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말기암환자에서 혈중 비타민 D 농도와 생존기간과의 관련성

        최선영,최윤선,황인철,이준영,Choi, Sun Young,Choi, Youn Seon,Hwang, In Cheol,Lee, June Young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5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8 No.2

        목적: 국내 말기암환자를 대상으로 혈중 vitamin D 농도를 측정하고, 생존기간과의 관련성에 대하여 확인해 본다. 방법: 2012년 5월부터 15개월 동안, 국내 일개 병원의 말기암환자 96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 조사를 시행하였다. Vitamin D 결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해 단순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vitamin D가 생존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다변수 분석으로 Cox's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analysis를 실시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67.06{\pm}13.77$세였고, 모든 대상자가 ECOG PS 3점 이상이었으며 혈중25(OH)D 농도는 평균 $8.60{\pm}7.16ng/ml$였다. 3명(3.1%)만이 vitamin D 충분상태(혈중 25(OH)D 농도${\geq}30ng/ml$)였으며, 5명은 vitamin D 상대적결핍상태(혈중 25(OH) 농도 20~30 ng/ml)였고, 13명(13.5%)은 vitamin D 결핍(혈중 25(OH)D 농도 10~20 ng/ml), 75명(78.1%)은 vitamin D 중증결핍상태(혈중 25(OH)D<10 ng/ml) 였다. 혈중 빌리루빈 농도가 1.2 mg/dl 이상인 경우 vitamin D 중증결핍과 관련이 있었다(Odds ratio, OR=5.041; P=0.039). 혈중 빌리루빈 농도가 높을수록 혈중 vitamin D 농도가 낮았으며, 고빌리루빈혈증인 환자는 vitamin D 중증결핍에 속할 위험이 더 크고(OR=18.476, P<0.05), 중앙생존기간도 유의하게 짧았다. Vitamin D 중증결핍인 경우 추정된 중앙생존기간은 짧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다변량 분석결과에서 vitamin D 중증결핍은 사망의 위험인자가 아니었다. 결론: 말기암환자에서 혈중 vitamin D 결핍은 매우 심각하였으나, vitamin D 중증결핍이 생존기간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Purpose: We aimed to investigate how serum vitamin D levels are related to survival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Methods: From May 2012 through June 2013,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was performed on 96 hospice patients. Univariate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severe vitamin D deficiency and Coxcy and Coxional hazard analyses were used to evaluate effects on survival. Results: The mean vitamin D level in patients was $8.60{\pm}7.16ng/ml$. Vitamin D was severely deficient (<10 ng/ml) in 75 patients (78.2%), deficient (10~20 ng/ml) in 13 patients (13.5%), relatively insufficient (21~29 ng/ml) in five patients (8.3%) and sufficient ((t ng/ml) in three patients (3.1%). Hyperbilirubinemia (${\geq}1.2g/dl$) was the only factor associated with severe vitamin D deficiency according to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dds ratio, OR=18.48, P<0.05). Although hyperbilirubinemia showed a strong association with survival (Hazard ratio, HR=2.25, P<0.01), no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severe vitamin D deficiency and survival (HR=1.15, P>0.05) in Cox's proportional hazard analysis. Conclusion: Although serum vitamin D levels were severely low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we found no association between severe vitamin D deficiency and patient survival.

      • KCI등재후보

        간호사관생도의 생도생활적응 영향요인: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최선영 ( Seon Young Choi ),유명란 ( Myoung Ran Yoo ),이미정 ( Mi Jung Lee ) 국군간호사관학교 군진간호연구소 2014 군진간호연구 Vol.32 No.1

