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특수교육사 연구 동향

        연준모(Yun, Joonmo)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8 敎育思想硏究 Vol.32 No.2

        본 연구는 지금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특수교육사 연구들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에서의 특수교육사 연구가 어떠한 방향으로 이루어져 왔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실행되었다. 우선 본 연구를 위하여 연구의 선정 방법과 분석 틀을 제시하였다. 이어서 인터넷 논문 검색 데이터 베이스를 통하여 특수교육의 역사에 대한 학위 논문과 학술지 논문들을 검색하고, 이렇게 검색 된 논문들을 연구물 유형, 발표 시기, 대상 지역, 대상 시기, 연구 내용, 대상 장애 유형으로 분류하여 제시함으로써 우리나라의 특수교육사의 연구 동향을 포괄적으로 살펴보았다. 논문 검색 결과 총 35편의 연구물들이 선정되었으며 이에 따른 동향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물 유형과 발표 시기에 있어서 대부분의 연구는 학술지를 통하여 발표되었으며, 주로 2000년대에 발표가 이루어졌다. 둘째, 대상 지역에 있어서는 한국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대상 시기는 한국의 경우 해방 이후, 서양의 경우는 통사적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의 내용에 있어서는 교육제도사, 교육사상사, 교육학사를 순으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넷째, 대상 장애 유형에 있어서는 시각장애, 지적장애, 지체장애 등 다양한 장애 유형이 다루어졌지만, 특수교육 전반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하여 논의해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in the history of special education in Korea by analyzing the studies of special education history published in Korea so far. Firstly, the selection method and the analysis framework of the study were suggested. Then the theses and journals on the history of special education were searched through the internet database. The theses were searched and classified by research type, time of publication, target area, target period and research contents. Eventually, a total of 35 studies were selected. First, most of the studies were published in the journal, mainly in the 2000s. Second, the most common target area was Korea. The main target period was the post-liberation period (1945-) in Korea. Third, in the content of the study, there were a lot of studies in order of educational institution history, educational thought history, and history of pedagogy. Fourth, although various types of disabilities such as visual impairment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have been dealt with in the type of target impairment, most of the studies have focused on general special education.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 난독증 문헌 분석: 내용 분석과 의미 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연준모(Yun, Joonmo),김우리(Kim, Woori)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 Vol.20 No.1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이루어진 난독증 연구를 분석하여 난독증의 진단 및 중재의 동향을 살펴보고, 의미연결망분석을 통해 난독증 연구가 가지고 있는 지식구조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총 75편의 논문이 분석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이를 대상으로 발간현황, 연구유형, 연구대상, 연구주제 따라 내용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특히 난독증의 진단과 중재를 중심으로 보다 심층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의미연결망분석을 실시함으로써 기존 연구의 지적 구조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난독증 연구는 2014년 이후 활발히 발표되었고, 주로 조사연구와 실험연구가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대상은 주로 초등학생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주제는 심리적/인지적 특성, 교수ㆍ학습, 그리고 진단 및 평가에 대한 내용이 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난독증의 진단은 주로 불일치 준거를 활용하여 이루어져 왔으며, 중재는 파닉스 중심 중재가 활용되었다. 마지막으로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해 난독증과 관련 핵심어 간의 연관성을 규명하였다. 결론: 난독증 학생을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해서는 그에 부합한 진단 준거를 규정할 필요가 있으며, 진단을 위한 검사 도구를 개발해야 할 것이다. 또한, 난독증 중재는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한글의 특성을 고려한 중재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rends of dyslexia research, looking specifically at methods of diagnosis and intervention, and investigating the knowledge structures of current research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A total of 75 studi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publication status, research type, research subject, and research topic. The contents dealing with the diagnosis of and interventions for dyslexia were analyzed in a particularly in-depth manner. In addition, by conducting a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the studies, we investigated the studies’ knowledge structures. Results: First, dyslexia research has been published frequently since 2014, with a strong concentration in survey studies and experimental studies. Second, the subjects of most studies mainly consisted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topics of the studies often focused on psychological/cognitive characteristic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the diagnosis and assessment of dyslexic students. Third, the criteria of the discrepancy model provided the most common method for the diagnosis of dyslexia in most studies. Additionally, phonics instructions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intervention in dyslexia treatment.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eywords was identified and mapped with the use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Conclusion: The criteria for dyslexia diagnosis needs to be further clarified in order to more accurately identify dyslexia. Additionally, there should be a diverse set of dyslexia interventions, in order to ensure solutions which adequately fit the specific context. It is also necessary to customize these interventions in a way that take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Hangul (Korean) into consideration, as opposed to merely using an English-centered approach.

      • 국내 학습부진 대학생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연준모(Joonmo Yun)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학습부진 대학생 관련 연구논문들의 연구동향을 검토하고 교육적 함의를 탐색한 후,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하여 논의해 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 학습부진 대학생이란 유의하게 낮은 학업성취를 보이는 대학생을 의미하며, 이러한 학습부진 대학생에 대한 연구를 검색하기 위하여 ‘부진’, ‘학습부진’, ‘저성취’, ‘학사경고’, 및 ‘대학생’ 등의 검색어를 활용하여 출간 년도에 제한 없이 연구물들을 검색하였고, 그 결과 총 58편(학위논문 13편, 학술지논문 45편, 중재연구 17편 포함)의 연구논문들을 수집하였다. 전반적인 연구 동향 분석을 위해서는 연구유형, 연구방법, 연구주제 등을 기준으로 한 내용분석 및 연구물들의 키워드를 활용한 의미연결망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중재 연구에 있어서는 독립변인, 종속변인, 중재기간 등과 같은 기준을 활용하여 내용을 분석하고 효과크기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학습부진에 대한 연구는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었다. 둘째, 연구 방법의 경우 질적연구에 비해 양적 연구가 더 많이 이루어졌으며, 연구 대상은 주로 4년제 대학생을 중심으로 실시되었다. 특히, 연구 내용에 있어서는 질적 연구의 경우 학습부진 대학생이 겪는 대학생과의 상담 사례가 주를 이루고 있었고, 양적 연구의 경우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분석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셋째, 의미연결망분석 결과 높은 중심성을 보인 단어는 학사경고, 학습부진, 대학생, 학업성취도, 학습동기 등이었다. 마지막으로, 중재연구에서 평균 효과크기는 .588을 나타냈으나, 조건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학습부진 대학생 관련 국내 연구의 동향을 포괄적으로 검토한 최초의 연구로서, 향후 학습부진 대학생 교육에 대한 논의사항 및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읽기 성취 및 인지과정 검사를 통한 읽기부진 학생의 읽기이해 특성 분석

