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고속 정밀 로봇 제어를 위한 실시간 중앙 집중식 소프트 모션 제어 시스템

        정일균,김정훈 대한임베디드공학회 2013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Vol.8 No.6

        In this paper, we propose a real-time centralized soft motion control system for high speed and precision robot control. The system engages EtherCAT as high speed industrial motion network to enable force based motion control in real-time and is composed of software-based master controller with PC and slave interface modules. Hard real-time control capacity is essential for high speed and precision robot control. To implement soft based real time control, The soft based master controller is designed using a real time kernel (RTX) and EtherCAT network, and servo processes are located in the master controller for centralized motion control. In the proposed system, slave interface modules just collect and transfer all sensor information of robot to the master controller via the EtherCAT network. It is proven by experimental results that the proposed soft motion control system has real time controllability enough to apply for various robot control systems.

      • KCI등재

        正祖의 『孟子』論(Ⅰ) - 『鄒書春記』를 중심으로 -

        정일균 한국실학학회 2012 한국실학연구 Vol.0 No.23

        In this paper, the contents and the character of King Jeongjo(正祖)'s comprehension of the Book of Mencius(『孟子』) in his last years, expressed especially in his Discussions on the Book of Mencius in Spring(『鄒書春記』) are examined briefly. In this book, he made a display of his profound Confucian scholarship and statecraft in his capacity as a 'king and master'(君師) of the day. The main contents of it are as follows: ① King Jeongjo elucidated his original reinterpretation of the Book of Mencius in the context of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the establishment of centralistic political system and the realization of the rule of right(王道). ② He firmly expressed his dogmatic beliefs in the learning of Cheng Yi and Zhu Xi(程朱學) deliberately and repeatedly through a series of forum of Chogyemunsinjedo(抄啓文臣制度, The Royal Confucian Reeducation System of Civil Ministers holding a Junior Position) established as an annex in Gyujanggak(奎章閣, The Royal Academic Institute for the National Compilation). ③ He laid special emphasis on the Confucian learning of earnest questions and practical experiences in everyday life to Chogyemunsin(抄啓文臣, The Junior Civil Ministers under the Royal Confucian Reeducation System) and Gaksin(閣臣, The Civil Ministers in Gyujanggak). ④ He presented his unique methodologies of interpreting and understanding of Confucian classics including the Book of Mencius to them. ⑤ Lastly and on the other side, he not only developed his independent political theories of Confucian kingcraft, in which he upheld traditional Confucian political theory of the rule of right firmly, but also on the basis of them, he groped for the artificial reformation of the then Joseon(朝鮮) administrative systems positively. In conclusion, King Jeongjo's thoughts of Confucian scholarship and kingcraft mentioned above, especially his concept of a genuine learning seem to be a practical learning of the people's livelihood, based on that of Cheng Yi and Zhu Xi. 본고에서 필자는 正祖의 『鄒書春記』에 나타난 『孟子』觀 및 經學思想의 주요내용을 일별하여 보았다. 여기서 정조는 자타가 공인하는 당대의 ‘君師’로서, 자신의 수준 높은 經學的 蘊蓄과 經世學的 經綸을 유감없이 발휘․천명하였던바, 이는 곧 ① 『周禮』로 상징되는 ‘일원적 中央集權體制의 확립’과 이를 바탕으로 한 ‘王道政治의 구현’이라는 정치적 상상력을 투사시키고 있는 ‘帝王學的 『孟子』觀’의 표명, ② ‘程朱學에 대한 배타적 崇拜’의 태도와 ‘程朱學的 儒敎道統觀의 재확인’을 요체로 하는 ‘親程朱學的 經學觀’의 천명, ③ 학문에 있어서의 ‘聖人을 목표로 한 立志’와 더불어 ‘倫理的 實踐性’을 일차적으로 중요시하는 ‘切問近思的 實地工夫’의 강조, ④ 정확한 경전이해와 관련하여 ‘經文과 『集註』의 우선시’ 및 이를 통한 ‘義理의 추구’를 그 핵심으로 하는 ‘獨自的 經傳解釋方法論’의 제시, ⑤ 전통적인 ‘儒敎的 王道政治論’을 궁극적 이상이자 현실적 출발점으로 하여 ‘人爲的 時務改革’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는 ‘王道主義的 改革政治論’의 전개, ⑥ 당시 조선왕조의 科擧制度 및 朋黨政治의 餘弊에 대한 문제의식을 골간으로 하는 ‘朝鮮의 政治․社會現實에 대한 經學的 批判’의 제기 등으로 구체화된 바 있다. 결국, 이상과 같은 정조의 경학사상의 요체, 특히 그가 만년에 ‘君師’로서 꿈꾸었던 진정한 학문으로서의 ‘正學’의 본질이란 다름 아닌 ‘程朱學의 경학적 기반 위에 구축된 살아있는 民生學’이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 KCI등재
      • 이땅을 사랑한 시대의 이단자, 다산 정약용 사상의 현대적 의미

