 「刑罰 운영으로 본 3세기 부여의 王權」에 대한 토론문

        한영화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7 동국역사문화연구소 학술대회지 Vol.- No.춘계

        이 발표문은 3세기 무렵 부여의 국가 발전 단계에 대한 기존의 도식적인 이해가 부 여사 연구의 한계를 짓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한 것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였다. 그럼 으로써 부여의 왕이 어떠한 위상을 가지며, 그의 권력이 어떤 방식으로 표출되는가를 형벌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부여에는 牢獄과 官으로 표현되는 형벌체계가 존재하 였다는 것으로 왕의 형벌권 장악을 설명하였으며, 이와 함께 내부적으로는 적자계승 원칙에 의한 왕위 계승, 대외적으로는 후한과의 직접 교섭, 공손씨 세력과의 혼인 등 의 예를 들어 부여 왕의 집권력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신라 祀典 체계의 특징과 운영 -당, 일본과의 비교를 통해서-

        한영화 부산경남사학회 2019 역사와 경계 Vol.110 No.-

        The reign of King Jinpyeong of Silla succeeded King Jinheung as the kingdom was strengthened and the territory of the Han River was stabilized. In this paper, we analyzed in detail the Battle of Daejoguryo in the Jinpyeong Kingdom of Silla. Silla blocked two attacks against the Adansung and Bukhansan in the 590s from Goguryeo. And in 604, Bukhansanju was re-established to stabilize the northern part of the Han River. Goguryeo attempted a roundabout attack, and in 608, it occupied the northern border of Silla and the Woomyeongsanseong. However, Silla occupied 500Ri changes to Goguryeo before 614 using the Goguryeo-Su War, and recovered much of the territory it secured in the reign of King Jinheung. In addition, Silla occupied the Nangbiseng of Goguryeo in 629 in order to secure the northern part of the Han River in a stable. Silla stabilized the territory of the Han River basin and the sea transportation route to China through the Battle of Goguryeo. In the end, this battle of Goguryeo in the King Jinpyeong is important in that it has become a cornerstone of Goguryeo's destruction. 당의 제사체계는 天神, 地祇, 人鬼, 先聖·先師에 대한 제사로 등급에 따라 대·중·소사로 편성되어 있었다. 일본은 천신과 지기에 대한 제사만으로 대·중·소사가 편성되었다. 신라는 당, 일본과는 달리 국가제사 중 三山을 비롯한 명산대천에 대한 제사만이 대·중·소사로 편성되어 있을 뿐, 시조묘, 신궁, 오묘, 사직 제사 그리고 팔자, 선·중·후농, 풍백, 운사, 영성 제사와 別制·水旱에 따른 제사들이 대·중·소사와 관계없이 나열되어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수, 당의 제사체계를 수용하여 대·중·소사의 제사 등급화를 진행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기존의 제사들간의 위상 차이가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병렬적 구조로 서술되었던 것이다. 당에서 제사에 대한 직무를 맡은 관사는 6부 중 禮部였으며, 예부의 통속관사인 祠部였다. 사부는 각종 제사, 천문과 시간, 도교와 불교 등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였다. 일본에서는 행정을 맡았던 태정관과는 별도로 독립적인 기관인 신기관에서 관장하였다. 신라의 국가제사 담당 관사는 예부 소속의 전사서로 추정된다. 일본이 신기관이라는 독립적인 관사로 제사를 운영했다고 한다면, 신라는 당과 유사하게 예부를 통해서 업무를 관장했던 것이다. 다만 당의 사부는 길례에 해당하는 국가제사뿐만 아니라 불교, 도교와 관련된 업무까지도 포괄하고 있었지만, 신라의 전사서는 국가제사만으로 한정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중국의 제사는 유교적 예제에 입각한 체계였다. 신라나 일본에서는 지속적으로 축적되어 온 기존의 전통적인 제사가 존재하였기 때문에 이를 그대로 적용하기가 어려웠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당의 제사체계인 대·중·소사 편제를 일면 수용하면서도 그 내용과 편성은 각 사회의 조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특징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가 釋奠이었다. 당에서의 석전은 중사와 소사로 편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신라와 일본에서는 석전이 국가제사로 편성되어 있지 않다. 신라나 일본에서 석전이 국가제사로 편성되지 않은 근본적 이유는 신관념의 상이점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당의 제사체계가 황제의 인간으로서의 지위, 혹은 관료 지배의 정점에 위치한 황제라는 것에 기반을 두었다면, 일본은 신성함에 의한 초월적 지위를 가진 천황이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일본의 국가제사는 천신, 지기에 한정된다. 신라의 경우는 관료제나 법에 기반한 왕의 지위를 가지고 있지만, 여전히 신성성이 담보되지 않으면 안되는 사회적 조건을 반영한 것이었다. 천신, 지기, 인귀에 대한 제사가 국가제사로 편성이 되어 있지만, 신성성이 배제된 先聖·先師는 제사의 대상이 되지 않았던 것이다. 즉 신라는 중국의 문물과 제도를 통해서 유교적 예제를 수용하고 있으며 유교적 통치이념에 기반한 국가체제를 지향하지만, 그 근간에는 여전히 하늘에 의한 보증이나 신이함에 기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정을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이 신라의 제사체계였던 것이다.

