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피성 난소암 환자에서 생존율 분석을 통한 임상병리학적 예후 인자에 대한 고찰

        최중섭(Joong Sub Choi),박창수(Chang Soo Park),김병기(Byoung Gie Kim),이제호(Je Ho Lee),배덕수(Duk Soo Bae),김우영(Woo Young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10

        목적 : 본원에 내원한 상피성 난소암 환자의 임상병리학적 특징과 이러한 인자들의 예후 인자로서의 효용성에 대한 가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 1995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산부인과에서 상피성 난소암으로 치료받은 14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병리학적 특징을 포함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생존율은 Kaplan-Meier 방법에 의해서 산출하였으며 생존 곡선간의 비교는 log-rank 방법을 이용하였다. 각각의 임상병리학적 인자들에 대한 다변량 분석은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을 이용하였다. 결과 : 상피성 난소암 환자의 조직학적 분류에 따른 빈도를 보면 다음과 같았다. 장액성 난소암 57.1%, 점액성 난소암 15.0%, 자궁내막양 난소암 15.0%, 투명세포암 9.5%, 혼합성 3.4%이었다. 147명 전체 환자의 FIGO 수술적 병기별 분포는 다음과 같았다. 제 1기: 29.3%, 제 2기: 4.1%, 제 3기: 54.4%, 제 4기: 12.2%. 수술 전 혈중 CA-125의 조직학적 분류에 따른 평균 역치는 장액성이 2,715 mIU/ml (S.E.637), 자궁내막양이 2,002 mIU/ml (S.E.687), 혼합성이 896 mIU/ml (S.E.290), 점액성이 421 mIU/ml (S.E.145), 투명 세포암이 236 mIU/ml (S.E.140) 이었다. 일차 수술 후 67명 (48.9%)에서는 잔류 종양이 없었으며, 16명 (11.7%)에서는 2 ㎝ 미만의 잔류 종양이 남았고, 54명 (39.4%)에서는 2 ㎝ 이상의 잔류 양이 남았다.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은 46.7%로 나타났으며, 단변량 분석에서는 FIGO stage (p=0.0091), 세포분화도 (p=0.0081), 잔류종괴 용적 (p=0.0038), 조직학적 유형 (p=0.0313)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다변량 분석에서는 FIGO 수술적 병기 (p=0.048)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보였다. 결론 : 이상의 결과에서 본원에 내원한 상피성 난소암 환자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예후인자는 진단 당시 FIGO 수술적 병기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Objective : In this retrospective study, we analyzed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epithelial ovarian cancer and evluated the prognostic factors which has an impact on survival of the patients with epithelial ovarian cancer. Patients and Methods : Total 147 patients with epithelial ovarian cancer who were treated at Samsung Medical Center between 1995 and 2000 were included. Medical records including pathologic reports were reviewed to identify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Survival was analyzed by Kaplan-Meier method and log-rank test was used for curve comparison.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was used for multivariate analysis. Results : The histopathologic distribution of all the patients was as follows: serous type (57.1%), mucinous type (15.0%), endometrioid type (15.0%), clear cell type (9.5%). mixed type (3.4%). The FIGO stage distribution for invasive epithelial ovarian cancer was stage I (29.3%), stage Ⅱ (4.1%), stage Ⅲ (54.4%), and stage Ⅳ (12.2%). The mean value of pre-operative CA-125 according to histologic type was 2715 IU/ml (S.E. 637) for serous type, 2002 IU/ml (S.E. 687) for endometrioid type, 896 IU/ml (S.E. 290) for mixed type, 421 IU/ml (S.E. 145) for mucinous type, and 236 IU/ml (S.E. 140) for clear cell ovarian cancer. No residual tumor was identified in 67 patients (48.9%) after primary cytoreductive surgery. Sixteen patients (11.7%) exhibited less than 2 ㎝ tumor and 54 patients (39.4%) 2 ㎝ or more macroscopic residual tumor. Second-look laparotomy was undertaken and pathologic residual disease was observed in 12 cases out of 39 (30.7%) patients. The overall 5-year survival rate of all the patients was 46.7%. In univariate analysis, FIGO stage (p=0.0091), grade (p=0.0081), residual volume (p=0.0038) and histologic type (p=0.0313)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survival. However, multivariate analysis demonstrated that only FIGO stage (p=0.0048) was identified as a significant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in this study.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FIGO stage was identified as a significant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in the patients with epithelial ovarian cancer of all stages.

