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교육과정 내에서 교과들간의 갈등관계 분석

        趙仁眞 한국교육학회 1995 敎育學硏究 Vol.33 No.3

        본 논문의 목적은 교육과정 개정과정에서 학교교과를 둘러싸고 존재하는 교과공동체의 영향력과 중요성을 조명하고, 이들 교과공동체간의 사회적 이해관계와 갈등 속에서 학교교과가 제도적 권위에 의해 그 지위를 유지해 가려는 현상을 밝혀보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학교교과들이 교육과정 안에서 서로 갈등하고 협상하는 과정을 분석하였으며, 그 경우 사례로 삼은 것은 제6차교육과정 개정과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제6차 개정과정 당시 각 교과공동체들이 이해관심을 관철시키기 위해 벌인 구체적인 상황적 활동을 분석하는 데 특히 주력하였다. 각 교과공동체의 갈등의 핵심은 교육과정 내에서 독립교과로 되느냐 통합되느냐의 문제와 필수교과목 채택여부, 그리고 수업시간배당을 놓고 각 교과들이 서로 유리한 영역을 확보하려는 것이었다. 이러한 갈등과정의 분석은 학습자의 경험의 질을 위한 교육과정 결정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해 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교사 - 자녀의 동일학교 배정에 관한 인식 : 고교 비평준화 지역인 K지역을 중심으로

        조인진,김병주 한국교원교육학회 2007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현재 고교 비평준화 지역인 K지역을 대표하는 C, W, K 시의 중고등학생, 대학생, 학부모, 교사, 교육관리자들을 대상으로 교사-자녀의 동일학교 배정에 관한 일반 의식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자료에 기초하여 학생평가의 공정성과 해당교사에 대한 신뢰여부 및 현행 인사제도에 관한 의견들을 분석해 봄으로써 학교사회에서 교사들의 상호공조 현상에 대한 인식과 문제점을 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학생, 학부모, 교사 모두가 교사 자녀의 동일학교 배정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즉, 해당 학생평가의 공정성 여부에 대하여 학생, 학부모, 교사 모두가 공정하지 못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해당교사에 대해서도 신뢰할 수 없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특히 대다수의 학생, 학부모, 교사들이 동일학교 배정에 관한 현행 인사제도에 문제점이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교원인사제도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시사점을 제시해 줄 것이라 기대된다.

      • KCI등재

        대안학교 교사의 교육적 신념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성 분석

        조인진 한국교원교육학회 200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대안학교의 현장에서 실제 교육을 실행해 나갈 대안학교 교사들의 교육적 신념의 요인들을 규명하여 대안학교 교사신념을 보다 타당하고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안학교 교사신념의 구인은 교육관, 학습자관, 교수-학습관, 교과인지관의 4개로 규명되었고, 각각 7문항, 13문항, 18문항, 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타당도 추정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대안학교 교사들의 교육적 신념 측정도구는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평가도구의 전체 신뢰도 계수는 .948 Cronbach α계수로 분석되었고, 교육관 요인은 .808, 학습자관은 .847, 교수-학습관은 .915, 교과인지관은 .825, 따라서 네 요인의 전체 신뢰도 계수는 신뢰롭다고 할 수 있다. 대안학교 교사신념 측정 평가 도구 모델에 대한 적합도 평가 결과, 적합도 지수(Goodness of fit)값들은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안학교 교사들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수준별 교육과정에 대한 반성적 고찰

        조인진 한국교육과정학회 1998 교육과정연구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수준별 교육과정을 재검토하고, 그 대안으로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 차별화(curriculum differentiation)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우선 2000년에 시작될 제7차 교육과정의 주요 특징인 수준별 교육과정의 도입과정과 운영안에 대해 반성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수준별 교육과정은 제도화 과정에서 그자체의 의미와 다양한 운영방안, 그리고 그 결과에 대한 치밀한 논의가 부족했다고 생각되며, 학교학습의 맥락에서도 학생 개개인의 성장 잠재력과 교육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지 의심스럽다. 수준별 교육과정은 학생들의 능력, 적성, 필요, 흥미에 대한 개인차를 고려한다고 했지만 그 운영안은 교과중심적인 지적 능력만을 가지고 수준별로 구분하여 구성되었고 동질집단을 구성함으로써 교육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려고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반성을 토대로 학생들의 다양한 개인차를 고려하면서 학생들의 성장잠재력을 극대화하고 교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대안적 방법으로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 차별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것을 다양한 수업방법의 개선과 다양한 학교중심 교육과정의 개발과 운영을 통해 결과적으로 학생들에게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교육과정의 차별화를 말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rcteristic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to suggest the natural curriculum differentiation as an alternative. At first, this article analyzes the process of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re were insufficient discussions about its meanings, various ways of implementaion, and its consequences in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And in the schooling context, it is not sure that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can maximize developmental potentiality of students and efficiency of education. Even though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were orginally introduced to concern the differences(nees, aptitude, ability, interest) of individual studenst, most students were classified on the base of academic ability level in the process of its implementation. In addition,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was thought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education only with the homogeneous ability grouping. This article suggests the natrual curriculum differentiation as an alternative, which might better realize the original motives of differentiated currlculum. This alternative is composed of the improvement of diverse instruction method and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various school-based curriculum.

