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선식재(善息齋) 정지순(鄭持淳)의 화론(畵論)

        정은진 ( Eun Jin Jeong ) 한국한문교육학회 2009 한문교육논집 Vol.32 No.-

        선식재 정지순은 18세기 소론 가문인 東萊鄭氏家의 인물이다. 그의 가문은 서울 남산 아래 세거하며 고위관료를 대대로 배출한 京華世族으로, 18세기 정치·학술·사상·문예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본고는 선식재 연구의 연장선에서 그의 화론을 조명한 것이다. 그 방법은 선식재가 화론에 관심을 지니게 된 배경과 화평 현황을 검토하고, 그 화평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선식재는 7세에 부친 정석경을 여의고, 맏형 정원순과 둘째 형 정경순의 가르침 속에 유년시기를 보냈다. 그 과정에 그는 특히 서예와 그림에 깊은 관심을 지녔다. 선식재의 선대들은 대대로 고위관료를 지냈기 때문에, 그의 집안에는 서책과 고화들이 다량 구비되어 있었다. 이렇게 형성된 수천 권의 서책과 고화는 선식재에게 예술적 자극이 되었다. 또한 선식재는 정선·심사정·김광수·강세황·조윤형 등 18세기 화단을 이끌었던 중요 인물들과 교유하며 그림에 관한 이해를 높였고 화론을 형성해 갔다. 선식재는 그림이란 `사물의 이치[理]`를 가장 잘 구현할 수 있는 예술이라 높이 평가했다. 뿐만 아니라 일정한 형상이 없는 山水나 草木을 그릴 때의 관건은 `그 이치`를 얼마나 잘 표현하느냐에 달려있다고 설명하였다. 이는 선식재가 예술 및 회화창작의 기준으로 `사물의 이치`를 중시한 것이다. 또한 선식재는 사물의 이치를 잘 전달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心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사물의 이치와 자신의 心은 마치 동전의 양면처럼 분리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곧 자신의 심을 통해 사물의 이치를 명확히 이해했을 때 가장 훌륭한 그림이 탄생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선식재는 이처럼 회화창작의 중요전제로 `理와 心`을 강조한 것뿐만 아니라, 당대 화단의 핵심 인물이라 할 수 있는 겸재 정선의 眞景에 관한 견해를 표출하기도 했다. 선식재는 진경은 겸재가 그린 그림의 전부가 아닌 일부였음을 언급하였다. 또한 소식의 글을 인용하여, `眞景`을 눈으로 인식할 수 있는 대상의 참모습, 진짜 모습이라는 측면에서 이해하였다. `진경`의 일차적 의미를 대상에 초점을 두고 있었던 것이다. 때문에 우리나라를 벗어난 중국이나 그 외의 지역을 그리더라도, 자신이 직접 체험하고 인식한 대상의 참모습을 그린다면 그것도 충분히 진경이라 볼 수 있겠다. 이 외에도 선식재는 겸재 진경산수화의 표현력을 설명하면서, 겸재의 진경이 유람한 자나 그렇지 못한 자가 보더라도 노닐 수 있는 공간이자, 소요할 수 있는 공간으로 탄생시켰음을 높이 평가하였다. 이는 선식재가 진경이란 감상자가 대상을 보고 그곳에서 노닐 수 있을 만큼의 사실적 표현력과 작자의 내면을 발현할 수 있는 경지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진경에 관한 이 같은 선식재의 언급들은 겸재 그림에 관한 성과를 진경 외의 분야에도 열어두는 계기이며, 민족적 의미가 지나치게 강조되었던 진경에 관한 의미를 재고할 여지를 시사하고 있다. Sunshikjae Jeong, Ji-soon was a man of the Donglae Jeong Family which was a major Soron Party of 18C. His family was the Kyungwha-sejok(京華世族) which had resided Namsan(Mountain), Seoul for generations. Also his family produced many men of high-ranking official and very important persons in the politic, art, science and literature of 18C. This study is focused on his painting criticism as a view point of an extension of Sunshikjae research. I checked why Sunshikjae had interest on painting criticism, checked and analyzed the status of painting criticism. Sunshikjae lost his father, Jeong suk-kyung at the age of 7 and spent his childhood under the teaching of his brothers, Jeong won-soon and Jeong kyung-soon. In these days, he especially had a a deep interest in calligraphy and painting. Because Sunshikjae`s generations of ancestors were high- ranking officials, his family had many books and old paintings. Theses books and old paintings stimulated Sunshikjae`s artistic feelings. Also Sunshikjae Increased understanding of the painting and set up the painting criticism, keep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Jeong sun, Shim sa-jung, Kim kwang-soo, Kang se-hwang, Jo yoon-hyung who were very important peoples of 18C artists. Sunshikjae evaluated paintings highly because paintings could express most well the way of things. And he explained that the key point of drawing landscape or plants is how well it can express the way of things. This shows Sunshikjae evaluated the way of things highly as a criterion of art and painting creation. Also, Sunshikjae thought his own mind role is important to express well the way of things. Both the way of things and his own mind cannot be separated like two sides of the same coin. And thought the best paintings could be created by deep understanding the way of things through his own mind. Sunshikjae emphasized the reason and mind as a premise of painting creation and also expressed the Jingyeong(眞景) of Gyemjae Jeongsun who was a core person of painters of his day. Sunshikjae thought Jingyeong(眞景) is the real things or true character seen by eyes, inciting Soshik`s words of "Gyemjaehwaseo". So it can be fully told as Jingyeong although someone draws not Korean but Chinese landscape, only if he himself experiences and draws the real thing. Sunshikjae put the focus on real thing as basic meaning of Jingyeong. Sunshikjae thought that Jingyeong have to have the realistic description as if gallery could ramble there, and express painter`s internal philosophy.

