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BaTiO3 의 유전특성에 대한 Nb5+ 이온의 첨가효과
황인철,주웅길,이문호 한국화학공학회 1979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17 No.5
BaTiO₃의 소결밀도 및 유전특성에 소결온도와 Nb^(5+) 이온의 첨가가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BaTiO₃의 유전상수 및 그 온도 특성은 Nb^(5+) 이온의 첨가량, 소결온도, 소결후 냉각속도에 따라서 변하였다. 이 결과는 grain size 및 내부응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판단되며, 내부응력모델과 일치하였다. 약 0.5mole% 이하의 Nb^(5+) 이온을 첨가하였을 때는 소결능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그 이상을 첨가하였을 때는 소결능이 증가하였다. The effect of sintering temperature and Nb^(5+) ion addition on the sintered density and the dielectric properties of BaTiO₃ has been investigated. The dielectric constant and its temperature dependence of BaTiO₃ varied with the concentration of the Nb^(5+) ion, the sintering temperature, and the cooling rate after the sintering. Their variation was intimately related with the grain size and the internal stress, which coincided with the internal stress model. Below the concentration of about 0.5 mole% Nb^(5+) ion the sinterability was reduced, butt above that concentration it was raised.
완화의료연구에서의 결과에 대한 검토: 삶의 질을 중심으로
황인철,안홍엽,Hwang, In-Cheol,Ahn, Hong-Yup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2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5 No.3
과거 수십 년에 걸쳐 '삶의 질'은 의학의 분야를 막론하고 임상과 연구 모두에서 그 중요성이 더해 가고 있다. 완화의료는 환자와 그 가족의 삶의 질 향상시키기 위한 활동으로 정의되며, 그들의 삶의 질 향상이 완화의료의 가장 중요한 목표이다. 하지만, 이질적인 정의, 세부항목의 불일치, 도구의 다양성 등으로 인해 연구간 비교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고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동향과 문제점, 그리고 그 해결책에 대해 논의해 보았으며, 향후 완화의료분야 연구에 도움이 되리라 확신한다.
호르몬 치료를 받던 폐경 후 여성에서 발생한 악성 혼합 뮐러종양 1예
황인철,김경곤,이기범,이경식,서희선,국명진,나서영 대한가정의학회 2009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30 No.9
Hormone therapy for peri- and postmenopausal women is widely used for relieving vasomotor symptoms or preventing osteoporosis. Even though exogenous hormone is the most common cause of vaginal bleeding in postmenopausal women under hormone therapy, in clinical practice, physicians must never exclude the possibility of endometrial disorders, such as endometrial hyperplasia or cancer. Taking thorough medical history and performing physical and pelvic examinations are essential for the evaluation of abnormal uterine bleeding in menopausal hormone therapy. Transvaginal ultrasonography, endometrial aspiration biopsy, dilatation and curettage, and hysteroscopy are the options which physicians may use. This case is about a woman with continuous combined hormone therapy for 5 years who had experienced rather sudden onset of vaginal spotting lasting for several months and was fi nally diagnosed as having malignant mixed Müllerian tumor. Our purpose is to inquire into the proper approaching steps for vaginal bleeding in menopausal hormone therapy 갱년기 및 폐경기 여성 호르몬 치료는 폐경기 증상의 완화와 골다공증의 예방을 목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호 르몬 요법을 받고 있는 폐경기 여성에서 질 출혈의 가장 흔한 원인은 외인성 호르몬이기는 하지만, 실제 환자 진료 시에는 자궁내막증식증이나 자궁내막암과 같은 자궁내막질환의 가 능성에 대해서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 갱년기 호르몬 치 료에서 나타나는 비정상 자궁 출혈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자 세한 병력 청취, 신체 검진 및 골반 검진은 필수사항이며, 이 외 질경유 초음파 검사, 자궁내막 흡인생검, 경관확장 자궁소파 술, 그리고 자궁경 검사 등의 검사법을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 다. 본 증례는 5년간 지속적 복합호르몬 요법을 받아오던 환자 가 갑작스러운 소량의 파탄성 출혈을 주소로 내원하여, 최적 의 평가 및 검사를 통해 악성혼합 뮐러종양을 진단받은 경우 이다. 저자들은 본 고를 통해 호르몬 치료를 받던 환자에게 비 정상 자궁출혈이 발생하였을 때 고려해야 할 사항들과 그에 따른 적절한 접근 방법 및 단계별 검사의 의미에 대해 고찰함 으로써 일차진료에서의 호르몬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약물 설계에 새로운 기법의 개발(Ⅱ) : GABA류 물질
황인철 高神大學校 保健科學硏究所 1995 보건과학연구소보 Vol.5 No.-
GABA, gamma-aminobutyric acid, which is an inhibitory neurotransmitter in mammalian brain, was used to develop new algorithm in drug design. PM3 method of quantum mechanical calculations was taken to get chemical reaction indices such as charge density, electrostatic potential (ESP), molecular orbital and dipole moment, after molecular mechanics with MM2 method was conducted to get geometry optimization of GABA analogues. Y-type zwitter ion structure of GABAergic drugs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their receptor binding. Intratom distance, charge density and ESP show that the head and tail of Y structure should play a role in agonism; the unsymmetry negative charge of two head atoms, oxygens of carboxyl group in GABA, and the more positive charge of a tail atom may improve inhibition of receptor binding. HOMO(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of head atoms and LUMO(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 of tail atom also provided a good information to find the pharmacoph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