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자녀의 리터러시 학습에 대한 다문화 가족 학부모의 인식 연구 - 이주 배경 어머니를 중심으로

        최건아 ( Choi Geon-ah ),( Carrie E. Hong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4 한국어문교육 Vol.46 No.-

        본 연구는 초등학생 자녀가 경험하는 리터러시 학습에 대해 다문화 가족의 학부모가 어떤 인식을 갖고 있는지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에서는 베트남, 몽골, 미얀마, 중국, 캄보디아, 필리핀 출신의 어머니 10명을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학교에서 자녀의 국어교육 경험, 학교 외부에서 제공되는 지원 등을 중심으로 1대 1일 반구조화된 인터뷰가 이루어졌다. 참여자들은 교육 시행의 주체로서 학교 교사를 신뢰하는 한편 학업 성취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교육이 필수적인 것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학업 및 진로 대비 차원에서 리터러시 역량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였으나 제대로 된 정보 습득 기회가 부족하여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다문화 학생에 대한 추가적 지원이 제공되기를 바라는 한편 자녀들이 다문화 가족 출신인 이유로 차별받을 것을 걱정하기도 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다문화 학부모 간 소통 창구 지원하기, 도서관 등 지역사회의 자원활용 방안 확대하기, 결혼이주여성과 그 자녀에 대한 지원을 통합적으로 제공하기 등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immigrated mothers about the literacy learning experiences of their children who attend elementary school. To this end, the study selected, as participants, ten mothers who had immigrated from 6 countries including Vietnam. One-on-one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m focusing on their children’s experiences with language education at school, the support provided outside school, etc. While the participants had trust in their children’s teachers at school as the main agents of instruction, they also perceived private education is essential for raising academic achievement levels of their children. They also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literacy skills for academic and career readiness, but seemed to have difficulties in acquiring the right kind of information. They wanted additional support for multicultural students and worried that their children might be discriminated because of their multicultural background. Recommendations from the study include supporting school-multicultural parent communication channels, expanding access to community resources such as libraries, and providing integrated support for immigrated women and their children.

      • KCI등재

        예비 초등 교사의 아동 도서 선정 기준에 관한 연구

        최건아 ( Geon Ah Choi ),백혜선 ( Hye Sun Paik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4 청람어문교육 Vol.49 No.-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교 재학생 50명이 교육 활동에 쓸 아동 도서를 어떤 기준으로 선정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참여자들은 크게 ‘도서에 권위를 부여하는 사회적 지표’, ‘초등학교 교육과정’, ‘예비 교사의 개인적인 독서 경험’, ‘예비 교사의 개인적인 교육 경험’, ‘아동 독자의 특성 및 교육 환경을 둘러싼 사회적 요구’, ‘아동 독자의 이해’, ‘아동 독자의 흥미’, ‘교육 제재로서 도서의 특성’, ‘태도 측면 교육’, ‘심동 측면 교육’ 등의 기준을 고려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문학 도서를 선택할 때와 정보 도서를 선택할 때 주목하는 요인이 서로 다른 것으로 드러났다. 참여자들은 다양한 기준을 사용해 도서를 꼽았지만 문학 장르에 편향하여 도서를 선정했다는 점, 도서 선정 목적에 어울리는 구체적 교육 방법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점, 개인적 취향에 따라 도서를 선정하기도 한다는 점 등의 제한점도 드러내었다. 이에 따라 이들이 아동 도서 및 아동 독자의 특성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적극적인 교육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In this study, two researchers analysed how 50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elect children’s books.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selected children’s books taking into account the ‘social indicators’, ‘pre-service teacher’s unofficial teaching experience’, ‘children readers’ nature and social needs’, ‘children readers’ comprehension’, ‘children readers’ interest’, ‘book’s trait as teaching material’, ‘attitude education’ and ‘behavior education’. And participants considered different elements due to the genre of the texts. Pre-service teachers considered various elements selecting books, there were, however, inadequacies that they couldn’t present proper teaching methods, overvalued literature books, focused on personal tast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hat pre-service teachers need active support to understand the traits of children’s books and children readers.

