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급성 저산소증 상태에서 심장 내 전사인자 NF-κB의 기능

        주찬웅,정우석,김재철,이호근,Joo, Chan Uhng,Juhng, Woo Suk,Kim, Jae Cheol,Yi, Ho Keun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9

        목 적: 전사인자 $NF-{\kappa}B$는 스트레스 등으로부터 세포 자멸사를 조절하여 적응을 유지하는 기본적인 분자로 인식되고 있다. 저산소증 상태는 많은 심장병에서 동반되는 병변으로 성장인자 VEGF와 IGF-I는 저산소증 시에 심장을 보호하는 작용을 할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산소증과 같은 자극으로부터 심장의 보호 기능이 추정된 $NF-{\kappa}B$의 발현과 함께 VEGF와 IGF-I의 발현 연관성을 검토하여 분자 생물학적인 기전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실험동물로 Sprague Dawley rat을 이용하여, 저산소 자극은 8%의 산소와 92% 질소를 hypoxic chamber로 관류시키며 유도하였다. 심장에 대한 저산소증 자극 후 심근세포로부터 측정 인자들과 관련된 핵 내 단백질, 전단백질 그리고 mRNA를 분리하였다. 핵 내의 전사인자는 EMSA로 측정하였으며, VEGF와 IGF-I의 발현은 competitive-PCR, Western hybridization, Northern hybridization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성장인자의 발현과 관련된 $NF-{\kappa}B$의 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NF-{\kappa}B$의 핵 내 이동 억제제인 DDTC를 전 처치로 복강 내 주사하여 그에 따른 VEGF 및 IGF-I의 발현 양상을 비교하였다. 결 과 : 저산소 자극 후에 심근 세포 내에 전사인자 $NF-{\kappa}B$, AP-1, NF-ATc의 활성이 증가되었다. VEGF와 IGF-I의 발현도 저산소증 자극 시 증가되었지만, DDTC 전 처치에 의한 $NF-{\kappa}B$의 핵 내 이동 차단 후 이들 인자의 발현은 의의 있게 감소하였다. 결 론 : 전사인자 $NF-{\kappa}B$는 저산소증 상태에서 그 활성이 증가하고 저산소증 상태와 같은 심장에 대한 이상 자극 시 VEGF와 IGF-I의 발현을 증가시켜 심장을 보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Purpose : Nuclear ($factor-{\kappa}BNF-{\kappa}B$) is now recognized as playing a potential role in programmed cell death and the adaptive response to various stress. Cellular hypoxia is a primary manifestation of many cardiovascular diseases. It seems that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and insulin like growth factor-I(IGF-I) have a function as a protective molecule in the heart against several stress including hypoxia. In this study, the role of $NF-{\kappa}B$ to the cellular response and regulation of protective molecules against the acute hypoxia in the heart was studied. Methods : To cause acute hypoxic stress to the heart, Sprague Dawley rats were exposed to hypoxic chamer($N_2$ 92% and $O_2$ 8%). After the hypoxic exposure, nuclear proteins, total proteins and mRNA were isolated from heart. Translocation of the transcription factors $NF-{\kappa}B$, NF-ATc, AP-1 and NKX-2.5 were evaluated by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EMSA). The expression of IGF-I and VEGF were studied before and after the hypoxic stress by competitive-PCR, Northern hybridization and Western hybridization. To confirm the role of the $NF-{\kappa}B$ in the heart, the rats also were pretreated with diethyl-dithiocarbamic acid(DDTC) into peritoneal cavity to block $NF-{\kappa}B$ translocation into nucleus. Results : The expression of $NF-{\kappa}B$, AP-1 and NF-ATc were increased by the hypoxic stress. Increased expression of the VEGF and IGF-I were also observed by the hypoxic stress. However, the blocking of the $NF-{\kappa}B$ translocation reduced those expressions of VEGF and IGF-I.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NF-{\kappa}B$ has a protective role against the acute hypoxia through several gene expression, especially VEGF and IGF-I in heart muscle.

