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허법 상 ‘구체적 행위태양 제시의무 제도’의 효율성 제고방안

        정차호,김유진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24 성균관법학 Vol.36 No.1

        일반 민사소송에서의 증명책임의 법리에 따라, 특허권 침해소송에서도 원칙적으로 원고(특허권자)가 피고의 침해사실 및 손해액에 대해 증명할 책임을 부담하게 된다. 하지만 증거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해 원고가 침해사실 및 손해액을 증명하지 못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특허권이 제대로 행사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회는 특허법을 개정하여 구체적 행위태양 제시의무에 관한 제126조의2를 신설하였다. 그러나, 동 규정이 기대된 정도로 활용되지 못한다는 평가가 일반적이다. 본 논문은 제126조의2가 규정하는 구체적 행위태양 제시의무 제도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하여 미국, 중국 및 일본의 상응 법리를 비교, 분석하였고, 그 결과로 다음과 같은 효율성 제고방안을 제시한다. 첫째, 원고는 구체적 행위태양 제시의무에 관한 제126조의2보다는 생산방법의 추정에 관한 제129조를 더 강력하게 활용하여야 한다. 제126조의2가 칼에 비교된다면, 제129조는 총에 비교된다. 둘째, 법원은 구체적 행위태양 제시의무 제도의 효과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동 제도를 활발하게 활용하여야 한다. 특히, 피고가 구체적 행위태양을 제시하지 않는 경우, 법원은 피고의 행위태양을 알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없고 해당 피고물건이 특허방법에 의해 생산되었다고 인정하고 절차를 진행하여야 한다. 셋째, 피고가 그의 제조방법이 영업비밀이라는 이유로 구체적 행위태양의 제출을 거부하는 경우 인카메라 제도를 적극 활용하면서 그 제조방법의 제출을 명령하여야 한다. In accordance with the law of burden of proof in general civil litigation, the plaintiff (patentee) in a patent litigation is generally bearing the burden to prove infringement by the defendant and damages thereof. However, due to difficulties in securing relevant evidence, the plaintiff is often unable to prove the fact of infringement and the amount of damages. As a result, the patent right is not properly exercised. Although the National Assembly amended the Patent Act to address this issue and established Article 126-2, which obligates the defendant to present its specific manufacturing method (type of behavior), it is generally recognized that this provision is not actively utilized. Therefore,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e corresponding jurisprudence of Chin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to find measure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system, stipulated by Article 126-2, and proposes the following measures as solutions thereof. First, courts should utilize Article 129 on the presumption of manufacturing method more strongly than Article 126-2 on the obligation to present specific manufacturing method. Second, courts should have faith in the efficiency of the provision and utilize it vigorously. In particular, courts do not need make any effort to know which method the defendant actually used to manufacture. And if the defendant refuses or fails to present its actual manufacturing method, the court should recognize that the accused articles were produced by the patented method. Third, if the defendant refuses to present its specific manufacturing method on the ground that the method is a trade secret, the court should utilize the in camera proceeding and order the production of the method.

      • KCI등재

        제조방법이 기재된 물건 청구항(제법기재물건 청구항)의 해석 - 대법원 2019후11541 판결을 중심으로 -

        정차호,신혜은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과학기술과 법 Vol.14 No.1

        In some cases, a manufacturing process is described in a claim of a product. The Korea Supreme Court 2019Hu11541 decision presented a new legal principle regarding the interpretation of such a claim. The claim at issue regarding a three-dimensional fabric shape (blind) included terms that appear to be descriptions of manufacturing processes. The Korea Patent Court interpreted the target claim as a product-by-process claim, a so-called ‘PbP claim’. However, the Korea Supreme Court established the legal principle for the first time that even if a manufacturing process is included, if the manufacturing process does not affect the structure or property of the product, the claim should be interpreted without conside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That is, such a claim is to be interpreted the same as a general product claim despite the description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This article endows such a claim the term, product-plus-process claim (PpP claim) (as distinguished from a product-by-process claim (PbP claim)). Therefore, in the future, even if a manufacturing process is described in a claim, the court will classify a claim as a PbP claim or a PpP claim based on whether the description affects the structure or property of the product, and depending on the classification, interpret the claim.

