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데이터 슬라이서가 집적된 900 MHz 대역의 RFID 수신단

        조영아(Younga Cho),김동현(Dong-Hyun Kim),김남형(Namhyung Kim),이재성(Jae-Sung Rieh) 한국전자파학회 2015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26 No.1

        본 논문에서는 0.11μm CMOS 공정을 이용한 900 MHz 대역의 RFID 통신 수신단을 제안한다. 본 RFID 수신단은 포락선 검출기와 저역 통과 필터, 비교기와 D-플립플롭, 그리고 디지털 블록의 클록을 공급하기 위한 발진기가 집적된 형태이며, 저전력으로 구동하도록 설계하여 수동 RFID 통신용 태그에 적합하게 하였다. 본 수신단은 종래의 아날로그 데이터 슬라이서가 아닌 디지털 데이터 슬라이서를 사용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였다. 클록의 주파수는 1.68 MHz이고, 소비전력은 5 μW이며, 제작된 회로의 크기는 측정 패드를 제외하고 325 μm×290 μm이다. In this paper, a receiver has been developed in a 0.11-μm CMOS technology for 900 MHz RFID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The receiver is composed of an envelope detector, a low-pass-filter, a comparator, D flip-flops, as well as an oscillator o provide the clock for digital blocks. The receiver is designed for low power consumption, which would be suitable for passive RFID tags. In this circuit, a digital data slicer was employed instead of the conventional analog data slicer in order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The clock frequency is 1.68 MHz and the circuit operates with a power consumption as small as 5 μW. The chip size is 325 μm×290 μm excluding the probing pads.

      • KCI등재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주도적 행동과 학업참여의 매개효과

        서영정(Seo, youngjeong),조영아(Cho, young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8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부모의 자율성지지, 주도적 행동, 학업참여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부모의 자율성지지와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주도적 행동과 학업참여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웹기반 설문조사기관을 통해 전국의 4년제 대학생 330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자율성지지, 학업성취도, 주도적 행동, 학업참여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부모의 자율성지지는 학업성취도, 주도적 행동, 학업참여와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부모의 자율성지지와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주도적 행동과 학업참여의 순차적인 완전매개 효과가 있었다. 이것은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주도적 행동과 학업참여를 통해 순차적으로 간접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주도적 행동과 학업참여를 늘리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or not proactive behavior and academic engagement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330 four-year college students nationwide through their web-based survey institute for their parental autonomy support, academic achievement, proactive behavior, and academic engagement.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al autonomy suppor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academic achievement, proactive behavior, and academic engagement.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academic achievement, there were sequential full mediating effects of proactive behavior and academic engagement. This implies that parental autonomy support has a sequential indirect effect through proactive behavior and academic engagement, rather than directly affecting academic achievement. This finding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increase proactive behavior and academic engagement in order to raise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중·고등학생 어머니의 자녀학습관여 과정

