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고령 환자의 전자부 불안정성 골절에 대한 이중 강선 및 인장 대 강선 고정과 표준형 시멘트 주대를 이용한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

        조홍만 ( Hong Man Cho ),이승렬 ( Seung Ryul Lee ),박명식 ( Myung Sik Park ),정우철 ( Woo Chull Chung ) 대한고관절학회 2010 Hip and Pelvis Vol.22 No.2

        Purpose: To determine follow-up results for elderly patients with osteoporosis that received standard cemented bipolar hemiarthroplasty with double loop and tension band wiring for treatment of unstable intertrochanteric hip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y 2000 and May 2006, 86 cemented bipolar hemiarthroplasties were done in elderly patients who had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The mean age at the time of surgery was 82 years.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5.3 years. We evaluated post-operative results by clinical and radiographic methods. Results: At the final follow-up, the mean Harris hip score was 79.2. The mean time needed for full weight bearing following surgery was 4.2 weeks and 82.5 % of patients regained their preoperative level of ambulation. All patients achieved union in the lesser trochanter fracture, but substantial trochanter displacement was observed in 4 cases. There was one case of acetabular erosion. Superficial infections were found Post-operatively in 2 cases. One case with stem subsidence (<5 mm) showed satisfactory results without subsidence in further follow-ups. Conclusion: If cemented bipolar hemiarthroplasty is properly applied in the treatment of unstable intertrochanteric hip fractures in the elderly, systematic postoperative rehabilitation, and pain control can be achieved.

      • KCI등재

        Broström 술식과 비골 골막 젖힘 보강술로 치료한 구상 발목관절에 동반된 족근관절 외측 불안정증: 증례 보고

        신우진,조홍만,박지연,Shin, Woojin,Cho, Hong Man,Park, Jiyeon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20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24 No.2

        We report on the case of a patient with chronic instability of the ball-and-socket ankle joint. The patient, a 21-year-old male, was diagnosed 10 years previously with chronic instability of the ball-and-socket ankle joint. He underwent Broström procedure and augmentation using a periosteal turn down from the fibula for this chronic instability despite having received conservative treatment since the diagnosis. After the procedure, the clinical symptoms of ankle instability were improved and the patient is being periodically followed-up. We report on this case of using a Broström procedure as a treatment option for patients with instability of the ball-and-socket ankle joint with normal range of foot and normal ankle joint alignment without damage in the joint and cartilage.

      • KCI등재

        대퇴 전자간 골절에서 고정 실패로 인한 인공 관절 치환술의 결과

        김주오 ( Ju Oh Kim ),조홍만 ( Hong Man Cho ),박철 ( Cheol Park ),심주현 ( Ju Hyun Sim ) 대한고관절학회 2012 Hip and Pelvis Vol.24 No.2

        목적: 대퇴골 전자간 골절후 발생한 내고정의 실패에 대하여 인공 고관절 치환술을 시행하고 수술 시문제점과 결과를 임상적, 방사선학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대퇴 전자간 골절로 수술적 치료 후, 내고정 실패를 보여 인공 고관절 치환술을 시행한 29예를 대상으로 실패 원인을 분석하였고, 수술 시 어려운 부분을 알아보고자 하였고, 인공 관절 치환술 후 결과를 임상적 결과(Harris hip score, HHS)와 방사선학적 결과로 평가 하였다. 인공 관절 치환술 후 평균 추시 기간은 34.2개월(12-96개월) 이었다. 결과: 평균 수술 시간은 174분(115-205분), 평균 출혈양은 1,335 ml(750-2,450 ml)였으며 동종 적혈구 농축액이 평균 2.8 unit(0-10 unit) 수혈되어, 내고정물의 제거와 전위된 골절편의 정복에 따른 긴 수술 시간과 많은 출혈양을 보였다. Harris 고관절 점수는 수술전 평균 43에서 85.7점으로 향상되었고, 방사선학적으로 비구컵과 대퇴 주대의 해리를 보이는 경우는 없었고, 탈구와 감염이 각각 1예씩 발생 하였다. 결론: 대퇴골 전자간 골절 후 발생한 내고정의 실패로 인한 인공 고관절 치환술은 비교적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긴 수술시간과 많은 출혈 등의 위험성이 있어, 수술전 술기적 어려움과 대상 환자의 전신상태를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analyz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hip arthroplasty following the failed internal fixation of intertrochanteric fractures of the femur.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the reasons for failure in 29 cases of hip arthroplasty from January 1997 through December 2008 in which the hip arthroplasty was necessary due to failed internal fixation of an intertrochanteric fracture of the femur. Furthermore, we tried to find pitfalls encountered when performing the operations. We assessed those patients and drew both clinical (Harris hip score, HHS) and radiological results. The follow-up period was 34.2 months (12-96 months), on average. Results: The average operating time was 174 min.(115-205 min.) and the mean amount of perioperative bleeding was 1,335 ml(759-2,450 ml). The amount of packed RBC transfusion was 2.8 units (0-10units) on average. We could see prolonged operation time and a large amount of blood loss as we performed both the removal of the previously fixed implant and reduction of the displaced bone fragment simultaneously. The mean Harris hip score of the patients was improved from the preoperative score of 43 to the postoperative score of 85.7. No cases showed any radiological signs of loosening of acetabular cups or femoral stems, although an articular dislocation and a postoperative joint infection occurred. Conclusion: Although hip arthroplasties performed because of a failure in internal fixation could provide relatively satisfactory outcomes, as they result in extended surgery time and greater blood loss, a requirement for higher-level surgical skills, and greater consideration required for the systemic conditions of patients before performing surgery.

