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진행된 장액성 상피성 난소암 환자의 혈청 CA 125 측정의 예후인자로서의 의의

        이지수 ( Ji Soo Lee ),김지운 ( Ji Un Kim ),문성오 ( Sung O Moon ),최중섭 ( Joong Sub Choi ),이선주 ( Sun Joo Lee ),이정원 ( Jeong Won Lee ),박창수 ( Chang Soo Park ),김병기 ( Byoung Gie Kim ),이제호 ( Je Ho Lee ),배덕수 ( Duk Soo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6

        목적 : 난소암의 예후인자로 알려진 환자의 병기, 조직학적 유형 (histologic type), 조직학적 분화도 (histologic differentiation), 수술 후 잔여종양 (residual tumor)외에 환자의 치료반응성을 좀더 역동적으로 추적할 수 있는 혈청 CA-125를 이용한 기존에 발표되었던 방법을 비교하여 환자의 예후를 예측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5년 8월부터 2000년 7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산부인과에서 난소암으로 수술 및 보조적 항암 화학요법을 시행 받은 병기 3기 이상의 장액성 난소암 환자 5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의무기록을 근거로 수술 3개월 후의 CA-125수치의 정상여부 및 CA-125의 반감기, 2차례의 항암 화학요법 시행 후의 CA-125의 regression을 조사, 환자의 생존기간과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 1. 전체 환자의 평균 연령은 54.2세 (S.D. 13.4세) 이었으며 FIGO 수술적 병기 제3기가 77.2%, 제4기가 22.8%를 나타내었다. 대상 환자 중 세포 분화도는 grade III가 73.7%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수술 후 잔류 종괴의 용적은 2 cm 미만이 37예 (64.9%), 2 cm 이상이 20예 (35.1%)이었다. 수술당시 예측된 복수양이 500mL 미만인 경우가 24예 (42.1%), 500mL 이상인 경우가 33예 (57.9%)를 나타냈다. 2. 전체 57명 환자의 회계적 (actuarial) 5년 생존율은 35.2%로 나타났다. 단변량 분석에 의한 예후 인자 분석에서는 연령 (p=0.487), FIGO 수술적 병기 (p=0.952), 세포의 분화도 (p=0.910), 일차 수술 후 잔류 종괴 용적 (p=0.938), 수술시 복수량 (p=0.487) 모두 생존율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결과를 보였다. 3. 장액성 난소암 환자의 예후 인자로서 CA 125를 평가하는 다섯 가지 방법 중에서 세 번째 항암 화학요법 후 CA 125 수치의 정상화 여부를 보는 방법만이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냈다 (p=0.026). 세 번째 항암 화학요법 후 정상화 된 군의 5년 생존율은 40.8%, 정상화되지 않은 군의 경우 23.9%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결론 : 삼성서울병원의 FIGO stage III/IV인 장액성 상피성 난소암 환자의 5년 생존율은 35.2%였다. 난소암의 예후 인자로서 혈청 CA 125를 평가하는 다섯 가지 방법 중 3번째 항암 화학요법 후 정상화 여부를 보는 방법만이 5년 생존율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Objective : In this retrospective study, we analyzed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advanced serous epithelial ovarian cancer and evaluated the prognostic factors which have an impact on survival of patients with epithelial ovarian cancer. We also compared several analyzing methods of Ca 125 for predicting prognosis of advanced serous epithelial ovarian cancer. Methods : a total of 57 patients with advanced serous epithelial ovarian cancer who were treated at Samsung Medical Center between Aug. 1995 and Jul. 2000 were included. Medical records including pathologic reports were reviewed to identify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and serum levels of CA 125. Five different methods of analyzing serum CA 125 were compared for predicting the prognosis of advanced serous epithelial ovarian cancer. Survival curves were analyzed by Kaplan-Meier method and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Results : the median age of all patients was 54.2 years. In univariate analysis, age, FIGO stage, grade, residual tumor and ascites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rognosis. Among five different analyzing methods of serum CA 125 levels, normalization after 3^rd chemotherapy was correlated with improved 5-year survival rate (p=0.026).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normalization of serum levels of CA 125 after 3^rd chemotherapy is useful for predicting prognosis of advanced serous epithelial ovarian cancer patients.

