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영어 학습부진 학생을 대상으로 한 파닉스 교수의 효과: 메타분석을 중심으로

        정평강(Jung Pyung-gang),최나리(Choi Nar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

        Ⅰ. 서 론 Ⅲ. 연구방법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을 적용하여 국내 초등영어 학습부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한 파닉스 교수가 영어 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평균 효과와 평균 효과에 영향을 끼치는 조절변인을 살펴보는 것이다. 총 19개의 연구에서 80개의 효과 크기가(영어성취도 37개, 정의적 영역 43개) 도출되었다. 파닉스 교수의 평균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무선효과모형을 사용하였으며, 평균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조절변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파닉스 교수의 평균 효과는 영어성취도는 1.23, 정의적 영역은 1.09으로 높게 나타났다. 파닉스 지도방법과 교수 실시와 관련된 요인 들(교수시간, 교수 횟수, 총 교수기간, 총 교수차시)이 파닉스 교수의 효과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요소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과 현장에 주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저학년 쓰기장애 위험 학생을 대상으로 한 데이터기반개별화(DBI) 쓰기교수의 효과에 대한 사례연구

        정평강 ( Jung Pyung-ga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3

        본 연구에서는 사례연구를 통해 집중적인 쓰기교수가 필요한 학생에게 효과적인 개별화교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돕는 데이터기반개별화(DBI) 쓰기교수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 초등학교 3학년 쓰기장애 위험학생을 대상으로 DBI 쓰기교수를 1주일에 3회, 1회에 20분씩, 5주 동안 실시하였다. 교육과정중심측정 그림-단어 제시검사를 사용하여 주 2회 진전도 모니터링을 실시하였으며, 그림-단어 제시검사와 기초학력검사(쓰기)로 사전 및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그림-단어 제시검사에 나타난 학생의 쓰기 성취도는 전반적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향상되는 추이를 보였으며, 사후검사 결과가 사전검사보다 높거나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학력검사(쓰기) 결과, 각 평가영역과 총점에서 사후검사 결과가 사전검사보다 높거나 동일했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DBI 쓰기교수는 초등학교 저학년 쓰기장애 위험학생의 쓰기 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주된 결과에 대한 논의와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data-based individualization (DBI) in writing for a student who need intensive instruction. The DBI in writing was delivered to the student three times each week, 20 min per session, for 5 weeks. Curriculum-based measurement picture-word prompt was administered two times per week for progress monitoring. The picture-word prompt and Korea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Basic Academic Achievement Tests(KISE-BAAT) Writing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on picture-word prompt showed an increasing trend over time in general, and post-test scores was at the same or higher than pre-test scores. The student’s performance on KISE-BAAT Writing at post test was at the same or higher than the his performance at pre-test across sub-tests and total scores. The findings indicate the positive potential of DBI writing instruction for enhancing writing performance of an early elementary student who was identified as at risk in writing. Study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Explicit Handwriting and Spelling Interventions Targeting the Text Generation Skills of Students in Grades 1 to 3 Who are At Risk or Have Disabilities

        Jung, Pyung-Gang(정평강),Yeo, Seungsoo(여승수)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4 특수교육 Vol.13 No.2

        본 연구는 장애 위험 및 장애 아동으로 판별된 초등학교 1-3학년 학생을 위한 손글씨 쓰기와 철자쓰기 중재가 작문하기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인과 추론 정도를 살펴보고 증거기반교수로 결정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검토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총 11개의 실험연구 및 준실험연구가 포함되었으며, 연구 방법론의 엄격성 정도에 따라 낮음, 중간, 높은 인과 추론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명시적 손글씨 쓰기와 철자 쓰기 중재전략들이 증거기반교수로 고려될 수 있는지를 최종적으로 결정하였다. 낮은 인과 추론 그룹에는 2개, 중간 인과 추론 그룹에는 3개, 높은 인과 추론 그룹에 6개의 연구가 분류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5개의 연구가 연구 방법론에 해당하는 준거를 충분히 충족시켜 명시적 손글씨 쓰기와 철자 쓰기 중재가 증거기반교수로 고려될 수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에 포함된 실험연구 및 준실험연구의 연구 방법론의 엄격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과 증거기반 쓰기 교수의 함의에 대해 논의 하였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의 의미와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제언을 제시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dequacy of causal inferences drawn from the effects of handwriting and spelling interventions on text generation skills for students in grades 1 to 3 identified as at risk in writing or having disabilities, and whether the reviewed interventions constitute evidence-based practices. A total of 11 experimental and quasi-experimental group design studi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degrees of methodological rigor: low, moderate, and high causal inference groups. Determinations were then made as to whether explicit handwriting and spelling interventions can be considered an evidence-based practice. The low inference group comprised two studies; moderate and high inference groups comprised three and six studies, respectively. Five studies met sufficient methodological criteria to be considered evidence-based practices. Variables affecting the methodological rigor of reviewed studies and implications for an evidence-based writing practice are discusse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 KCI등재
      • KCI등재

