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처리방법에 따른 불가사리의 이용율 및 사료적 가치

        최호성,박재홍,Choe, H.S.,Park, J.H. 한국축산환경학회 2007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3 No.1

        본 연구는 불가사리의 사료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불가사리 추출물의 항균효과, 영양소, 아미노산 조성 및 산란계에서 영양소 이용을 측정하였다. 불가사리 추출물은 열수추출법과 에테르추출법으로 추출하여 항균효과 측정에 이용하였다. 불가사리의 사료적 가치평가는 $60^{\circ}C$에서 3일간 건조하여 분쇄(Grinding starfish, GS) 및 extrusion 가공 (Extruded grinding starfish, EGS), 효소첨가발효(Enzyme fermented starfish, EFS) 및 효소미첨가 발효(Non-enzyme fermented starfish, NEFS)의 4개 sample에 대하여 영양성분 및 소화율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불가사리 추출물 항균실험은 열수와 에테르추출물로 나누어 유산균과 병원성미생물에 대한 성장 및 억제실험을 실행 하였는데 항균효과가 낮게 나타났다. 불가사리의 사료적 가치 평가를 위하여 불가사리 가공방법에 따른 단백질 함량은 GS와 EGS에 비하여 EFS와 NEFS가 각각 62.86%와 52.82%로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Ca 함량은 GS 및 EGS가 각각 17.26%와 18.26%로 EFS와 NEFS의 5.37%와 8.55%에 비하여 높았지만 그 원인은 EFS 및 NEFS는 발효 후 Ca을 제거하였기 때문으로 사료되었다. 불가사리의 가공방법에 따른 총아미노산 함량은 GS, EGS, EFS, NEFS에서 각각 17.17mg/g, 20.28mg/g, 36.30mg/g 및 29.96mg/g 으로 나타났다. 이 전체 아미노산 함량을 단백질 함량에 대한 비율(Total amino acid/CP, TC ratio)로 환산하면 GS, EGS, EFS, NEFS에서 각각 45.5%, 47.5%, 57.7% 및 56.7%로서 발효 처리시 전체 아미노산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단백질 소화율은 발효 처리한 불가사리(EFS와 NEFS)에서 약 80%이었으며, Ca의 이용율도 80%를 상회하였다. 효소 처리한 EFS를 산란계에 급여시 영양소 이용율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 본 실험의 결과 적절하게 가공한 불가사리는 사료자원으로서 가치가 높게 평가되었다. To evaluate the feed value of starfish, antimicrobial effects of its extract, nutrients contents, concentration of amino acids and its bioavailability were tested. Steaming and ether processes were applied to obtain the extract from starfish for antimicrobial effects examination. The starfish was dried at $60^{\circ}C$ for 3 days before grinding for processing and fermentation. Ground starfish(GS), extruded starfish(ES), fermented starfish(EFS) were added with enzyme and without enzyme(Non enzyme fermented starfish : NEFS). Then the nutrient composition and bioavailability of those were analyzed. The extract from starfish showed no inhibition of the growth of lactobacillus and pathogenic bacteria. Protein conten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62.86% and 52.82%, respectively in EFS and NEFS than GS and EGS(p<0.05). The Ca content of GS, EGS, EFS and NEFS was 17.26%, 18.26%, 5.37% and 8.55%, respectively. It was low in EFS and NEFS due to measure the Ca content after fermentation. Total amino acid was 17.17 mg/g, 20.28 mg/g, 36.30 mg/g and 29.96 mg/g in GS, EGS, EFS and NEFS, respectively. The ratio of total amino acid to protein tended to show the similar tendency as total amino acid. Both total amino acid and its ratio to protein were increased by the fermentation. Bioavailability of the protein and Ca showed more 80% in EFS and NEFS. The nutrients availability of EF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laying hens than other treatments. The results of these experiments indicate that starfish would be applied as a feed ingredients if it was properly treated.