      • KCI등재

        자궁내막암 환자의 임상병리학적 예후인자에 따른 생존율 분석

        노재홍(Jae Hong Noh),이지수(Ji Soo Lee),이용승(Yong Seung Lee),이수호(Soo Ho Lee),최중섭(Joong Sub Choi),김영아(Young A Kim),박창수(Chang Soo Park),김병기(Byoung Gie Kim),이제호(Je Ho Lee),배덕수(Duk Soo Bae)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10

        목적 : 자궁내막암 환자의 임상병리학적 양상을 확인하고 예후인자에 따른 생존율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5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자궁내막암으로 진단 및 치료받은 111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통하여 연령, FIGO 수술적 병기, 세포 유형, 종양의 크기, 세포분화도, 자궁근층 침윤정도, 그리고 림프절 전이를 확인하였으며, 환자의 생존 여부는 마지막 병원 방문과 전화 연락을 통하여 조사하여 각각의 예후인자에 따른 생존율을 구하였다. 결과 : 자궁내막암의 중앙 연령은 52세였으며, 연령별 분포는 21세부터 79세까지였다. 임상 병기별 분포는 Ⅰ기가 84예 (82.0%), Ⅱ기가 16예 (8.1%), Ⅲ기가 10예 (9.0%), Ⅳ기가 1예 (0.9%)였다. 치료 방법은 전체 환자 111명 모두 수술적 치료가 시행되었으며, 수술 후 방사선 치료 60예 (54.1%), 수술 후 항암요법 5예 (4.5%)에서 시행되었다. 세포분화도 1이 73예 (65.7%), 2가 19예 (17.1%), 3이 14예 (12.6%)로 나타났으며, 침윤정도는 자궁내막에만 국한되어 있었던 경우가 37예 (33.3%), 1/2 이하인 경우가 47예 (42.3%), 1/2 이상이 26예 (24.3%)를 나타냈고, 림프절 전이는 6예 (5.4%)가 있었다. 전체 자궁내막암 환자 111예의 5년 무병생존울은 86.5%, 5년 생존율은 87.8%였다. FIGO 수술적 병기에 따른 무병 생존율 및 5년 생존율은 각각 제 1기가 92.8%, 93.3%, 제 2기가 80.0%, 80.0%, 제 3기가 57.1%, 85.7%였으며, 그 외에 발생연령, 림프-혈관 침범 유무, 자궁근층의 침범 정도, 림프절 전이 유무, 그리고 C-erb-B2 발현 여부가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 인자였다. 그러나 수술 전 CA-125상승,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 결과, 에스트로겐 수용체나 프로제스테론 수용체의 유무, p53 유전자 유무는 생존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FIGO 병기 제 Ib기와 제Ic기에서 보조적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군은 재발 위험 인자를 가진 군이라는 것을 고려한다면 비슷한 생존율을 나타낸 것은 수술 후 방사선 치료가 재발 방지에 효과적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겠다. 결론 : 이상의 결과에서 FIGO 수술적 병기, 세포분화도, 자궁근층 침범정도, 림프-혈관 침범 유무, 림프절 전이, 연령, C-erb-B2의 발현은 자궁내막암 환자에 미치는 유사한 인자라고 추정되었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and prognostic factors of uterine endometrial cancer affecting survival of the patients. Methods : Form Jan. 1995 to Dec. 2001, medical records including operation record and pathologic reports of 111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proven endometrial cancer at Samsung Medical Center were reviewed. The survival of patients was determined by description of last follow up date in medical records or phone calls. Results : The median age of all patients was 52 years and the most common presenting symptom was abnormal vaginal bleeding (74.0%). Histologic type of endometrioid adenocarcinoma was the most common (90%) type of all endometrial cancers. The grades were classified into G1 (65.7%), G2 (17.1%), G3 (12.6%) and unknown (4.5%). The FIGO surgical stage was also classified into stage I (75.7%), stage Ⅱ (14.4%), stage Ⅲ (9.0%), and stage Ⅳ (0.9%). All patients were treated by primary surgery and postoperative adjuvant therapy including radiation therapy (54.1%), chemotherapy (4.5%) was applied. The overall 5-year disease free survival rate (DFSR) was 86.5% and overall 5-year survival rate was 87.8%. The age (p=0.04), grade (p=0.04), myometrial invasion (p=0.047), FIGO surgical stage (p=0.0067), lymph node metastasis (p=0.0001), lymphovascular space invasion (p=0.01) and C-erb B2 (p=0.04)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by univariate analysis. Conclusion : The age, grade, myometrial invasion, FIGO surgical stage, lymph node metastasis, lymphovascular space invasion and C-erb B2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of uterine endometrial cancer affecting survival of the patients.

