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점박이응애에서 병원성 곰팡이 Neozygites floridana의 발생

        최선우,이공준,문영훈,서경원,강찬호,김진호,김재수,Choi, Seon-U,Lee, Gong-Jun,Moon, Young-Hun,Seo, Kyoung-Won,Kang, Chan-Ho,Kim, Jin-Ho,Kim, Jae-Su 한국응용곤충학회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5 No.4

        충남 논산시의 천적생산업체인 세실의 점박이응애 사육장에서 발견된 곰팡이를 조사한 결과 Neozygites floridana 1종이 동정되었다. 종 동정은 형태학적 현미경적 특징과 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곤충조직배양용 전용배지(Grace's insect tissue culture medium + 5% fetal bovine serum)에서 이 균의 생존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강낭콩 군락 내에서의 감염률은 36.1%이었다. 점박이응애는 잎의 윗면보다 뒷면에 상대적으로 높게 밀집되어 있었다. 곰팡이의 감염률은 윗면보다 뒷면에서 매우 높게 나타나, 균 발생 진단을 위해서는 잎 윗면보다는 뒷면을 확인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 균에 대하여 천적 생산을 위한 방제방법과 더불어 작물을 가해하는 점박이응애 방제를 위한 생물적 조절인자로서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An entomopathogenic fungus was isolated from the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in a rearing house, and identified as Neozygites floridana (Entomophthorales: Neozygitaceae). A high infection rate induced by N. floridana could increase the price of the natural enemy. The body color of mites infected by this fungus changed to red or orange and swelling occurred. Fungal conidia were discharged into the webbing produced by the spider mites, making it relatively easy to infect the mites. Primary conidia were pear shaped and capilliconidia almond shaped. The fungus could not be cultured on solid media (PDA, SDAY, or EYSDA), but could possibly be cultured in liquid media (Grace's insect tissue culture medium + 5% fetal bovine serum). Kidney beans were supplied as food for T. urticae; the mite infection rate in a kidney bean canopy was about 36.1%. The density of infected mites was higher on the underside than on the upper side of leav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urvey, we need to identify methods of fungal control for natural enemy production and biological control agents for T. urticae for effective crop management.

      • 곤충병원성 기생균 Nomuraea rileyi 배양 및 병원성검정

        최선우 ( Seon U Choi ),정성수 ( Seong Soo Cheong ),황창연 ( Chang Yeon Hwang ) 전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2009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0 No.2

        본 연구는 전세계적으로 곤충 개체군내에서 보고된 곤충병원성 기생균 Nomuraea rileyi의 전라북도 지역에서의 발생과 배양특성을 조사하였고, 담배거세미나방에 대한 병원성검정을 실시하였다. N. rileyi는 고구마, 콩, 배추에서 수집되었다. 감염된 유충은 담배거세미나방, 뒷날개흰밤나방, 파밤나방, 콩은무늬밤나방, 박각시였고, 8월부터 10월까지 발생하였다. N. rileyi의 포자는 격막이 없는 난형이고, 어두운 녹색을 띠었으며, 크기는 3.5μm로 기존에 보고된 균들과 형태적으로 큰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N. rileyi는 OA배지, PDA배지, SDAY배지에서 16°C에서 28°C사이에서 균사체가 생장하였다. 포자가 SDAY배지에서는 형성되지 않았지만, PDA와 OA배지에서는 16°C, 20°C, 24°C에서 형성되어 배지의 영양특성에 따라 포자 생산량이 달라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N. rileyi 포자를 10(9)conidia/m로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에 영기별로 살포하여 20°C에서 사육하였을 때, 살충률은 58.6~95.1%였으며, LT50은 9.0~13.2일이었으며, 앞으로 N. rileyi를 이용한 생물농약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병원성발현기간이 보다 짧은 균주의 선발이 요구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1) to survey entomopathogenic fungi in crop fields, 2) to determine in vitro culture condition of Nomuraea rileyi (Hyphomycetes) and 3) to test pathogenicity to Spodoptera litura. N. rileyi were collected from the larvae of Spodoptera litura, Spodoptera exigua, Aedia leucomelas, Acanthoplusia agnata, Agrius convolvuli larvae in sweetpotato, soybean, chinese cabbage growing field. Mycelium culture of N. rileyi was good on the Potato Dextrose Agar (PDA) and Oatmeal Agar (OA) like other species in Hyphomycetes. Maximum temperature for N. rileyi culture were at 20~28°C. But conidia of N. rileyi did not produce at 28°C. When spraying N. rileyi conidia of 10(9) conidia/m to S. litura larvae, the mortality rate showed 58.6~95.1%, and LT50 as 9.0~13.2 days.