      • KCI등재

        선행 질식수술에서 실패한 자궁경관무력증 환자에서 복식자궁경협부원주봉합술 및 변형질식자궁경봉합술의 결과 비교

        최중섭 ( Joong Sub Choi ),박민수 ( Min Soo Park ),김영재 ( Young Jae Kim ),배은경 ( Eun Koung Bae ),백지흠 ( Ji Heum Paek ),박문일 ( Moon Il Park ),황정혜 ( Jeong Hyae Hwang ),김승룡 ( Seung Ryong Kim ),문형 ( Hyung Moon ),정성로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3

        배경 : 임신 제 2삼분기 임신유지 실패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자궁경관무력증의 치료방법은 질식자궁경부원주봉합술 (이하 TVC, transvaginal cerclage)과 복식자궁경협부원주봉합술 (이하 TCIC, transabdominal cervicoisthmic cerclage)이 있다. TCIC는 질식수술을 한번 이상 시행하여 실패한 경력이 있는 경우, 자궁경부가 매우 짧거나 선천적 기형이 있는 경우, 자궁경부의 질환으로 자궁경부를 제거한 경우 등에 Objective : Incompetent internal os of cervix is one of the most common causes of midtrimester abortion in which interventions such as, transvaginal cerglage and transabdominal cervicoisthmic cerclage (TCIC) have been performed to prolong pregnancy. Trans

      • KCI등재

        최신임상강좌 : 21번 삼염색체증 (다운증후군) 양수유래 줄기세포의 특성

        최경미 ( Kyung Mi Choi ),임은혜 ( Eun Hye Im ),조정아 ( Jung Ah Cho ),이세진 ( Se Jin Lee ),박호 ( Ho Park ),신봉식 ( Bong Shik Shin ),이정훈 ( Jung Hun Lee ),최중섭 ( Joong Sub Choi ),이교원 ( Kyo Won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9

        목적: 다운증후군의 신경계 결함에 관련된 양수유래 줄기세포의 표지자를 정상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 임신 중기에 산전 진단을 위해 시행한 양수천자를 통해 채취된 4개 표본의 양수세포는 염색체검사에서 2개는 21번 삼염색체로 확인되었고 다른 2개는 정상이었다. 두 단계로 이루어진 양수유래 줄기세포 배양을 통해 얻어진 줄기세포들을 분석하였다. 형태학 관찰, 염색체검사, 역전사효소 중합반응 및 Western blot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양수유래 줄기세포는 계대배양에서 높은 증식력을 보였으며 대부분 섬유아세포와 같은 방추상의 단핵세포로 관찰되었으며 드물게 원형의 단핵세포들도 있었다. 줄기세포의 염색체검사에서는 양수의 염색체검사와 동일하게 다운증후군 두 개의 표본은 21 삼염색체증 (47,XX,+21)이었고 정상 임신의 양수유래 줄기세포도 염색체검사 결과는 정상 (46,XX)이었다. 다운 증후군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진 단백 분석에서는 S100β는 다운증후군에서 정상보다 증가되어 나타났으며 COL6A1은 정상에서는 발현되었으나 다운증후군에서는 발현되지 않았다. Insulin 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1의 발현은 정상과 다운증후군 모두에서 차이가 없었다. 줄기세포 표지자 유전자인 Oct4, nanog, SOX2는 모두 발현되었다. 반면에, c-Kit의 발현은 정상에서는 나타났으나 다운증후군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신경세포 표지자인 NSE는 모두 발현되었으나, microtubule associated protein 2와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는 다운증후군에서 발현되지 않았다. 세포자멸사 (apoptosis)와 관련된 Bcl-2 gene family 단백에 대한 분석에서는 Bcl-XL은 다운증후군에서 정상보다 증가되어 발현되었으며 Bcl-2, Bid 단백 발현은 정상과 다운증후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Bax는 다운증후군에서 감소되었다. 결론: 양수유래 줄기세포는 조직 공학과 세포치료에 탁월한 재료가 될 것이다. 다운증후군의 양수유래 줄기세포의 분자생물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은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기초를 제공할 것이다. Objective: To assess molecular markers of amniotic fluid derived stem cells (AFSCs) in aspects of increased neurological deficit in Down syndrome. Methods: Amniotic fluid samples through amniocentesis for prenatal diagnosis from four mid trimester pregnancies; by routine chromosomal analysis, two of them were trisomy 21 (Down syndrome) and others were normal, were selected after informed consent. Cells from twostage culture protocol were assayed; morphology through phase contrast microscopy, chromosomal analysis,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AFSCs were highly proliferative in subcultures and most of them were mononuclear, fibroblast-like, fusiform cells. There were also a few ovoid cells. The chromosomal analysis of amniotic fluid stem cells was identical to that of amniotic fluid cells. Two of four samples were 47,XX,+21, others were 46,XX. Of the proteins related to Down syndrome, the expression of S100β were increased in AFSCs of Down syndrome, COL6A1 (Collagen IV, alpha 1) was down-regulated in them and insulin 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1 was expressed in all AFSCs. Stem cell markers were expressed heterogeneously. Oct4 (POU5F1), nanog, and SOX2 (sex determining region Y) were expressed in both groups. But c-Kit was not expressed in AFSCs of Down syndrome. The neural cell marker, neuron specific enolase was detected in both groups. Other neural cell markers, microtubule associated protein 2,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were undetectable in ASFCs of Down syndrome. Bcl-2 gene family proteins related with apoptosis were assayed. The expression of Bcl-XL was increased in Down syndrome more than in normal pregnancy. Bcl-2 and BID were expressed in all AFSCs and Bax was down-regulated in Down syndrome. Conclusion: AFSCs are an excellent choice for many future tissue engineering strategies and cell based therapies. Analysis of molecular features of AFSCs from normal and Down syndrome will provide the basis of further experimental study.