      • KCI등재후보

        특허권 침해금지가처분: 판단기준 재정립 및 효율성 제고에 관한 제언

        정차호,황성필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法學硏究 Vol.20 No.1

        The essence of patent right is its exclusive right. Such exclusive right, of course being enforced after determination of validity of the relevant patent and infringement, based on situations, it should be enforced urgently. In that regard, a preliminary injunction procedure is a very important tool to enhance effectiveness of a patent right. Does imply much the big difference of average approval rates of preliminary injunction requests in Korea, which is 17% or 18% and those in the U.S.A., which is 36% or 52%. In other words, a patentee in the U.S.A. can effectively enforce his patent right taking advantage of the relatively easier preliminary injunction decision. With that in mind, this paper, firstly, compares relevant laws of the U.S.A. and Korea. Some obscure points are recognized in relevant Korean law: firstly, holdings of the Korean Supreme Court are not in accord with Article 300(2) of the Korean Civil Enforcement Act, secondly, the Supreme Court does not mention the existence of preserved right, thirdly, validity and infringement are redundantly decided in both preserved right determination procedure and likelihood-of-success determination procedure, fourthly, the concept of the “significant damage” prescribed in Article 300(2) of the Civil Enforcement Act is unclear, and lastly, the expressions, “other necessary reasons” in the Act and “other all situations” mentioned by the Supreme Court are too ambiguous to provide meaningful guidelines. A few U.S. laws provide Korean law with informative insights: firstly, the U.S. law sets only four comparatively clear factors to decide a preliminary injunction, which are (1) likelihood of success on the merits, (2) irreparable harm, (3) balance of hardships and (4) public interest, secondly, the doctrine of patent validity presumption is being applied in the preliminary injunction procedure as well as the trial procedure, which may enhance possibility of a positive preliminary injunction order. With such understandings in mind, this paper suggests some ideas to streamline relevant Korean law and to enhance effectiveness of preliminary injunction procedure in Korea. First, we should reestablish standards for preliminary injunction decisions by, for example, deleting redundancy of validity and infringement determinations. Second, the concept of “significant damage” in Article 300(2) of the Civil Enforcement Act must be substituted by another concept, which may unambiguously comprise balance of hardships, public interest, etc. Third, patent case jurisdictions must be consolidated to two courts in trial court level and to the Patent Court in reviewing court level to enhance speciality of relevant judges. Fourth, quality of patent examinations must be enhanced (1) to reduce possibility of invalidity decisions in relevant procedures and (2) to make judges less consider such possibility. Fifth, by prescribing the doctrine of patent validity presumption in the Korea Patent Act, the non-movant must bear the burden to prove invalidity of the patent.

      • KCI등재

        특허권 침해제품의 국내 생산 후 수출에 대한 손해배상액 산정

        정차호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6 법학논고 Vol.0 No.53

        This paper produced the following jurisprudence regarding damages calculation against patent infringing products which were manufactured domestically and thereafter exported to foreign countries. Firstly, the exported infringing products consist of some sold domestically and others sold abroad, each different calculation method may be applied respectively. Secondly, to decide location of sale, several factors, such as places of contract (meeting of minds), delivery, negotiation, payment would be as a whole considered. Thirdly, lost profit theory or infringer’s profit theory would not be (excluding in special situations) applied to those products, manufacture domestically sold abroad. For those products, causal connection between infringement and harm would not be recognized. Regarding this jurisprudence, in the C ann o n v. Alph a ch e m case, the Seoul High Court and the Korea Supreme Court both applied infringer’s profit theory to all exported products. Because some of the products might have been sold abroad, applying infringer’s profit theory to all of them was not appropriate. Fourthly, it is allowed to apply reasonable royalty theory to those products, manufacture domestically sold abroad. Therefore, in the C ann o n v. Alph a ch e m case, the plaintiff should have requested to apply reasonable royalty theory to them. Anyway, the plaintiff, Cannon gained more compensation from the wrong request and the wrong holdings of the courts. 이 글은 국내에서 생산된 후 외국으로 수출된 특허권 침해제품에 대한 손해배 상액 산정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법리를 도출하였다. 첫째, 외국으로 수출된 침 해제품은 국내에서 판매된 것과 외국에서 판매된 것으로 구분되고 그 각각에 대 하여 다른 손해배상액 산정 법리가 적용될 수 있다. 둘째, 판매의 장소가 국내인 지 또는 외국인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계약(의사합치)의 장소, 침해제품 이전의 장소, 협상의 장소, 대금지불의 장소 등 여러 상황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한 다. 셋째, 국내에서 생산된 후 외국에서 판매된 제품에 대하여는 일실이익 또는 침해자 이익 법리에 따른 손해배상액 산정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허용되 지 아니한다. 동 제품에 대하여는 특허권 침해(생산)와 원고의 손해와의 인과관 계가 인정되지 않는다. 이와 관련하여 검토된 캐논 대 알파켐 사건에서 서울고등 법원 및 대법원은 외국으로 수출된 제품 모두에 대하여 침해자 이익 법리에 따 라 손해배상액을 산정하였는데, 그 수출분 중 일부는 외국에서 판매되었을 것이 므로 그 모두에 대하여 침해자 이익 법리에 따라 손해배상액을 산정한 것은 타 당하지 않았다. 넷째, 국내에서 생산된 후 외국에서 판매된 제품에 대하여 통상 실시료 법리에 따른 손해배상액 산정은 허용된다. 그러므로, 대상 캐논 대 알파 켐 사건에서 원고는 외국에서 판매된 제품에 대하여는 애초 통상 실시료 법리에 따른 손해배상을 청구하였어야 하였다. 좌우지간, 그 잘못된 청구 및 잘못된 판 결로 인하여 원고(캐논)는 더 많은 손해배상금을 획득하였다.