      • KCI등재

        시설 가지에서 점박이응애의 경제적피해수준

        임주락,최선우,김주희,문형철,이기권,김대향,류정,이상구,황창연,Lim, Ju-Rak,Choi, Seon-U,Kim, Ju-Hee,Moon, Hyung-Cheol,Lee, Ki-Kwon,Kim, Dae-Hyang,Ryu, Jeong,Lee, Sang-Ku,Hwang, Chang-Ye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7 No.4

        시설재배 가지에서 점박이응애 경제적 피해수준과 요방제수준을 추정하였다. 가지 생육초기 점박이응애 접종밀도(성충 0, 2, 5, 10, 20마리/주)에 따른 시기별 발생밀도는 무접종구를 제외하고 6월7일 접종 이후 점점 증가하다가 7월 5일 이후 급격히 증가하여 7월 중순 발생 피크를 보이고, 이후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생육최성기 가지 접종수준별 지상부 생육은 처리 간에 큰 차이가 없었고, 과실생육은 과중이 무접종구에 비하여 접종밀도가 높을수록 가벼워지는 경향이었다. 총과수 및 상품과수와 상품과율 및 수량은 접종밀도가 높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그에 따른 수량감소율은 무접종구에 비하여 각각 3.9, 11.3, 14.5, 22.8%로 접종밀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점박이응애 접종밀도(X)와 수량감소율(Y)과의 관계는 Y = 1.085X + 2.474 ($R^2$ = 0.9659)의 회귀식을 얻을 수 있었고,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계식에 근거하여 GT값이 전체수량의 5%되는 수량감소율을 추정해 보았을 때 요방제수준은 주당 1.8마리로 추정되었다. Economic injury levels (EILs) and economic threshold (ET) were estimated for the two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Koch (Acari, Tetranychidae) on greenhouse eggplants. T. urticae density increased until the mid-July and thereafter decreased in all plots where initial density of the mite were different each 0, 2, 5, 10 and 20 adults per plant was innoculated on June 7. Growth variables of were not different among experimental plots but fruit weights were lower in plots with higher initial mite density than in plots with lower initial mite density. Total number of fruits and the number of marketable fruits decreased in plots with higher initial mite density. The rates of yield loss increased with increasing initial mite density, resulting in 0, 3.9, 11.3, 14.5, 22.8% reduction in each of the above plots, respec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initial T. urticae densities and yield losses was well described by a linear regression, Y = 1.085X + 2.474, $R^2$ = 0.9659. Based on the relationship, the number of adults per plant which can cause 5% loss of yield wa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1.8.

      • KCI등재

        복분자딸기에서 발생하는 해충 종류 및 발생 양상

        임주락,최선우,김주희,이기권,정성수,류정,황창연,Lim, Ju-Rak,Choi, Seon-U,Kim, Ju-Hee,Lee, Ki-Kwon,Cheong, Seong-Soo,Ryu, Jeong,Hwang, Chang-Ye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9 No.2

        2006년에서 2008년까지 전북지역의 복분자딸기에서는 차응애, 박쥐나방, 애모무늬잎말이나방, 무궁화잎밤나방, 장미흰깍지벌레 등 5종의 해충이 주로 발생하였다. 복분자딸기에서 발생하는 차응애와 무궁화잎밤나방 발생소장 조사결과 차응애는 5월 중순 발생을 시작하여 6월 하순, 7월 중순, 8월 하순 3회 발생피크를 보였고, 발생밀도는 엽당 10마리 이상이었다. 무궁화잎밤나방은 6월 중순부터 발생을 시작하여 7월 하순 발생피크를 보인 후 줄어들다가 10월 상순 다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복분자딸기 수확 전에 발생하는 해충은 28종이었으며, 주요 해충은 차응애, 점박이응애, 대만총채벌레, 톱니무늬애매미충, 애모무늬잎말이나방, 초록장님노린재, 검정배줄벼룩잎벌레 7종이었다. 수확 후에 발생하는 해충은 19종이었고, 주요 해충은 차응애, 박쥐나방, 무궁화잎밤나방, 애모무늬잎말이나방, 검정배줄벼룩잎벌레, 장미흰깍지벌레 6종이었다. 해충관리를 하지 않고 방치한 포장에서는 복분자딸기의 생육이 저하되고, 수량은 매년 7%정도 감소하는 경향이었지만, 농약으로 해충관리를 한 포장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In this study, 5 species (Tetranychus kanzawai Kishida, Endoclyta excrescens (Butler), leaf roller caterpillar (Adoxophyes orana Fisher), Anomis mesogona (Walker), and Aulacaspis rosae (Bouche)) were found in Rubus coreanus Miquel in Jeonbuk province, from 2006 to 2008. T. kanzawai appeared in mid-May and showed three peaks in late June, mid-July, and late August. Its density was over 10 adults per leaf. A. mesogona appeared in mid-June and showed two peaks in late July, and early October. Of the 28 insect pests in pre-harvesting, the 7 main species were T. kanzawai, T. urticae, A. orana, Lygocoris lucorum Meyer, Frankliniella intonsa (Trybom), Psylliodes punctifrons Baly and Motschulskyia serrata (Matsumura). Of the 19 insect pests in after-harvesting, the 6 main species were T. kanzawai, E. excrescens, A. mesogona, A. orana, P. punctifrons and A. rosae. Growth of R. coreanus decreased when insect pests were not managed and yields decreased approx. 7% a year. Management of insect pests in field using pesticide was not different.

