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용량 DWDM 시스템을 위한 분산 분포 광케이블

        박의돈,이동욱,박혜영,김대원,정윤철,손현,조영기,Park, Euy-Don,Lee, Dong-Uk,Park, Hae-Young,Kim, Dae-Won,Chung, Yun-C,Son, Hyun,Cho, Yung-Ki 한국통신학회 2001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26 No.10

        DWDM 전송 시스템에서 전송 용량 증대를 위하여 bit rate를 고속화하고 채널 간격을 줄이기 위해서는 전송로로 사용되는 광케이블의 분산특성이 상반되는 값을 갖도록 요구된다. 즉, 분산으로 인한 신호 왜곡을 줄이기 위해서는 광케이블의 분산이 작아야 하고, 비선형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분산이 커야 한다. 이러한 두 가지 상반된 분산 penalty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양과 음의 분산 값이 이산적으로 분포된 광섬유 케이블을 최초로 설계 및 제작하였다. 이러한 분산 분포 케이블을 위해 일반 단일 모드 광섬유(SMF)와 대응되는 음분산 값을 갖는 새로운 광섬유(NDF)를 설계 및 제조한 후, SMF의 +17 ps/km/nm 및 NDF의 -15 ps/km/nm의 분산영역이 6km의 케이블 내에 분포되도록 케이블을 제작하였다. 새롭게 개발된 케이블의 분산 값을 국지적으로는 높은 값을 가지면서도 전체적으로는 1.0 ps/km/nm의 평균 분산 값으로 NZSDF 대비 30% 이하를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안된 케이블은 SMF 케이블과 동일한 케이블 시공 운용 환경에서도 정합함을 확인하였다.

      •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Bolus triggering기법을 이용한 체질량 지수 변화에 따른 최적의 지연시간 연구

        정재연(Jeong Jae yeon),김홍석(Kim Hong suck),최진영(Choi Jin Young),임상묵(Lim Sang Muk),조영기(Kim Dae Hyun),김대현(Cho Young Ki) 대한CT영상기술학회 2013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Vol.15 No.1

        목적 조영증강 CT 검사에서 병변의 진단과 조영제 사용 등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조영증강 시간을 환자의 성별, 연령별, 비만, 고혈압 유무 등의 체질량지수에 따라 복부 대동맥에서 Bolus triggering 기법을 이용하여 평균 도달 시간이 사람마다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을 착안하여 조영 시간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에 대해 살펴보고 환자방어의 최적화를 위한 그들의 상관관계에 대해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8월부터 2011년 8월까지 12개월간 본원에서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한 환자 중 장비에 내장된 응용 소프트웨어 Bolus triggering 기법을 이용하여 검사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정상 환자군에서 남, 여 각 50명씩 100명, 비만 환자군에서 남, 여 각 50명씩 100명, 고혈압 환자군에서 남, 여 각 50명씩 100명, 비만과 고혈압이 동시에 있는 환자군에서는 남, 여 각 40명씩 80명이었다. 스캔 범위를 결정한 다음 20G로 정맥내 주사를 확보하여 조영제 양을 3.5 ml/s, 2 ml/kg의 주입속도로 주입하고 난 후 생리식염수 20 ml를 같은 주입속도 비율로 주입하여 균일한 조영증강이 정점에 도달하게 하였다. 복부 대동맥에서 Bolus triggering을 실시하여 100 HU되는 시점으로부터 15초 후 영상을 얻기 시작하였다. 선량측정은 전체 스캔 선량을 표시하는 DLP값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연령별 분석에서 연령이 증가할수록 모니터링 횟수가 증가되었고 평균 도달 시간이 늦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001). 성별 분석에서는 남자군이 여자군보다 모니터링 횟수가 증가되었고 평균 도달 시간이 늦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001). 환자의 특성 중 100 HU값의 조영증강 시간은 체질량지수 측정 결과 비만 환자군 또는 고혈압 환자군 보다는 비만과 고혈압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환자군에서 모니터링 횟수가 증가되었고 평균 도달 시간이 늦어지는 것으로 나타냈다(p= .001). 기존의 모니터링 스캔 지연시간 15초를 비만 환자나 질환의 유무 및 정도에 따라 조절하여 모니터링 횟수 분석을 통해 적용했을 때 평균 4.4회로 DLP값 0.214 mSv였고, 모니터링 시작 시간을 4초 후에 시작함으로써 DLP값 0.214 mSv의 방사선 노출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비만인 남자 환자군에서 평균 5.4회로 DLP값 0.283mSv, 여자 환자군에서 평균 4.38회로 DLP값 0.212 mSv로 나타냈다. 고혈압인 남자 환자군에서 평균 5.18회로 DLP값 0.268 mSv, 여자 환자군에서 평균 3.62회로 DLP값 0.182 mSv로 나타났다. 결론 환자의 특성 중 100 HU값의 조영증강 시간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성별이 여자군 보다는 남자군에서, 체질량지수 측정결과 비만과 고혈압을 동시에 지닌 환자군에서 조영증강 시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에서와 같이 모니터링 자료를 관리하여 환자 개개인의 특성을 알고 접근한다면 1년에 최소 2~3번까지 추적검사를 하는 환자에게 피폭되는 선량값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Ⅰ.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ontrast time and to identify the usefulness of their correlations of the factors for the optimization of patient protection, considering that in contrast enhancement CT, contrast enhancement time influences much on the lesion diagnosis and the use of contrast agent and average arrival time varies among people by sex, age, obesity, BMI and hypertension. In this study, it was measured at abdominal aorta using Bolus triggering technique. Ⅱ. Meterial and Methods The subjects were the patients who had a test using Bolus triggering technique among the patients who had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i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or 12 months from August 2010 to August 2011. Subjects were selected as 100 people (50 males and females respectively) from normal group, 100 people (50 males and females respectively) from the group of hypertension patients, and 80 people (40 males and females respectively) from the group with obesity and hypertension together. After determining the scan scope, contrast agent was injected at 3.5 ml/s or 2 ml/kg by securing the intravenous injection with 20 gauge and 20 ml physiological saline was injected at the same injection speed to make the even contrast enhancement arrive at peak. Performing Bolus triggering at abdominal aorta, images were acquired from 15 seconds after 100HU. Dosimetry was compared using DLP value showing the total scan dose. Ⅲ. Result From the analysis by age, the times of monitoring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age, average arrival time became delayed,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 .001). In the analysis by sex, male patients had more monitoring sessions than female patients, average arrival time was delayed, and the difference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p= .001).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contrast enhancement time of 100HU was seen more frequently among the group with obesity and hypertension together than the group of obesity or hypertension and the arrival time was later in obese and hypertension group (p= .001). When applying by coordinating the conventional monitoring scan delay time (15 seconds) according to the obesity or the presence of a disease and analyzing the monitoring times, the average monitoring times was 4.4 or 0.214 mSv in DLP value. By adjusting the monitoring starting time to 4 seconds late, radioactive exposure such as DLP value of 0.214 mSv could be reduced. It was shown as 5.4 times and 0.283 mSv of DLP in obese male patients, and 4.38 times and 0.212 mSv of DLP in obese female patients. It was shown as 5.18 times and 0.268 mSv of DLP in hypertension male patients, and 3.62 times and 0.182 mSv of DLP in hypertension female patients. Ⅳ. Conclusions Contrast enhancement time of 100 HU increased in the patients who were older males and had obesity and hypertension together. If approach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atient by managing the monitoring data just as in this experiment, we may be able to reduce the radioactive dose that the patients would have who should have at least 2-3 times follow up treatment a ye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