      • KCI등재

        특허권 침해에 대한 손해배상액 산정을 위한 특허발명의 기여도(apportionment ratio) 산정방법

        정차호,정여단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22 성균관법학 Vol.34 No.3

        피고제품이 특허권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경우, 그 제품을 기준으로 특허권 침해에 대한 손해배상액을 산정한다. 그런데 특허발명이 해당 제품의 일부분에 기여하는 경우 ‘기여도’를 산정한 후 손해배상액을 산정하게 된다. 그 기여도 산정에 있어서 지금까지 기여도를 제대로 정의한 사례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대상 특허발명이 대상 제품에 기여한 정도가 기여도인 것으로 대충 설명하는 사례가 일반적이었다. 이 글은 기여도를 정의하는 두 방식을 제시하였다. 하나는 해당 제품의 가치(가격) 중 대상 특허발명의 가치의 비율이라는 정의이다. 다른 하나는 해당 제품에 적용된 전체 기술의 가치 중 대상 특허발명의 가치의 비율이라는 정의이다. 이 글은 여러가지 이유로 후자의 정의가 실무적으로 더 타당함을 설명한다. 기여도 산정이 단순제품에서는 상대적으로 용이하나, 복잡제품에서는 상대적으로 어렵다. 복잡제품에서의 기여도 산정을 용이하게 하는 도구로 ‘최소특허부품의 원칙’이 활용되어 왔다. 이 글은 최소특허부품의 원칙이 타당함을 수학적으로 설명하였다. 아래 공식에 따라 특허부품의 가격과 전체 제품의 가격의 비율(A)을 구하는 것이 크게 어렵지 않을 것이고, 관건은 그 특허부품에 적용된 전체 기술의 가치와 대상 특허발명의 가치의 비율(B)을 구하는 작업이 된다. 이러한 산정방식이 복잡제품에서 다른 부품에 적용된 기술의 가치를 비교하지 않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

      • KCI등재

        다수 특허에 대한 실시계약에서의 실시권자(licensee)의 특허무효심판 청구인 적격 및 후속 심결취소소송 원고 적격 - 미국의 Apple v. Qualcomm 사건을 중심으로 -

        정차호,이서영,유동녕,손홍정,류상웅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法學硏究 Vol.26 No.1