      • KCI등재

        유기 육계에 침엽수 부산물과 추출물의 급여가 성장, 장기 및 맹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최호성,박재홍,Choe, H.S.,Part, J.H. 한국가금학회 2007 韓國家禽學會誌 Vol.34 No.1

        본 연구는 침엽수 추출물의 사료내 첨가 급여가 유기 육계의 생산성, 장기 변화 및 장내 미생물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행하였다. 시험 설계는 대조구(C), 대조구+항생제 1.0%(+C), 침엽수 분말 3.0%(T1), 침엽수 추출물 0.05% (T2), 0.10%(T3) 첨가한 5개 처리구로 하였다. 처리구당 4반복, 반복당 10수씩 전체 200수 1일령 육계($Ross\;{\times}\;Ross$)를 35일간 평사에 배치하였다. 실험 전 기간의 증체량은 항생제 첨가구인 +C구와 침엽수 추출물 0.1% 첨가구인 T3구에서 제일 높았으며, 대조구와 침엽수 분말을 첨가한 T1구는 다른 처리구보다 낮았다. 사료 요구율은 T1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현저하게 높았으며, +C와 T3에서 우수하였다. 소장무게는 대조구와 +C구가 제일 높았지만 처리구간에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소장의 길이는 T1이 제일 길었으며, +C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짧았다(P<0.05). 근위 중량은 T2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무거웠으며 (P<0.05), 비장 무게는 대조구가 가장 낮았지만(P<0.05), 맹장과 간 무게는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융모 길이는 대조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길게 나타났으며(P<0.05). 장내 미생물도 대조구가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거나 (P<0.05), 높은 경향을 보였다. 에너지 및 단백질 소화율은 대조구와 T1구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IgG 농도는 대조구와 T1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본 실험 결과 침엽수 추출물의 급여는 부산물과 대조구에 비하여 사료의 영양소 이용율을 개선하였고, 성장도 개선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항생제 처리구와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항생제 대체재로서 가능성을 보였으며, 유기육계 사육에 생산 능력을 개선하는 사료 첨가제로써 가치가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etary softwood by-products extract on growth performance, organ weight and intestinal microbes in organic broiler chicks. Five treatments were assigned to 200 broiler chicks with four replication, allocating 10 broiler chicks in each replication. Dietary treatments included control(Organic diet), +C(Organic diet + antibiotics), T1(Organic diet + softwood by-product powder 3.0%), T2(Organic diet + softwood by-product extract 0.05%) and T3(Organic diet + softwood by-product extract 0.1%). Body weight gain was higher in +C and T3 for overall period than control and T1. Feed efficiency of were slightly improved in +C and T3 groups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and T1. The small intestine weight tended to be higher in control and +C, but it's length showed high in only T1 group. Gizzard weigh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2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s(P<0.05). In contrast, spleen weight was significantly lower in control group(P<0.05), whereas the weight of cecum and liver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dietary treatment. Intestinal microflora was significantly lower or/and seemed to be low in softwood by-products treatment groups than control. Digestibility of energy and protein were statistically lower in control and T1 than other treatments(P<0.05). The IgG concentration of birds fed antibiotics, softwood by-product extract was higher than control and T1, but was no significance.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s indicated that softwood by-product extract would be possible to apply for the feed additive in organic broiler diets.

      • KCI등재후보

        미국 대학의 한국어 학습자들에 대한 사례 연구: 학습 동기 및 한국어 강좌에 대한 인식

        최호성 ( Hoh Sung Choe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3 외국어교육연구 Vol.2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공부하고 있는 세 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한국어 학습 동기를 알아보고, 미국 대학의 한국어 강좌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교포 학생들과는 달리 한국어에 거의 노출되지 않았으며, 대학에 와서 처음으로 한국어를 수강하고 있었다. 자료는 한 학기 동안 다섯 번의 개 별 면담을 통해 수집 되있고 내러티브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의 한국어 학습 동기는 전적으로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 때문이 있다. 대학에 입학하기 전에 경험했던 한국 문화가 한국어 강좌 수강으로 연결된 것이었다. 이들은 한국어의 효용가치가 적고 배우기 어렵다는 인식 때문에 미국 대학생들이 한국어를 기피한다고 말하였다. 한국어를 배워도 사용할 기회가 제공 되지 않아서 학습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또한, 지나친 문법 암기와 독해 위주 의 교육도 흥미를 반감시키는 요인이었으며,교포 학생위주의 교과 과정도 이들을 한국어 수업에서 배제시키는 결과를 낳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ree KFL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learners in terms of their motivation to learn Korean and perceptions of Korean language classes. Two research questions guide this study: (1)What motivated them to learn Korean? And (2) what barriers do they face learning Korean in a US tertiary context? The participants were sophomores who enrolled in a second-year Korean class in a Midwestern university, and they were the only KFL learners in the clas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narrative interviews over a semester. Data analysis reveals that the participants interests in Korean culture motivated them to learn Korean; that is, their encounters with Korean culture before college led them to take Korean classes. They reported that Korean is difficult to learn but of little use in the US, which they believed explains a small number of students in Korean classes. They said that the lack of a Korean speaking community demotivated them to use Korean. Grammar/reading-based instruction also made them lose interest in learning Korea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cusing mainly on heritage learners was another reason for KEL learners to avoid enrolling in Korean language classes.

