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아동의 긍정적 기여가 부모의 양육부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최복천(Choi, Bog Cheon),임수경(Lim, Soo Kyung),유영준(You, Young Jun)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4 재활복지 Vol.18 No.3

        Much is known about the hardship associated with parenting a child with disability, but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broader contributions of the child to family life. The primary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sitive contribution made by disabled children in the family on parenting burden. It also aimed to draw practical implications to mitigating the difficulties of raising a disabled child.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620 parents of disabled children under age of 18.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contribution made by disabled children, especially positive emotion was the significant factor to reduce the burden of parenting them.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family income, the age of child, the length of daily care, the degree of performance of routine activities, additional costs related to disabilities had effects on parental burden of raising a disabled child. Based up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effective family support services should be further developed and expanded in order to mitigate the difficulties the parents experienced. The findings also informed that following research on parenting a disabled child should focus on the nature of positive contribution made by the child, as well as the difficulties the parents experience. 본 연구는 장애아동의 긍정적 기여가 부모의 양육부담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여 장애아동 양육의 긍정적 측면의 중요성을 환기하고, 장애가족의 양육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만 18세 미만의 장애아동을 양육하고 있는 부모6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장애아동의 긍정적 기여 중 긍정적 정서와 사회적 관심이 양육 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긍정적 정서가 양육부담감을 감소시키는 주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함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에서는 가구소득과 아동의 연령, 장애관련 특성에서는 돌봄 시간, 일상생활 수행정도, 추가비용의 지출이 양육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장애아동가족의 양육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한 실천적 방안으로 장애아동의 긍정적 기여에 대한 강점중심의 접근이 필요하며, 돌봄 및 경제적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지원정책과 함께 장애정도와 생애주기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이성교제 경험 및 의미에 관한 질적 연구

        최복천(Choi, Bog-Cheon),김유리(Kim, Yu-Ri)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4 특수교육 Vol.13 No.3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관점에서 그들의 이성교제 경험을 살펴보고 그들의 삶에서 이성교제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성교제를 한 경험이 있거나 현재 이성교제중인 발달장애인 6명(남성 2명, 여성 4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활용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개별면담을 통해 얻은 자료들은 범주합산 및 지속적 비교방법을 통해 분석되었는데, 분석결과 이성교제의 경험, 이성교제의 의미, 부모 및 주변인의 지원이라는 3개의 주제와 13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발달장애인의 이성교제는 비장애인의 경험과 별반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며 발달장애인의 삶에 여러 가지 긍정적인 변화와 의미를 가져다준다는 사실을 깨달을 수 있었다. 한편 발달장애인의 이성교제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부모, 특수교사, 사회복지사 등으로부터 다양한 측면에서의 지원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인의 이성교제를 활성화하고 지원하기 위한 시사점이 논의되었으며, 이와 함께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한 발달장애인의 성과 이성교제에 대한 더 깊은 이해는 앞으로 이와 관련한 지원 서비스 및 정책을 수립하는데 있어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lived experiences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understand the meanings in their lives with regard to intimate relationship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ach of 6 participants (2 males and 4 females). Three main themes and 13 sub-themes emerged through the data analysis including the experiences of intimate relationships, the meanings of intimate relationships, and parental and service providers’ supports. The findings suggest that overall aspects of intimate relationships are similar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ypically developing individuals and intimate relationships positively affect the lives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different ways. Practical implications for support services and future areas for research are discussed. The better understanding of sexuality and intimate relationships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ems to provide essential basic information to the development of support services and policies.