      • KCI우수등재

        신라 경덕왕대 관호 개정의 제도사적 의미 - 大舍를 중심으로 -

        한영화 역사학회 2022 역사학보 Vol.- No.254

        본고는 경덕왕대 행해진 중앙관사와 관원의 명칭 개정이 갖는 제도사적 의미를 되새기고 그 개정 방향과 기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삼국사기』에 나타나는 경덕왕대의 관사와 관원의 명칭 변화를 살펴보았는데, 특히 행정 실무를 담당했던 大舍에 주목하였다. 대사의 명칭 개정은 대체로 部‧府‧監의 경우 郎中·主簿로, 署‧館은 主書로, 典은 主事로 개정되었다. 이는 당의 제도를 참고하여 중앙 관사의 위상에 따라 각 관사들의 업무의 차이와 구별을 구체적으로 드러낸 것이었다. 신라 대사의 경우 그 자체로 위상 차이가 나지 않았지만 낭중, 주부, 주서, 주사는 당에서 품계의 차이가 나는 관원들로, 명칭의 개정은 곧 관사간의 서열이나 등급을 나타내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당에서 이들 관원은 官印의 관리를 비롯하여 문서행정의 전반을 주관하는 구검관의 직무를 가지고 있었다. 신라는 대사의 명칭 개정과 함께 구검관의 직무를 부과함으로써 문서행정을 체계화하고 정교화시켰던 것이다. 결국 경덕왕대 관사, 관원의 개정 방향은 율령격식에 의한 행정체계의 강화라는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이는 당의 영, 격, 식을 참고로 신라 중앙관사의 위상과 직무를 제도적으로 안착화시키려는 의도를 가졌던 것으로 파악할 수 있겠다. During the reign of King Gyeongdeok of Silla, the names of government offices and government posts were reorganized substantially. Among them, this article examines at the direction and meaning of the reform, especially focusing on Daesa(大舍), who was in charge of administrative affairs. The title of a bureaucrat, formerly called Daesa in most government offices, was reorganized as Nangjung(郎中), Jubu(主簿), Juseo(主書), and Jusa(主事) according to the status of officies. Referring to Tang(唐)’s system in China, each officer's title had a difference in status, which was depended on the hierarchy of government offices. In addition, in Tang, these officials had the duties of Gugeomgwan(勾檢官), who supervised the overall administration of documents, including the management of an official seal. Silla systematized and elaborated its document administration by imposing specific duties of Gugeomgwan along with the revision of the title of Daesa. In the end, the reorganization of titles and posts of the government offices during the reign of King Gyeongdeok can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reinforcement of the administrative system based on Yulryeonggyeoksik(律令格式).