      • KCI등재

        성인 필자의 고쳐쓰기 과정에서 드러나는 특징 및 문제 분석

        최건아 ( Geon-ah Choi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5 청람어문교육 Vol.55 No.-

        본고는 성인 필자가 글을 고칠 때 보이는 특징을 탐색하고 고쳐쓰기 과정에서 경험하는 문제들을 분석하였다. 참여자들은 국어교육을 전공하는 교육대학원생으로 연구에서는 이들이 설득적 쓰기를 할 것이 제시되었다. 그리고 컴퓨터 쓰기가 이루어지는 동안 화면의 움직임을 녹화한 자료, 참여자들이 생산한 텍스트 자료, 사후 인터뷰 자료가 분석되었다. 연구의 결과, 충실하게 쓰기를 수행한 성인 필자라 하더라도 대부분의 고쳐쓰기가 미시적 수준에 한정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내용 지식의 부족이 고쳐쓰기 패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자의 기대와 달리, 반복적이고 회귀적인 고치기라든지, 텍스트의 구조를 깊이 고려하는 것이 오히려 양질의 고쳐쓰기를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쓰기 연구자 및 교수자들은 학생들이 필요한 내용지식을 충분히 얻고 고쳐쓰기의 양보다 질에 관심을 기울일 수 있도록하며 저학년에서부터 고쳐쓰기 경험을 충분히 쌓을 수 있도록 도와야 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rait of adult writers’ revision and analyzed problems writers experience in revision. The writers participated were graduate school students who majored Korean language education. Persuasive texts they wrote, video files recoding their writing process on computer screen and follow-up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Researcher found out that participants’ most of revisions were local revision even though all they were faithful adult writers and made lots of changes. And it turned out that writers’ content knowledge can affect to revision pattern. Furthermore, against writing researchers’ expectations, recurrent and recursive changes and too much considerations about text’s structure could obstruct global revision. From these results, writing researchers and educators can see that teaching revision contains helping students to get content knowledge and that teaching revision from childhood is important.

      • KCI등재

        좋은 텍스트 요건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과 쓰기 실행에 대한 연구

        최건아(Choi Geon ah),김라연(Kim Ra 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학습자들이 좋은 글의 요건으로 인식한 내용을 본인의 작문에 어떻게 적용하는지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에서는 먼저 내용 영역의 적절성을 고려하여 의학 칼럼으로 텍스트의 범위를 한정하고 의학 전공생들을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두 명의 연구자는 51명의 참여자들이 좋은 의학 칼럼의 요건으로 무엇을 들었는지, 그리고 자신의 작문에는 이를 어떻게 반영하였는지 분석하여 다음의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참여자들은 좋은 의학 칼럼의 요건으로 ‘독자 고려’, ‘가치’ 등을 포함하는 10가지 항목을 제시하였다. 둘째, 참여자들이 좋은 의학 칼럼의 요건을 적절히 인식하고도 이를 스스로의 작문에 적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참여자들은 적절한 요건을 인식하고 스스로의 작문에 이를 적용하기도 했으나 전체적으로 양질의 글을 생산하는 데 실패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쓰기 지식에 대한 인식과 실제 쓰기 수행 간에 존재하는 뚜렷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추후에는 학습자의 읽기와 쓰기에 영향을 주는 요건들이 더욱 세밀하게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learners evaluate requisites for good texts and how they apply these requisites to their own composition. This study limited the scope of texts to medical column and collected medical students as participants considering the suitability of content area. Two researchers analyzed participants’ awareness of good medical texts and their own writing outcomes and found several traits. First, participants suggested ten categories of conditions for good medical column including ‘regarding readers’ and ‘value’. Second, some participants struggled to make use of their awareness of good texts in their writing. Third, some participants who even could aware and apply requites for good texts failed to make good texts. Researchers identified the gap between writing knowledge and authentic writing implementation. We need to inquire the traits and reflected factors on learners’ reading and writing more minutely.

