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범죄의 생태학적 요인에 대한 연구

        정진성(Cheong, Jin Seong),정수미(Jeong, Su Mi),이봉한(Lee, Bong Han)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5 경찰학연구 Vol.15 No.2

        This study aimed to test the effect of ecological factors on sex crime, through which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prevention policy. To this end, a negative binomial model was constructed using official crime and census data of all Eup-Myon-Dong districts of Korea.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population mobility, racial heterogeneity, divorce rate, and food and lodging business had a positively significant on sex crime, while non-apartment residence having a negatively significant effect. In past research as well as this study, divorce rate has consistently shown to be a crime-generating factor regardless of the unit of analysis and types of crime, which suggested that the traditional norms and values of family remains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related to crime problem in Korea. Other ecological factors remained to be seen whether they are truly influential or not on sex crime for their effects appeared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neighborhood (e.g., urban vs. rural). This study had several limitations such as cross-sectional analysis and the exclusion of economic disadvantage from the model. Nevertheless, it could find its own meaning in that it was the first empirical attempt in Korea to discover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ex crime and ecological factors using nationwide Eup-Myon-Dong districts. Also, it stimulated a paradigm shift from government (police) centered policy to governance paradigm including civil sectors. By overcoming these limitations, future studie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prevention policy not only of sex crime but other types of crim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청소년 비행과 비행친구 간 인과관계 검증: 성별 및 비행의 경중에 따른 비교

        정진성(Cheong, Jin Seong),이훈(Lee, Hoon)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20 경찰학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청소년 비행과 비행친구 간 인과관계가 성별과 비행의 경중에 따라 상이한지 확인하고자 했다. 비행친구선행가설, 비행선행가설, 상호효과가설을 비교검증하기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0’의 초등학교 4학년 패널자료 가운데 5차년도와 6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교차지연 패널모형을 구축하였다. 아울러 청소년 비행과 비행친구에 동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서문제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구체적인 문제 요인을 탐구하고자 했다. 분석 결과, 남학생에서는 지위비행과 지위비행친구 간 어떠한 가설도 지지되지 못한 반면, 여학생에서는 상호효과가설이 지지되었다. 또한 남학생의 범죄행위와 범죄행위친구 간 관계에서는 비행선행가설이 지지되었는데, 이는 지위비행과 지위비행친구 간 관계와 상이한 결과였다. 남학생의 지위비행은 공격성과 집중력부족이 주 원인인데 반해, 여학생의 지위비행은 우울이 주 원인으로 드러나 성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남학생의 범죄행위는 공격성만 주 원인인 것으로 드러나 지위비행 결과와 상이했다. 이러한 결과는 성별과 비행의 경중에 따른 구분 없이 수행된 선행연구에서 밝힐 수 없었던 것으로 현상에 대한 이해가 증가하고 보다 구체적인 정책 마련에 도움이 기대되었다. 향후 여학생의 범죄행위에 대한 자료가 충분히 확보된다면 더 다양한 비교검증이 가능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the relationships between juvenile delinquency and delinquent peers vary relying on gender and severity of delinquency. The relationships were hypothesized into three paths such as preceding delinquent peers, preceding delinquency, and reciprocal. Out of the panel data of fourth graders who had been followed for seven years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aka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0, KCYPS 2010), the fifth- and sixth-wave data were fitted into a cross-lagged panel model, which was further expanded to include emotional disturbance as independent variables. Results showed that no hypothesis was supported for male adolescents’ status offense, whereas reciprocal effects were discovered for female adolescents’ status offense. Interestingly, male adolescents’ index offense was supported by the preceding delinquency hypothesis. Results on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emotional disturbance on delinquencies were also different depending on gender and severity of delinquency: hostility and lack of concentration for males’ status offense, depression for females’ status offense, and only hostility for males’ index offense. These findings could not be reported by previous studies without detailed analyses. Data for female adolescents’ index offense would add diverse comparis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부모의 양육방식과 남자청소년의 비행 간 상호효과: 비행의 경중에 따른 자기회귀 교차지연 패널모형 검증