      • KCI등재

        과학고 R&E(Research & Education) 프로그램의 참여 경험과 의미

        최호성(Ho Seong Choe),태진미(Jin Mi Tae) 한국영재교육학회 2015 영재와 영재교육 Vol.14 No.3

        과학 영재교육에서 학생들의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탐구 활동은 매우 중요하다. 2003년 한국과학영재학교(KSA)의 독특한 사사교육 모형으로 도입된 R&E(Research & Education) 프로그램은 과학영재학교는 물론이고 전국의 과학고등학교에서도 핵심적인 영재교육과정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 연구는 고교 시절의 자율탐구활동인 R&E 참여 경험이 대학 이상의 탐구 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지를 파악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과학고에서 R&E를 경험하고 현재 대학생이 된 졸업생 39명을 대상으로 개인별 심층면담을 통해 참여 경험과 의미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졸업생들은 과학고에서의 R&E 참여 경험이 실제로 과학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지적ㆍ정의적ㆍ기능적으로 상당한 도움을 주었다고 인식하였다. 다만 운영과정에서의 비효율성을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나 영재학교와 비교하였을 때 사전 이해를 증진하는 안내 활동이나 예산 및 설비 등이 부족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또한, 전국 과학고들 간에 R&E 운영의 체계성이나 전문성, 지역대학과의 인적ㆍ물적 교류와 협력 등에서 상당한 편차가 있음이 드러났다. 이에 향후 지역의 우수 과학 인재를 발굴ㆍ육성하는 요람으로서의 과학고에서 R&E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고 효과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지역간ㆍ학교간 특성을 반영한 중장기적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It is very important that gifted students in science hav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self-directed and creative research activities in high school. R&E(Research and Education) program as a unique mentorship model of KSA(Korea Science Academy) from 2003 has been developed as one of the most powerful programs in science-gifted high school and science specialized high school as well. This study focused on how the R&E program as a self-directed research activity has impacted on the research process of the college students having the experiences with the R&E program during their high school life. For this study, the individual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to 39 college students and identified their experiences, benefits, and meanings in the higher level of research activities after high school. Participants recognized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the experiences with R&E programs in their high schools in many ways such as cognitive, affective, and technical aspects of their own research at the college. However, some of the interviewee from the science specialized high school responded that R&E program had a little bit ineffective due to insufficient orientation of it and less budget-supports. This research, in addition, identified some deficiencies in operation systems and the professional managements of R&E program in science specialized high schools, especially. Based on results of in-depth interview, this study recommends the mid and long term support plan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high school and the local conditions are needed to develop R&E programs and to enhance the educational effects on doing research in science specialized high schools. Providing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expedite self-directed and creative research activities should be recognized as one of the core foundations of science and for nurturing future scientist.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영재교육 10년의 성과와 향후 발전 방안