        정일균 충남대학교 교지편집위원회 1996 寶雲 - 충남대학교 Vol.- No.27

        정약용은 이 땅의 한 시대, 즉 하나의거대한 시대적 전환기를 살면서, 그것도 개인적으로는 가장 극적으로 영ㆍ욕이 교차하는 삶을 살아내면서 이 땅에 대한 그 자신의 사랑과 시대적 양심을 수준 높게 붓 한자루로 그려냈던 지식인이었다. 그는 자신이 구체적으로 발을 딛고 서 있었던 현실에 대한 예민하고도 생생한 문제의식을 나름대로 발전시켰을 뿐만 아니라. 그 문제의식을 구현시키기 위한 수준 높은 철학적 틀을 독자적으로 구성하였고 나아가 그것에 기초하여 다시 한번 차원 높은 불후의 제도개혁론을 제출할 줄 알았던 이 땅의 보기 드문 지적 거인이었다. 또한 그 자신의 상상력을 기존의 인식틀 속에 가두기를 거부하는 가운데 주체적인 자유와 자아인식을 끊임없이 지향하였던 시대적 이단자였으며, 또 한 현실의 구체적인 제도의 문제를 철학의 문제로 변환시켜 이해할 줄 알았던 사상의 대가이기도 하였던 것이다. 정약용은 그가 직면하였던 정치적 상황의 구조적 제약으로 인하여 자신의 경륜을 직접 현실에 적용시켜 볼 기회를 끝내 얻지 못하고 말았으니, 하나의 시대적 전환기를 살았던 양심적인 지식인으로서 그는 자신이 할 수 있었던 최대한의 실천을 성실하게 수행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그의 모습은 또 하나의 ‘빈곤한 전환기’를 맞고 있는 현금의 우리들에게 이 땅에서의 지식인의 모습이 어떠해야 하는가를 수준 높게 그리고 안타깝게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조선후기 근기남인 사족의 ‘가(家)’ 이념에 대한 일고찰—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사례를 중심으로