      • KCI등재

        고대사회의 혼인과 간음에 대한 처벌

        한영화 한국여성사학회 2017 여성과 역사 Vol.0 No.27

        Folk practices are created based on the long experience for survival of humankind and become customs by which social norms operate in the community. Folk practices and customs are naturally produced by members of a community, but they also function to control the community members. This article examines marriage as a heterosexual union and adultery that destroys marital relationships in ancient Korean society. Among the various reasons that destroy marital relationships, adultery reveals particularly well the aspect of control because it is accompanied by punishment. Marriage as a union of men and women becomes the norm through its ceremonial practices in terms of procedure, form, and composition by presenting behavioral patterns not only to the parties of marriage but also to the community they belong. Violations of the norm and destruction of relationships created through such norms are deemed criminal accompanied by punishment. As shown in the examples of the 'Beomgeum 8 clauses' of GoJoseon, 'application of punishment(用刑)' in Buyeo, and legal punishment in Baekje, punishment was made compulsory by officials as political power grew under these regimes. Wifely virtue became increasingly important as maintaining marital relationships through the wives’ fidelity as punishment for adultery was associated with the introduction of Confucian ideology. 습속은 인류의 생존을 위해 오랫동안 행한 경험을 바탕으로 생성되었으며, 공동체 내에서 사회적 규범으로 작동하면서 관습이 된다. 습속과 관습은 공동체의 구성원들에 의해 자연적으로 생성된 것이기도 하지만, 역으로 구성원들을 규제할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였다. 본 논문은 한국 고대사회에서 나타나는 남녀의 결합으로서의 혼인과, 이 관계를 파괴하는 간음에 대해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혼인 관계가 파괴되는 다양한 이유들이 있지만, 그 중 간음은 처벌을 동반함으로써 규제의 측면을 가장 잘 보여주기 때문이다. 남녀의 결합으로서 혼인은 절차, 형태, 구성 등의 儀式을 통해 혼인 당사자뿐만 아니라 그들이 속한 공동체 내에서 행동양식을 제시함으로써 규범화된다. 그리고 이 규범을 위반할 경우, 그리고 규범을 통해 만들어진 관계를 파괴할 경우 범죄로 치부되어 처벌이 수반되었다. 고조선의 ‘범금 8조’에서, 부여의 ‘用刑’, 그리고 백제에서의 법적 처벌에 이르기까지 정치권력이 성장함에 따라 공적인 강제 수단에 의해 처벌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간음에 대한 법적인 처벌의 다른 한편으로는 유교적 이데올로기의 유입과 맞물려서 貞節을 통한 혼인 관계의 유지로서 부인의 덕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 KCI등재