        본 연구는 국군간호사관학교에 재학 중인 간호사관생도를 대상으로 생도생활 적응,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수준을 파악하고, 생도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횡단적 본 연구 대상자의 생도생활 적응은 평균 평점 7.0점에 4.2점이었다. 이는 Lee(2003)가 동일한 도구를 사용하여 공군사관학교 생도 465명을 대상으로 측정했던 생도생활 적응 점수 4.3점과 유사하였으며 본 도구 중 사관학교 특성이 추가되지 않은 도구로 4년제 대학생 450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Cho(2000)의 연구결과인 4.2점과도 동일하여 간호사관생도의 생도생활 적응수준은 다른 사관학교 생도와 일반 4년제 대학생들과 유사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도생활 적응은 학년(F=9.89, p<.001), 현재 지휘근무 수행여부(t=13.31, p<.001), 이성교제 여부(t=6.43, p=.012), 멘토 여부(t=7.18, p=.008), 훈육성적(F=10.46, p<.001)에 의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3학년 생도의 적응 수준이 1학년 생도보다 높은 것은 신입생이 상급생에 비해 대체로 적응 수준이 낮았던 선행연구(Lee, 2003) 결과와 일치하였는데 이는 간호사관생도 1학년 역시 입학전의 기대와 입학 후 현실 간의 차이를 깨닫고 새로운 환경과 인간관계에 적응하면서 자아정체성을 확립해야 하는 과업 때문에(Lee et al., 2004) 일반 대학교 신입생과 동일하게 상급생보다는 생활적응정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런데 학년이 높아질수록 학교생활에 잘 적응한다는 선행연구 결과(Lee, 2003)와는 달리 간호사 관생도 4학년의 생도생활적응 점수는 2학년과 비교할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이는 본 연구에서 4학년이 2학년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스트레스 점수가 적응에 부적 영향을 주는 것과 연관시켜 볼 수 있으며,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학교 생활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선행연구와 일맥상통한 결과이다(Kim, 2012). 4학년 생도들은 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자신과 인간관계와 관련있는 개인적 스트레스가 2학년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나 환경적 스트레스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를 통해, 4학년 생도들이 물리적 환경에는 익숙해졌으나 상대적으로 자신의 내부적 문제와 인간관계에 어려움에 직면하여 스트레스 정도가 높고, 이로 인하여 적응의 정도가 낮은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지금까지 4학년 생도들의 생도생활적응과 관련된 사전연구가 적어 보다 명확한 원인 규명에는 어려움이 있어 본 연구자들은 이번 연구를 토대로 간호사관생도 4학년의 생도생활적응 향상을 위한 추후 연구를 제안한다.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이성친구(t=6.43, p=.012)와 교내외 멘토(t=7.18, p=.008)가 있는 대상자가 그렇지 않은 대상자보다 적응 수준이 높았으며, 현재 지휘근무를 수행하는 대상자가 그렇지 않은 대상자보다(t=13.31, p<.001) 적응수준이 높았는데 이는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대학생활에 잘 적응한다는 사전 연구결과(Lee, 2009)와 일치하는 것이다. 특히 지휘근무는 일반 간호대학생은 경험하지 못하는 간호사관 생도만의 특성이지만 동료 및 선·후배 생도들의 직접적인 투표에 의해 지휘근무생도로 선출되고 또 생도들의 리더로서 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지휘근무는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중 동료의 평가적 지지가 반영된 결과이며 간호사관생도의 생도생활적응 역시 일반 간호대학생과 동일하게 사회적 지지와 관계있음을 보여주었다. 사관 학교의 특성인 훈육성적 상위 30% 이내인 대상자가 그 외의 대상자보다 적응 수준이 높게 나타났는데(F=10.46, p<.001) 이는 간호사관생도를 대상으로 한 Hwang 등(2009) 적응연구와 일치한 결과이다. 