        최호성(Ho Seong Choe) 한국영재교육학회 2014 영재와 영재교육 Vol.13 No.3

        한국의 영재교육은 지난 10년 이상 동안 괄목할만한 양적 성장을 지속해 왔다. 영재교육 수혜 대상자가 크게 확충되었으며, 초창기 영재교육 담당 교원의 부족 현상도 해소되었다. 교사관찰추천제를 중심으로 한 영재판별 방법과 절차가 정립되었으며, 수ㆍ과학 중심의 영재교육에서 인문, 예술, 발명, 정보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었다. 한편, 연구 기관의 역량이나 연구 성과물이 증가하였는가 하면, 정부의 영재교육진흥 정책 수립이나 재정 지원에 있어서도 상당한 발전을 이룩해 왔다. 이 연구는 그 동안의 영재교육 연구와 실천에 대해 성찰적 입장에서 평가하고 미래지향적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영재와 영재성 개념의 정의, 영재교육 접근 관점 등을 개관하고 지난 10년 동안의 양적 성장에 대해 영재판별, 교육과정, 교원연수, 지원 체제, 법률과 정책 및 연구 성과 등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한국의 영재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과 실천방안을 영재성의 개념화, 영재교육 연구 패러다임의 정립, 영재교육과정과 수업, 영재 교육 관련 법령과 행ㆍ재정적 지원, 미래의 영재 교육 연구 이슈 등을 중심으로 현안과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Since the proclamation of special law for promoting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in 2000, Korean gifted education had developed rapidly and quantitatively. While Korean gifted education continues growth and development in many aspects, many advocates stress the importance of efforts to ensure an advanced qualitative jump via critical reflection on gains and losses of past 10 years. This study is a sort of such an attempt to reflect critically on Korean gifted education. Synthesizing results of various research endeavors which were accumulated so far, this study suggests 9 recommendations for productive changes in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They encompass changes in conceptions of giftedness and the gifted, gifted education policies to facilitate,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improvements, adapting identification of the gifted to educational services, reexamining regulations and legislations of gifted education, and also prospective research themes including gifted education systems of North Korea, female gifted education, and sophistication of research methodology in gifted education et al.. This study can not be comprehensive enough to include various issues raised in the field of Korean gifted education. However, it would be recognized as a catalyst to stimulate an open discourse on essential academic topics like definitions of giftedness, harmony of excellence and equity ideology, providing more adequate and differentiated education services, authentic assessment approaches, administrative and legislative supports to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in Korea so on.

      • KCI등재후보

        영재교육 교원 연수의 중요도와 효과성에 대한 교원의 인식 분석

        최호성 ( Ho Seong Choe ),박경희 ( Kyung Hee Park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교사교육연구 Vol.53 No.4

        본 연구에서는 2001년부터 2013년까지 우리나라 영재교육 교사 연수에 참여한 교사 2,00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내용으로는 교사 연수 경험과 연수 이수 후 영재교육교사로 활동하고 있는지의 여부, 그리고 영재교육 교사 연수의 교육내용으로 각 문항의 중요도 및 전문성 향상의 도움 정도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교육 관련 연수경험은 기초연수, 심화연수, 전문연수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연수이수 시간은 60시간, 120시간, 180시간, 240시간 순이었다. 연수영역은 과학, 수학, 관찰 추천 순이었다. 연수 후에 86.3%는 강사로 활동한 경험이 있거나 현재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수내용에 대한 중요도와 교사의 전문성 도움 정도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영재의 창의성 신장기법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기법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영재교육 철학, 이론, 모형 및 연구방법과 국가 및 시·도 교육청 영재교육정책 이해는 덜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재직학교별로는 초등교사들과 중등교사들 모두 창의성 신장기법을 중요하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초등교사들이 중등교사들보다 각 연수 내용의 중요도와 도움정도를 유의미하게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넷째, 재직기관별로는 영재학급 교사들이 영재교육원 교사들보다 연수 내용의 중요도와 도움정도에 대한 인식이 전반적으로 높았는데, 특정영역(과학, 수학, 발명, 정보)에 대한 도움은 영재교육원 교사들의 인식이 높았다. 다섯째, 교과영역별 차이로는 수학 교과 교사들이 과학이나 여타분야 교사들보다 연수내용의 중요도나 도움정도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Promotion Act for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and Enforcement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00), there has been increasing need to have well-prepared teachers in gifted education. In its early days, the National Research Center for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of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al Institute has led the in-service training programs. Based on such early efforts to establish the teacher education system, the Office of Education at the local level (each province and metropolitan city), universities, and special institutes for the gifted education has been rapidly expanded and qualitatively developed. This study administered a 62 question survey to 2,007 teachers who have participated in formal in-service training programs specializing in gifted or talented education to measure their satisfaction with the in-service training programs and their perceptions of program’s cont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as a whole are highly satisfied with the content of the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and have directly applied the course content to their current teaching situations. Second, the in-service program needs to provide courses which differentiate teachers who have already successfully completed the basic level training to motivate and develop their professional competencies. Third, the scope or range of gifted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from its math and science centered programs to include the arts, athletics and even leadership programs. Forth, the in-service basic course for gifted education should be extended to teachers in regular schools to help nurture creativity in Korean education. Lastly, to sustain the progress achieved by the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in gifted education a set of nation-wide standard of professionalism, curriculum, and assessment should be established.

