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발효탄수화물 첨가 비육돈사료가 초지환원용 슬러리의 악취물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조성,황옥화,박규현,최동윤,양승봉,김두환,박성권,Cho, Sung Back,Hwang, Ok Hwa,Park, Kyu Hyeun,Choi, Dong Yun,Yang, Seung Bong,Kim, Do Hwan,Park, Sung Kwon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3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3 No.4

        양돈 사료에 발효탄수화물을 첨가하여 돼지의 슬러리에서 악취물질의 농도를 평가하였다. VFA 분석결과, 분뇨의 SCFA 농도는 대조구, 땅콩껍질, 아몬드피 및 골든화이버구에서 각각 1,893, 1,591, 1,433 및 1,319 ppm으로 대조구에서 가장 높았고(p<0.05), 아몬드피와 골든파이버 구에서 가장 낮았다(p<0.05). VFA의 구성을 살펴보면 SCFA 중에서 아세트산의 비율이 가장 높으며, 다음으로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BCFA 순으로 낮았다. BCFA의 농도는 대조구, 땅콩껍질, 아몬드피 및 골든화이버 구에서 각각 98, 92, 78 및 74 ppm으로 대조구에서 가장 높았고(p<0.05), 골든화이버 구에서 가장 낮았다(p<0.05). VOC 분석결과, 분뇨의 페놀류 농도는 대조구, 땅콩껍질, 아몬드피 및 골든화이버 구에서 각각 97.3, 47.0, 54.3 및 33.3 ppm으로 골든화이버 구에서 가장 낮았으며, 대조구에서 가장 높았다(p<0.05). 그리고 p-크레졸 농도가 페놀류 농도의 93~96%를 차지하였다. 인돌류 농도는 대조구, 땅콩껍질, 아몬드피 및 골든화이버 구에서 각각 1.8, 1.3, 1.2 및 1.0 ppm으로 발효탄수화물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며(p>0.05), 대조구에서 가장 높았다(p<0.05). ${NH_4}^+$-N의 농도는 대조구, 땅콩껍질, 아몬드피 및 골든화이버 구에서 각각 1,395, 995, 995 및 836 ppm으로 대조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골든화이버 구에서 가장 낮았다(p<0.05). 가축의 장내 또는 슬러리에서 발효과정 동안 미생물이 성장을 위해 필요로 하는 에너지가 제한요소로 작용되면, 미생물은 단백질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많은 아미노산이 분해되어 악취물질이 증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골든화이버 구에서 VOC의 농도가 가장 낮은 것은 골든화이버의 높은 NDF 함량으로(Getachew et al., 2004) 단백질 발효보다 탄수화물 발효가 활발하게 일어나 악취물질의 농도가 낮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fermentable carbohydrate on the concentration of odorous compounds in pig slurry. Four types of pig diet were studied: control, peanut hull (crude fiber 29.87, NDF 44.02%), golden fiber (crude fiber 48.77, NDF 65.88%), and almond hull (crude fiber 44.30, NDF 64.44%). Pigs (average BW 37.0 kg) were fed diets that met the Korean Feeding Standard (2012) and their excreta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slurry pits. Level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phenols and indoles) and volatile fatty acids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Phenol level was the lowest (p<0.05) in golden fiber (33.26 ppm) group and the highest in control (97.29 ppm). The concentration of indoles in the peanut hull (1.27 ppm), almond hull (1.20 ppm), and golden fiber (1.02 ppm) groups was lower (p < 0.05) than that of control (1.79 ppm). Levels of short chain fatty acid (SCFA) were lower (p < 0.05) in golden fiber (1,319 ppm) and almond hull (1,433 ppm) groups than in control (1,893 ppm). Concentration of branched chain fatty acid (BCFA) in the golden fiber group (74 ppm) was lower (p < 0.05) than that of control (98 ppm). Taken together, the concentration levels of phenols, indoles, and VFAs decreased on addition of peanut hull, golden fiber or almond hull to the diet, suggesting that fermentable carbohydrate may contribute to reducing odorous compounds in pig slurry.

      • KCI등재
      • KCI등재

        동종 경골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조성도(Sung-Do Cho),곽창열(Chang-Youl Gwak),정창윤(Chang-Yun Ju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3