훈육성적은 매 학기별 동급생과 상급생 근무생도, 훈육요원에 의한 적성평가 및 생도생활평가, 규정평가 등을 통해 산정되는데, 높은 훈육성적은 모범적인 생도생활을 반영한다는 간호사관학교의 훈육지침을 고려할 때 훈육성적은 간호사관생도의 독특한 생도생활 적응 영향요인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 대상자의 스트레스는 평균평점 4.0점에 2.0점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동일한 도구로 해군사관학교 생도 478명의 스트레스를 측정한 Ko(2004)의 연구결과인 2.1점과 유사하였고 상이한 도구이지만, 육군사관학교 생도 351명을 대상으로 생활 스트레스를 측정한 Moon & Kim(2006)의 연구결과인 2.1점과도 유사하여 간호사관생도들은 타 사관생도들과 유사한 수준의 생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간호사관생도 3학년의 스트레스 수준이 1학년생도와 동일한 점수로 측정되어, 다른 도구를 사용한 결과지만 일반 대학교는 신입생의 스트레스 수준이 가장 높다는 사전연구 결과(Kim & Cho, 2011)와 상이하였고 간호사관생도 4학년의 스트레스 점수가 가장 높은 것은 동일한 도구로 사관생도의 스트레스를 측정한 결과, 고학년이 저학년보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다는 사전연구 결과(Ko, 2004)와 일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간호사관생도의 스트레스는 일반 간호대학생보다는 타 사관학교 생도와 유사한 경향을 보여주었고 그 중 임관을 앞둔 4학년 생도의 스트레스가 높은 것은 일반 대학생과는 차별화되는 결과였다. 그런데 스트레스는 학교생활적응이나 생활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정신 및 신체 건강에도 부적 상관관계가 있어(Kim, 2012) 간호사관생도 4학년의 스트레스가 높은 것은 임관 후의 실무적응이나 생활만족도를 저하시킬 수 있어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스트레스 하위영역 중 가장 높게 나타난 개인적 스트레스를 해소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 대상자의 자아존중감은 평균평점 4.0점에 3.1점이었으며, 이 결과는 공군사관학교 생도 전수 635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Jeon과 Choi(2012)의 연구결과인 2.8점과 간호대학생 107명을 대상으로 한 Cho, Park과 Lee(2008)의 2.7점보다는 높은 점수였다. 일반적 특성 중에서는 3학년 생도의 자아존중감이 1학년 생도보다 높았고, 재학기간이 길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았는데 이는 선행연구 결과(Lee, 2009)와 유사하였다. 그리고 현재 지휘근무 수행중이거나 과거에 지휘근무 경험이 있는 대상자의 자아존중감이 그렇지 않은 대상자보다 높았는데 지휘근무와 자아존중감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선행연구가 없어 본 연구결과와 비교할 수는 없었다. 하지만 선행연구에서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또래와의 관계가 좋고(Sung, 2008), 학업성적이 우수하다는 결과(Park, 2000)를 비추어 볼 때 지휘근무자의 선발 요건이 일정 수준의 학업성적과 훈육성적이 갖추어져 있어야 하고, 동급생으로부터의 지지가 필수적임을 고려할 때 자아존중감과 지휘근무와의 정적 상관성을 추정할 수 있으며 간호사관생도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일 방안으로 지휘 근무제도의 확대적용을 검토해 봄직하다. 교내외 멘토가 있는 대상자 역시 자아존중감이 높았는데 이는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의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Lee, 2009). 이상에서와 같이 자아존중감은 현재 간호사관학교에서 적용되고 있는 지도교수제도 및 멘토·멘티 프로그램, 선·후배 시스터 제도, 지휘근무 제도의 활성화 등 지지체계가 강화되는 프로그램을 통해 향상시킬 수 있으리라 사료되며 향후 간호사관학교는 현재 운영 중인 다양한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살펴보고 그 결과를 학교 교육프로그램의 확대 또는 보완 등의 자료로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대상자의 자아탄력성은 평균평점 4.0점에 2.6점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D광역시의 간호대학생 265명을 대상으로 한 Park과 Kwon(2013)의 2.8점, 전라도, 충청도, 경상도에 소재한 간호대학생 580명을 대상으로 한 Park과 Lee(2011)의 2.7점과 유사하였다. 일반적 특성 중에서는 현재 지휘근무를 수행하는 대상자의 자아탄력성이 높았는데 자아탄력성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자기통제 수준을 융통성 있게 조절함으로써 유연하게 반응하는 능력으로(Block & Kremen, 1996), 지휘근무를 통해 자신감을 배양하고, 다양한 상황에 대처하는 능력을 배양할 뿐 아니라 훈육요원과 생도들의 가교 역할을 수행하면서 대인관계 기술이 향상되어 자아탄력성이 높아졌기 때문일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교내외 멘토가 있는 대상자 역시 자아탄력성이 높게 나타나 자아탄력성이 사회적 지지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전연구 결과(Joe, 2005)와 일치하였다. 대상자의 생도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의 설명력은 41.2%인 것으로 나타났다. 