      • KCI등재

        영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최호성(Choe, Ho-seong) 한국영재학회 2001 영재교육연구 Vol.11 No.3

        기본적으로 교육과정은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지에 관한 일종의 합리적 의사결정의 산물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둘러싼 다섯 가지 관점들을 비교·논의하였고, 지금까지의 교육과정 개발에서 목격되고 있는 현실적 문제점들을 다섯 가지의 측면에서 비판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영재성 신장에 적합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필연적으로 고민해야 할 교육과정 쟁점들을 일곱 가지로 분석 ·논의하여 향후 교육과정개발의 기본 원리와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In general, curriculum is a product of the process of a political decision-making among a variety of peoples who have different perspectives on learners, knowledge, and society as a whole. And also, it is being affected by larger social and political contexts. As curriculum has become more a centerpiece of program activity for the gifted, the field has mor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viable curriculum model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flect current status of curriculum development for the gifted, explain the commonness and differences of several perspectives on gifted education programs, and lastly, share some experiences to deliberate about several critical issues of which any activity of program development for the gifted should consider. According to Eisner & Valiance (1974), there are five conceptions of curriculum which have shaped the thinking of many educators of what a view of curriculum for the gifted might be ; curriculum as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process, curriculum as technology, curriculum as personal relevance, curriculum as social construction, curriculum as academic rationalism. Although educators have a freedom to choose among these various curriculum orientations, the most effective curricular incorporate or balance all of them to some extent. After reviewing those perspectives on curriculum and several difficulties which are currently confronted at the site of curriculum development, this article have tried to identify the major curriculum efforts of the gifted education field. It focuses on the issues of developing programs for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rather than on specific program models. As a result, it suggested seven critical issues or value conflicts which should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program development for the gifted: the balance of domain-general abilities of the gifted and domain-specific abilities, mutual consideration of accelerated learning and enrichment learning, separate organization of contents versus integrated organization, the balance of cognitive domain of human development and affective domain, official curriculum versus non-official education experience, individual-oriented learning situation versus group-oriented teaming, and expert-centered approach versus practitioner-centered approach to curriculum development.

      • KCI등재

        과학영재학교 자율탐구활동(R&E)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의 인식 분석

        최호성(Choe Ho Seong),박경희(Park Kyung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과학영재학교에서 운영하고 있는 자율탐구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 의 인식에 관한 것이다. 조사 대상은 과학영재학교 재학생 309명과 졸업생 18명이 며, 재학생은 설문조사로 졸업생은 심층면담 방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율탐구활동 프로그램 운영의 사전 교육에서 졸업생들과의 멘 토-멘티 형성, 연구 대학 사전 견학과 같은 구체적인 사전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 하였다. 둘째, 자율탐구활동 프로그램의 주제 선정 방법에 대해서 70%의 학생들이 적정했다고 보고 있으며, 자신의 주제와 비슷한 연구를 한 선배의 연구결과에 대한 자료집을 배부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보았다. 셋째, 자율탐구활동 프로그램의 운영 에서 학생-교수-교사가 같이 참여하는 형태를 가장 선호했으며, 연구기간은 융통성 있게 운영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넷째, 자율탐구활동의 성과로는 새로운 기 술을 익히게 되었으며, 교수와 연구협력자로 활동하는 것에 만족감을 보였다. 그러 나 자율탐구활동 프로그램이 더 발전하기 위해서는 평가방법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 었다. 결론적으로 자율탐구활동이 더 성공하기 위해서는 지나친 성과위주에서 벗어 나고 학생중심의 팀원 구성이나 주제 선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students’ perceptions of “Research & Education” programs administered in the science specialized gifted high schools in Korea. 309 students in the science specialized gifted high schools participated to the survey and 18 alumni took the in-depth interview.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ly, participants perceived the more comprehensive orientation period with grouping mentor and mentee members or taking close field trip to th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where they were working at etc. before conducting the actual “Research & Education” program. Secondly, 70% of the participants were satisfied with the methods of selecting the topics and wanted to have the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their projects. Thirdly, students preferred the coworking system, student-professor-teacher all together, and they needed the flexible research schedule and the duration of the program. Lastly, they have learned the new knowledge and new research methods. They showed high satisfaction working with the college level researchers. However, they asked the more specific and scientific evaluation system for the better program. In conclusion, for more developed and advanced “Research & Education” program, student oriented research grouping and topic selecting are needed rather than the excessive achievement centered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