      • SCOPUSKCI등재

        가족 내 발생을 보인 Wolff-Parkinson-White 증후군 2례

        주찬웅,임소희,황평한,Joo, Chan Uhng,Lim, So Hee,Hwang, Pyung Han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9

        WPW 증후군은 발작성 상실성 빈맥을 유발할 수 있는데 매우 드물게 가족 내 동시 발생이 보고되고 있다. 그런데 최근 유전자 연구에 의해 가족 내 동시 발생된 WPW 증후군의 경우 PRKAG2 유전자의 변이가 보고된 바 있다. 저자들은 빈맥 등 특이할 만한 임상증상을 보이지 않았던 한가족에서 3명의 자녀 중 남매 간에 WPW 증후군의 심전도 소견을 동시에 나타낸 증례를 보고하면서 PRKAG2 유전자 검사 소견을 분석하였는데 이 유전자의 변이 소견이 환아와 가족 내에서 관찰되지 않아 본 증례의 원인으로 다른 유전자의 변이 가능성을 보고하는 바이다. Wolff-Parkinson-White(WPW) syndrome is characterized by electrographic evidence of ventricular preexcitation, which predisposes to supraventicular arrhythmias. Familial occurrence of WPW syndrome is uncommon. We observed two affected siblings in a family. Five members of the family underwent 12-lead electrocardiography and echocardiography. Although known genetic abnormality of the 7q34-q36(PRKAG2) for the familial WPW syndrome was evaluated, the mutation was not detected in this family. Other unknown mutations responsible for this familial WPW syndrome were suggested.

      • 증례(症例) : 유아에서 고주파 전극도자 절제술을 이용한 원발성 심방조동의 치료

        주찬웅 ( Chan Uhng Joo ),조수철 ( Soo Chul Cho ),황평한 ( Pyung Han Whang ),이경석 ( Kyoung Suk Rhee ) 전북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07 全北醫大論文集 Vol.31 No.1

        유아에서 선천성 심 질환 없는 원발성 심 방조동의 발생은 매우 드물며 돌연사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최근 심방조동의 치료법으로 고주파 전극도자 절제술이 시도되고 있다. 저자들은 원발성 만성 심방조동을 동반한 어린 유아에서 고주파 전극도자 절제술을 시행하고 시술 후 6개월 이상 경과 관찰과 함께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환아는 26개월 남아로 빈맥을 보이며 개인의원에서 전원 되었다. 내원 시 심전도 상심방조동 소견과 2:1 또는 3:1 방실전도를 보였다. 심방 조동 치료를 위해 DC cardioversion을 두 차례 시도하였으나 동율 동 전환직수 즉시 재발되는 형태를 보였고, 충분한 기간동안 항부정맥제 투여에 의해서 종료되지 않아, 전기생리학검사 및 고주파 전극도자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시술 후 동 율동을 유지 하여 투약 없이 퇴원하였다. 시술 후 6개월 이상 심전도 추적 검사를 시행하였고, 그 경과와 함께 증례 보고하는 바이다. Atrial flutter is an uncommon tachyarrhythmia in children. Tachycardia-induced cardiomyopathy develops slowly and has been thought to be reversible but recurrent tachycardia could cause rapid decline left ventricular function and could develop heart failure. Sudden death also could be possible. Nowadays, radiofrequency catheter ablation (RFCA) has become a effective therapeutic modality for treating pediatric tachyarrhythmias. The cornerstone in the management of these patients is to achieve a normal ventricular rate. RFCA is a curative therapeutic option that terminates tachyarrhythmias and may lead to significant improvement of left ventricular function in patients with tachycardia-induced cardiomyopathy by restoring sinus rhythm.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typical atrial flutter in 26-month-old toddler, which was associated with marked cardiomegaly, and treated with radiofrequency catheter ablation.

      • SCOPUSKCI등재

        말초 이골증을 동반한 Joubert Syndrome 1례

        김정태,김선준,주찬웅,조수철,이대열,Kim, Jung Tae,Kim, Sun Jun,Joo, Chan-Uhng,Cho, Soo Chul,Lee, Dae-Youl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2007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0 No.3