      • KCI등재

        임신 중 자궁 근세포 내에서 cytokine들이 matrix metalloproteinase-9 을 발현시키는 신호전달체계에 관한 연구

        서용수(Yong Soo Seo),백금희(Geum Hee Baek),허지희(Ji Hee Heo),양순하(Soon Ha Yang),김종화(Jong Hwa Kim),배덕수(Duk Soo Bae),노정래(Cheong Rae Roh) 대한산부인과학회 200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4 No.5

        N/A Objective : To explore the intracellular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of IL-1β and TNF-α in inducing matrix metalloproteinase-9 (MMP-9) in human myometrial smooth muscle cells. Methods : We studied the expression of MMP-9 induced by cytokines (TNF-α and IL-1β) with zymography. The influence of TNF-α and IL-1β on the phosphorylation of Jun N-terminal kinase (JNK) and IkB were studied with immunoblotting for p-JNK and p-IkB. The intranuclear shifting of NF-kB and AP-1 after treatment with TNF-α and IL-1β were evaluated by EMSA. Results : TNF-α- and IL-1β-induced MMP-9 expression was not suppressed by NF-kB inhibitor (CAPE), AP-1 inhibitor (curcumin) and PKC inhibitor (calphostin C) but was inhibited by tyrosine kinase inhibitor (genistein). After treatment of myometrial smooth muscle cells with TNF-α and IL-1β, phosphorylation of JNK and phosphorylation of IkB with degradation of IkB were evidently observed. The intranuclear translocations of NF-kB and AP-1 were strongly enhanced after treatment with TNF-α and IL-1β as demonstrated in EMSA. Conclusion : In myometrial smooth muscle cells, MMP-9 is induced by TNF-α and IL-1β through PKC activation and transcriptional activations of NF-kB and AP-1. Independent of PKC activation, the signaling of TNF-α and IL-1β in the induction of MMP-9 seems to be transmitted by way of either NF-kB or AP-1 activation in myometrial smooth muscle cells.

      • KCI등재

        자궁 원인대의 복막외 부위에 발생한 자궁내막증 2 예

        황종대(Jong Dae Whang),박창수(Chang Soo Park),배덕수(Duk Soo Bae),이제호(Je Ho Lee),노정수(Jeong Soo Noh),김정식(Jeong Sik Kim),주인숙(In Sook Joo)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1

        Extraperitoneal inguinal endometriosis often presents as an inguinal mass in women of reproductive age, Approximately 40 cases of inguinal endometriosis have been documented in the sutgical and gynecological literature. The overall incidence is in the range of 0.4% of patients with endometriosis. The right side is much more commonly involved than the left (almost 90% of the time in one series of 23 patients), and rarely is the condition bilateral. The most frequent complaint of patients with inguinal endometriosis is an inguinal mass, followed by pain and enlargement of the mass near menstruation. Authors have experienced two cases of endometriosis of the extraperitoneal portion of the round ligament of uterus and report with a brief literature review.

      • KCI등재

        상피성 난소암 환자에서 생존율 분석을 통한 임상병리학적 예후 인자에 대한 고찰

        최중섭(Joong Sub Choi),박창수(Chang Soo Park),김병기(Byoung Gie Kim),이제호(Je Ho Lee),배덕수(Duk Soo Bae),김우영(Woo Young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10