        정일균 한국사회사학회 2022 사회와 역사 Vol.- No.133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ardinal points of ‘family’(家) ideology among the nobility (Yangban) of the Southerners (Namin) in Gyeonggi (京畿) districts. It focuses on the case of Jeong Yak-Yong who was a typical example of noble members of the Southerners in Gyeonggi districts. The main conte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① The paper introduces Jeong Yak-Yong’s idea that ‘the life of a hermit’ represents the ideal type of the nobility’s concept of ‘family’. ② In relation to Jeong Yak-Yong’s theory of ‘family of the nobility’, the basic constituent elements of ‘family of the nobility’ and its enlarged organizations are examined. ③ In connection with Jeong Yak-Yong’s theory of ‘family ethics of the nobility’, the main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heory of ‘virtues for wise government of the nobility’s family’, that of ‘family formalities of the nobility’, and that of ‘adoption of the nobility’s heir’ are considered. ④ Jeong Yak-Yong’s theory of ‘management of household economy of the nobility’ is surveyed briefly, with special attention paid to the main points and characteristics of his theory of ‘commercial management of agriculture’. It is clear that the ideology of ‘family of the nobility’ which Jeong Yak-Yong mapped out and presented was a response to a series of enormous socio-economic changes which Joseon society experienced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18th century and the first half of 19th century. After all, Jeong Yak-Yong’s ideology of ‘family of the nobility’ was probably ① the maximum to which the then lower-class nobility could dream of going forward, and ② a practical plan for the restoration of Jeong Yak-Yong’s own family, which had fallen into ‘a ruined family’. 논문은 조선후기 근기남인(近畿南人) 사족(士族)의 ‘가(家)’ 이념의 요체를 당시 근기남인을 대표했던 정약용(丁若鏞)의 사례를 중심으로 일별해보았다. 즉, 그가 제시한바 ① ‘사족의 가’ 개념의 이상형으로서 ‘유인(幽人)의 삶’을 전제하는 가운데, ② ‘사족의 가’론과 관련하여 ‘사족의 가’의 기본구성과 그 확대조직, ③ ‘사족의 가 윤리’론과 관련해서는 ‘사족의 제가(齊家) 덕목(德目)’론, ‘사족의 가례(家禮)’론 및 ‘사족의 입후(立後)’론의 주요내용과 그 내용적 특징, ④ ‘사족의 가계경영(家計經營)’론과 관련해서는 특히 ‘상업적 농업경영론’의 주요내용과 내용적 특징을 차례대로 정리·개관해보았다. 이처럼 정약용이 구상·제출했던 ‘사족의 가’ 이념은 또한 그가 살았던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초반의 조선사회가 목하 경험하고 있었던 일련의 심대한 사회·경제적 변화를 그 배경으로 하고 있었음은 물론이다. 결국, 정약용이 구상·제출한바 상기의 ‘사족의 가’ 이념은, ① 특히 그가 ‘사족의 가계경영’론에서 그 대상으로 “작록(爵祿)의 계통(系統)을 잃은 사대부가(士大夫家)” 또는 “가난한 사족”을 반복적으로 언급한 데서 간취할 수 있듯이, 당시 당색(黨色)을 막론하고 몰락해가던 대다수 하층양반의 입장에서 꿈꿀 수 있었던 ‘거가사본(居家四本)[제가(齊家)·치가(治家)·기가(起家)·보가(保家)]’의 최대치이자, ② 같은 남인(南人)이면서도 영남남인(嶺南南人)의 경우에 비해 근기남인이 가지는 재지적 기반의 상대적 허약함에다 불행하게도 어느덧 ‘폐족(廢族)’으로 전락하고 만 자신의 가문의 중흥을 위한 구체적 실천방안이 아니었던가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正祖의 『論語』論(Ⅰ) - 『魯論夏箋』을 중심으로 -

        정일균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9 한국문화 Vol.48 No.-

        In this paper, I examine briefly the contents and character of King Jeongjo(正祖)’s comprehens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論語』) in his last years, expressed especially in his Discussions on the Analects of Confucius in Summer(『魯論夏箋』). In this book, he made a display of his profound Confucian scholarship and statecraft as a distinguished Confucian scholar and the king of the day. The main contents of it are as follows: ① King Jeongjo elucidated his original reinterpret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in the context of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systematic and practical Confucian statecraft and the reinforcement of sovereign right. ② He firmly expressed his dogmatic beliefs in the Learning of Cheng Yi and Zhu Xi(程朱學) in his capacity as a ‘king and master’(君師) deliberately and repeatedly with his main political intention in order to restore the moral obligations and public order of the late Joseon dynasty(朝鮮王朝)’s society through a series of forum of Chogyemunsinjedo(抄啓文臣制度, The Royal Confucian Reeducation System of Civil Ministers holding a Junior Position) established as an annex in Gyujanggak(奎章閣, The Royal Academic Institute for the National Compilation). ③ He laid special emphasis on the Confucian learning of earnest questions and practical experiences in everyday life to Chogyemunsin(抄啓文臣, The Junior Civil Ministers under the Royal Confucian Reeducation System). ④ He presented his unique methodologies of interpreting and understanding of Confucian Classics including the Analects of Confucius to Chogyemunsin. ⑤ Lastly and on the other side, he not only developed his independent political theories of Confucian kingcraft, in which he refused to place absolute trust in Neo-Confucian moral politics blindly, but also on the basis of them, he criticized and wanted to reform the political situations of the then Joseon(朝鮮) regime prudently. In conclusion, King Jeongjo’s thoughts of Confucian scholarship and kingcraft mentioned above seem at a glance to have some logical inconsistencies in contents. But these inconsistencies should be appreciated to be derived from his dual and dissonant social standings, i.e. ‘the king of the Joseon dynasty’ and ‘an enlightening Confucian forerunner of the day’.