생도생활 적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생도생활 스트레스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Kim(2002)의 연구에서 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중요한 영향 요인이라고 한 결과와 유사하며,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Lee & Eo(2013)의 연구에서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난 결과와 유사하였다. 즉, 간호사관생도들은 환경적 문제, 학업문제, 인간관계 문제 등으로 스트레스가 높아질 수 있으며, 이는 생도생활 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간호사관생도들이 생도생활에 잘 적응하기 위해서는 생도생활에서 느낄 수 있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방안이 우선적으로 마련 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신입생 스트레스는 사관학교와 일반대학교 모두 동일하게 높지만 사관 학교 신입생은 일반 간호대학생과는 달리 군인화 교육을 받으면서 또 다른 스트레스를 경험할 수 있으므로 간호사관생도 1학년의 스트레스에 대해서도 조기에 평가하고 또 관리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간호사관생도의 생도 생활 적응은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의 영향도 받으므로 자아존중감이나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역시 필요하다. 자아존중감은 부모의 사랑, 정서적 안정, 동료들 사이의 인정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중요한 타인으로부터 개인이 받는 존경과 수용, 관심 즉, 사회적 지지로 증진될 수 있다(Lee, 2009). 자아탄력성은 자신의 삶에 대해 만족하고 감사하며 어려움을 극복해나갈 수 있다는 긍정적인 마음으로 높일 수 있는데 이 또한 인간관계 능력 및 사회적 지지로 높일 수 있다. 본 연구결과에서도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이 높은 대상자 모두 멘토가 있거나 종교활동을 하고 있어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로 인한 부정적 영향력을 완화시키고 긍정적 정서의 강화, 우울의 완화, 자아존중감 손상 완화에 영향력이 있다(Park, 2012)는 사전연구결과와도 일치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들은 간호사관학교는 생도들의 적응을 돕기 위해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키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이미 사관학교의 특수성이 반영되어 운영되고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인 지휘근무제도, 시스터 제도 등을 보다 더 확대 적용하는 방안도 모색할 것을 제안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cadets` life adjustment, stress, self-esteem, and ego-resilience in the Armed Forces Nursing Academy. Methods : The study is a cross sectional research on 300 female nursing cadets. The instruments were revised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Stress, Rosenberg Self-Esteem Scale, and revised ego-resilience scale. Data was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cadet`s life adjustment, stress, self-esteem, and ego-resilience were 4.2/7, 2.0/4, 3.1/4, and 2.80/4,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cadets` life adjustment, self-esteem, and ego-resilience, and they explained 41.2% of the cadets` life adjustment based 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adets` life adjustment and stress. Conclusion :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self-esteem and ego-resilience and decrease stress for improving cadets` life adjustment. It is important to develop a more effective discipline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 KCI등재