      • KCI등재

        복합양식으로서 만화 텍스트 표현 활동 사례에 대한 연구

        최건아(Choi Geon ah),김경민(Kim Kyoung min)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7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1 No.2

        만화는 글과 그림이 종합된 복합양식 텍스트이다. 또한 학습자들이 친숙하게 접할 수 있어 교육의 도구로 자주 사용되는 텍스트이기도 하다. 그러나 만화를 교육 텍스트로 다룬 선행 연구는 학습자를 만화의 수용자에 제한하거나, 의사소통의 도구로서 글과 그림의 결합을 깊이 있게 다루지 못한 경향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11주간 진행된 만화 텍스트 표현수업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복합양식 텍스트 표현 교육의 의의 및 방향을 탐색해 보았다. 수업 사례에 대한 관찰 및 분석 결과, 첫째, 학습자들은 만화에 있어서 내용의 전달보다 그림의 표현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학습자는 교과 학습의 수단으로 만화 텍스트 표현 교육의 의의를 인지하고 있었다. 셋째, 복합양식의 분석 기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이 도출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학습자들이 다양한 기호의 의미와 기능을 이해하고 능동적으로 복합양식 텍스트를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Cartoon is multimodal text concluding written texts and pictures. Moreover, cartoon is used for instructional materials because of learners’ being intimacy with cartoon. Prior researches, however, restricted learners’ position as cartoon readers and could not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ritten texts and pictures sufficiently. As a result, this research was set for study the meanings and intention points of multimodal text expressing by analyze a case of cartoon text expressing class lasting 11 week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participants focused on painting rather than contents delivering. Second, learn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composition education of cartoon texts. Third, the standards of analysis for multimodal texts are needed to develop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new literacy. This research’s results suggest that teachers and researchers need to help students to understand and use the meaning and functions of various codes and to express multimodal texts actively.

      • KCI등재

        내용 생성을 위한 학생 필자의 자료 탐색 과정에 관한 연구 -6학년 필자 사례를 중심으로-

        최건아 ( Geon Ah Choi ) 국어교육학회 2014 國語敎育學硏究 Vol.49 No.1

        본 연구는 글의 내용을 생성하기 위해 학생 필자들이 어떻게 다양한 자료들을 탐색하는지 살피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에 따라 6학년 필자 5명의 쓰기 과제 수행 전 과정 녹화 자료, 면담, 글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자료 기반 쓰기에서는 자료 탐색의 과정이 글의 주제 선정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풀이되었다. 또한 글을 쓰기 전 자료 탐색 및 선택을 모두 완료하는 것이 아니라, 자료 탐색과 쓰기 과정이 번갈아서 반복적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참여자들은 자료의 질을 평가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자료의 질을 제대로 평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고, 선택한 자료의 수가 매우 적어 정보의 종합에 이르지 못하기도 하였다. 자료 탐색의 의의를 이해하고 목적에 맞는 자료를 제대로 선택하여 작문할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인 교육 방안들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student writers search various sources to generate text`s contents. For this purpose, 6th student writers` visual recording data, interview data, texts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sed. Study results showed that sources searching process has an effect on topic decision. And participants didn`t finish sources searching and selecting before writing but search sources and write repeatedly. Third, participants evaluate the quality of sources. However they could not eval-uate the quality properly and could not synthesize information properly because of a few source. Based on the results, we need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writ-ers` sources searching process and to seek teaching strategies to help writers to select proper sources to write.

      • KCI등재

        교양 국어 강의에 대한 대학생들의 평가 분석

        최건아(Choi Geon-Ah) 한국리터러시학회 2013 리터러시 연구 Vol.- No.7

        본 연구에서는 교양 국어 강의에 대해 대학생들이 어떻게 평가하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교육대학교 3학년 학생 44명이 쓴 텍스트를 수집,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작문에 대한 피드백, 작문의 장르, 쓰기 과제 수행의 부담, 학생의 참여 가능성, 동료와의 상호작용, 강의의 체계 및 운영, 교수자와의 래포 형성 등의 측면에 주목해 강의를 평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교양 국어 강의의 목표와 학습자들의 요구, 특성을 고려하여, 향후 더 나은 대학 국어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44 university students texts to investigate the way university students evaluate Korean language subjects in liberal education. Study results showed that university students evaluate subjects on the basis of feedback for composition, genre of composition, feeling pressure to write, students participation, system and manage of lecture and rapport with lecturers. We need to make an effort to construct better Korean language subjects in Universities considering the purpose of lectures, learners’ needs and traits.