      • SCOPUSKCI등재

        한국인 다낭성 난포증후군 환자에서 5,10-Methylenetetrahydrofolate Reductase의 677번 유전자 다형성에 관한 연구

        이교원,정유미,이숙환,윤태기,곽인평,윤선웅,최중섭,김계현,한종설,김성도,김남근,차광렬,백광현,이수만,Lee, Kyo-Won,Jeong, Yu-Mi,Lee, Sook-Hwan,Yoon, Tae-Ki,Kwak, In-Pyung,Yoon, Seon-Woong,Choi, Joong-Sub,Kim, Kye-Hyun,Han, Jong-Sul,Kim, Sung-Do,K 대한생식의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0 No.3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genetic background between MTHFR C677T genotype and infertile females with polycystic ovarian syndrome. Materials and Methods: We compared 86 infertile females with polycystic ovarian syndrome (PCOS) with 100 healthy fertile females with one or more offspring. Pyrosequencing analysis for MTHFR C677T variation was performed on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product of study group. To validate pyrosequencing data of C677T variation for randomly selected 50 samples, we compared the pyrosequencing result with the PCR-RFLP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esult of MTHFR C677T genotype. Results: The prevalence of the C677T mutant homozygous (TT) was significantly lower (p=0.0085) in females with PCOS (8.14%) than in fertile females (21.00%). MTHFR 677 TT genotype had a decreased risk (3.7-fold) of PCOS compared with wild type (MTHFR 677 CC). Conclusion: Our data support a role for MTHFR mutant homozygous (677 TT) genotype in reducing risk in Korean infertile females with Polycystic ovarian syndrome.

      • KCI등재

        진행된 장액성 상피성 난소암 환자의 혈청 CA 125 측정의 예후인자로서의 의의

        이지수 ( Ji Soo Lee ),김지운 ( Ji Un Kim ),문성오 ( Sung O Moon ),최중섭 ( Joong Sub Choi ),이선주 ( Sun Joo Lee ),이정원 ( Jeong Won Lee ),박창수 ( Chang Soo Park ),김병기 ( Byoung Gie Kim ),이제호 ( Je Ho Lee ),배덕수 ( Duk Soo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6