        본 증례 보고는 작은 키와 단지증을 가진 전형적인 Joubert Syndrome 환아의 10년간 장기 추적 관찰한 결과이다. 환아는 영아기 초기부터 저호흡이 동반된 빈호흡, 율동성 안구 운동, 근긴장저하를 보였다. 생후 5개월에 Joubert Syndrome의 임상 증상과 전형적 MRI 소견을 보여 진단되었다. 비정상 호흡과 안구 운동은 4세경에 사라졌다. 두위는 정상 범위를 유지하였으나 키와 몸무게는 뚜렷히 정체되었다. 단순 방사선 소견 상 뇌압 상승 소견이 있는 커진 두개골과 안면골의 저형성, 손과 발의 비정상적 연골 형성을 보였다. 본 증례는 말초 이골증이 있는 Joubert Syndrome의 첫번째 보고이다. This report describes the long-term follow-up of a 10-year-old female patient with Joubert syndrome with short stature and brachydactyly. She presented with hyperpnea alternated with hypopnea, uncontrolled jerking eye movements, and hypotonia during early infancy. She was diagnosed with Joubert syndrome based on clinical symptoms and typical MRI findings at 5 months of age. Abnormal ventilation and eye movements disappeared at around 4 years of age. Head circumference kept within normal range for her age, but her height and weight growth were markedly retarded. Simple X-ray showed an enlarged skull with increased digital markings, hypoplasia of facial bones, and abnormal enchondral bone formations in hands and feet. This article is the first report of Joubert syndrome with peripheral dysostosis.

      • SCOPUSKCI등재

        Ghrelin 유전자의 Leu72Met 다형성 분석에서 PCR-RFLP, PCR-SSCP, Amplication Refractory Mutation System(ARMS)의 비교분석

        강주성,김세림,김선영,주찬웅,조수철,황평한,Kang, Ju Sung,Kim, Se Rim,Kim, Sun Young,Joo, Chan Uhng,Cho, Soo Chul,Hwang, Pyoung Han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5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8 No.10

        목 적 : 성장호르몬 분비를 촉진하는 ghrelin는 여러 질병에서의 역할은 아직까지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에 ghrelin 유전자 변이가 비만과 당뇨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까지 보고된 ghrelin 유전자 이상으로는 SNP인 Arg51Gln, Leu72Met, G274A가 있으며 이중 가장 흔한 이상인 Leu72Met 변이이다. 일반적으로 ghrelin 유전자의 Leu72Met와 같은 diallelic 다형성을 스크리닝하는데 SSCP, RFLP, sequencing 등이 사용되어 왔으나 향후 비만 환자들에서 가장 효과적이고 정확하게, 손쉽게 ghrelin 유전자의 Leu72Met 다형성 분석을 검출할 수 있는 스크리닝 방법을 찾아 임상적 적용에 이용하고자 하였다. 방 법 : 비만소아에서 ghrelin 유전자의 Leu72Met 다형성 분석을 PCR-RFLP, PCR-SSCP와 ARMS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비교분석하고 이들의 검사방법의 장단점을 알아보았다. 결 과 : PCR-RFLP, PCR-SSCP와 ARMS 분석 모두에서 allele 특이산물의 밴드가 뚜렷이 구별할 수 있었으며 상기 방법에 의한 결과는 모두에서 일치하였다. PCR-SSCP 방법은 점돌연변이의 존재 여부를 많은 시료를 대상으로 쉽게 분자학적 스크리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조작이 간단하지 않고 비용부담이 많다. BsrI 제한효소를 이용한 PCR-RFLP법은 비교적 용이하고 간단하여 널리 쓰이는 방법이지만 충분한 고농도의 DNA가 필요하며 전기영동 결과의 올바른 해석이 쉽지 않았다. 이에 비하여 ARMS 분석법은 위의 방법들보다는 간편하여 검사의 소요시간도 짧으며, 검출률이 높고 결과 해석이 매우 쉬웠다. 결 론 : 따라서 본 실험에서 시행한 ghrelin의 Leu72Met 유전자의 다형성을 결정하는 방법 중에는 ARMS 분석법이 정확하고 검사 분석법 및 결과 해석이 매우 쉽고 검사의 소요시간도 짧아 대량 검체에 적용에 매우 효과적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e role of ghrelin, which promotes the secretion of growth hormone, was not well known until now. Recently it was found that the mutation of ghrelin gene is related to obesity and diabetes. This study is to find the screening method that can easily and effectively detect the polymorphism of Leu72Met in ghrelin gene of obesity patients and apply it to clinical usage. Methods : We compared PCR-RFLP, PCR-SSCP and ARMS methodologies for analyzing of the polymorphism of Leu72Met in ghrelin gene of obesity children, and also studied the merits and demerits of these methodologies. Results : In this study, we were able to find out the band of peculiar allele of Leu72Met in ghrelin gene using PCR-RFLP, PCR-SSCP and ARMS analyses. The polymorphism of Leu72Met in ghrelin gene determined by all above methodologies was in complete agreement. Compared to the PCR-RFLP and PCR-SSCP, ARMS analysis is simple, inexpensive and also consume less time. It is very sensitive to analyze the polymorphism and easy to understand the results of test. Conclusion : Though PCR-RFLP, PCR-SSCP and ARMS analyses were sensitive to analyze the polymorphism of Leu72Met in ghrelin gene, ARMS analysis appears to be more efficient than PCR-RFLP and PCR-SSCP. Therefore, we conclude that ARMS analysis is suitable to analyze the polymorphism of Leu72Met in ghrelin gene for large quantity of specimens.