        김희정(Kim, HeeJeong),조영아(Cho, Young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0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 어머니들의 학습관여 경험과정에 대한 실제 이론을 개발 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7년 7월부터 11월까지 중고등학생 어머니 16명을 대상으로 자녀학습관여 과정에 대한 심층면담을 실시한 후 이 면담자료를 Strauss와 Corbin(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개방 코딩을 통해 총 96개의 개념, 31개의 하위범주, 1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분석 결과, 중·고등학생 어머니의 자녀학습관여 과정에 대한 인과적 조건은 ‘엄마역할로 인식’, ‘자녀에 대한 불안’, ‘자녀에 대한 기대’로 나타났으며, 중심현상은 ‘맞춤형 교육제공’, ‘사교육에 의지함’으로 나타났다. 또한, 맥락적 조건은 ‘학력사회’, ‘부진한 공교육’, ‘불안정한 경쟁사회’였으며,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중재하는 조건으로는 ‘엄마의 개인특성’, ‘엄마의 취업’, ‘남편의 교육관여’, ‘가정의 경제수준’ 이었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학습행동 강화하기’, ‘학습방법 신뢰하기’ ‘학업스트레스 관리하기’, ‘관계갈등 조절하기’로, 결과는 ‘학습관여에 실패함’, ‘자기이해와 성장’, ‘자녀의 학업성취’로 나타났다. 중·고등학생 어머니의 자녀학습관여 과정의 핵심범주는 ‘자녀 에게 맞춤형 사교육을 제공하며 함께 성장해감’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자녀학습관여 과정은 ‘능력발휘형’, ‘외부의존형’, ‘자녀존중형’, ‘탈관여형’으로 유형화 되었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자녀학습관여 과정을 총제적인 관점으로 이해하며, 어머니의 자녀 학습 과정에 대한 실제 이론을 마련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theory concerning the maternal experience in academic involvement of middle and high school children. To this end, this study sought to illuminate the process of maternal involvement in education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or this aim, 16 mothers wi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interview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suggested by Strauss and Corbin(1998). As a result, a total of 96 concepts, 31 sub-ranges, and 19 categories were drawn through open coding method. According to the result shown in domain analysis by paradigm in the coding stage, causal conditions for the process of the maternal academic involvement included recognition of the role as a mother, anxiety stemming from the children, and expectations for the children. The central phenomenon included arrangements of customized education and dependence on private education. Contextual conditions that produced this central phenomenon were Academic elitism, weak public education, and hypercompetitive nature of society. Conditions that mediate action/interaction strategy comprised of status of employment,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mothers, partner’s academic involvement, and family’s economic conditions. Action/interaction strategy was implicated with empowerment of learning behavior, trust in learning method, stress management, and resolving relationship conflicts. The results were shown to vary between failure of active academic involvement, self-understanding and growth,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findings from selective coding suggests that shared growth through customized private education is the core category of maternal academic involvement. The results revealed the process of maternal academic involvement can be classified into a display of capability, external dependence, respect for the child, and discontinued involvement. This study grasped the maternal academic involvement as a whole and developed a general theory of maternal procedure of child education.

      • KCI등재

        공군병사의 직무특성과 조직몰입의 관계: 집단효능감의 매개효과

        장철진(Jang Chul Jin),조영아(Cho Younga)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8

        본 연구의 목적은 공군 병사들이 지각한 직무특성과 조직몰입 관계에서 집단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0년 10월 12일부터 10월 23일까지 C시 소재 공군 비행단에서 근무하고 있는 의무 복무 병사 418명을 대상으로 직무특성, 조직몰입 및 집단효능감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 중 385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SPSS 25 프로그램과 SPSS MACRO 3.5를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원 배치분산분석 결과, 계급, 근무부서, 직무 유형에 따라 직무특성, 조직몰입, 집단효능감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각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 결과, 직무특성, 조직몰입, 집단효능감 간에 각각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집단효능감은 직무특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공군 병사들이 직무특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조직몰입도가 증가하고, 직무특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집단효능감이 증가하여 조직몰입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기술다양성, 직무정체성, 직무중요성, 직무자율성, 피드백과 같은 직무특성에 대하 지각 수준을 높이고 집단효능감을 강화하여 공군 병사의 조직몰입도를 높이는 조직관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group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erceived by Air Force soldier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12-23, 2020, to measure job characteristics,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collective efficacy of 418 mandatory-service personnel working in the Air Force Squadron in City C. Of the 418 soldiers, data from 385 were used for analysis, and statistical processing was applied using SPSS 25 and SPSS Macro 3.5. Among the results from one-way ANOVA, there were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in job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group efficacy depending on rank, duty department, and job type. Second, correlation analysi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job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group efficacy. Third, group efficacy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is, we propose that organizational management is necessary to enhance group efficiency and to increase the level of awareness of job characteristics, such as technical diversity, job identity, job importance, job autonomy, and feedback.