        목적 : 난소암의 예후인자로 알려진 환자의 병기, 조직학적 유형 (histologic type), 조직학적 분화도 (histologic differentiation), 수술 후 잔여종양 (residual tumor)외에 환자의 치료반응성을 좀더 역동적으로 추적할 수 있는 혈청 CA-125를 이용한 기존에 발표되었던 방법을 비교하여 환자의 예후를 예측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5년 8월부터 2000년 7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산부인과에서 난소암으로 수술 및 보조적 항암 화학요법을 시행 받은 병기 3기 이상의 장액성 난소암 환자 5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의무기록을 근거로 수술 3개월 후의 CA-125수치의 정상여부 및 CA-125의 반감기, 2차례의 항암 화학요법 시행 후의 CA-125의 regression을 조사, 환자의 생존기간과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 1. 전체 환자의 평균 연령은 54.2세 (S.D. 13.4세) 이었으며 FIGO 수술적 병기 제3기가 77.2%, 제4기가 22.8%를 나타내었다. 대상 환자 중 세포 분화도는 grade III가 73.7%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수술 후 잔류 종괴의 용적은 2 cm 미만이 37예 (64.9%), 2 cm 이상이 20예 (35.1%)이었다. 수술당시 예측된 복수양이 500mL 미만인 경우가 24예 (42.1%), 500mL 이상인 경우가 33예 (57.9%)를 나타냈다. 2. 전체 57명 환자의 회계적 (actuarial) 5년 생존율은 35.2%로 나타났다. 단변량 분석에 의한 예후 인자 분석에서는 연령 (p=0.487), FIGO 수술적 병기 (p=0.952), 세포의 분화도 (p=0.910), 일차 수술 후 잔류 종괴 용적 (p=0.938), 수술시 복수량 (p=0.487) 모두 생존율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결과를 보였다. 3. 장액성 난소암 환자의 예후 인자로서 CA 125를 평가하는 다섯 가지 방법 중에서 세 번째 항암 화학요법 후 CA 125 수치의 정상화 여부를 보는 방법만이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냈다 (p=0.026). 세 번째 항암 화학요법 후 정상화 된 군의 5년 생존율은 40.8%, 정상화되지 않은 군의 경우 23.9%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결론 : 삼성서울병원의 FIGO stage III/IV인 장액성 상피성 난소암 환자의 5년 생존율은 35.2%였다. 난소암의 예후 인자로서 혈청 CA 125를 평가하는 다섯 가지 방법 중 3번째 항암 화학요법 후 정상화 여부를 보는 방법만이 5년 생존율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Objective : In this retrospective study, we analyzed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advanced serous epithelial ovarian cancer and evaluated the prognostic factors which have an impact on survival of patients with epithelial ovarian cancer. We also compared several analyzing methods of Ca 125 for predicting prognosis of advanced serous epithelial ovarian cancer. Methods : a total of 57 patients with advanced serous epithelial ovarian cancer who were treated at Samsung Medical Center between Aug. 1995 and Jul. 2000 were included. Medical records including pathologic reports were reviewed to identify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and serum levels of CA 125. Five different methods of analyzing serum CA 125 were compared for predicting the prognosis of advanced serous epithelial ovarian cancer. Survival curves were analyzed by Kaplan-Meier method and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Results : the median age of all patients was 54.2 years. In univariate analysis, age, FIGO stage, grade, residual tumor and ascites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rognosis. Among five different analyzing methods of serum CA 125 levels, normalization after 3^rd chemotherapy was correlated with improved 5-year survival rate (p=0.026).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normalization of serum levels of CA 125 after 3^rd chemotherapy is useful for predicting prognosis of advanced serous epithelial ovarian cancer patients.

      • KCI등재
      • KCI등재

        복강경하 질식 전자궁적출술 (LAVH) 154예의 임상적 고찰

        김형문 ( Hyoung Moon Kim ),신인환 ( In Whoan Shin ),윤선웅 ( Seon Woong Yoon ),최중섭 ( Joong Sub Choi ),김계현 ( Kye Hyun Kim ),이교원 ( Kyo Won Lee ),김성도 ( Sung Do Kim ),한종설 ( Jong Sul Ha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8

        목적: 복강경하 질식 전자궁적출술 (LAVH)의 적응증, 장점, 합병증 등에 관해 검토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후향적으로 시행하였다. 연구 방법: 성균관대학교 강북삼성병원 산부인과 학교실에서 2003년 3월부터 2004년 2월까지 만 12개월간 시행된 복강경하 질식 전자궁적출술 환자 154명을 대상으로 병록 일지를 분석하여, 환자의 나이, 분만력, 이전 개복수술, 수술 전 적응증, 수술 후 병리진단, 수술시간, 적출된 자궁무게, 헤모글로빈 변화, 재원일수 Objective: To evaluate the indications, advantages and complications of laparoscopically assisted vaginal hysterectomy (LAVH), retrospectively. Methods: From Mar. 2003 to Feb. 2004, clinical trials of LAVH (n=154) were performed in the Department of Obst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