        정진성 ( Cheong Jin Seong ),장응혁 ( Chang Eung Hyeok ) 한국경찰학회 2021 한국경찰학회보 Vol.23 No.1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방식과 남자청소년의 비행 간에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상호효과가 존재하는지 검증하고자 했다. 특히 국내에서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했던 비행의 경중에 따른 비교에 초점을 맞췄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ㆍ청소년패널조사 2010’의 초등학교 4학년 패널 자료 가운데 4차(2013), 6차(2015년), 7차년도(2016) 자료를 이용하여 자기회귀 교차지연 패널모형을 구축하였다. 상호효과 검증에 앞서 상관관계분석, 요인분석 등을 실시한 결과, 여덟 가지의 양육방식 중 ‘감독’, ‘합리적설명’, ‘학대’가 적절한 후보 변수로 선정되었다. 이들에 대한 교차지연효과 분석 결과, 감독은 경비행과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상호효과가 있었으나 중비행과는 두드러진 관계가 없었다. 합리적설명은 경비행과 중비행 모두 감소시켰지만, 비행이 합리적설명에 미치는 영향은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학대는 일관된 패턴을 찾기가 어려웠는데, 유의한 결과들을 연결시켜보면, 경비행은 학대를 증가시키고 학대는 중비행을 증가시키며 이는 다시 학대를 증가시킨다는 설명이 가능해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 선행연구들과 다소 상이했는바, 향후 여자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분석과 성별비교, 다양한 연령대를 대상으로 한 비교분석 등이 더욱 활성화될 필요가 있었다. 발달이론적 관점에 기반한 쌍방향 관계 검증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 청소년 비행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개입이 가능해질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test the reciprocal effect between parenting and boys' delinquency, comparing two autoregressive cross-lagged panel models on minor and serious offense, which was barely attempted in Korean contexts. Data from the 4th, 6th, and 7th wave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0(KCYPS 2010) were fitted into the bidirectional model. A priori review on eight types of parenting suggested that ‘supervision’, ‘persuasive talking’, and ‘abuse’ are the plausible candidates for reciprocal paths. Tests for cross-lagged effects revealed that supervision had a reciprocal relationship with minor delinquency, but not with serious offense. Persuasive talking lowered both minor and serious delinquency, but the opposite paths were not significant. No consistent pattern was discovered for abuse, but a spiral process could be reasoned from minor offense to abuse to serious one. These findings were somewhat different from those of past research in Korea, which further suggested that still more studies on sexual differences and for divers age groups are to be performed for better policy alternatives.

      • KCI등재

        살인범죄의 원인에 대한 거시적 분석

        정진성(Cheong, Jinseong),황의갑(Hwang, EuiGab) 한국형사정책학회 2010 刑事政策 Vol.22 No.1

        Every single social phenomenon including crime has a spatial aspect and it is spatially dependent, in general. The spatial dependence causes spatial autocorrelation in macro-level crime analysis, which in turn makes the standard errors of regression coefficients inflated and biased. Eventually, the property of best linear unbiased estimate (BLUE) of the ordinary least squares estimates does not hold any more. To solve this problem, spatial regression modeling is required. In Korean criminal justice area, however, no spatial regression analysis has been attempted yet. Thus, this study tried the spatial regression modeling of homicide rates in 241 districts within the past three years. The result of Global Moran's I showed that homicide rates are spatially dependent. The spatial lag model discovered that divorce rate is the most important homicide indicator within Korean communities, which implied that greater social bond (collective commitment to community well-being) as well as the presence of an extended support system could be responsible for lower homicide rates. More spatial analyses for diverse neighborhood sizes and characteristics, various crime types, and cross-level interaction effects are to be made for effective crime prevention policies that fit each neighborhood's unique feature.