        신라의 國學 교육과 관인 선발

        한영화 신라사학회 2019 新羅史學報 Vol.0 No.45

        Silla performed the functions of education and selection of talent through Hwarangdo(花郞徒). However, at the stage of moving into more advanced society, Tang(唐)'s system was actively adopted, education system was aligned, and the Gukhak(國學) was established. The educational contents of Gukhak included Moonseon(文選) in addition to Five classics(五經) of Confucianism. It was Silla's distinctive form that Moonseon, a collections of various articles related to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was regarded as an important book. Through the rapidly changing international condition of the 7th century, diplomatic skills became highly important, therefore it was organized as a reading course. There was nominally no restriction on status for admission to Gukhak. However, it was not very attractive to jingol(眞骨) nobility and was favored around Tupum(頭品) nobility. Dokseosampumgwa(讀書三品科) was then implemented to recruit talent who had received Confucianism education. Those who became bureaucrat through Gukhak and Dokseosampumgwa were called bureaucrats from ‘munjeok’(文籍). However, in Dokseosampumgwa, there was a rule of transcendency selection(超擢) that is a selection of talent who was difficult to attain through Gukhak education. It was practically possible to have that ability only through studying abroad in Tang, thus those who studied in Tang were selected through the legitimate device called transcendency selection. The selection of the bureaucrats in the late period of Silla was composed of two ways: munjeok and transcendency selection. The direction of Silla's official education and selection of bureaucrat was to accept Tang's system which was most advanced system of those days. However, as with a sort of Yulryeong acceptance in other areas, it showed a transformation to suit the circumstances of Silla. 신라 유학은 6세기 이후 확대・보급되어 승려와 화랑도를 매개로 확산되었다. 하지만 보다 발전된 사회로 나아가는 단계에서 통치체제는 개편될 필요성에 직면하였고, 그 방향은 당의 제도를 적극 본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신라의 교육제도도 체계적으로 정비되었으니 그것이 국학의 설립이었다. 국학의 독서 과목은 당의 그것에서 ≪주례≫와 ≪의례≫, ≪공양전≫과 ≪곡량전≫을 제외하였고, 당이나 일본에는 없는 ≪문선≫이 포함되었다. ≪문선≫은 문학・역사・철학과 관련된 여러 글들을 모아놓은 것으로, 그 학습은 글읽기와 글쓰기 훈련으로 관인들에게 필요한 매우 중요한 실무 능력이었다. 그리고 ≪논어≫와 ≪효경≫을 기본 과목으로 두고 경전들을 배치하여 3개의 학업을 나누고, 각각 7년의 수학 연한을 갖는 교육 과정을 운영하였다. 국학의 입학 자격은 명목상 신분적 제한이 없었고, 특히 5두품 이하의 신분들을 일정하게 흡수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해 두었다. 그리고 9년을 기한으로 출학시키는 규정을 두었는데, 출학시의 최고 관등 규정도 대나마와 나마를 병기하여 진골과 두품 신분을 구분하였다. 하지만 관인 선발이 국학이나 과거로 일원화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진골귀족에게는 그다지 매력적이지 않았고, 두품 신분을 중심으로 선호될 수밖에 없었다. 당의 제도에 교육과 과거가 불가분의 관계에 있듯이 신라도 국학과 관인 선발을 일체화하려는 제도적 장치로 독서삼품과를 시행하였다. 그런데 국학의 교육과정을 고려했을 때 독서삼품과의 시험 난이도는 그리 높지 않았다. 이 점은 그 대상이 국학생들에게 그치지 않음을 보여준다. 독서삼품과는 국학을 통해 교육했던 기본 방침이 투영되었으며, 국학에서 수용하지 못한 인재들도 포섭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였던 것이다. 국학과 독서삼품과를 통해 출신을 얻는 과정은 신라에서 문적으로 지칭되고 이는 원칙적인 관인 선발의 방식이었다. 그런데 독서삼품과에는 국학 교육을 통해 얻기 힘든 수준의 인재를 초탁하는 규정이 있었다. 현실적으로 그러한 능력을 갖추는 것은 당 유학을 통해서 가능했고, 당 유학자들을 초탁이라는 합법적 장치를 통해 채용하였다. 결국 신라 하대의 관인 선발은 문적과 초탁이라는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졌고, 그 구도는 국내파와 유학파의 서로 다른 임용 방식이었던 셈이다. 신라의 국학 교육과 관인 선발의 방향은 당시 가장 선진적이었다고 할 수 있는 당의 제도를 수용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다른 분야의 율령적 수용이 그러하듯 신라의 사정에 맞게 변용하는 모습이 보이고 있었다.

      • KCI등재

        2000년대 이후 한국고대사 석・박사학위 논문의 현황과 대학원 교육의 방향

        한영화 수선사학회 2022 史林 Vol.- No.82

        . This paper examined trends by applying various criteria for master's and doctorate thesis in Korean ancient history research from 2000 to 2021.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385 master's thesis and 161 doctoral dissertation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papers are summarized in three ways. The first is that the topics that were previously noted were still being dealt with a lot. However, the subject tends to be specific and subdivided. The second is that various topics are emerging. Although the quantity is not large, various problems such as the topics deal with excavated materials, the people of the destroyed country, the history of migration, and the study of the capital city have been raised. The third is the expansion of the historical research methodology through interdisciplinary research. Degree papers using regional studies-related content or big data analysis appeared. It was a meaningful achievement not only in terms of expansion of research methodology but also in terms of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with other disciplines. I would like to point out two things about graduate education.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urriculum that reflects newly emerging topics or methodologies. The second is the expansion of support for graduate students. It took an average of 9.84 years to graduate from a master's degree to a PhD.D. The fact that it took a long time to obtain a doctorate may be due to economic conditions that make it difficult to focus only on researc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ort graduate students by securing educational finances of universities, and in particular, research support for relatively marginalized humanities is needed.