        소비자 구매결정요인을 통한 실내분수기 디자인 차별화 전략

        최선영 ( Seon Young Choi ),고정욱 ( Jung Wook Go ),강범규 ( Bum Kyu Ka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1

        21세기에 들어서 디자인 중심의 혁신이 가속화 되고 있다. 기업은 제품의 경쟁력 우위를 확보하는 차별화 전략으로 디자인을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소비자의 까다로운 구매동기에 명확히 접근하기 위해 소비자행동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그 동안 디자이너의 손길이 미치지 못했던 실내분수기를 대상으로 소비자의 제품 구매요인을 파악하여 디자인 차별화 전략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블루오션 시장의 잠재고객으로 예상되어지는 20대중·후반-30대의 사용자를 코어타깃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심층인터뷰를 통해 소비자 욕구(Needs)가 반영된 구매결정요인을 도출하고, 어피니티 다이어그램(Affinity Diagram)으로 군집화 된 결과를 바탕으로 한 전략을 제안함으로써 신뢰성 높은 연구 결과를 도출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내분수기의 잠재고객에 대한 구매결정요인 5가지를 파악하였다. 둘째, 파악된 실내분수기의 구매결정요인은 외형디자인, 기능, 구조, 가격, 재질이다. 셋째, 연구결과로 얻어진 실내분수기 구매결정요인에 근거하는 포지셔닝 맵 분석을 통하여 5가지의 새로운 디자인 차별화 전략을 제안 하였다. 본 연구는 실용학문인 디자인분야에서 실제 소비자 의 인식을 전환시킬 디자인 전략을 입안하고자 할 때 적합한 디자인 개발 전략으로의 가치가 있다. The design-centric innovation is being accelerated as it enters the 21st century. Companies are actively making use of the design in terms of differential strategies that ensure their products with competitive advantages; researches on consumer behaviors are sustainably conducted to precisely define the consumers’ particular motives for their purchasing.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pose differential design strategies for indoor fountains--a field nearly untapped by designers--by determining consumers’ purchasing factors. The core targets of the research are users from mid-to-late twenties up to thirties; ones that are predicted to be potential buyers in the blue ocean markets. The method of the study was to draw purchasing decision factors by reflecting consumer needs with in-depth interviews and to propose strategies on the grounds of clustered results achieved using the affinity diagram to ensure the highly reliable study results. Specific results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five purchasing decision factors for potential indoor fountain consumers were defined. Second, purchasing decision factors defined for indoor fountains are exterior design, functionality, structure, price, and material. Third, based on the purchasing decision factors derived from the study results, five new differential design strategies were proposed by conducting a positioning map analysis. The value of this study lies in the appropriateness as a development strategy when design strategies that would change real consumers’ perception are necessary to be drawn up in the practical design field.

      • KCI등재

        보건계열 대학생의 환자 의료 정보 보호에 대한 인식과 수행

        최선영(Choi, Seon Young),임도연(Lim, Do Yeon),고일선(Ko, Il Sun),문인오(Moon, In Oh) 한국간호교육학회 2016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22 No.1

        Purpo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perception, performance, and the related factors of performance in regards to patients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among allied health college students. Methods: Four hundred twelve subjects from three colleges located in Jeonbuk and Kyungbuk province consented to participate. Data was collected from November 28 to December 15, 2012. To assess perception and performance in regards to patients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was used. Data was analyzed via SPSS 18.0 program. Results: The score of perception and performance about patients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were 4.07 and 3.56, respectively. All items scores of performance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perception. The perception sco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recognition of hospital ethics code (t=1.95, p=.052), and recognition of association ethics code (t=2.88, p=.004). The performance sco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t=-3.32, p=001), major (F=14.41, p<.001), clinical practicum hospitals (F=8.22, p<.001), and method of electronic medical record access (F=3.23, p=.023). The factors influencing performance were perception(β=.46, p<.001), duration of clinical practice(β=-.36, p<.001), and gender(β=.09, p=.033).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performance in regards to patients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of allied health college students, we should develop ethical education programs and standardize them through multidisciplinary collaboration.

      • KCI등재

        국군간호사관학교 입학전형 요소와 생도 교육성적

        최선영 ( Choi Seon Young ),정은경 ( Jeong Eun Kyoung ),김연제 ( Kim Yeon Je ),이재안 ( Lee Jea An ),박임희 ( Park Im Hee ) 국군간호사관학교 군건강정책연구소 2021 군진간호연구 Vol.39 No.1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of admission process and academic achievement of Korea Armed Forces Nursing Academy (KAFNA).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59 cadets who entered the KAFNA in 2014 and 2015 and graduated from the '14-'17 curriculum.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ction coefficient. Results: The total score of the admission examination and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scor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total score of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the score of the secondary admissions examination, the score of physical examination and interview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total score of academic achievemen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cademic tract of high school and academic achievement of KAFNA. The primary admissions examination score and academic score in high school of the admission factors were not related to the total academic achievement score, degree education score, and extracurricular score. Conclusion: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redefine the composition, proportion, allocation of the factors of admission process of KAFNA.