        If the licensee of a patent “non-exclusive” license agreement requests a patent invalidation trial against the licensor after the contract allowing use of the patent has been concluded, there were debates whether the interest of the requester should be accepted. Once in the United States, standing of the licensee was not recognized under the principle of licensee estoppel. But in 2007, the Federal Supreme Court of the United States in MedImmune case changed the jurisprudence by accepting the standing of the licensee. In 2019, the Supreme Court of Korea in 2017Hu2819 case has also settled the jurisprudence by recognizing interest of the licensee. By the way, in the case of Apple v. Qualcomm, thousands of patents were subject of the license contract and Apple requested an invalidation trial against two of them. Qualcomm (licensor) asserted that Apple’s standing as a requester should not be accepted because invalidations of the two patents may not cause any difference to the contract and even royalty and the US Court of Appeals for the Federal Circuit (CAFC) accepted the Apple’s assertion. This thesis has drawn the following conclusions as a result of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arguments of both parties, the subject judgment, Judge Newman’s dissenting opinion, and briefs of five amicus curiae. First, considering general effect of a patent, the interests should be recognized as reasonably wide as possible in a patent invalidation case. This is the consistent attitude of Korean courts. Second, even in a license contract targeting multiple patents, a few of them are core patents of the contract and invalidation of the core patents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both parties and furthermore on a third party. In that respect, Apple’s interests should have been accepted in the Apple v. Qualcomm case. Third, if the subject matter of the case is being contested in a Korea’s patent invalidation trial, it is expected that Apple’s standing as a requester will be recognized. 어떤 특허발명의 실시를 허락하는 ‘통상’실시계약이 체결된 후 그 계약의 실시권자(licensee)가 실시허락자(licensor, 특허권자)를 상대로 해당 특허의 무효심판을 청구하는경우, 그 실시권자의 이해관계를 인정해야 하는지에 대해 이견이 존재하였다. 미국에서는 한때 실시권자 금반언(licensee estoppel)의 원칙이 적용되어 실시권자의 이해관계를인정하지 않았으나, 2007년 연방대법원이 MedImmune 판결에서 실시권자의 원고 적격을 인정하는 것으로 법리를 정리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2019년 대법원이 2017후2819 전원합의체 판결에서 실시권자의 이해관계를 인정하는 것으로 법리를 정리하였다. 그런데, 대상 Apple v. Qualcomm 사건에서는 실시계약의 대상이 된 특허의 수가 수 천개이고, 애플은 그 중 2개를 대상으로 무효심판을 청구한 점이 특이하였다. 퀄컴(특허권자)은 해당 특허가 무효되어도 실시계약에도, 실시료에도 어떠한 변화가 생기지 않을 것이므로애플의 원고 적격을 인정하지 않아야 한다고 주장하였고, 미국 연방관할항소법원(CAFC) 은 그 주장을 인용하였다. 본 논문은 양 당사자의 주장, 대상 판결, Newman 판사의 반대의견, 5개의 법정조언서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특허의 대세효를 고려하여 특허사건에서는 이해관계를 가급적 넓게 인정하여야 한다. 우리 법원의 일관된 태도라고 생각된다. 둘째, 다수 특허를 대상으로 하는 실시계약도 해당 계약의 핵심특허는 소수이고 그 소수 특허의 무효는 양당사자 및 나아가 제3자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런 견지에서 대상 사안에서 애플의 이해관계가 인정되었어야 했다. 셋째, 대상 사안이 우리나라의 특허무효심판에서 다투어지는 경우 애플의 청구인 적격이 쉽게 인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경업금지약정에서의 대가(반대급부)의 필수성- 서울고등법원 2016라21261 결정의 파장은? -