      • KCI등재

        장애아동 학대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최복천 ( Bogcheon Choi ),김유리 ( Yu Ri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5 No.4

        본 연구는 장애아동 학대와 관련한 국내외 문헌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전반적인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장애아동 학대 예방 및 중재를 위한 향후 연구과제에 주는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의 한 방법인 범위연구(scoping study)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범위연구 방법의 절차에 따라 장애아동 학대와 관련된 선행연구 총 29편을 선정하고, 선정된 논문들을 연구 참여자, 연구방법, 자료수집 방법, 연구주제에 따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국외 연구에서 연구 참여자는 장애아동 혹은 학대피해아동인데 반해 국내의 경우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한편도 없었다. 둘째, 대부분의 연구들은 아동의 기록지(예, 사회복지서비스 기록지, 의료 기록지)를 검토하거나 부모 및 전문가(예, 교사, 사회복지사)의 설문 응답을 통한 조사연구를 실시하고 있었다. 셋째, 지금까지 장애아동 학대 관련 연구들은 장애아동 학대 현황, 장애아동 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 학대가 장애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학대피해 장애아동을 위한 지원서비스라는 4가지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지원서비스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review domestic and abroad literature on child abuse and neglec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Using the scoping study method as one type of literature review, a total of 29 stud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terms of participants, study designs, data collection methods, and research themes. The findings suggested that while children with disabilities or victims took part in the majority of abroad studies, Korean studies employed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econd, most studies employed survey research in which a review of records or survey questionnaires were used. Third, previous studies were categorized into four themes, incidence of child maltreatment, risk factors for child maltreatment, consequences of child maltreatment, and service systems. However, there was relatively a few studies on service system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in order to enhanc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hild maltreatment.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이성교제에 대한 인식 및 지원요구에 관한 질적 연구: 부모 및 관련기관 종사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최복천 ( Bog Cheon Choi ),김유리 ( Yu Ri K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4 지적장애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이성교제에 대한 부모, 특수교사, 사회복지사의 인식 및 지원요구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발달장애인 부모 4명, 발달장애인 성교육 및 이성교제 상담지도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3명, 사회복지사 3명 각각으로 구성된 3개의 그룹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활용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집단면담을 통해 얻은 자료들은 범주합산 및 지속적 비교방법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4가지 주요 주제가 도출되었다; (1) 이성교제가 발달장애인의 발달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 및 중요성에 대한 인식, (2) 이성교제 수용에 있어서 장애정도와 부모의 연령이 미치는 영향, (3) 이성교제와 관련하여 부모와 관련기관 종사자가 인지하는 책임과 역할 수행, (4) 이성교제의 향후 문제인 발달장애인의 결혼 및 자녀 출산에 대한 회의적인 태도와 염려. 또한 발달장애인의 건강한 성 발달과 이성교제를 위해 다음과 같은 지원방안들이 마련될 필요가 있음이 제시되었다; (1) 발달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한 성교육 제공, (2) 자연스러운 만남의 기회 제공, (3) 부모와 관련기관 종사자를 위한 전문 상담 및 교육, (4) 학교 및 관련 기관의 인식변화.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perceptions and support needs of parents, special education educators, and social service providers towards intimate relationships of individual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focus group of 4 mother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 focus group of 3 special education educators, and a focus group of 3 social service providers. As a result of this study, four themes were emerged: (1) positive effects of intimate relationships on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2) impacts of parents’ age and disability levels on attitudes of intimate relationships, (3) roles of parents and staffs in intimate relationships; (4) concerns about marriage and parenting. In addition, support needs were suggested to develop healthy intimate relationships: (1)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need to be provided sexuality education relevant to them, (2) they need to be given opportunities for meeting, (3) counselling and training need to be provided parents, special education educators, and social service providers, (4) schools and agencies should develop clear sexuality policies and position.