        데이터기반 교수(Data-Based Instruction)의 쓰기영역 적용 사례

        정평강(Jung, Pyung-Gang),신재현(Shin, Jaehyun),Kristen L. McMaster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6 특수교육 Vol.15 No.4

        연구목적: 본 논문의 목적은 장애 학생의 효과적인 개별화 교육을 돕는 접근 방법인 데이터기반 교수(data-based instruction)를 쓰기 교수 영역에 적용한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쓰기영역에서의 데이터기반 교수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초등학교 1학년 쓰기 학습장애 위험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기반 쓰기교수와 함께 데이터기반 교수 절차를 일주일에 3회, 1회에 30분 동안, 12주에 걸쳐 실시하였다. 교육과정 중심 측정(curriculum-based measures; CBM) 쓰기 그림 단어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1주일에 2회 학생의 쓰기 진전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데이터기반 교수 절차를 적용한 쓰기 교수를 시작하기 전과 후의 CBM쓰기 그림 단어 검사 결과의 중앙값을 기준으로 비교해 보았을 때, 쓰기 성취도가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데이터기반 교수의 성공적인 적용 및 보급을 위하여 데이터기반 교수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세 가지 구성 요소인 연구기반 교수, 학습 진전도 측정 검사도구, 교수적 의사결정 요소를 포함한 데이터기반 교수 모델을 중심으로 연구와 실제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고, 이를 위한 교사 교육 및 지원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report a detailed case example of implementing data-based instruction(DBI), which is a framework that helps design effective individualized instruction for students who need intensive individualized instruction. Method: Evidence-based early writing instruction was delivered within the DBI framework three times per week, 30 minutes per session, for 12 weeks in total to a first grade student who was struggling with writing. The Curriculum-Based Measures(CBM) Picture Word was used to monitor the progress twice a week. Results: The student’s writing performance on the CBM Picture Word improved after receiving the writing instructions embedded in the DBI. Conclusion: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focusing on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DBI in Korea for each component of DBI: evidence-based instructions, progress monitoring measures, and DBI framework. Directions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and supports are also discussed.

      • 장애인 평생교육 요구에 대한 다양한 관점 분석

        이현주(Hyunjoo Lee),정평강(Pyung-Gang Jung),이영선(Youngsun Lee)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인 평생교육에 관한 요구를 면밀히 조사하여 장애인 평생교육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내실화 및 활성화를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장애인 평생교육 기관 종사자, 장애인 평생학습자, 장애인 가족이라는 세 집단(장애인 평생교육 기관 종사자 7명, 장애인 평생학습자 11명, 장애인 가족 5명)으로 구분하여 장애인 평생교육 요구에 관한 관점을 조사하였다. 면담은 2018년 9-10월에 진행되었으며 자료는 연속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집단 간 공통적으로 나타난 장애인 평생교육에 관한 요구로는 (1) 장애인 평생학습 기회 확대(프로그램 및 콘텐츠 개발과 강화, 정보 및 물리적 접근성 확보, 안정적인 재정[지원] 및 프로그램 운영의 안정성과 지속성 확보), (2) 공유와 통합의 지역사회 문화 조성(지역주민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 개선, 지역 내 통합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 기회 확대)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별 상이한 요구로는, 장애인 평생교육 기관 종사자의 경우 장애인 평생교육 관련 기관의 역할 정립, 기관 간 연계 및 협력 체제 구축, 전문인력 배치 및 역량과 전문성 강화를 언급하였다. 장애인 평생학습자는 장애인 편의시설 마련, 평생학습자 간 관계 고려를 언급하였으며, 장애인 가족은 요구 기반 평생교육 계획 및 운영, 개인별 특성에 기반하여 연계된 평생교육 지원, 가족 지원 프로그램 운영을 언급하였다. 결론: 요구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장애인 평생교육 발전을 위한 방향성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1) 장애인 평생학습 기회 확대, (2) 공유와 통합의 평생학습 문화 조성, (3) 장애인 평생교육을 위한 인프라 구축 및 강화, (4) 장애인 평생학습 지원체제 마련.