      • KCI등재

        한국 성인의 수면시간과 체성분 인자와의 연관성

        김은영(Eun Young Kim),최윤선(Youn Seon Choi),김선미(Seon Mee Kim),최선영(Sun Young Choi),김은혜(Eun Hye Kim),김정은(Jung Eun Kim),김이연(E Yeon Kim),정재훈(Jae Hoon Jeong),진로사(Rosa Jin),정상아(Sang Ah Jung)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14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5 No.1

        연구배경: 수면부족은 당 대사조절 등 체내 생리적 시스템에 영향을 주면서 비만의 유병률을 높일 것으로 생각되는데, 국내외적으로 수면시간과 비만과의 연관성을 다룬 연구는 많이 있으나 체지방량의 분포 등 체성분과의 연관성을 다룬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 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성인의 수면시간과 체성분과의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했다. 방법: 제 4기(2008∼2009)와 제 5기(2010)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고령, 미측, 갑상샘 질환, 신부전, 임신을 제외한 총 98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체성분인자로 BMI, 허리둘레, 총체지방률, 몸통체지방률, 제지방률, 몸통제지방률, 근량을 사용하였고, 수면시간에 따른 체성분 분석의 연관관계를 보기 위해 선형 회귀분석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였으며, 나이, 흡연, 운동, 음주 등의 교란변수를 보정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남성과 여성 모두 BMI, 허리둘레, 몸통체지방률, 근량에서 수면시간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비만 관련 위험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BMI≥25 kg/㎡, 허리둘레(남자≥90 cm, 여자≥85 cm), 체지방률과 제지방률, 근량의 상위 25%값의 비율에 대해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을 때는, 남성에서만 유의한 교차비를 보였다. 남성에서 수면시간이 1시간 증가할수록 BMI 25이상의 위험은 0.89배, 허리둘레 90 cm이상 위험은 0.90배, 몸통 체지방률과 근량도 각각 0.93배, 0.89배 감소하였다. 결론: 우리나라 성인의 수면시간은 체성분인자 중 BMI, 허리둘레, 몸통 체지방률, 몸통 제지방률, 근량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으며, 남성에서는 수면시간이 부족할수록 BMI 25 kg/㎡ 이상, 허리둘레 90 cm이상 될 위험이 증가하고, 몸통체지방률이 증가할 위험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수면부족이 몸통에 체지방량의 분포를 증가시켜 중심비만을 야기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음을 뒷받침하며, 적절한 수면관리를 통해 이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므로 이를 지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겠다. Background: Despite the large number of epidemiological studies linking obesity and short sleep duration, there is paucity of data carefull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composition and sleep duration. So, through national undertaking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KNHANES),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duration and BMI, waist circumference, and percent body fat in Korean adults. Methods: From the data of KNHANES in the year of 2008∼2010, over 19 years old 4337 men and 5543 women, relationship between sleep duration and indices of body composition was examined. Anthropometric and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XA) measures of body composition were used. Sleep duration was measured us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self-reported questionnaires. Results: The study results revealed a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and most of body composition variables -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truncal fat percentage, muscle mass - and positive association with truncal lean mass percentage. In men, increasing sleep duration 1 hour, prevalence of obesity (BMI≥25 kg/㎡) is decreasing (OR=0.89, CI:0.837-0.939), risk of waist circumference over 90 cm is decreasing (OR=0.90, CI:0.851-0.966), truncal fat percentage (OR=0.93, CI:0.869-0.992) and muscle mass (OR=0.89, CI: 0.835-0.949) are also decreasing. Conclusion: Our results are consistent with previous findings that sleep duration is associated with obesity.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duration and body composition may be stronger in men than in women. Short sleep duration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truncal fat. And it supports that short sleep duration may increase prevalence of central obesity in Korean men.