      • KCI등재

        탈북 1인 가구의 남한생활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김현아 ( Kim Hyun-ah ),조영아 ( Cho Younga ),김요완 ( Kim Yowa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保健社會硏究 Vol.3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탈북 후 남한에 혼자 사는 1인 가구의 특성이 어떠한지 파악하고 이들에게 적합한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눈덩이 표집방법을 사용하여 표집 하였고, 탈북 후 남한에 혼자 사는 1인 가구 중 서울경기의 수도권 4명, 지방 5명 총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 (CQR)에 의하였으며, 면접 조사 및 자료 분석은 교육학 및 심리학 박사 3명에 의한 삼각 검증법으로 진행되었다. 합의도출 결과 5개 범주, 14개 하위영역, 62개 개념이 도출되었다. 탈북 1인 가구는 남한입국 이전의 가족 해체된 경험으로 결혼보다는 남한 사회 정착이 우선이었고 재북 가족과의 미해결과제가 남아있으며, 남한입국 후 가족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었다. 또한 1인 가구로서의 심리적 고통, 가족부재로 인한 사회문화 적응의 취약성, 경제적 독립과 주거 안정의 어려움, 혼자 챙기는 건강 문제로 인한 홀로서기의 어려움도 겪고 있다. 하지만 생존을 위해 전략적으로 대인관계를 맺거나, 긍정적 자원으로서의 적응유연성, 적극적 배움을 통한 삶의 의미추구와 같은 심리적 자원을 보유하고 있었다. 문화적 유능성의 신장, 경제적 자본습득을 위한 부단한 노력, 체험과 적성을 고려하는 안정적인 진로탐색과 같은 사회문화적 적응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추후연구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haracteristics of one-person household among North Korean refugees to better understand a background of occurrence, their difficulties in adaptation and coping in South Korea. Based on qualitative research, the main method of research is the in-depth interview. The subject of the interview are 9 one-person household among North Korean refugees. For data analysis,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was used. There were 62 concepts, 14 sub-categories and 5 categories extracted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ose 5 categories were `Change in the family relationship as one-person household among the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difficulty in independency as one-person household in South Korea`, `interpersonal relationship to a strategic coping for survival`, `psychological resources`, `effort to adapt social and cultural atmosphere`. Based on the results, som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were provided for policy and program development for the North Korean one-person household.

      • KCI등재

        초등학생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녀학습관여 경험

        금경희 ( Geum Kyunghee ),김희정 ( Kim Heejeong ),조영아 ( Cho Younga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7 열린부모교육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초등학생 자녀를 둔 아버지들의 자녀학습관여 경험을 있는 그대로 살펴봄으로써 그 경험의 내용과 의미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자녀에게 학습관여를 하고 있는 아버지 1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이 면담자료를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18개의 주제묶음과 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6개의 범주는 `아내와 발맞추기`, `자녀 알아가기`, `학습환경 조성하기`, `바른 인성 키우기`, `아버지역할 다하기`, `가족과 함께 성장하기`였다. 즉, 아버지들의 초등학생 자녀 학습관여 경험은 `자녀의 인성을 키워주며 책임 있는 아버지로 성장하기`로 요약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아버지들의 효율적인 자녀 학습관여 행동과 부모교육에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ntent and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elementary students` fathers getting involved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For th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2 fathers involved in the education of their elementary school children.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18 themes and 6 categories were drawn from the results. The 6 categories are as follows; `working together with the wife`, `getting to know the children`, `creating learning environment`, `raising the children to be good`, `fulfilling the role of a father`. `growing with the family`. Experience of father`s involvement has summarized to be `raising the children to be good and becoming a responsible father”. Results shown above has been used to discuss the issues of effective involvement in children`s education, and parental education.