      •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천天’ 개념에 대한 재고찰

        정일균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18 다산학 Vol.- No.32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천天’, 즉 ‘상제上帝’ 개념은 일찍부터 다산학茶山學 연구에 있어 주요한 관심의 대상이 되어왔다. 본고는 바로 이러한 정약용의 상제 개념을 반추反芻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첫째, 필자가 이해하고 있는 정약용의 ‘천’, 즉 ‘상제’ 개념의 내용을 제시하고, 둘째, 정약용의 상제 개념을 다룬 국내외의 대표적인 선행연구의 내용과 경향을 개관한 다음, 셋째, 이를 바탕으로 기존의 다산학 연구에서 상제 개념을 둘러싸고 제기되었던 주요쟁점들 및 이에 대한 필자의 견해를 차례대로 제시하였다. 이에 결론적으로 정약용의 상제 개념을 둘러싸고 기존연구에서 제기된바 주요쟁점에 대한 필자의 입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약용의 상제 개념의 ‘사상적 기원’에 대해서 필자는 ① 일찍이 보유론補儒論을 표방했던 『천주실의』로 대표되는 서교의 영향이란 기실 ㉠ 정약용 자신이 젊은 시절(21세)부터 견지했던 학문적 문제의식과 내용 및 방향에 대한 확신을 재확인ㆍ보강하는 동시에 이를 구현할 몇 가지 새로운 표현을 발견하는 계기이자, ㉡ 무엇보다 이를 통해 그 자신이 몸담고 있었던 유교전통儒敎傳統을 대자적對自的으로 조망할 수 있는 객관적 안목을 획득함으로써 자신의 문제의식에 따라 이것이 함축한바 사상적ㆍ이론적 가능성을 새롭게 발굴하고 재해석할 단서적 통찰력을 제공받은 데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을 것으로 판단되며, ② 이로써 정약용 의 상제 개념에 대한 서교의 영향을 완전히 부정하는 입장은 물론이려니와, 반대로 그 영향을 배타적으로 과도하게 평가하는 입장 역시 모두 정곡에서 벗어난 것으로 평가하였다. 둘째, 정약용의 상제가 가진 권능으로서의 ‘조화造化의 의미’와 관련해서 필자는 ① 정약용은 ‘조화’란 용어를 천지만물에 대한 상제의 ‘재제宰制ㆍ주재主宰ㆍ통어統御ㆍ발육發育ㆍ번성蕃盛’ 등을 동시에 함축하는 ‘운행’뿐만 아니라 나아가 ‘창조’까지를 포괄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인식ㆍ사용했던바, ② 특히 이러한 맥락에서 상제를 곧 ‘우주의 창조자가 아닌 주재자the ruler of the cosmos, not its creator’라거나 ‘만물을 생성하고 소멸하게 하는 대자연의 이치를 드러내는 것’으로 주장하는 기존연구는 재고의 여지가 있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셋째, 정약용의 상제가 가진 또 다른 권능으로서의 ‘재제宰制(主宰)의 의미’, 즉 상제가 이 세계에 개입하는 방식으로서의 ‘재제가 과연 계시啓示까지를 포함하는가?’의 문제에 있어서 필자는 ① 상제는 인륜人倫의 실천을 요구하는 자신의 명령, 즉 천명天命을 다름 아닌 인간의 ‘도심道心’과 ‘복서卜筮’를 통해 끊임없이 계시啓示하는, 다시 말하자면 상제란 이러한 교감장치를 통해 인간과 능동적으로 상호감응相互感應하는 유작위有作爲의 인격적 존재인바, ② 이러한 의미에서 기존의 연구물 가운데서 특히 상제를 단순한 ‘도덕적 힘a moral force’, ‘계시를 찾을 길 없는 벙어리’, ‘이신론적理神論的 주재자’ 또는 ‘세계에 대한 비인격적이며 이법적인 관여방식’ 등으로 일면적으로 평가ㆍ인식하는 일련의 입론은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약용의 상제가 그의 철학적 세계관과 학문체계에서 차지하는 ‘개념적 위상’과 관련해서 필자는 ① 정약용이 도입한 상제는 그의 세계관 및 경학經學과 경세학을 아우르는 ... Tasan Jeong Yak-yong’s concept of ‘Cheon(天, Tian, Heaven)’, that is, ‘Sang-je(上帝, Shang-di, Lord on High)’ has been a matter of grave concern in Tasan studies from early on. In this paper, the very Jeong Yak-yong’s concept of ‘Sang-je’ is ruminated on. Hereupon, in this paper, firstly Jeong Yak-yong’s concept of ‘Sang-je’ that is understood by this writer is presented. Secondly, the contents and the tendencies found in precedent Tasan studies that have been dealing with the above-mentioned concept at home and abroad are outlined. Thirdly, based on above discussions, the main points of issue that have been raised in preceding Tasan studies around the above-mentioned concept and this writer’s opinions about these main points of issue are presented in turn. In conclusion, this writer’s stands about the main points of issue that have been raised in precedent Tasan studies around the above-mentioned concept