      • 소아 청소년 부정맥 환자에서 전극도자 절제수술의 효용

        장영범 ( Young Beom Chang ),주찬웅 ( Chan Uhng Joo ) 전북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08 全北醫大論文集 Vol.32 No.1

        목적 : 소아 부정맥의 치료에 전극도자 절제술 이용의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His속 주위 부전도로 기전을 포함한 빈맥을 가진 소아 청소년 부정맥 환자에 대해 전기생리 검사와 함께 전극도자 절제술을 시행하고 그 결과와 추적 소견을 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3년 8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전북대학교병원에서 전극도자 절제술을 시행 받은 57명의 소아 및 청소년 환자(연령분포 : 2-20세, 평균 13.0± 4.8년)를 대상으로 부정맥의 유형 및 기전, 총 시술시간, 단기 성공률, 재발율, 합병증 등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 : 전극도자 절제술을 받은 총 57례 소아 청소년 부정맥 환자에서, 부정맥의 유형은 His속 주위 부전도로 5례를 포함한 WPW 증후군 22례(평균 연령 13.0±5.0년), 방실회귀 빈맥 11례 (12.3±5.0년), 방실결절 회귀 빈맥 19례 (13.1±4.1년), 심방 조동 4례 (13.0±7.4년)과 심실 빈맥 1례였다. 시술전 증상으로는심계 항진이 가장 많았고(52례), 어지러움, 흉부통증 및 답답함 등의 증상성 빈맥에 따른 환자의 선택이 많았으며 무증상이었지만 부모의 선택에 의한 시술도 3례 있었다. 대상 증례 모두에서 기저심질환은 없었다. 전극도자 절제술시 평균 5.4±4.0회의 고주파 전류 전달이 필요하였고, 총 시술시간은준비시간을 포함하여 평균 105.4±45.1분이었다. 33례 방실회귀 빈맥 환자에서 부전도로의 위치로는 좌측 방실륜에서 더 많았으며 국소 위치로는 좌심의 측벽(13례)이 가장 많았고 우심의 후중격에 6례, 우심의 측벽과 전중격에 각각 5례가 위치하였다. 대상 57명의 환아 중 2명을 제외하고 초기 시술 성공률(96.5%)을 보였고, 평균 21.1개월(2개월-4.5년) 추적기간 동안 3례에서 부정맥의 재발을 보였고(재발율 5.3%), 재발한 증례 중 두 증례는 재시술로 치료되어 최종 치료 성공률은 94.7%였다. 시술 합병증으로눈 부정맥이 재발했던 증례에서 시술 후 우측 대퇴정맥의 폐쇄와 His속 주위 부전도로 제외하고 시술과 관련된 다른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소아청소년기의 상실성 빈맥 등 부정맥 치료에 전극도자 절제술이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음을 보고하는 바이며 전극도자를 이용한 His속 주의 부전도로 절제 또한 다른 치료방법이 없을 경우에 한하여 제한적으로 시행될 수 있다. Background : Radiofrequency electrode catheter ablation (RFCA) has become an effective therapeutic modality for treating pediatric tachyarrythmias. Using conventional RFCA catheters, ablation of parahisian accessory pathways may be difficult and have high risk for heart block. We reviewed the efficacy and complications of the RFCA in children and adolescent with arrhythmias including parahisian accessory pathways. Methods: We studied 57 patients (aged 2 years to 20 years) who had undergone RFCA from August 2003 to December 2007. We reviewed clinical findings, electrophysiologic studies, RFCA data, complications, and follow-up results of the patients. Results: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13.0 years. Numbers and types of arrhythmias (age, acute success rate) were as follows: 22 WPW syndrome including 5 parahisian accessory pathways (13.0±5.0yr, 21/22), 11 atrioventricular reentrant tachycardia with concealed bypass tract (12.3±5.0yr, 10/11), 19 atrioventricular nodal reentrant tachycardia (13.1±4.1yr, 19/19), 4 atrial flutter (13.0±7.4yr, 3/4), and 1 ventricular tachycardia (20yr, 1/1). Associated cardiac structural lesion was not detected in 57 patients. The recurrence rate was 5.3%, and the final success rate was 94.7%.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RFCA is a highly effective treatment method in children and adolescent with tachyarrhythmia.