      • KCI우수등재SCOPUS

        온도, 광도 및 CO₂ 의 농도가 고추냉이의 광합성과 호흡에 미치는 영향

        최선영(Sun Young Choi),이강수(Kang Soo Lee),은종선(Jong Seon Eun) 한국약용작물학회 1995 한국약용작물학회지 Vol.3 No.3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know the effect of temperature, light intensity and CO₂ concentration on photosynthesis and respiration in Wasabi(Wasabia japonica Matsum). The optimum temperature for photosynthesis in Wasabi was 17∼20℃ and dark respiration rate was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of temperature from 15℃ to 30℃. Light compensation point was 6.0μE m<sup>-2</sup>s<sup>-1</sup> in Wasabi and 36.7μE m<sup>-2</sup>s<sup>-1</sup> in Corn. and light saturation point was 600μE m<sup>-2</sup>s<sup>-1</sup>, similar in Wasabi and Corn. CO₂ compensation point was 67.3ppm in Wasabi and 11.6ppm in Corn. Photorespiration rate in Wasabi leaf at 1000μE m<sup>-2</sup>s<sup>-1</sup> light intensity was 3.3 mgCO₂ dm<sup>-2</sup>hr<sup>-1</sup>, and then was gradually decreased as light intensity decreased. Stomatal frequency was about 76mm<sup>-2</sup> on the adaxial surface and 623mm<sup>-2</sup> on the abaxial surface, and the size of stomata was about 12㎛ on the adaxial surface and 17㎛ on the abaxial surface of the leaf.

      • SCOPUSKCI등재

        졸링거 - 엘리슨 증후군과 동반된 다발성 내분비종 I 형 1 예

        이영미(Young Mi Lee),정훈용(Hwoon Yong Jung),최선영(Sung Young Choi),강호형(Ho Hyung Kang),명승재(Seung Jae Myung),양석균(Suk Kyun Yang),홍원선(Weon Seon Hong),김진호(Jin Ho Kim),민영일(Young Il Min) 대한소화기학회 2002 대한소화기학회지 Vol.39 No.1

        Zollinger-Ellison syndrome (ZES) is characterized by recurrent peptic ulcer and diarrhea caused by gastric acid hypersecretion due to gastrinoma. Approximately, one third of patients with gastrinoma have multiple endocrine neoplasia type I (MEN-I). The diagnosis of gastrinoma is difficult, although it can be cured by surgery after localization. Recently, the somatostatin receptor scintigraphy (SRS) was reported to be more sensitive than any other tumor-localization methods. We report a case of ZES with metachronous MEN-I. A 47-year-old woman had peptic ulcer disease with its complications and recently developed diarrhea. Her serum gastrin level was markedly elevated (1,098pg/mL) but the results of conventional imaging tests were negative. We confirmed the presence of gastrinoma by the selective intraarterial secretin injection and portal vein sampling. Then, the tumor was eventually located by SRS under the diagnosis of ZES. She underwent a Whipple`s operation with the compatible pathologic findings of gastrinoma. She was confirmed to have parathyroid hyperplasia and MEN-I during follow-up. (Korean J Gastroenterol 2002;39:50-54)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생태학적 모델을 이용한 육군 초급간부의 건강교육 실태조사

        조순영 ( Seun Young Joe ),최선영 ( Seon Young Choi ),서미영 ( Mi Young Seo ),김중배 ( Jung Bae Kim ) 국군간호사관학교 군진간호연구소 2012 군진간호연구 Vol.30 No.2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systemize of health education in the Korean Army in order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interpersonal, institutional, community factors and the health education. Methods: The design was done with the between method triangulation using interview and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Oct 1 to Dec 15, 2011. The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by the analytic method of Colaizzi. The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χ2 test & Logistic Regression via SPSS WIN 12.0 program. Results: The result shows that regular infantry division spends much more time in health education than either homeland defense infantry division or reserve infantry division. The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 that method of health education was not associated with institutional factor, whereas medical personnel instructors were 46.9 times more than non-medical personnel was associated with institutional factor.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systemization of health education is not associated with factors an education methods, but rather with the time, content, instructors of education. Thus, a policy-based approach considering of institutional factors is required to enhance the systemization of health education for health equ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