are as follows. Firstly, concerning ‘the origin’ of Jeong Yak-yong’s concept of ‘Sang-je’, ① the influences of Catholicism that are represented by Cheon-ju Sil-eu(『天主實義』, Tian-zhu Shi-yi, The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 which had claimed to stand for the accommodationist explanations of Confucianism ⓐ served in reality as a major momentum that reconfirmed and reinforced Jeong Yak-yong’s critical mind about the then current learning and his confident belief in his early scholarship held on since 21 years old and made him capable of finding some new expressions to embody it, ⓑ above all, gave him an objective eye enable to take a survey of the whole Confucian traditions in which he himself had been included and via this provided him some insights and clues to dig out and reinterpret the Confucian traditions. ② In view of these facts, a standpoint that denies Catholic influences on Jeong Yak-yong’s concept of ‘Sang-je’ entirely, not to mention a standpoint that overemphasizes Catholic influences on that exclusively, is not to the point. Secondly, regarding ‘the meaning’ of Jeong Yak-yong’s term of ‘Jo-hwa(造化, Zao-hua, the creation and the operation of the universe)’ that was recognized as one of Sang-je’s powers, ① Jeong Yak-yong used this term in a broad sense, namely, as a term that included not only the meaning of ‘the operation of the universe’ that implied the meanings of ‘the exercise of authority over heaven, earth and all things, the control and the management over them, the growth of them’ at the same time, but also the meaning of ‘the creation of them’. ② In this context, some studies which maintained that Sang-je is ‘the ruler of the cosmos, not its creator’ or it means only ‘the Mother Nature’s principle of producing and extinguishing all things’ may have room for reconsideration. Thirdly, referring to ‘the meaning’ of Jeong Yak-yong’s term of ‘Jae-je(宰制, zai-zhi, the control and the management of the universe)’ that was also recognized as one of Sang-je’s powers, especially a question of ‘ Does Jae-je involve the meaning of revelation?’, ① Jeong Yak-yong answered this question that Sang-je reveals its own order, that is, Cheon-myeong(天命, Tian-ming, Heaven’s decree) through ‘Do-sim(道心, Dao-xin, mind of the Way)’ and ‘divination by Ju-yeok(『周易』, Zhou-yi or Yi-jing, Book of Changes)’ to human beings continually. ② In this sense, among the existing Tasan studies, some arguments that appraise and recognize Jeong Yak-yong’s Sang-je merely as ‘a moral force’, ‘a dumb existence without revelation’, ‘a deistic supervisor’ or ‘an impersonal and an abstract existence’ may be problematic. Lastly, respecting ‘the conceptual position’ of Jeong Yak-yong’s concept of ‘Sang-je’ occupying in his philosophical world view and his learning system, ① Jeong Yak-yong’s ‘Sang-je’ can be seen at least as a core and an indispensable c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