      • KCI등재

        실패한 대퇴골 전자간 골절 환자에게 발생한 나선검 잠금 장치의 분리 - 증례 보고 -

        허순호 ( Soon Ho Huh ),조홍만 ( Hong-man Cho ),박지연 ( Ji-yeon Park ) 대한골절학회 2021 대한골절학회지 Vol.34 No.3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수술적 치료에 나선검 형태의 고나사가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다. 73세 여자 환자로 AO/OTA type 31A2.2형의 전자간 골절로 내원하였는데, 정복이 완전하지 않은 상태에서 수술 후 18주에 나선검 잠금 장치의 분리가 발생하였다. 골절 정복이 소실되었으며, 골 소실 없이 잔존하는 나선검의 제거가 불가능하여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을 시행하였다. 저자들이 체험한 본 증례가 조립형의 고나사에서 발행할 수 있는 드문 합병증으로 생각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A helical blade type of hip screw is used widely for the operative management of femoral trochanteric fractures. A 73-year-old female patient was admitted for femoral trochanteric fracture AO/OTA type 31A2.2. A helical blade locking sleeve dissembled 18 weeks after surgery did not achieve accurate reduction. The patient underwent bipolar hip hemiarthroplasty because the fracture reduction was lost, and it was impossible to remove the remaining helical blade without bone loss. The authors report this case of a rare complication of helical blade.

      • KCI등재
      • KCI등재

        불안정성 대퇴골 전자간 골절에 3C형 무시멘트 대퇴 스템을 이용한 고관절 반치환술의 중기 결과

        정우철(Woochull Chung),조홍만(Hong Man Cho),김선도(Sun do Kim),박지연(Jiyeon Park),권기현(Kihyun Kwon),이영(Young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2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5 No.6