      • KCI등재

        태평양전쟁기 군산 지하군사시설 현황 연구

        조인진,조예나,김동인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23 고문화 Vol.102 No.-

        군산은 일제강점기 내내 너른 평야와 항구 등 미곡 생산과 운반에 유리한 조건으로 인해 식량침탈의 주요 거점지가 되었다. 그러나 태평양전쟁 말기 일본이 미국으로부터 일본 본토를 지키기 위해 최전방의 전쟁터로 군산을 내어놓으려 철저하게 준비하고 있었다는 사실은 잘 알려지지 않았으며 연구가 진행된 바없다. 따라서 이번 연구의 목적은 문서 속 태평양전쟁 말기의 군산의 상황을 현지조사를 통해 확인하고 분석해 보는 데 있다. 군산의 대규모 지하군사시설은 미군의 상륙작전 저지를 위한 방어 훈련과 경계에 사용되었으며 일부는미완성 상태로 해방이 되었고 그렇게 80년 동안 방치되어 있었다. 1944~1945년 사이 동안 일본군이 파놓은 지하군사시설은 현장 조사를 통해 확인한 개수가 30개이며, 그 이상의 시설들이 더 남아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군산의 지하군사시설은 지역에 따라 각각의 임무와 역할이 명확하게 구분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지하군사시설은 군산항과 병원, 철도, 비행장과의 연계를 위한 지휘본부, 통신부대, 집중 전투훈련장, 비행장과 주요 길목의 방어를 위한 부대와 시설 등 크게 4개 지구로 구분되는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발과 붕괴 등으로 많은 시설들이 사라졌지만 남아있는 자료들에 대해서는 하루빨리 보존과 활용을 위한 논의를 시작해야 할 시점이기도 하다. Gunsan became a major base for food robbery throughout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due to its favorable conditions for rice production and transportation, such as wide plains and ports. However, towards the end of the Pacific War, the Japanese army was on the defensive and suffered repeated defeats, leading the Japanese headquarters to prepare for a decisive battle on Japan’s main island. At that time, Operation Gyeol 7 was assigned to the 17th Area Army stationed in Joseon, and according to the preparation guidelines for Operation Gyeol 7, Gunsan was mentioned as one of the main landing points for the United States. forces. In April 1945, the Japanese newly established the 160th Division to defend Gunsan and the Jeollabukdo region, and Japan's new war efforts transformed into the forefront of the battlefield. Preventing the landing of U.S. troops in Gunsan and the Jeollabuk-do region became one of the most crucial tasks of the Japanese forces. Gunsan was a key point for the Japanese military that must be defended on the west coast. The fact that the Japanese military stationed alert fighters early on and nearly 10,000 Japanese troops, including the army and aviation units, when the war was over shows that Gunsan was very important as a defense base. In accordance with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s Joseon Military Construction Plan, large-scale constructions of military bases began with the active contribution from not onl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but also the administrative agencies of each region in Korea. Koreans of all ages, from young students to the elderly, participated in the construction work. Gunsan's large-scale underground military facilities were created as a part of such large-scale constructions. Such underground military facilities were used for defensive training and also served to deter and defend against the U.S. military's landing operation. Some facilities were left unfinished until the Korean liberation and were left unattended for 80 years. Considering and analyzing aerial photos, testimonies, and historical survey data, the number of underground military facilities dug and established by the Japanese military between 1944and 1945 appears to be well over 50. However, many have disappeared over a long period due to development and collapses. Despite this, the authors were able to identify 30 underground military facilities through field investigations. What distinguishes Gunsan's underground military facilities is that underground military facilities of each region are categorized and characterized by their unique missions and roles. The underground military facilities were largely divided into four districts: a command center to link with Gunsan Port, hospital, railroad, and airfield; a communication unit; an intensive combat training center; and units and facilities to defend the airfield and major roads. If the Korean liberation had not occurred, Japan would have continued to prepare Gunsan at the end of the Pacific War to use Gunsan as a wartime front line to protect the Japanese mainland from the United States. Although many of such facilities have disappeared due to developments and collapses, it is also the time to start discussing the preservation and analysis of such underground military facilities. In the future, we hope to accumulate more data and derive significant research analysis through continuous research, including recording and collecting oral data, on the remaining underground military facilities that are relatively well-preserved. This paper may have many shortcomings in that it is the first study on the underground military facilities in Guns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ut we believe it is a meaningful begin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