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UN이 추구하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이 특수교육에 주는 함의 연구

        최나리 ( Choi Nari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2 No.3

        [목적] 본 연구는 UN이 추구하는 지속가능발전목표 및 교육이 특수교육에 주는 함의를 고찰하는 것에 목표를 두었다. [방법] 이를 위해 지속가능발전법 및 지속가능발전과 관련된 문서를 검토하였다. [결과] 지속가능발전목표와 교육에 대한 개념을 검토하였다. 지속가능발전목표와 교육이 특수교육에 주는 함의를 고찰하였다. [결론] 지속가능발전목표 및 교육이 특수교육 후속연구에 주는 제언이 제시되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lications of education related to sustainable development pursued by the UN for special education. [Metho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ct of South Korea and documents related to education and goal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ere analyzed. [Results] The concepts of goals and educ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were reviewed. The implications of goals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by the UN for special education were identified. [Conclusion] Suggestion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d education for future research into special education are provided.

      •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학교장의 행정적 지원

        최나리(Nari Choi),Jean Crockett(Jean Crockett )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일반학교 교장의 행정적 지원에 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행정적 지원 설문 문항의 구성 타당도를 알아보고 한국의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학교장의 행정적 지원의 실제적 정도 및 중요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설문문항은 House(1981)의 4가지 사회적 지원인, 정서적, 평가적 정보적, 도구적 지원을 바탕으로 구성되었으며 한국의 한 도의(행정구역) 일반학교에 근무하는 141명의 특수교사가 설문조사에 응답하였다. 연구결과: 탐색적 요인분석으로 행정적 지원 설문문항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다. House(1981)의 4가지 지원은 특수교사들에게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실제로 받고 있는 행정적 지원에 관해서는 일반적 지원으로 하나의 지원 요인만 나타났다. 특수교육 교사들은 정서적 지원과 도구적 지원이 평가적 지원과 정보적 지원보다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대응표본 t-test에 따르면 실제적 행정적지원과 행정적지원의 중요도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특수교사들은 특수교육에 대한 학교장의 인식 및 지식의 확장, 그리고 일반학교에서 일하는 특수교사들의 적절한 업무량을 위한 지침의 필요성 등의 의견을 표현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학교장의 지원에 관한 연구로 이 연구의 결과는 행정적 지원에 관한 한국의 정책을 개선 및 특수교사들에 대한 지원에 관해 정책전문가들에게 알릴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

      • KCI등재

        초등영어 학습부진 학생을 대상으로 한 파닉스 교수의 효과: 메타분석을 중심으로

        정평강(Jung Pyung-gang),최나리(Choi Nar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

        Ⅰ. 서 론 Ⅲ. 연구방법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을 적용하여 국내 초등영어 학습부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한 파닉스 교수가 영어 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평균 효과와 평균 효과에 영향을 끼치는 조절변인을 살펴보는 것이다. 총 19개의 연구에서 80개의 효과 크기가(영어성취도 37개, 정의적 영역 43개) 도출되었다. 파닉스 교수의 평균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무선효과모형을 사용하였으며, 평균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조절변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파닉스 교수의 평균 효과는 영어성취도는 1.23, 정의적 영역은 1.09으로 높게 나타났다. 파닉스 지도방법과 교수 실시와 관련된 요인 들(교수시간, 교수 횟수, 총 교수기간, 총 교수차시)이 파닉스 교수의 효과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요소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과 현장에 주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예비 중등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보편적 학습설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비교

        이현주(Lee, Hyunjoo),신미경(Shin, Mikyung),최나리(Choi, Nari) 한국통합교육학회 2018 통합교육연구 Vol.13 No.2

        최근 현장에서 보편적 학습설계는 성공적인 통합교육 내실화를 위한 중요한 패러다임으로 부상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중등 일반교사와 예비 중등 특수교사의 보편적 학습설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인천, 전라북도, 경상북도에 소재하는 사범대학교 교원양성과정에 재학 중인 예비 중등 일반교사 129명과 예비 중등 특수교사 9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독립표본 t 검정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보편적 학습설계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3가지 하위 영역별(다양한 방식의 학습 참여 제공, 다양한 방식의 표상 제공, 다양한 방식의 행동과 표현수단 제공) 세부 항목에 대한 집단 간 인식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중등 특수교사는 예비 중등 일반교사보다 보편적 학습설계 측면 전반에 걸쳐서 통계적으로 높은 정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다양한 방식의 학습 참여 제공’ 영역에서 예비 중등 특수교사는 예비 일반교사보다 학생들에게 노력, 관심, 주의집중을 위한 옵션을 제공하는 내용 및 학습유지를 위한 옵션을 제공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다양한 방식의 표상 제공’ 측면에서 예비 중등 특수교사는 학습자료, 지각, 학습방법, 테크놀로지를 위한 옵션 제공 사항아 예비 일반교사보다 통계적으로 더욱 중요하다고 여겼다. ‘다양한 방식의 행동과 표현수단 제공’ 측면에서 예비 중등 특수교사들은 학습 목표, 학습전략 및 학습 동기, 학습능력 표현 방법, 의사소통 표현 및 유창성 제공을 위한 옵션이 예비 일반교사들보다 유의할 정도로 더욱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마지막으로 주요 연구 결과를 토대로 현장에 제공하는 시사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Recently,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has emerged as an important paradigm for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perceptions regarding the significance on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between preservice secondary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ltogether 129 preservice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96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education college training courses in Incheon, Jeollabuk-do, and Gyeongsangbuk-do responded to questionnaires.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applied to determine the overall perceptions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and three guidelines. Regarding “providing multiple means of engagement,” preservic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perceptions on options for effort, interest, attention, and class engagement than preservice gener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providing multiple means of representation,” preservic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learning materials, methods, and technology more than preservice gener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providing multiple means of action and expression,” preservic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dicated significantly higher importance on options for providing learning objectives, strategies, motivation, communication expression, and fluency more than preservice general education teacher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the field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G광역시 특수교육지원센터 역할 및 운영과 특수교육원 설립에 대한 장애인 부모들의 인식 연구

        이재호 ( Jae-ho Lee ),이우진 ( Woo-jin Lee ),최나리 ( Nari Choi ) 한국발달장애학회 2024 발달장애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지역 광역시에 특수교육원 설립을 위한 기초조사로 특히, 장애인 부모들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2022년 12월부터 2023년 2월까지 105명의 설문지 응답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설문지는 응답자의 기초사항, 특수교육에 대한 인식 및 경험, 특수교육원 설립에 대한 인식 및 요구, 그리고 특수교육원 활성화 방안 제안 등이었다. 보호자들의 주요한 인식과 요구사항으로는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한 교육지원 및 서비스 확대, 시설 운영에 있어서 시간적, 공간적 한계를 극복, 특수교육원 차원의 직접 부모교육 실시, 개인 생애주기별 프로그램 계획 추진을 통한 체험 활동 강화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부모님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한 특수교육원 설립의 발전 방향과 제안을 제시하였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s part of a basic survey for the establishment of a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based on the role and operation of the G Metropolitan City. For this purpose, from 2022 to February 2023, opinions on awareness were collected by answering 105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 included the respondents' basic information, awareness and experience of special education, awareness and demands for establishing special education centers, and suggestions for revitalizing special education centers. The main perceptions and demands of the parents include: Expanding the educational support and services for the persons eligible for special education, overcoming time and space limitations in the operation of facilities, direct parent education at the level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nd experience through program planning for each individual's life cycle. It can be summarized as strengthening activities. Based on the opinions of parents,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and proposals for the establishment of special education centers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