      • KCI등재후보

        영국의 장애판정제도와 정책적 시사점

        최복천(Bog-Cheon Choi) K교육연구학회 2022 사회과학리뷰 Vol.7 No.3

        본 연구는 영국의 장애판정제도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통하여 국내 장애판정체계의 개선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주요 목적이 있다. 특히, 장애판정이 사회복지급여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누가 적격한 자격을 가지고 있느냐를 결정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장애인복지정책의 핵심적인 영역이라고 할 수 있는 소득보장, 고용지원, 사회서비스 분야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영국과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장애판정제도가 가지고 있는 한계와 문제점을 진단하고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째, 한정된 장애 범주와 의료적 진단에서 벗어나 실제 생활의 어려움과 지원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장애의 인정 범위가 확대되어야 한다. 둘째, 정책 및 서비스의 목적에 부합하는 장애평가 기준과 방법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셋째, 현재 운영되고 있는 소득보장 관련 장애급여들을 의학적 손상 중심이 아닌 근로능력 중심으로, 고용지원 및 사회서비스 관련 급여들은 기능적 제약에 바탕을 둔 필요욕구 중심으로 개편되어야 한다. 넷째, 장애판정은 다학제적 접근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다양한 전문인력, 정보 다양성, 정성평가 도입 등이 마련되어야 한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UK’s disability assessment system in depth and derive its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 Disability assessment is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o has the qualification to receive social welfare benefits and services. Thus, this study especially focuses on income security, employment and social service policies, which are the core areas of welfare policies for the disabled. In addition,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UK, the problems of Korea's disability assessment system were discussed and following recommendations were presented. First, we need to move away from the limited categories of disability and expand the range of beneficiary criteria of the disabled based on their difficulties and needs.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disability evaluation standards and methods that are suitable for the purpose of policies and services. Third, eligibility criteria of disability pension should be focused on work capacity of the disabled rather than medical impairment condition. Eligibility criteria of social care services also should be evaluated by needs and functional limitation of disabled people in real life. Fourth, disability assessment requires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and various professional manpower, information, and qualitative evaluation should be implemented.

      • KCI등재

        장애아동의 부모경험과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장애학적 관점에서

        최복천 ( Bogcheon Choi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1 No.2

        본 연구는 ‘장애학’적 관점에서 장애아동 및 가족을 대상으로 수행되어 온 연구들에 대한, 특히 장애아부모의 장애경험과 부모역할수행에 대한 비판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장애아부모에 대한 지배적인 경향은 의료/기능적 모델로 지칭될 수 있는 장애문제에 대한 전통적인 이해방식을 직간접적으로 반영해 왔다고 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장애를 가지고 있다는 그 자체가 일반적인 생애사적 과업을 수행할수 없게 된다는 가정 하에서 행해져 왔던 대부분의 연구들은 장애아동이 가족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측면들에 집중해 왔으며, 암묵적으로 장애아가족을 소위 ‘정상적’인 가족으로부터 일탈된 문제가족으로 간주하는 경향을 보여 왔다. 본 연구는 사회적 모델 혹은 사회정치적 관점으로 집약될 수 있는 ‘비판적ㆍ해방주의적(critical and emancipatory) 관점’에서 장애아가족이 경험하는 다양한 어려움과 문제점이 장애아동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을 둘러싼 사회ㆍ환경적 요인에 의해 생성된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장애아부모가 겪게 되는 이차적 장애경험의 특성을 살펴보는 한편 이들이 장애아동 양육과정에서 발전시켜나가는 다양한 형태의 부모역할 및 부모성(parenthood)의 특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onduct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on disabled children and their families, with a focus on the parental experiences of disablement and practices associated with disabled children. Drawing in varying degrees on critical and emancipatory insights developed within disability studies, this ppaapper problematizes the limited notions of disabling conditions of parenting a disabled child and constitutes a direct challenge to the traditional and pathological a er app pproaches prevalent in the literature. This paper argues that adopting the social model of disability approaches provides several vantage points in the sense of allowing the broader range of disablement facing families with disabled children to be visible and challenging the orthodox view that the disabled child makes the family disabled. It also argues that parental experiences and practices associated disabled children need to be reinterpreted as social-political matters, not simply psychological ones. roaches