      • KCI등재

        진로목표불일치가 대학생의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 주도적 행동의 조절효과

        배미향(Bae mihyang),한동헌(Han dongheon),조영아(Cho young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9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proactive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goal discrepancy and academic burnout among undergraduates. To this end, a survey on career goal discrepancy, proactive behavior, academic burnout was carried out with 580 four-year nationwide through a web-based survey institution.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career goal discrepanc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burnout. The proactive behavior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burnout.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strength use behavior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goal discrepancy and academic burnout,. Namely, while the higher career goal discrepancy, the higher academic burnout among college students, but the higher the level of strength use behavior, the slower the increase in academic burnout wa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support their strength use behavior rather than requiring efforts to improve their deficit behavior for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 academic burnout due to career goal discrepancy.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목표불일치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주도적 행동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웹기반 설문조사기관을 통해 전국에 거주하고 있는 4년제 대학생 580명을 대상으로 진로목표불일치, 주도적 행동, 학업소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진로목표불일치는 학업소진에 정적으로, 주도적 행동은 학업소진과 부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목표불일치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주도적 행동 중 강점활용 행동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진로목표불일치가 높아질수록 학업소진이 높아지지만, 강점활용 행동 수준이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학업소진의 증가폭이 완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목표불일치로 인해 학업소진을 경험하는 대학생들을 위하여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요구하기보다는 자신의 강점을 탐색하고, 그 강점을 활용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강점활용과 진로목표불일치의 매개효과

        한동헌(Han dongheon),서영정(Seo youngjeong),조영아(Cho young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4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부모의 자율성지지, 강점활용, 진로목표불일치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부모의 자율성지지와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강점활용과 진로목표불일치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018년 11월 30일부터 2018년 12월 5일까지 웹기반 설문기관을 통해 전국의 4년제 대학생 330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자율성지지, 진로적응성, 강점활용, 진로목표불일치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의 자율성지지는 진로적응성, 강점활용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진로목표불일치와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부모의 자율성지지와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강점활용과 진로목표불일치의 순차적인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의 진로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부모가 자녀의 자율성을 지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진로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생들에 대한 상담에서 강점활용과 진로목표불일치를 다루는 것이 진로적응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or not strengths use and career goal discrepancy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career adaptability. For this purpose, 330 four-year university students nationwide were surveyed on parental autonomy support, career adaptability, strengths use and career goal discrepancy through Web-based survey institutions from Nov. 30, 2018 to Dec. 5, 2018.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al autonomy suppor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career adaptability, strengths use and negative relationship with career goal discrepancy. Second, Strengths use and career goal discrepancy played mediating role between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career adaptability in a sequential manner. This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for parents to support their children s autonomy to improve their career adaptations. It also suggests that addressing strengths use and career goal discrepancy can be helpful in improving career adaptability in counselling university students who are struggling with career adaptation.

      • KCI등재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자녀의 문제행동, 사회적 지원, 성격강점을 중심으로

        오로사,조영아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 Vol.20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인 부모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이해하여 이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서울, 인천, 경기에 거주하고 있는 발달장애인 부모 180명을 대상으로 삶의 질 간편형 척도, 문제행동질문지, 삶의 지향성 척도, 영성평가척도를 실시하였다. 부모의 삶의 질에 대한 발달장애인 자녀의 문제행동, 사회적 지원, 성격강점의 위계적 영향력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발달장애자녀의 심각도는 삶의 질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의 자조모임활동 참여, 부모의 성격강점(낙관성, 영성)은 삶의질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녀의 문제행동, 사회적 지원, 부모의 성격 강점은 부모의 삶의 질의 변량의 80%의 설명량을 보였으며, 성격강점(낙관성, 영성)은 부모의 삶의 질에 대한 설명력을 크게 증가시켰다. 결론: 발달장애인 부모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발달장애 자녀에 대한 전문적인 치료적 개입과 자조 모임의 활성화, 부모의 낙관성과 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및 상담 지원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e up with measure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understanding the various factors that affect the quality of life. Method: The quality of life scale(WHOQOL-BREF), problem behavior questionnaire, life orientation test(LOT-R) and spirituality assessment scale(SAS) were conducted for 180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siding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hierarchical influence of problem behaviors, social support, and personality strength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their parents' quality of life. Results: First, the sever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shown as a negatively significant influence on quality of life, and the participation of parents in self-help activities and their personality strengths (optimality and spirituality) were shown as statically significant influences on quality of life. Second,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 social support, and parental personality strengths accounted for 80% of the parents' quality of life, and personality strengths (optimality and spirituality) greatly increased parents' quality of life.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y emphasized the need for professional therapeutic intervention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vitalization of self-help groups, education and counseling support to improve parents' optimism and spiritu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