        김우리(Kim, Woori),연준모(Yun, Joonmo) 한국학습장애학회 2018 학습장애연구 Vol.15 No.2

        본 사례연구는 다양한 검사, 즉 표준화 검사와 함께 안구운동 검사와 소리내어 생각하기 검사를 실시함으로써 학생들의 읽기 내 인지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교사평정을 통하여 학생들이 읽기이해 과정에서 보이는 특성에 대해 추가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는 초등학교 4학년인 읽기부진 학생 3명과 일반 학생 3명이 참여하였으며, 먼저 표준화된 검사인 RA-RCP 읽기이해 소검사를 실시하였고, 읽기이해 과제에 대한 안구운동 검사와 소리내어 생각하기 검사, 그리고 학생들의 읽기이해 능력에 대한 교사평정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 표준화 검사 결과, 읽기부진 학생은 읽기이해 장애로 진단되었고, 일반 학생은 평균 혹은 상위 집단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안구운동 검사 결과, 글 전체에 대한 고정빈도와 고정시간은 부진학생들이 일반학생에 비하여 대체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글의 중심 문장이나 핵심어에 대한 고정 빈도나 고정 시간은 부진 여부와 관계없이 다양하게 나타났으나, 재고정 빈도는 일반 학생이 읽기부진 학생에 비해 일관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소리내어 생각하기 검사에서는 일반 학생들은 읽은 내용을 정교화시키고 정확한 추론을 하였다. 그러나 읽기부진 학생은 읽은 내용을 그대로 반복해서 말하기, 추론하기 등 다양한 형태의 인지과정을 보였으나 잘못된 추론을 하는 빈도가 높았다. 한편, 교사평정에서는 모든 하위 문항에서 읽기부진 학생들이 일반 학생들에 비해 낮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poor readers in reading comprehension by employing eye-movement test, think-aloud test, and teachers’ rating as well as standardized test. Three poor readers and three typical readers in fourth grade participated in this study. First, a standardized reading comprehension test (RA-RCP) were administered to those students; then, eye movement and think-aloud tests were administered to examine their cognitive processes in reading comprehen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in RA-RCP test showed that poor readers were diagnosed with reading comprehension disabilities, while typical readers were found to be the average or upper level of reading. Second, in the eye movement tests, overall, the poor readers had a longer duration and higher frequency in fixation than the typical readers for the whole texts. However, the typical readers indicated more visit counts than the poor readers for the areas of core contents and key words while fixation duration and fixation frequency for the areas varied regardless of reading difficulties of the students. Third, the think-aloud test results indicated that the typical readers elaborated the contents and made accurate inferences, while poor readers repeated sentences or made wrong inferences when they read sentences. In addition, in teachers’ rating, poor readers received lower scores than typical readers in all items.

      • KCI등재
      • KCI등재

        국내 NIE 현황 조사 연구

        김동일(Kim, Dong-Il),정문성(Jeong, Moonseong),최상희(Choi, Sanghee),강은비(Kang,Eunbi),연준모(Yun, Joonmo) 한국열린교육학회 2013 열린교육연구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기관 수준의 NIE 현황 및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보다 효과적인 NIE(Newspaper In Education) 및 교육 지원에 대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데 있다. 특히 이 연구는 2012년 당시 전국을 단위로 하여, 교육행정 및 관리 기관으로서의 교육청(시도교육청 및 지역교육지원청)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투입-과정-결과변인으로 구성된 성과지표(performance indicator)에 기반하여 이루어진 설문조사를 통하여 보다 포괄적이고 거시적으로 단위학교 지원 및 행정적 측면에서의 NIE 현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교육청과 관련해서는 대부분의 교육청에서 NIE 관련 업무를 실시하고 있었으나 NIE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과 업무 지원, 그리고 업무의 효과적인 할당에 있어서는 미흡한 부분이 아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육청 내의 과중한 업무는 NIE와 관련된 지원 업무를 저해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고, 이외에도 예산, 교육의 질 관리 문제 등 NIE의 실제 운영과 행정적 지원에 대한 많은 문제점들이 드러났다. 그 밖에도, 이 연구를 통하여 성과지표에 따라 NIE와 관련된 다수의 개선점들이 드러났으며 이는 향후 더 많은 연구와 교육적 지원을 통하여 보완되어 나아가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Newspaper in Education (NIE) in order to better facilitate the delivery and support of NIE in Korea. In particular, the study sought to examine the actual NIE practice carried out by the regional offices of education(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Local Offices of Education) across Korea. Findings of the study revealed that most offices of education were carrying out NIE-related work, but specific contents of NIE and support services were less than satisfactory. Along with many other problems with the administrative support of NIE, the excessive workload at the offices proved to be a major hindrance to NIE support services. Other areas for improvement were revealed through the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educational support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