        정차호,박지인 대한변호사협회 2018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71

        A “covenant not to compete (CNC)” is a contract of great importance both to an employer and an employee, because it severely restricts the employee's freedom of occupation and the right to work. Until now, Korean courts have judged validity of a CNC in a variety of ways: (1) most cases considered various factors as a whole; (2) in some cases, consideration for the employee and employer’s legitimate confidential and proprietary interests have been emphasized. In other words, courts have not regarded consideration in a CNC as an indispensable factor, and many CNCs without consideration were upheld valid. The subject judgement of this paper (Seoul High Court 2016Ra21261), on the other hand, focused on existence of consideration and decided the subject contract to be invalid. Also, the court clarified proper amount of the consideration to be “sufficient”, not to be merely nominal or marginal. This paper highlights reasonableness of the subject judgement and for that, a comparative analysis on a CNC in different countries (some EU countries, U.S.A., Japan and China) was conducted accordingl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any CNC without consideration for the employee should be held invalid; (2) the amount of the consideration should be sufficient and the minimum amount needs to be, for example, over 30% of the prior salary; (3) any benefits received during employment should not be regarded as consideration for the CNC; (4) as the French Supreme Court (Cour de Cassation) in 2002 decided consideration in a CNC to be indispensable, the Korean Supreme Court needs to rule the indispensability of consideration in the near future; (5) more preferably, the necessity of consideration in a CNC should be explicitly prescribed in an Act. Such jurisprudence which emphasizes indispensability of consideration would somewhat reduce employers’ reckless utilization of CNCs and furthermore enhanc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through employees’ free movements and eventually expedite industry development. 경업금지약정은 종업원의 직업선택의 자유 및 노동권을 제한하는 매우 중요한 계약이다. 그 약정의 유효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지금까지 법원은 ①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고 설시하였고, ② 가끔씩 대가(consideration) 및 보호할 가치가 있는 사용자의 이익을 다른 요소보다 더 중요하게 보았다. 즉, 지금까지 경업금지약정에 있어서 대가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대가가 전혀 없는 약정이 유효하다고 인정된 사례가 많았다. 그런데, 대상 서울고등법원 2016라21261 결정은 대가가 경업금지약정에 있어서 필수적이라고 보고 해당 약정이 무효라고 판단하였고, 나아가 그 대가는 명목적인 것이거나 미미한 것이어서는 아니 되고 충분한 것이어야 한다고 천명하였다. 이 글은 대상 판결의 타당함을 명확하게 하고자 하며 그를 위해 경업금지약정에서 대가의 필수성에 관한 유럽, 미국, 일본, 중국의 법리를 비교법적으로 분석, 비교하였으며, 그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린다. 첫째,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가 없는 경업금지약정은 무효이어야 한다. 둘째, 대가는 충분한(sufficient) 것이어야 하며, 예를 들어, 퇴직 전 급여의 30% 이상이 되어야 한다. 셋째, 재직 중 혜택을 경업금지약정을 위한 대가로 인정하여서는 아니 된다. 넷째, 2002년 프랑스 대법원이 경업금지약정에 있어서 대가가 필수적이라고 판시하였듯이 우리 대법원도 가까운 미래에 경업금지약정에 있어서 대가가 필수적이라고 판시하여야 한다. 다섯째,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법의 개정을 통하여 대가의 필수성을 규정하여야 한다. 대가의 필수성을 강조하는 이러한 법리가 사용자의 방만한 경업금지약정을 줄이고 나아가 종업원의 경업, 전직에 의한 정보의 전파를 활성화하여 결과적으로 산업발전을 촉진할 것이다.

      • KCI등재

        소극적 권리범위확인심판에서 실시 ‘계획’ 또는 ‘예정’인 확인대상발명의 확인의 이익

        정차호 한국지식재산학회 2015 産業財産權 Vol.- No.48

        Korea has had a unique system, called negative patent scope declaration trial, through which a requester may ask whether a proposed or planned act would be in the scope of the patent right. Like a normal declaration action before a court, interest of declaration shall be recognized in the trial as well. In that regard, there exist different opinions on the proper level of declaration interest. Based on the belief that the most important function of the negative patent scope declaration trial is to prevent future patent disputes, this author contends that declaration interest must be flexibly and widely recognized in the trial. Those who have different opinions apprehend that such flexible and wide recognition enables a requester to misuse the trial. In other words, a defendant of a patent infringement litigation may specify a declaration target invention differently from his actual products and getting a favorable decision from the trial and then by submitting the decision may try to deceive the civil court. Based on the following reasons, this paper proclaims that the apprehension on such misuse is much exaggerated. Firstly, current system which demands the requester clarify whether the declaration targer invention is being actually worked or is being planned to work makes such misuse difficult. Secondly, the patentee himself can prevent such misuse by admitting that he does not have any intent to raise a patent infringement litigation against the declaration target invention specified by the requester and by making the trial dismissed lack of declaration interest.