        목적: 신선 동결된 동종 경골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시 두 가지 대퇴부 고정 방법에 따른 임상적 안정성과 기능적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퇴부 고정방법으로 제1군(31예)에서 Endopearl과 생체 흡수성 간섭 나사를 사용하였고, 제2군(36예)에서는 RIGIDfix 횡 고정핀을 사용하였다. 경골부는 두 군 모두 screw washer 및 생체 흡수성 간섭 나사로 이중 고정하였다. 술후 결과의 평가를 위해 Lysholm knee score, 2000 IKDC 주관적 슬관절 점수, Lachman 검사, pivot shift 검사, KT-l000 arthrometer 검사, 2000 IKDC 슬관절 검사 등을 시행하였다. 결과: Lysholm knee score는 제1군에서 28예, 제2군에서 33예가 양호 이상이었다. IKDC 주관적 슬관절 점수는 제1군에서 27예, 제2군에서 33예가 70점 이상이었다. Lachman 검사상 제1군에서 30예, 제2군에서 35예에서 음성 또는 1 + firm end인 결과를 보였고 pivot shift 검사에서 제1군에서 27예, 제2군에서 35예가 음성을 보였다. KT-l000 arthrometer 검사상 5 ㎜ 이하의 차이를 보인 경우가 제1군에서 30예, 제2군에서 36예였다. IKDC 슬관절 검사상 제1군에서 29예, 제2군에서 34예가 정상 혹은 거의 정상 소견을 보였다. 결론: 신선 동결된 동종 경골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은 단기 추시 후 양호한 결과를 얻었으며 대퇴부 고정 방법에 따른 결과의 차이는 없었다. Purpose: To compare the clinical stability and function of two femoral fixation methods after arthoro-scopic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reconstruction using fresh-frozen tibialis tendon allograft. Materials and Methods: For femoral fixation, endopearl and bioabsorbable interference screw were used in 31 patients (group Ⅰ) and RIGIDfix<SUP>®</SUP>, in 36 patients (group Ⅱ).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30 months. The evaluations included Lysholm knee score, 2000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KDC) subjective knee score, Lachman test, pivot shift test, KT-1000 arthrometer measurement and 2000 IKDC knee examination. Results: Twenty-eight patients (90.3%) in group Ⅰ and 33 (91.7%) in group Ⅱ were good or excellent according to the Lysholm score. Twenty-seven patients (87.1%) in group Ⅰ and 33 (91.7%) in group Ⅱ had IKDC subjective knee score > 70. Thirty patients (96.8%) in group Ⅰ and 35 (97.2)% in group Ⅱ had 1+firm end or negative Lachman test. Twenty-seven patients (87.1%) in group Ⅰ and 35 (97.2%) in group Ⅱ had a negative pivot shift. Thirty patients (96.8%) in group Ⅰ and 36 (100%) in group Ⅱ had <5 ㎜ of difference according to the KT-1000 arthrometer. Twenty-nine patients (93.5%) in group Ⅰ and 34 (94.4%) in group Ⅱ were normal or nearly normal according to the 2000 IKDC knee examination. Conclusion: ACL reconstruction with fresh-frozen tibialis tendon allograft produced a reliable and predictable outcome after the short-term follow-up. The two methods used for femoral fixation produced similar outcomes.

      • 급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과 동반된 반월상 연골 손상의 양상

        조성도,고상훈,황수연,김문찬,Cho Sung-Do,Ko Sang-Hoon,Hwang Soo-Yeon,Kim Moon-Chan 대한관절경학회 2003 대한관절경학회지 Vol.7 No.1

        서론 : 급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이 있는 환자에서 동반된 반월상 연골 손상의 발생 빈도, 위치, 형태 및 치료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3월부터 2002년 2월까지 수상 6개월 이내의 급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이 있는 환자 73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66례, 여자가 7례였으며, 평균 연령은 33($16\~62$세)였다. 수상 원인으로서는 스포츠 손상(45례), 교통사고(19례)순으로 많았으며, 스포츠 손상에서는 축구 손상이 34례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관절경을 이용하여 반월상 연골 손상의 위치, 형태에 대해 확인하였으며 치료에 대해서도 분석해 보았고 특히 축구 손상으로 인한 군과 교통 사고로 인한 군에 대해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급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이 있는 환자에서 반월상 연골 손상이 동반된 경우는 48례$(65.8\%)$로 그 중에서 외측 반월상 연골 손상이 26례$(54.2\%)$로 가장 많았으며, 위치는 후각부에서 52례$(91.2\%)$로 가장 흔하였다 형태는 방사상 파열이 15례$(26.3\%)$로 가장 흔하였으며 치료는 부분 절제술이 38례$(66.7\%)$ 가장 많았다. 이들 중 축구 손상으로 인한 군에서는 반월상 연골 손상이 동반된 경우는 28례$(82.4\%)$였으며, 그 중에서 외측 반월상 연골 손상이 17례$(60.7\%)$로 가장 많았으며, 위치는 후각부에서 30례$(90.9\%)$로 가장 흔하였다. 형태는 방사상 파열이 9례$(27.3\%)$로 가장 흔하였으며 치료는 부분 절제술이 22례$(66.7\%)$로 가장 많았다. 결론 : 급성 전방 십자 인대의 파열시 외측 반월상 연골 손상의 빈도가 내측 반월상 연골 빈도보다 많았으며 후각부 손상이 가장 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급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이 있는 환자에서 동반된 반월상 연골 손상의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location, type and treatment of meniscal injury associated with acute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tears Material and Methods: From Mar. 1997 to Feb. 2002, we reviewed 73 cases of acute ACL tear. There were 66 males and 7 females. The average age at the time of surgery was 33 year old (range, 16-62 years). The common causes of meniscal injury were sports injuries (45 cases) and traffic accidents (19 cases). In 45 sports injuries, thirty four cases were soccer injuries. All patients had undergone arthroscopic evaluation. We analyzed incidence, type, location, and treatment of meniscal injuries, especially those of soccer injuries. Results : Foully eight (57 sites) out of 73 had meniscal tears : Of these injuries, tears of lateral meniscus (26 cases, $54.2\%$) were more common than medial meniscus. Posterior horn of the meniscus was the most common location (52 cases, $91.2\%$) and radial tears were the most common type (15 cases, $26.3\%$). Thirty eight cases $(66.7\%)$ were treated by partial menisectomy. In soccer injuries, twenty eight (33 sites) out of 34 had meniscal tears. and tears of lateral meniscus (17 cases, $60.7\%$) were more common. Posterior horn of the meniscus was the most common location (30 cases, $90.9\%$) and radial tears were the most common type (9 cases, $27.3\%$). Twenty two cases $(66.7\%)$ were treated by partial menisectomy. Conclusions : Lateral meniscal tears in the setting of an acute ACL insufficiency are more common than medial meniscal tears. The findings in the this study would be helpful in clinical diagnosis and subsequent treatment decisions in patients with an acute ACL tears.