      • KCI등재

        고등학생 필자의 참고자료 활용 전략 분석

        최건아 ( Geon Ah Choi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3 국어교육 Vol.0 No.14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ways student writers use source texts for their own composition. In this study, 60 high school students read 5 source texts and wrote a text using informations in those source texts. This study found out that 10th grade students tended to focus on source texts which contain informations being strongly related to the writing task`s topic. The results of participants` evaluation of 5 whole source texts` usefulness, however, was not unanimous. Some students` reason to evaluate source texts was based on the existence of useful informations; on the other hand, some students focused on their own reading ability, personal interest or learning. Also, participants tended to evaluate the result of their information selecting practice negatively rather than positively and felt that they struggled to read source texts and to select informations. This indicates that many students did not have sufficient experience to use source texts to write information texts. Educators need to find out ways to help student writers use source texts and select information proficiently.

      • KCI등재

        쓰기 지도에서 텍스트 유형에 관한 중등 국어 교사의 인식 연구

        최건아(Choi, Geon-ah) 우리말글학회 2015 우리말 글 Vol.64 No.-

        쓰기에 대한 국어 교사의 인식은 쓰기 교수에 많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어 교사가 중등학생의 텍스트 유형별 쓰기, 그리고 텍스트 유형별 지도에 대하여 어떤 인식을 갖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교육적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국어 교사들은 중등학생들이 설득하는 글쓰기보다 친교적 글쓰기를 선호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학습 상황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쓰기는 정보를 전달하는 글쓰기인 것으로 보았다. 그런데 설득하는 글쓰기가 성인이 된 후 학생의 삶에서 가장 필요한 쓰기일 것으로 판단함에도 불구하고, 가장 중요하게 가르칠 것으로 정서 표현적 글쓰기를 드는 경향도 있었다. 어떻게 가르칠지에 대한 교사의 지식 부족으로 특정 텍스트 유형을 가르치기 어렵다고 한 교사들이 있는 만큼, 국어 교사들의 쓰기 교수를 지원할 수 있는 방안들을 더욱 풍부하게 논의해야 할 것이다. Korean language teachers" perception of writing and various text types in teaching writing can have effect on writing instruction. This study investigated Korean teachers" perception of secondary students" writing for various text types and writing teaching for various text types to search for appropriate suggestions on education.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f survey indicates that Korean teachers tended to think secondary students prefer writing for relationship to persuasive writing. And they regarded informative writing as writing for learn mostly used by students. They, however, thought expressive writing should be taught most importantly, although persuasive writing was recognized as most necessary writing in students" adulthood. As some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felt difficulty in teaching some kind of writing type because of their lack of teaching knowledge, we need to discuss about more ways to help Korean language teachers" writing instruction.

      • KCI등재

        일반논문 : 쓰기 과정에서 드러나는 필자와 협조자의 상호작용 연구

        최건아 ( Geon Ah Choi ),김라연 ( Ra Yeon Kim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4 국어교육 Vol.0 No.146

        This article attempted to analyze how college student writers and their supporters interact in actual writing process. Focusing on how writers and supporters interact, usefulness of collaborative writing could be investigated. Participants were 37 junior students major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they learned theories about collaborative writing process. Researchers collected and analyzed participants’ texts, reflective journals, written brain storming materials, conversation maerials and so on. Study results showed that writers selected their supporters depending on their writing purpose and personal situation. And participants who had oral conversation made better results than who had merely written comments. Moreover, having interaction in planning and revising stage both was more desirable than in revising stage only. This study proposes that educators need to teach student writers how to interact supporters and how to accept others’ help in writing more than ev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