      • KCI등재

        자기공지예외제도가 적용되어 등록된 특허에 대한 권리범위확인심판 또는 침해소송에서의 공지기술의 항변 또는 자유실시기술의 항변의 허용 여부

        정차호,정여단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法學硏究 Vol.25 No.3

        Article 30 of the Korean Patent Act prescribes that a patent right may also be acquired in a situation of right owner’s self-disclosure or disclosure against the owner’s will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self-disclosure”). ‘The issue whether prior art defense or free-to-work art defense is allowed in a patent scope confirmation trial or a patent infringement suit against a patent, registered applying the self-disclosure exception system has become a hot one in 2022. To resolve this issue, this paper has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jurisprudence of major countries and the legislative history of Article 30 of the Korean Patent Act and has arrived at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ly, essence of the self-disclosure exception system is a system that disregard self-disclosure from the prior art against owner himself. Therefore, the prior art defense or the free-to-work art defense based on the self-disclosure should not be allowed. This self-disclosure exception system is designed to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the first-to-file system and to prevents owner himself from being harmed by the self-disclosure. Secondly, due to the amendment of Art. 30 of the Patent Act in 2001, its literary language only applies to the situation of judging novelty and inventive step of self-disclosure exception system. However, the 2001 amendment to the Patent Act was not intended to narrow the applicable scope of the system, but to expand it. According to this legislative intent, the provision should be interpreted that self-disclosure is not applied as prior art against owner himself. In Japan, where the content of the corresponding provision is the same as that of Korea Patent Act, we have failed to find any case where the prior art defense is recognized based on self-disclosure. In major countries, we have not found any case where the prior art defense is recognized based on self-disclosure. Moreover, in China, the courts have made it clear through guidelines and judgments, that for rights created through the self-disclosure exception system, the prior art defense cannot be claimed based on the self-disclosure. And some Chinese scholars have also explained that such an interpretation is consistent with the legislative intent. In Korea, we have found the 2016-Gahap-502475 judgment of the Seoul Central District Court, the 2021-Heo-4591 judgment of the Patent Court, and the 2014-Hu-341 judgment of the Supreme Court, which rejected the literary interpretation of Article 30 of the Korean Patent Act. Thirdly, the patent policy does not recognize the prior art or free-to-work art defense on the following grounds. (1) For