      • KCI등재

        일본 최중증뇌병변장애인 단기입소시설 정책 및 운영 사례 연구

        정희경(Heekyong Chong),최복천(Bogcheon Choi) 한국사례관리학회 2021 사례관리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일본의 최중증장애인의 단기입소서비스 관련 정책 및 제도를 파악하여 우리나라에 단기입소서비스의 핵심적인 구성요소와 운영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 통해 일본의 기본 현황을 파악했으며, 본 연구의 취지와 목적에 부합하는 일본의 단기입소시설 1곳을 선정하여 그 기관을 사례기관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일본은 오랜 시간에 거처 장애인의 지역생활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제도 정비를 해왔으며, 단기입소시설 유형과 개설형태를 다양화 하여 중증장애인들의 선택지를 넓혔으며, 중증의 중복지체장애인을 케어 할 수 있는 전문인력 배치를 의무화 하였다. 또한 시설내부에서 복지기구의 설치와 같은 환경조성을 통해 중증장애인의 돌봄 환경을 조성하였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는 단기입소시설이 장기시설화가 되지 않도록 법제도를 완비할 필요가 있으며, 운영과 개설형태를 다양화 할 필요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specifically present the core components and operation plans of short-term admission services in Korea by grasping policies and systems related to short-term admission services for the most severely disabled in Japan. Method: Through the literature, the basic status of Japan was identified, and one short-term admission facility in Japan that meets the purpose and purpose of this study was selected as a case institution. Results: Japan has reorganized the system for the independent life of the disabled, and expanded its options by diversifying the types of facilities and opening forms. And it was mandatory to deploy professional manpower. In addition, the care environment for the severely disabled was created by creating an environment inside the facility. Conclusion: Korea needs to complete the legal system so that short-term admission facilities do not become long-term facilities, and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operation and opening forms.

      • KCI등재

        장애아동 가족을 위한 돌봄지원 개념화

        김유리(Yu-Ri Kim),최복천(Bogcheon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9

        장애아동 부모 및 가족의 돌봄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한 돌봄지원이 제공되고 있지만 몇몇 한계점이 지적되면서 최근 들어 전반적인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아동 부모 및 서비스제공자의 관점에서 장애아동 가족의 돌봄부담 경감을 위해 필요한 돌봄지원의 내용 및 범위를 파악하고 개념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욕구조사 및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개념도 연구법이 사용되었다. 개념도 연구법에 따라 먼저 장애아동 부모 두 집단과 사회복지사 한 집단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을 실행하여 총 31개의 돌봄지원 내용요소(진술문)를 도출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들은 이 진술문들을 개념적 유사성에 따라 분류하고 상대적 필요도에 따라 평정하였다. 다음으로 분류자료들은 다차원 척도법과 군집 분석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평정자료들에 대해서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아동 돌봄지원 내용요소 31개는 4개의 범주로 개념화되었으며, 모든 범주의 필요도 점수는 높게 나타났다: 일상적 돌봄, 활동중심 돌봄, 부모 돌봄역량 강화, 가족관계 강화. 본 연구결과는 돌봄지원제도 개선 및 지원정책 개발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Caregiving supports have been provided to decrease caregiving burdens of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but there are needs for improving caregiving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ceptualize content items and domains of caregiving supports from the perspectives of parents and service providers in order to help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decrease their caregiving burdens. This study used concept mapping that was useful for service-needs identification and program development. First, focus group interviews with two parent groups and one service provider group were conducted to generate a total of 31 items. Also, they sorted the items in terms of conceptual similarity and rated the items in terms of their needs. Next, the sorting data were analyzed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cluster analysis and the rating data were calculated for mean. The results provided 31 content items in four domains: regular caregiving, activity-based caregiving, parent empowerment for caregving, and strengthening family relationships. All the domains were rated as important to decrease caregiving burdens. This study has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caregiving services and the related policies.