      • KCI등재

        단일대상 메타분석 연구를 위한 그래프 추출 컴퓨터 프로그램의 신뢰도, 타당도, 사용성 평가

        신미경(Shin, Mikyung),정평강(Jung, Pyung-Gang)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8 특수교육 Vol.17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단일대상 메타분석 연구에 필요한 그래프 데이터 추출에 사용할 수 있는 GetData Graph Digitizer 2.26 컴퓨터 프로그램의 신뢰도, 타당도, 사용성 평가에 대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출판된 단일대상 연구들에서 168개의 그래프(총 데이터 수= 1,929개)를 도출하였고, 추가로 50개의 가설 그래프(총 데이터 수= 750개)를 개발하였다. 두 코딩자가 그래프에서 추출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신뢰도를 살펴보았고, 추출한 데이터를 가설 그래프의 원자료와 비교하는 방법을 통해 타당도를 살펴보았다. 사용성 검사를 위해 평가자의 응답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연구결과: GetData Graph Digitizer 2.26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는 모두 유의미하게 높았다(rs = 1.00, ps < .001). 프로그램의 사용성 측면에서도 응답자들은 다소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으며, 다양한 개선점들을 제시하였다. 특히 x축과 y축을 설정하는 체계가 자동화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였다. 결론: 이상과 같은 높은 신뢰도, 타당도, 사용성 평가 결과는 단일대상 메타분석 과정 중 그래프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추출을 위하여 본 컴퓨터 프로그램이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reliability, validity, and usability of GetData Graph Digitizer 2.26, a computer program used for graphic data extraction in the meta-analysis of single-case studies. Method: A set of 168 graphs (total number of data points = 1,929) were derived from previously published articles together with another 50 hypothetical graphs with AB designs (total number of data points = 750). The graphic data extracted by the two coders were compared for reliability. The extracted data were compared for validity with the original data derived from hypothetical graphs. To test the usability,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respondents’ evaluations were obtained. Result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coefficients of the GetData Graph Digitizer 2.26 computer program were significantly high (rs = 1.00, ps < .001). In terms of the usability of the program, respondents provided rather positive evaluations and presented several suggestions for improvements. In particular, respondents suggested a need for automation of the system for setting the χ and y axes.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GetData Graph Digitizer 2.26 computer program allows reliable extraction of graphic data for the meta-analysis of single-case studies.

      • KCI등재

        Factors Influencing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Hae-In Jeon(전혜인),Pyung-Gang Jung(정평강),Hye-Kyung Lee(이혜경)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정서행동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주요 요인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심리적 특성을 포함하였다. 조사대상자는 결혼이민여성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 148명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들 아동의 정서행동적 특성은 어머니의 연령과 가구소득과 유의미한 관련을 나타냈다. 또한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는 자녀들의 전반적 행동특성에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결혼이주여성이 높은 수준의 문화적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자녀가 연령이 높을수록 내면화된 문제행동을 나타냈다. 또한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 능력과 결혼만족도 역시 자녀의 내면화된 문제와 외현화된 문제영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가정 아동의 정서행동 문제의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실천적 제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emotional and behavior characteristics among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factors include demographic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arried immigrant women. Surveys were distributed to 200 married immigrant women and, 148 surveys were returned and analyz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age of their mothers and household income. Second, acculturative stress in married immigrant women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overall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ir children. Third, children whose mothers experienced a higher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and were of older age showed internalizing problems. The level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marital satisfaction were also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sub-categories of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aside from acculturative stres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to develop preventative programs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re discuss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