      • KCI등재

        시설 가지에서 아메리카잎굴파리의 경제적피해수준

        임주락,문형철,최선우,김주희,이기권,고복래,최정식,전용균,황창연,Lim, Ju-Rak,Moon, Hyung-Cheol,Choi, Seon-U,Kim, Ju-Hee,Lee, Ki-Kwon,Ko, Bok-Rai,Choi, Jung-Sick,Jeon, Yong-Kyun,Hwang, Chang-Ye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6 No.3

        시설 가지에서 아메리카잎굴파리 경제적피해수준 및 요방제수준을 추정하였다. 생육초기 아메리카잎굴파리 접종밀도에 따른 시기별 발생밀도는 5월 17일 접종 후 6월 하순까지는 계속 증가하다가 7월 이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접종밀도별 지상부 생장 및 과실 생육은 유의한 영향은 없었으나, 총과수 및 수량은 접종밀도가 높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그에 따른 수량감소율은 높아졌다. 피해엽율은 접종밀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여 20마리/4주 수준에서 65%의 피해가 나타났으며, 상품과수 및 상품과율은 무접종구(12.2%)에 비해 접종밀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다. 아메리카잎굴파리 접종밀도에 따른 피해 엽면적비율은 각각 5.3, 11.7, 19.7, 25.7%였고, 이때 수량감소율은 각각 0.6, 4.8, 9.8, 14.7%를 나타내었다. 아메리카잎굴파리 접종밀도(X)와 수량감소율(Y)과의 관계는 Y = 0.76779X + 0.298354 ($R^2\;=\;0.9599$)의 회귀식을 얻을 수 있었고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계식에 의하면 자연감소율을 5%로 고려할 때 경제적피해수준은 6.1마리/4주로 시설가지에서 생육초기 아메리카잎굴파리 요방제수준은 4주당 4.9마리 범위로 추정되었다. Economic injury levels and economic thresholds were estimated for the american serpentine leafminer (Liriomyza trifolii) on greenhouse eggplant. Liriomyza trifolii density was increased until the late June and decreased after the July in innoculation on may 17. Growth of an aerial plants and fruits were not different in treatment respectively. But total number of fruits and yields were decreased on higher inoculation density. Whereas the rate of yield loss was increased. The rates of damaged leaf by L. trifolii were increased on higher inoculation density and the peak was 65%. The number of commodity fruits and the rates of commodity fruit were become lower than non-treatment (72.2%). The rates of damaged leaf area were 5.3, 11.7, 19.7, 25.7% on inoculation densities and the rates of yield loss were 0.6, 4.8, 9.8, 14.7%, respectively. There existed close correlation between rate of yield loss and inoculation density (Y = 0.76779X + 0.298354, $R^2\;=\;0.9599$). Considerated of the results, the economic injury levels of L. trifolii on eggplant greenhouse was 6.1 adults per 4 plant and the economic thresholds was 4.9 adults per 4 plant.