      • KCI등재

        범죄연구에 있어 가변적 공간단위 문제(MAUP)의 스케일효과 검증

        정진성(Jinseong Cheong),박종하(Jongha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0

        본 연구는 지역사회 차원의 범죄연구에 있어 분석단위의 규모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는 MAUP의 스케일 효과를 검증하고자 했다. 특히, 국내 최초로 전국의 모든 읍면동과 시군구를 대상으로 최근 이슈의 중심에 서있는 성범죄에 대한 공간적 자기상관,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인과관계 분석을 시도했다. 분석 결과, 성범죄율의 자기상관은 가설과 달리 시군구의 Moran’s I가 읍면동보다 큰 반면, 상관계수와 회귀분석의 결정계수는 가설에 맞게 대부분 시군구에서 더 큰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합역수준이 높아질수록 자료의 통합으로 인해 발생하는 평균효과 때문으로 사료되었다. 성범죄의 원인에 대해서는 두 가지 특이한 점이 발견되었는바, 첫째, 비아파트거주비율이 읍면동과 시군구 단위에서 모두 성범죄를 감소시켰고, 둘째, 숙박음식업비율은 읍면동 단위에서만 성범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향후 지역특성(예, 도시 vs. 시골, 풍요지역 vs. 빈곤지역)에 따른 세부적인 분석과 독립변수가 분석 단위별로 갖는 차별적 의미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 결과였다. 본 연구가 지역사회 범죄연구를 촉진하고 성범죄에 대한 효과적인 대안 마련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study attempted to test the scale effect of MAUP,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spatial autocorrelation of sex crime, correlations among neighborhood structural variables, and causal mechanism leading to sex crime. Analysis results of nation-wide Eup-Myon-Dong and Si-Gun-Gu data discovered that the spatial autocorrelation, correlations among independent variables, and determinant coefficient of multiple regression of Si-Gun-Gu level were generally bigger and stronger than those of Eup-Myon-Dong, which appeared to be due to the averaging effect. Regarding the causal effect to sex crime, two interesting results were found: First, the ratio of non-apartment residency lowered sex crime at both levels contrary to the hypothesis. Second, the ratio of food and lodging increased sex crime only at Eup-Myon-Dong level. These suggested that future research need to perform more detailed analyses dividing data into subsets such as urban vs. rural and/or economically advantaged vs. disadvantaged areas.

      • KCI등재

        강력범죄의 구조적 요인에 대한 공간회귀분석

        정진성(Cheong Jin Seong)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3 경찰학연구 Vol.13 No.4

        This study performed spatial regression analyses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al covariates and serious crimes such as robbery and sex offense, using all 424 Dong Districts of Seoul. Results showed that both robbery and sex offense were spatially dependent, and in particular sex offense was spatially heterogeneous which suggested more detailed neighborhood research in smaller scale is necessary for detecting exact causal process. ‘Number of people per house’ made the strongest effects on both types of crimes, which indicated that restoration of the function of family is critical in preventing crime in Korea where the value of family is still crucial in social life. For other alternatives, residential stability, strong neighborhood bond, concern and compassion on foreigners, and unity among diverse people appeared necessary. Community research in smaller scale than Dong Districts requires that more detailed data be open for research purpose, which in turn will be helpful in implementing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crime control policies.

      • KCI등재

        무질서와 범죄와의 관계에 대한 문헌분석

        정진성(Cheong Jin seong) 한국공안행정학회 2010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1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무질서와 범죄와의 관계를 연구하는 분야에 있어 보다 이론 지향적이고 방법론적으로 우수한 연구를 촉진시키는데 있다. 깨진유리창이론이 좀 더 객관적으로 이해되고 관련 정책들이 더욱 효과성을 발휘할 수 있기 위해서는 한국을 비롯한 많은 나라에서 보다 신뢰도 높은 연구가 많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자는 깨진 유리창이론과 서구에서 이루어진 11건의 경험적 연구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다양한 이론적, 방법론적 이슈들을 추출해내고 명확히 하였다. 그런 다음 방법론적 표준에 대해 나름대로의 제언을 시도해보았다. 문화가 범죄를 비롯한 여러 사회현상들의 형성에 미치는 결정적인 역할을 고려해보았을 때, 각기 독특한 문화를 가진 나라에서는 서구에서 시작된 무질서와 범죄 관련된 정책들을 도입 시행하기에 앞서 좀 더 많은 양질의 경험적 연구들이 수행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특히 무질서에 대한 관용의 정도가 서구에 비해 좀 더 큰 한국에서는 무질서와 범죄와의 인과관계가 상대적으로 약할 수도 있을 것으로 사료되는 바 이에 대한 과학적 검증이 요구된다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otivate and facilitate future research to follow more theory-driven and methodologically sound approaches in the area linking neighborhood disorder and crime. The author believes that more credible studies should be performed in the broken windows field in many countries including Korea so that the broken windows theory receives a fairer judgment and the disorder-and/or crime-related policies become more effective. To accomplish the goal, the author attempted to clarify various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issues vi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broken windows theory and 11 empirical studies. It was accompanied by some suggestions on methodological standards. Considering the crucial role that culture plays in the formation of social phenomena including crime, the author argues that more reliable studies have to be performed in each country before it adopts the Western-originated policies on disorder and crime problems. It may well be speculated that the causal link between disorder and crime would be weaker in Korea than in the Western countries because disorderly behavior and conditions tend to be more tolerated in Korean society than in the Western counterparts, which well deserves scientific verification.