the self-disclosure exception system to promote early disclosure of inventions to achieve the purpose of patent law, which is to promote technological development, the target patent court decisions must be revoked or changed. (2) As of 2022, there exist at least 30,000 patents registered using Article 30(1)(1) of the Patent Act in Korea. The strict literary interpretation can fool many innocent right holders. (3) In Korea, the prior user’s right has been recognized in the Patent Act and the Design Protection Act, so the interest of right holders and third parties associated with the self-disclosure exception system has been balanced to a certain extent. (4) The patentee who has obtained a patent by taking advantage of Article 30 of the Patent Act must be able to exercise the patent right. The patent right must be protected by remedies provided by the Patent Act. Seeking relief in other laws has nothing to do with “patent” right. A right without a remedy is no right at all. 특허법 제30조는 자기에 의한 공지(disclosure) 또는 자기의 의사에 반한 공지(이하 합쳐서, ‘자기공지’)의 경우에도 특허권을 획득할 수 있게 한다. 그 소위 ‘자기공지예외제도(self-disclosure exception system)’가 활용되어 등록된 특허를 근거로 권리범위확인심판이 청구되거나 침해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그 자기공지를 근거로 공지기술의 항변 또는자유실시기술의 항변이 가능한지 여부가 2022년 현재 뜨거운 쟁점이 되고 있다. 그 쟁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 글은 주요국의 법리, 특허법 제30조의 입법이력 등을 전반적으로 분석하였고, 그 분석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자기공지예외제도의본질은 그 자기공지를 자기의 출원 및 특허에 대하여는 선행기술에서 제외하는 제도이다. 그러므로, 그 자기공지를 근거로 하는 해당 특허에 대한 공지기술의 항변 또는 자유실시기술의 항변은 인정되지 않아야 한다. 동 제도는 선출원제도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며, 그 자기공지로 인해 자기가 피해를 받지 않게 하는 제도이다. 둘째, 2001년특허법 개정으로 인해 제30조의 문언이 자기공지예외제도가 신규성 및 진보성 판단의국면에서만 적용되는 것으로 보여지게 되었다. 그러나, 2001년 특허법 개정은 동 제도의적용범위를 좁히기 위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넓히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한 입법의도에따라, 자기공지가 자기에게는 선행기술이 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우리 규정과 동일한 내용의 규정을 가진 일본에서도 자기공지를 근거로 공지기술의 항변을 인정한 사례가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다른 주요국에서도 자기공지를 근거로 공지기술의 항변을 인정한 사례가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더욱이, 중국에서는 법원이 지침 및 판결을통해 자기공지예외제도를 통해 형성된 권리에 대해 그 자기공지를 근거로 공지기술의항변을 주장할 수 없다고 명시적으로 밝힌 바 있고, 학자들도 그러한 제도가 입법의도에부합한다고 설명한다. 우리나라에서도 특허법 제30조의 문언해석을 거부한 서울중앙지방법원 2016가합502475 판결, 특허법원 2021허4591 판결 및 대법원 2014후1341 판결이 발견된다. 셋째, 특허정책적인 다음의 이유에 의해서도 자기공지를 근거로 하는 공지기술의 항변 또는 자유실시기술의 항변은 인정되지 않아야 한다. ① 자기공지예외제도가 발명의 조기공개를 조장할 수 있게 하여 기술발전의 촉진이라는 특허법의 목적을 달성할수 있도록, 대상 특허법원 판결들이 변경 또는 파기되어야 한다. ② 2022년 현재 우리나라에 특허법 제30조 제1항 제1호를 활용하여 등록된 특허가 적어도 3만건이 존재할 것이다. 엄격한 문언해석은 그 수많은 특허의 선량한 권리자를 우롱하는 것이다. ③ 우리나라에서는 선사용권이 특허법 및 디자인보호법에서 이미 인정되고 있으므로, 자기공지예외제도와 관련하여 권리자의 이익과 제3자의 이익이 어느 정도 균형이 맞춰져 있다고 보아야 한다. ④ 특허법 제30조를 활용하여 특허를 획득한 특허권자가 특허권을 행사할 수있어야 한다. 그 특허권은 특허법이 제공하는 구제를 통하여 그 권리가 보호되어야 한다. 다른 법이 제공하는 구제는 특허권과 관련이 없는 것이다. 구제 없는 권리는 권리가 아니다.