      • KCI우수등재

        21세기 한국고대사의 연구 성과와 지평의 확장

        한영화 한국사연구회 2023 한국사연구 Vol.- No.200

        A major feature of Korean ancient history research since 2000 is the quantitative increase in research papers, like other Korean history research fields. The reasons are the increase in researchers and academic journals, the development of computer devices and digital media, the establishment of DBs for research data, quantitative research evaluation systems, large research projects of various institutions, and political and diplomatic factors. In general, the proportion of research trends is still high in political history, foreign relations history, and cultural history, but micro-historical research has been increasing rather than large discourse since the 1990s. This paper summarizes the research results of Korean ancient history in two aspects, focusing on doctorate thesis and books after the 2000s. The first is the study on the historical materials. It summarized the reassessment on historical documents, research on editions of historical documents, new readings or re-examination of epigraph materials, and research on newly excavated wooden tablets and memorial inscriptions. The second is the expansion and diversification of existing research topics. It summarized the studies on laws, administrative systems, national rituals, ritual system, and capital city focusing on institutional history. In particular, in recent topics that have attracted attention, the need for comparison with the cases of China and Japan or interdisciplinary research has increased. Since the 2000s, research results have been accumulated to discover new historical materials or review basic historical materials.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changes in society, research areas were diversified and new methodologies were developed, and research topics were subdivided and specialized accordingly. Nevertheless, there is still a direction to emphasize or move forward. The first is to comprehensively review historical materials by perspectives and methods not only in historical studies but also in various fields on the premise of empirical analysis of literature and archaeological data. On the basis of such research, we can expect the establishment of 'material studies'. The second is a theoretical review of the main concepts that are the beginning point and basis of ancient history research. The third is to expand historical research into new areas that require interdisciplinary research, such as network analysis and the use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s well as capital city history, climate history, and ecological environmental history. Fourth,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regional studies as the diversification of the center and the diversification of objects and subjects. However, in the end, the most basic and important point is that research to understand society more broadly and deeply through human being should be achieved in various ways in the future. 2000년대 이후 한국 고대사 연구는 한국사 연구의 다른 분야와 기본적으로 궤를 같이 한다. 가장 큰 특징은 연구논문의 양적 성장인데, 그 이유로는 연구자와 학술지 증가, 컴퓨터기기·디지털매체의 발달과 연구자료의 DB 구축, 계량적인 연구평가제도 및 각급 기관의 대형 연구 프로젝트, 정치·외교적 요인에 따른 것이었다. 대체로 연구 경향은 여전히 정치사, 대외관계사, 문화사에 대한 비중이 높지만, 1990년대 이래로 거대 담론보다는 일상생활에 대한 미시사적 접근으로서의 연구가 이어지는 추세이다. 본 논문은 2000년대 이후의 박사학위논문과 단행본을 중심으로 두 가지 측면에서 한국고대사의 연구성과를 정리하였다. 첫 번째는 자료에 대한 연구이고, 두 번째는 기존 연구 주제의 확장과 다양화이다. 전자는 기존 문헌 사료에 대한 사료적 재검토나 판본에 대한 연구, 금석문 자료 등 기존 자료에 대한 판독이나 재조명, 새롭게 출토된 목간과 묘지명에 대한 연구를 정리하였다. 후자는 제도사를 중심으로 법과 행정제도 그리고 국가제사 및 예제, 도성에 관한 연구들을 정리하였다. 특히 최근 부각이 되는 주제들은 공간과 특정 학문에 한정하지 않고 중국과 일본의 비교사적 검토와 학제적 연구의 필요성이 중요할 수밖에 없는 것들이었다. 2000년대 이래의 연구 성과는 새로운 자료의 발굴과 기초 자료에 대한 재검토가 꾸준히 이어지는 한편, 시대변화에 따른 다양화된 연구 영역과 새로운 방법론 개발도 이미 시작되었고, 이에 따라 주제의 세분화와 전문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럼에도 여전히 강조하거나, 나아가야할 방향은 있다. 첫 번째는 문헌 및 고고학 자료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과 다양한 분야에서의 재검토이다. 이는 결국 다양한 분야에서의 종합적 분석을 통해 ‘자료학’의 정립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는 고대사 연구의 출발이 되는 개념에 대한 이론적 검토이다. 세 번째는 도성사, 기후사, 생태환경사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분석, 역사문화자원의 활용 등 학제적 연구가 필요한 새로운 영역으로의 확장이다. 네 번째는 중심지의 다양화, 주체와 객체의 다변화로서 지역학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결국 가장 기본적이고도 중요한 문제는 앞으로도 여전히 인간의 삶을 통해 그 사회를 더 넓고 심층적으로 이해하려는 연구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져야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북한의 전문 피아노 연주자 교육 연구 -교육제도와 교재분석을 중심으로-