        목적 : 본원에 내원한 상피성 난소암 환자의 임상병리학적 특징과 이러한 인자들의 예후 인자로서의 효용성에 대한 가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 1995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산부인과에서 상피성 난소암으로 치료받은 14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병리학적 특징을 포함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생존율은 Kaplan-Meier 방법에 의해서 산출하였으며 생존 곡선간의 비교는 log-rank 방법을 이용하였다. 각각의 임상병리학적 인자들에 대한 다변량 분석은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을 이용하였다. 결과 : 상피성 난소암 환자의 조직학적 분류에 따른 빈도를 보면 다음과 같았다. 장액성 난소암 57.1%, 점액성 난소암 15.0%, 자궁내막양 난소암 15.0%, 투명세포암 9.5%, 혼합성 3.4%이었다. 147명 전체 환자의 FIGO 수술적 병기별 분포는 다음과 같았다. 제 1기: 29.3%, 제 2기: 4.1%, 제 3기: 54.4%, 제 4기: 12.2%. 수술 전 혈중 CA-125의 조직학적 분류에 따른 평균 역치는 장액성이 2,715 mIU/ml (S.E.637), 자궁내막양이 2,002 mIU/ml (S.E.687), 혼합성이 896 mIU/ml (S.E.290), 점액성이 421 mIU/ml (S.E.145), 투명 세포암이 236 mIU/ml (S.E.140) 이었다. 일차 수술 후 67명 (48.9%)에서는 잔류 종양이 없었으며, 16명 (11.7%)에서는 2 ㎝ 미만의 잔류 종양이 남았고, 54명 (39.4%)에서는 2 ㎝ 이상의 잔류 양이 남았다.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은 46.7%로 나타났으며, 단변량 분석에서는 FIGO stage (p=0.0091), 세포분화도 (p=0.0081), 잔류종괴 용적 (p=0.0038), 조직학적 유형 (p=0.0313)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다변량 분석에서는 FIGO 수술적 병기 (p=0.048)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보였다. 결론 : 이상의 결과에서 본원에 내원한 상피성 난소암 환자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예후인자는 진단 당시 FIGO 수술적 병기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Objective : In this retrospective study, we analyzed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epithelial ovarian cancer and evluated the prognostic factors which has an impact on survival of the patients with epithelial ovarian cancer. Patients and Methods : Total 147 patients with epithelial ovarian cancer who were treated at Samsung Medical Center between 1995 and 2000 were included. Medical records including pathologic reports were reviewed to identify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Survival was analyzed by Kaplan-Meier method and log-rank test was used for curve comparison.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was used for multivariate analysis. Results : The histopathologic distribution of all the patients was as follows: serous type (57.1%), mucinous type (15.0%), endometrioid type (15.0%), clear cell type (9.5%). mixed type (3.4%). The FIGO stage distribution for invasive epithelial ovarian cancer was stage I (29.3%), stage Ⅱ (4.1%), stage Ⅲ (54.4%), and stage Ⅳ (12.2%). The mean value of pre-operative CA-125 according to histologic type was 2715 IU/ml (S.E. 637) for serous type, 2002 IU/ml (S.E. 687) for endometrioid type, 896 IU/ml (S.E. 290) for mixed type, 421 IU/ml (S.E. 145) for mucinous type, and 236 IU/ml (S.E. 140) for clear cell ovarian cancer. No residual tumor was identified in 67 patients (48.9%) after primary cytoreductive surgery. Sixteen patients (11.7%) exhibited less than 2 ㎝ tumor and 54 patients (39.4%) 2 ㎝ or more macroscopic residual tumor. Second-look laparotomy was undertaken and pathologic residual disease was observed in 12 cases out of 39 (30.7%) patients. The overall 5-year survival rate of all the patients was 46.7%. In univariate analysis, FIGO stage (p=0.0091), grade (p=0.0081), residual volume (p=0.0038) and histologic type (p=0.0313)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survival. However, multivariate analysis demonstrated that only FIGO stage (p=0.0048) was identified as a significant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in this study.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FIGO stage was identified as a significant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in the patients with epithelial ovarian cancer of all stages.

      • KCI등재
      • KCI등재

        난소에서 발생한 Hepatoid Carcinoma

        최세미(Se Mi Choi),박창수(Chang Soo Park),오성희(Sung Hee Oh),김태중(Tae Joong Kim),송상용(Sang Young Song),안긍환(Geung Hwan Ahn),배덕수(Duk Soo Bae),이제호(Je Ho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1

        Hepatoid carcinoma is a rare type of malignant tumor resembling hepatocellular carcinoma that arises in extrahepatic sites.(stomach, lung, ovary, pancreas, bladder and renal pelvis). Hepatoid carcinoma of the ovary is an extremely rare ovarian tumor, first described by Ishikura and Scully in 1987. Histologically it is important to differentiate this entity from other oxyphil tumors of the ovary as it requires aggressive treatment.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hepatoid carcinoma of the ovary in 69-year-old postmenopausal woman, who has been treated with operation and adjuvant Taxol - cisplatin chemotherapy. We present this case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