      • KCI등재

        우리나라 천적 연구의 현황 및 미래 전략: 1990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응용곤충학회지 게재 논문 분석

        조점래,김정환,서미자,최선우,임언택,이경열,Cho, Jum Rae,Kim, Jeong Hwan,Seo, Meeja,Choi, Seon U,Lim, Un Taek,Lee, Kyeongyeoll 한국응용곤충학회 2021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60 No.3

        Since 1995, researches on natural enemies have been conducted extensively in Korea. Research papers on natural enemie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from 1990 to 2020 were 130, which is 8.4% of all published papers during the same period. In 1990s, most research papers study the searching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enemies, whereas the proportion of research papers related to the field application using the developed natural enemies has been increasing since 2010s. A total of 37 excellent natural enemies have been developed including 24 indigenous and 13 introduced natural enemies. In addition, 28 kinds of booklets and/or manuals were developed for field application of natural enemies. Although successes in research and development have been achieved since that period, more researches on search for and/or introduction of excellent natural enemy suitable for the Korean cultivation environment, mass production technology that can reduce cost, and quality control program in producing and distributing natural enemy remain to be pursued in the future. Furtherm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the technology that can be used in compatible way with natural enemies and other crop protection agents including synthetic insecticides. 우리나라의 천적 연구는 1995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25여 년이 지난 지금 1990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응용곤충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은 약 130편으로 전체 약 1,550편의 8.4%가 천적에 관한 논문이었다. 이들 논문 중에는 1990년대에는 천적을 탐색하여 생물적 특성 연구에 관한 논문의 비율이 높았고, 2010년대에는 개발된 천적을 농가 현장에 적용하는 논문의 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국내 토착 천적이 24종, 도입 천적이 13종이 개발되어 총 37종의 우수 천적이 개발되었다. 또한 개발된 천적이 현장에 활용될 수 있도록 천적 활용 기술서 및 매뉴얼을 약 28종 이상 개발되었다. 이처럼 지금까지 천적 탐색, 생물적 특성 연구, 및 생산·이용 기술 측면에서 많은 성과가 있었으나 앞으로 추진하여야 할 과제도 많이 남아 있다. 우리나라 농작물 재배상황에 맞는 우수 천적을 탐색하거나 도입하는 연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연중 대량생산 기술, 천적의 생산 및 유통 과정에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기술, 및 천적과 저독성 작물보호제를 조화롭게 사용할 수 있는 기술 개발 등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고추 재배에 가축분퇴비 활용방법이 아산화질소 배출에 미치는 영향

        이창규(Chang-Kyu Lee),김형국(Hyeong-Goog Kim),송은주(Eun-Ju Song),최선우(Seon-U Choi),전형권(Hyong-Gwon Chon)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전라북도 농업분야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2020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보고서」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1990년부터 2019년까지 약 24%가 증가하였다. 농업분야에서 온실가스 발생량이 증가한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가축 사육두수가 증가하였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축분퇴비를 농경지에 살포하여 합성 질소질비료 사용량을 줄임에 따라 나타나는 아산화질소 배출량과 고추 생육 특성에 대해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은 전라북도농업기술원에 위치한 노지 시험포장에서 작물은 고추로 하여 2020년 5월부터 2021년 4월까지 연구를 실시하였다. 시험을 위한 비료는 2020년 5월 3일에 살포하였고, 처리구는 가축분분상퇴비와 가축분입상퇴비로 구분하였다. 처리방법은 가축분퇴비를 표준시비량의 인산 11.2kg/10a를 기준으로 전량 밑거름을 살포하였고, 이때 부족한 질소와 칼리는 표준시비량인 22.5 kg/10a와 14.9 kg/10a에 맞추어 합성 화학비료로 보충하여 양분이 부족하지 않게 균형을 맞추었다. 아산화질소 배출량 조사는 비료살포 전부터 다음 작기 시작 전까지 330일 동안 매주 1회 실시하였다. 아산화질소 포집은 패쇄형 챔버법으로 하였고, 오전 10시 20분∼11시까지 40분간 실시로 하였으며, 분석은 gas chromatography (Agilent GC-7890B)를 사용하였다. 고추재배를 위해 시험비료를 처리한 후 아산화질소 배출량을 분석한 결과, 무기질비료 처리구에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가축분입상퇴비+NK 처리구, 가축분입상퇴비+NK 처리구이었으며, 무처리구에서는 가장 적었다. 그리고 조사한 처리구의 아산화질소 배출량을 지구온난화지수로 환산하면 무기질비료 처리구는 5,735 kg/ha CO₂-eq., 가축분입상퇴비+NK 처리구에서는 2,724 kg/ha CO₂-eq., 가축분분상퇴비+NK 처리구는 2,228 kg/ha CO₂-eq., 무처리구에서는 734 kg/ha CO₂-eq.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