      • 10시 혹은 2시 방향의 경경골 대퇴 터널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 수술 수기 -

        조성도,고상훈,박문수,정광환,차재룡,곽창열,김상우,Cho, Sung-Do,Ko, Sang-Hun,Park, Mun-Soo,Jung, Kwang-Hwan,Cha, Jae-Ryong,Gwak, Chang-Youl,Kim, Sang-Woo 대한관절경학회 2006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0 No.2

        목적: 기존의 경경골 대퇴 터널 천공 방법은 11시 혹은 1시 방향으로 수직에 가까워 술 후 전후방 안정성은 있으나 회전력에 대한 안정성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제기되어 저자들은 10시 혹은 2시 방향으로 경경골 대퇴 터널을 천공하는 수술 수기를 소개하고자 한다. 수술 술기: 10시 또는 2시 방향의 경경골 대퇴터널을 만들기 위해서는 경골 drill guide의 위치와 방향이 중요하다. 저자들은 경골 drill guide의 각도를 $40{\sim}45$도로 하고 관절내 guide tip을 고식적인 위치보다 1 mm씩 전방 및 내측으로 이동하였다. 경골에서 유도 강선의 시작점은 거위발 건의 근위부, 내측 측부 인대의 내측부로 하였으며 경골의 장축과 유도 강선의 각은 $30{\sim}40$도로 하여 경골 offset guide가 10시 또는 2시의 대퇴 터널 방향으로 쉽게 향하도록 하였다. 경골 터널은 먼저 이식건의 두께보다 1 mm작은 확공기를 이용하여 만들고 다시 이식물과 같은 크기의 확공기를 이용하여 30 mm 깊이의 대퇴 터널과 경골 터널을 완성하였다. 결론: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시 전후방 안정성뿐만 아니라 회전력에 대한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경골 터널을 통하여 10시 혹은 2시 방향에 대퇴 터널을 천공하는 수술 수기를 소개하였다. Purpose: Conventional transtibial approach for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reconstruction tended to place the femoral tunnel in too vertical position (11 or 1 o'clock), which could provide the postoperative anteroposterior (AP) stability but not provided the rotational stability. Therefore we present a surgical technique to make the transtibial femoral tunnel at 10 or 2 o'clock position. Surgical approach: To make a transtibial femoral tunnel at the 10 or 2 o'clock position, the direction and position of the tibial drill guide was important. We set the tibial drill guide at $40{\sim}45$ degrees and the intraarticular guide tip was 1 mm anterior and medial to the conventional site. The starting point for the guide pin on the proximal tibia was proximal to the pes anserinus and anterior to the medial collateral ligament. The tibial tunnel was initially drilled 1mm less than the diameter of the graft. Then femoral offset guide could be easily placed at 10 or 2 o'clock position through the tibial tunnel. The tibial tunnel and the femoral tunnel of 30 mm in length were made with the reamer that was same size with the graft. Conclusion: We report a surgical technique to create a transtibial femoral tunnel at 10 or 2 o'clock position in ACL reconstruction to provide the rotational stability as well as the AP stability.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