      • KCI등재
      • KCI등재

        직장 내 성희롱의 발생원인: 남녀차이를 중심으로

        정진성 ( Cheong Jin Seong ) 한국경찰학회 2018 한국경찰학회보 Vol.20 No.6

        본 연구는 직장 내 성희롱의 발생원인을 규명하여 효과적인 대응책 마련에 도움이 되고자 했다. 특히, 남성과 여성의 성희롱 가해 원인에 차이가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한국형사 정책연구원에서 수집한 설문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직장인 1,150명(남성 452명, 여성 698명)을 대상으로 생물학적 모형, 사회문화적 모형, 조직적 모형, 개인차 모형을 포괄하는 분석모형을 구축하고 음이항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남성의 성희롱 가해경험이 여성에 비해 조금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남성은 왜곡된 성인지를 가진 20-30대가 근무경력이 어느 정도 쌓였을 때(예, 1년 이상) 직장의 성차별이 심하면 성희롱 가능성이 가장 높아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여성은 왜곡된 성인지를 가진 20-30대가 근무경력이 어느 정도 쌓인 경우라도 성비, 고용안정성, 소득 등 여러 조건들이 충족되었을 때 비로소 성희롱 가능성이 가장 높아지는 것으로 보였다. 전반적으로 남성의 성희롱 가해원인이 여성에 비해 훨씬 단순해보였고, 왜곡된 성인지가 남녀 모두에게서 매우 강한 정적 효과를 미친 결과는 주목을 요했다. 즉, 남녀 모두에게 바람직한 성인지를 함양시키기 위한 사회적 노력과 조직 내 교육 및 성평등 정책 등이 절실해보였다. 특히 남성의 경우에는 직장 내 양성평등 분위기를 조성하고자 하는 강력한 노력이 절실하다고 판단되었다. 생물학적 변수들에 대한 측정이 응답자의 상태를 직접 반영하지 못하는 등의 몇 가지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남녀 간 성희롱의 발생원인 차이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한 국내의 선구적인 연구라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직장 내 성희롱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데 기여하길 바란다. This study aimed to discover the antecedents of workplace sexual harassment in South Korean contexts, focusing on the differences in causal processes between men and women. Utilizing survey data of 1,150 employees (452 males and 698 females) collected by the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in 2016, the current study constructed a composite model composed of biological/natural, sociocultural,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differences models, and employe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analyses to test it. Results showed that the probability of men's committing sexual harassment increases when they are in their 20-30s with more than one year of job career and have more distorted perception on gender. Whereas, women's probability of sexual harassment offense appeared to go up when those in similar situations to their male counterparts met other additional conditions such as sex ratio, job stability, and income. It was notable that the distorted perception on gender has one of the strongest effects both on men and women, which suggested that lots of societal and organizational efforts (e.g., anti-harassment training, gender-fair policy) are necessitated to improve the perception on gender. In addition, gender disparity had to be eased off to prevent men's sexual harassment. As one of the first empirical attempts to examine the causal factors of workplace sexual harassment in South Korean context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xpanding the knowledge on the issue gaining a huge public att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