        목적: 고령의 환자에게 발생한 대퇴골 전자간 불안정성 골절에 대하여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 이외의 다른 대안으로 고관절 반치환술이 선택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의료 시스템과 기술의 발달로 대퇴골 전자간 골절 후 생존율이 높아지면서 중장기 이상의 기간을 고려한 대퇴 스템의 선택이 필요하다. 이에 저자들은 이중으로 가늘어 지는 직각 단면의 대퇴 스템(C2 stem)을 이용하여 불안정성 전자간 골절에 고관절 반치환술을 시행하고 5년 이상 추시한 환자에 대하여 그 임상적 방사선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대퇴골 전자간 불안정성 골절에 대하여 C2 스템으로 고관절 반치환술을 시행한 43명의 환자(43 고관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78.6세(70–84세), 평균 추시 기간은 85.4개월(60–96개월)이었다. 추시기간 동안 임상적으로는 통증, 보행 능력, 고관절 기능의 변화를 알아보았고, 방사선적으로는 피질골의 골다공증과 골 흡수 등 근위 대퇴골의 변화를 알아보았으며, 탈구와 인공 관절 주변 골절 등 추시 기간 중 발생한 합병증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결과: 통증은 수술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는데, 수술 후 4년부터 증가하였고 수술 후 60개월에 보행 능력 평가에서 9예의 환자가 두단계 보행 능력이 감소하였으며 Harris 고관절 점수는 수술 후 2년부터 3년 사이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방사선적으로 피질골 골다공증은 14예 발생하였는데, 이 중 5예의 환자가 피질골 흡수 현상으로 진행하였다. 피질골 흡수 현상을 보인 5예 중 4예는 전자부 골절편이 불유합 된 경우였고, 3예는 역사상 골절인 경우였다. 결론: 골다공증을 동반한 고령의 환자에게 발생한 불안정성 전자간 골절에 3C 형태의 무시멘트 스템을 이용하여 고관절 반치환술을 일차로 시행하는 경우 환자의 건강 상태와 잔여 수명을 고려하여 주의 깊은 선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Bipolar hemiarthroplasty is used as an alternative to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for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in elderly patients. Recent advances in medical systems and technologies have resulted in increased survival rates after intertrochanteric fractures of the femur, requiring selection of the appropriate femoral stems considering the mid- to long-term duration of survival. Hemiarthroplasty was performed for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using a double tapered quadrilateral femoral stem (C2 stem), and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were evaluated as a five-year follow-up post-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4 to December 2013, 43 patients (43 hips) who underwent hemiarthroplasty with a C2 stem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ir mean age was 78.6 years (range, 70–84 years),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85.4 months (range, 60–96 months). During the follow-up period, clinical parameters, such as the changes in pain, walking ability, and functional status, were examined. Radiologically, changes in the proximal femur, such as osteoporosis and bone resorption of cortical bone, were noted. Complications that occurred during the follow-up period, such as dislocation and prosthetic features, were also reviewed. Results: Initially, the pain was relieved postoperatively, but it increased four years after surgery. The walking ability was reduced by two steps in nine patients after 60 months, and the Harris hip score was reduced significantly postoperatively after two to three years. Radiologically, cortical osteoporosis occurred in 14 patients. Five patients developed cortical bone resorption. Four of them showed nonunion of the trochanteric fracture fragments, and three of them suffered reverse oblique fractures. Conclusion: Careful selection considering the general health condition and remaining lifespan of the patient would be necessary for primary hip hemiarthroplasty using a 3C type cementless femoral stem for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in elderly patients with osteoporosis.

      • KCI등재

        대퇴골 전자간 골절 환자에서 날카로운 면을 가진 소전자의 전위에 의한 외측 대퇴 회선 동맥 상향 분지의 손상 - 증례 보고 -

        허순호 ( Soon Ho Huh ),조홍만 ( Hong-man Cho ),박지연 ( Jiyeon Park ) 대한골절학회 2021 대한골절학회지 Vol.34 No.2

        대퇴 전자간 골절과 연관된 혈관 손상은 드물게 보고되고 있지만, 혈관 손상에 의한 출혈은 환자의 하지는 물론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중대한 합병증의 발생이 가능하다. 저자들은 대퇴 전자간 골절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에게 발생한 외측 대퇴 회선 동맥 상행 분지의 손상을 체험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혈관 손상은 수술 후 5주에 날카로운 면을 가진 소전자가 전위되며 발생하였다. 경피적 색전술로 특별한 합병증 없이 개선되었지만, 골절되어 전위가 가능한 소전자는 대퇴 전자간 골절 환자에서 혈관 손상이 가능하다는 것을 항상 인식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lthough vascular injuries associated with femoral intertrochanteric fractures have been reported infrequently, bleeding due to vascular injury can lead to severe complications that can be potentially life and limb-threatening. The authors report a case of an injury of the ascending branch of the lateral femoral convolutional artery in a patient who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for a femoral intertrochanteric fracture. Vascular injury occurred due to the sharp margin of displaced lesser trochanter five weeks after surgery. Percutaneous transcatheter embolization was done and improved without additional complications. Therefore, the surgeons need to be aware of possible associated vascular injuries caused by displaced lesser trochanter fragments in femoral intertrochanteric fractur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