      • SCOPUSKCI등재

        학동전 아동에서 Wolff-Parkinson-White 증후군의 심전도 소견에 따른 유형 및 심초음파 소견

        추정민,심현섭,조수철,주찬웅,Chu, Jeoung Min,Sim, Hyun Sup,Cho, Soo Chul,Joo, Chan Uhng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9

        목 적 : 평소 건강한 학동전 아동에서 심전도 집단 검진을 이용한 WPW 증후군의 유병률을 조사하였고 심전도 이상 소견에 따른 WPW 증후군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에 따른 심실 및 심중격 운동 이상 소견을 심초음파 검사로 관찰하였다. 방 법: 1999년 4월부터 2001년 8월까지 전북지역 4-7세 사이의 유치원생 77,82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심전도 집단 검사에서 WPW 증후군으로 진단된 아동을 대상으로 심전도상 이상 소견에 따른 세부 분류와 심초음파 검사상 심벽 운동의 이상 여부를 조사하였다. 결 과: 총 77,824명 중 WPW 증후군으로 진단된 환아는 23명으로 유병률은 2.9/10,000명이었다. 대상 환아의 평균 연령은 5.4세이었고, 남아는 13명 여아는 10명으로 남녀비의 의의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빈맥의 기왕력을 가진 환아는 2명이었으며, 2명의 환아는 남매간으로 가족력 소견을 보였다. Rosenbaum 등에 의한 부전도로 추정 위치에 따른 분류로 A형은 5명(21.8%), B형은 18명(78.2%)이었다. Boineau 등의 분류에 의한 I군 18명(78.2%), IV군은 3명(13.0%), III, V군은 각각 1명(4.3%)이었고, II군은 관찰되지 않았다. Gallagher 등의 분류에 의한 유형 중 1형 4명(17.3%), 2형 12명(52.1%), 3형, 5형, 6형, 10형은 각각 1명(4.3%), 9형은 3명(13.0%), 4형, 7형, 8형은 관찰되지 않았다. 19명의 환아에게 실시한 심초음파 검사에서 5명의 A형 환아 중 4명의 환아에서 좌심실 후벽의 초기 수축기 전방운동 소견을 보였으며, B형 환아 14명 중 12명의 환아에서 심중격의 초기 수축기 후방운동 소견이 관찰되었다. 결 론 : 학동전기 아동에서 WPW 증후군의 유병율은 10,000당 2.9명이었다. 심전도상 부전도로의 위치는 우심실이 우세하여 이전의 보고와 다른 소견을 보였고, 심초음파 검사 소견상 대부분의 무증상 WPW 증후군 환아에서 이상 심실운동 소견이 관찰되었다. WPW 증후군에서 부전도로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는 비침습적 검사 방법으로 심전도 소견 및 심초음파 검사가 이용될 수 있다.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ilish the prevalence, clinical features and relationship between ECG findings and echocardiographic findings of Wolff-Parkinsion-White(WPW) syndrome in asymptomatic preschool children. Methods : An electrocardiographic screening study was performed on 77,824 preschool children in Jeonbuk province from April, 1999 to August, 2001. Patients with WPW syndrome underwent echocardiographic study. Results : Twenty three patients with WPW syndrome were discovered by electrocardiographic screening of preschool children. The prevalence rate was 2.9 per 10,000 preschool children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sexual difference. Two patients had a history of symptoms related to tachyarrythmia. According to the ECG classification of Rosenbaum et al., five patients were type A and 18 were type B. Utilizing the criteria of Gallagher et al, right anterior, 12 patients; right anteiror paraseptal, four patients; left anteiror, three patients. Nineteen of 23 patients underwent echocardiographic study. Four of five patients with type A WPW syndrome had abnormal early systolic anterior motion of left ventricular posterior wall. Twelve of 14 patients with type B had abnormal interventricular septal motion characterized by early sytolic posterior motion immediately after inscription of the delta wave. Conclusion : The prevalence rate of preschool children in Jeonbuk province was 2.9/10,000. By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electrocardiographic findings, the accessory pathway location was dominant right side than left side. In the echocardiographic study, type A WPW syndrome showed abnormal left ventricular posterior wall motion and type B WPW showed abnormal interventricular septal mo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