      • KCI등재후보

        거주시설 장애인의 탈시설 인식 및 지원욕구에 관한 연구

        감정기(Kam, Jeong-Ki),최복천(Choi, Bog-Cheon),송정문(Song, Jeong-Moo)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2 비판사회정책 Vol.- No.37

        이 연구는 정상화 이념을 근간으로 장애인거주시설에 거주하는 장애인들의 탈시설 욕구를 규명함으로써, 탈시설 지원에 관한 정책 및 서비스 차원의 함의를 찾아보려는 데에 목적이 있다. 논의를 위한 주된 자료원은 경남지역에 소재하는 거주시설의 18세 이상 65세 미만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1차 자료이다. 실체적 진실의 규명에 보다 충실하기 위해 방문 전수조사의 방법으로 실시된 설문조사는 2011년 10월 20일부터 12월 22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최종 분석에 활용된 사례는 652명이다. 연역적 추론이 아닌 사실발견에 초점을 둔 이 연구는 기술적 통계를 포함한 몇 가지 기본적인 분석방법만 활용한다. 조사결과, 거주인들은 탈시설 및 자립생활에 대해 강한 기대를 가진 반면, 관련 정보는 부족하며 저축 외에 특별히 준비하고 있는 바는 없음이 드러났다. 이들은 또한 탈시설 자립생활을 위해 필요한 지원으로 주거지원, 생활비 보조, 일자리 알선 등을 지목한다. 탈시설에 대한 거주인의 욕구가 시설 서비스에 대한 이들의 인식과 연관되어 있음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탈시설 자립생활 지원에 관한 정책 및 서비스 차원의 시사점들을 제시한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wants and needs of deinstitutionaliz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residential institutions. It also aimed to investigate the problems they had encountered in the process of deinstitutionalization. In order to do this, this study conducted complete survey of disabled adults in residental institutions in the Province of GyeongNam, by drawing ways of face-to-face interview.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to December, 2011 and the respondents were total 652.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ir wants of deinstitution was very strong and the main reasons of deinstituionalization they indicated ranged from the hopes of self-determination, independent living, enjoying ordinary lives in community to returning to their homes. The results also showed support for housing, incomes and personal services are necessary for their pursuit for deinstitionalization. Based up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various social, educational, residential services should be implemented to meed the needs of the disabled residents. It also recommended transition service agency should be initiated in order to support and facilitate the disabled residents’ transition to community.

      • KCI등재

        일본 중증장애인 의료형 단기입소서비스 분석 연구

        정희경 ( Chong Hee Kyong ),최복천 ( Bogcheon Choi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최근 우리나라의 장애영역에서 복지와 의료를 통합하는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에 본 연구는 일본 보건복지의 통합돌봄형태인 의료형 단기입소시설을 분석하여 우리나라에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목적달성을 위해 Gilbert & Terrell의 분석틀을 활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할당에서 서비스 대상은 전연성의식장애가 있는 사람과 기관절개로 인공호흡기를 착용하여 상시 의료적 케어가 필요한 사람들이다. 급여는 간호사와 그에 준하는 의료관계자에 의한 서비스와 복지서비스 제공이다. 전달체계는 진료소나 병원, 그리고 노인보건시설과 중증장애인(아동)시설등이 있다. 재정은 기본적으로 세금과 자기부담금으로 충당되며, 부족한 운영비는 각종 가산금으로 해결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특별가산금을 확대하는 등 의료적 케어가 필요한 장애인들도 단기입소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Recently, the integrated service of welfare and medical treatment grabs attention in the disability area of Korea. Thus,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implications for Korea by analyzing the medical short stay facilities that is the integrated care type of health and welfare in Japan. To achieve the objective, this study utilized the Gilbert & Terrell’s analysis frame,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allocation, the service recipients are people in vegetative state and people who constantly need medical care by wearing a ventilator after tracheotomy. The benefit is to provide welfare service and service by nurses and medical personnel. In the delivery system, the service is provided by clinics, hospitals, health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facilities for the severely disabled. The financial resources are basically tax and self-payment, and the deficient operating expenses are covered by all sorts of surcharges. Korea should also seek for the measures in which the disabled in need of medical care could use the short stay facilities, by expanding special surchar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