        한영화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07 음악교육공학 Vol.- No.6

        This study aimed to deepen understanding about the North Korean educational system for their professional pianists.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performed the analysis of the educational system and piano method books. This study researched on North Korean Music education. In educational system, this paper summarized materials from interviews, forums, and special lectures. For the study of method books, this study analyzed published North Korean piano method books for both basic-level kindergarten students and the upper mid-level professional classes. The character of the educational system is as below. First, North Korea establishes profess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Pyung-yang Music and Dancing School, and the government provides the full scholarship for their students. Second, a difficult entrance exam and their political backgrounds are concerned for admissions, and the school starts its education when students become the first grades, 8 years old. Third, the school continues up to the fourteenth grades(4-3-3-4). Fourth, The education for political thought is particularly emphasized compare to the other general educational programs of the North Korea. Fifth, they use method books for the piano published in North Korea. The method books contained praises for their leader, and political propagandas. The kindergarten method books use the Middle C approach with detail explanations for the appropriate exercise methods and the music theory. They emphasizes practice to make a good sound by the strong knuckles. The tempo, expression, and directions were explained in the pure Korean. For the practice, they put some pieces about praise music for their leaders and political education. The professional method books contain arranged famous North Korean song pieces by the current North Korean educators. They fill spaces in melody’s continuity, by using Scale, Arpeggio, Rhythm, Trill, and Octave. Also, it includes a large portion asking for the training of performance technique skills. Likewise, in North Korea, the government selects talented students in early ages, training in both politics and performance to produce professional pianists. Then those pianists bears a responsibility to deliver the revolutionary thoughts to people. Hopefully, this study inspires following several studies on the education for the professional pianists in North Korea, and South and North Korean piano education is going to show progress up to the world class level.

      • KCI등재

        『三國志』 동이전(東夷傳)에 보이는 한국 고대사회의 속(俗)과 법(法)

        한영화 수선사학회 2012 史林 Vol.0 No.43

        Basically the law system of the ancient Korean society has been formed by customary law(慣習法) internally and the Yulryeong(律令) externally. A customary law(慣習法) of the Three Kingdoms(二國) included the laws of the early state which has formed since the class was occurred and the laws which reflected the will of the ruler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of a customary law(慣習法) in Dongyi-jeon of Samgukji(二國志). This material included a broad range of topics of the ancient Korean society. Specially, the folkways(習俗) and criminal law(刑法) which was described in it detailedly had unique characteristics. Because those were occurred inside the community on different conditions. The folkways(習俗) collectively had been repeated within the primitive community. It was converted into a mores(慣習) including the philosophical and ethical generalizations. In other words, a mores played role as social norm on previous period of the Yulryeong(律命) promulgated. And if someone has violated the routine or religious taboos(禁忌) and the mores as social norm, he was compulsorily sanctioned in his community. Most of these punishments for sins based on the band within the community, But with the advent of increasing power, it controlled the community and executed the punishment compulsorily. As a conclusion, i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ancient states, the customary law(慣習法) was social norms and legal systems based on folkways, taboo and mo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