      • KCI등재

        직무발명의 실시를 통한 회사의 이익이회계상 적자(赤字, deficit)인 경우의 직무발명보상금 산정

        정차호,황성필 한국지식재산학회 2020 産業財産權 Vol.- No.64

        직무발명보상금 산정은 복잡하고 어려운 작업이다. 특히, 직무발명보상금 산정의 기초가 되는 회사이익을 구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다. 대법원 2009다75178 판결, 2014다220347 판결 등은 회사이익을 회계상의 이익과 구분하면서 회계장부상 손익계산과는 무관하게 직무발명에 의한 실제 이익을 회사이익으로 인정해야 한다고 설시한 바 있다. 그 설시에 따르면 회사의 이익을 구하기 위하여 매출액에 실시료율을 곱하는 현행 법리에 따라 회사는 이익이 없는 경우에도 직무발명에 대한 보상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매출액에 실시료율 등을 곱하여 회사이익을 구하는 법리는 우리 법원이 애용하는 것인데, 그 법리가 회사이익의 산정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 상황에 따라서 상식에 반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하는 단점을 가진다. 이글은 그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실시료율의 개념 및 직무발명보상금 산정 체계를 분석하였다. 이 글은 직무발명보상금 산정의 기준이 되는 매출액에는 대상 직무발명 외에 여러 다른 요소, 즉 비용, 다른 기술, 비기술적 요소가 같이 기여함을 설명하고, 구체적 이익률이 존재하는 경우 매출액에 그 이익률을 곱하는 산정 법리가 더 바람직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달리 말하면, 통계치인 실시료율이 아닌 구체적 이익률을 적용함으로 인하여 회사이익이 적자인 경우 일반적으로 회사이익이 음(-)이 되어 회사가 직무발명에 대한 보상금을 지급할 필요가 없게 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경기가 활황이어서 직무발명에 의한 매출액이 막대하였던 경우, 발명자는 회사의 높은 이익률을 보여주는 회계장부를 증거로 제출하고 해당 판매현실을 제대로 반영해 줄 것을 법원에 청구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 견지에서 이 글은 위의 대법원 판결들의 회사이익에 대한 설시는 회계상 이익‘만’이 회사이익이 아니라 다른 이익도 고려될 수 있지만, 회계상 이익은 당연히 고려될 수 있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그 주장의 논거로는 ① 대법원이 2009다75178 판결에서 처음으로 회계상 이익에 관하여 설시를 하면서도 그 근거를 제시하지 못하였던 점, ② 보상금을 산정하면서 매출액을 근거로 하는 현행 법리가 회계장부에 나타난 매출액을 인정하므로, 회계장부에 나타난 비용액(이익률)도 인정하여야 한다는 점, ③ 회사이익의 의미가 영업이익설을 따른다는 설명이 있다는 점, ④ 실시료 또는 양도대금의 회계상 이익만 있는 경우 당연히 회계장부상 이익으로 기록되고 그 이익이 회사이익을 구함에 있어서 당연히 반영된다는 점, ⑤ 합병의 경우 회계상 특허가치가 평가되듯이 그 회계상 특허가치가 직무발명보상금 산정에 반영되어야 한다는 점, ⑥ 통계치로서의 이익률이 인정되듯이 개별 회사의 이익률도 인정되어야 하는 점, ⑦ 원고(발명자)가 회계상 이익이 거대하였다는 점을 회계장부로 증명하는 경우 그 내역을 반영해야 하듯이 반대로 피고(회사)도 회계장부로 증명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 등이 제시되었다. 개별 회사의 구체적 이익에 대한 회계상 증거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간접자료인 실시료율 통계치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법리는 사용자에게는 물론이고 발명자에게도 불합리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It is complex and difficult to calculate employee invention remuneration. In particular, it is very difficult to measure the company’s profit, which acts as a basis in calculating the employee invention remuneration. The Korea Supreme Court’s 2009da75178, 2014da220347 decisions, etc. articulated that the company’s profit would be an actual profit earned thanks to an employee invention itself rather than an accounting profit, which would mean that the accounting profit should not be taken into account in calculating the company’s profit. Given that articulation from those decisions granted, the company (defendant) should pay remuneration for the employee invention even without any profit in the accounting book because the methodology that is multiplying a royalty rate to a sales revenue has been used under current jurisprudence in calculating the company’s profit. Even though that methodology has a merit of easily calculating the company's profit, but also has a demerit that it may not result in a reasonable outcome. With concern of the disadvantage, this article has deeply analyzed what the concept of the royalty rate would be and the system to calculate the employee invention remuneration. This article has firstly showed that a sales revenue, which is considered as a basis in calculating the employee invention remuneration, is affected by such several factors as cost, other technologies, and non-technical factors, and secondly explained that a methodology that is multiplying a profit rate to a sales revenue to calculate the company’s profit would lead to more reasonable outcome when there exists a company’s individual and specific profit rate. In other words, the company need not pay a remuneration for a employee invention in the case where the company’s profit is calculated by using profit rate rather than usual royalty rate because its profit rate will be below zero when the company is deficit in profit. On the contrary, when an employee-inventor anticipates that the company’s sales revenue will be huge due to the economic boom he or she should have an opportunity to prove that the company’s profit rate is much higher than the usual royalty rate by providing the courts with evidence of an accounting book to show a difference between earnings and cost. In this regard, this article has asserted that the above-mentioned rulings of the Korea Supreme Court should be interpreted to mean that the accounting profit can be taken definitely into account with other kinds of profit in calculating the company’s profit. There are several reasons for the assertion made by this article is as follows: (1) Supreme Court’s 2009da75178 decision first articulated “accounting profit” but failed to suggest any legal basis, (2) as current jurisprudence (in calculating remuneration) uses sales revenue specified in the accounting book, relevant cost specified in the same book should be allowed as evidence, (3) there is an explanation that the company’s profit is based on a theory of an operation profit, (4) if there is only an accounting profit regarding an amount representing patent license and assignment the amount of the profit should be recorded into the accounting book, (5) an accounting patent value should be considered in calculating the employee invention remuneration as reflecting the accounting patent value in the case of merger, (6) an individual and specific profit of the company should be accepted as a statistical profit rate is permitted, (7) as the plaintiff (inventor)’s accounting evidence which shows big profit shall be accepted as evidence, contrarily the defendant (company) should be allowed to prove deficit under the accounting book. In calculating the employee invention remuneration,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the methodology that relies heavily on such a statistical royalty rate as an indirect data without taking an accounting profit into account would result in unreasonable outcome not 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