      • KCI등재

        茂亭 鄭萬朝의 친일로 가는 思惟

        정은진(Jeong, Eun-jin) 대동한문학회 2010 大東漢文學 Vol.33 No.-

        본 논문은 茂亭 鄭萬朝(1858∼1936)의 친일로 가는 사유를 고찰한 것이다. 이에 앞서 그의 저작이나 가계, 사상, 교유 등에 관해서도 간단히 살펴보았다. 무정은 소론계 명문 집안인 동래정씨 가문에서 태어났다. 사상적으로도 양명학에 관심을 지니는 등 주자학적 권위에만 매몰되려 하지 않았다. 그는 沈大允(1806∼1872).姜瑋(1820~1884)의 가르침을 받았고, 李建昌(1852~1898).黃玹(1855~1910).金澤榮(1850~1927).呂圭亨(1849∼1922).鄭寅普(1893~1950년 이후) 등과 교유하기도 하였다. 이들 중에는 20세기 전후 지성계를 이끌며 조선의 독립과 민족의 자존을 지키려고 노력한 인물도 있었고, 무정처럼 친일로 선회했던 인물도 있었다. 무정은 을사오적처럼 천인공노할 만한 친일행위를 한 것은 아니지만, 일본에 협조하고 그들이 주는 벼슬을 받았다. 이에 무정의 삶의 행력을 중심으로 친일로 가는 사유를 단계적으로 점검하게 된 것이다. 무정은 젊은 시절 東道西器의 관점을 견지하고, 자주적 근대화를 추구해야 한다는 입장을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 부패 관리 척결, 균형 있는 인재등용 등을 강조하였다. 이후 김홍집이 이끄는 갑오개혁의 중심에서 활약하기도 하였으나, 그 과정에 친일적 면모를 보였고 시속과 부합하게 되었다. 또한 명성왕후 시해 사건에 연루되어, 전라도 진도에서 12년간 유배의 체험을 겪으면서 더욱더 친일적 성향으로 우회하였다. 해배 후에는 산업화와 군사력을 겸비한 일본의 문명화에 매료되어, 일본을 문명의 모델로 설정하고 추수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書同文'이라는 사고의 틀로 유학과 한문을 중시하며, 일본과의 공통점을 찾고 연대를 강조하기에 이르렀다. 때문에 그는 친일인사들과 '以文會' 등을 결성하고, 그 성과물을 『매일신보』.『조선문예』등의 매체에 게재하였다. 또한 일본이 창설한 경학원의 부제학과 대제학을 맡고, 『경학원잡지』를 통해 친일유림들과 일본이 강조했던 사회교화론, 유교진흥정책을 선전하고 고양시키는 방면으로 동화.변질되어갔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reason of Moojung Jeong Man-jo's pro-Japanese. Prior to this, I simply reviewed his writings, family, thought, and fellowship. Moojung was born in prestigious Dongrae Jeong Family of Soron party. He did not want to be surrounded by the authority of Neo-Confucianism in thought. He got the teaching of Sim Dae-yun(1806~1872).Gang Wee(1820~1884) and had a academic relationship with Lee Geon-chang(1852~1898).Hwang Hyeon(1855~1910).Kim Taek-young(1850~1927).Yeo Gyu-hyeong(1849~1922).Jeong In-bo(1893~1950?). Among these people, during the 20th century, some led to the independence of Korea and kept the academic self-esteem, the others went wrong to pro-Japanese like Jeong Man-jo. Moojung is not as bad pro-Japaneses as Elsaojuk(乙巳五賊) but he cooperated Japan and took a post in the Japan government. So I studied the step of his pro-Japanese through Moojung's life history. Moojung strongly agreed to the ideology of Dongdoseogi(東道西器) in his young age, kept to the thought of independent-modernization. And he emphasized on the eradication of corrupt officials and balanced recruiting. After that, he had a important role in Gapohgaehyuk(甲午改革) led by Kim Hong-jib, and during this affair he showed pro-Japanese aspect. Also he was involved in the case of the Empress Myengsung's assassination to be exiled to a Jin-do island. In this process he turned more strongly to pro-Japanese. Because of this, he persisted to follow Japan's modernization model of having both industrialization and military power. He also regarded Confucianism and Chinese to be important, found out the common point with Japan, and emphasized on the solidarity with Japan. He organized 'Yimunhoe' with pro-Japan person and ran the results in the newspaper like 'Maeilsinho', 'Josunmoonyeo'. He also took a position of Gyenghakwon Boojehak and Daejehak established by Japan, propagated the theory of social enlightenment, confucianism promotion policy through the Gyeonghakwonjapji.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聲皐酬唱錄』을 통해 본 豹菴 姜世晃과 星湖家의 교유 양상

        丁殷鎭(Jeong Eun-Ji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6 동양한문학연구 Vol.22 No.-

          이 논문은 학계에 널리 알려지지 않은 『聲皐酬唱錄』을 통해 豹菴 姜世晃과 18세기 星湖家 인물과의 교유 양상을 파악하고자 시도된 것이다. 『聲皐酬唱錄』은 星湖의 族孫이었던 李載德(1711~1768)이 중심이 되어 1753년부터 1767년까지 이루어졌던, 星湖家의 시회활동을 기록한 것이 다. 이곳에는 李玄煥, 李匡煥과 같은 친족뿐만 아니라, 외부인사로 참여했던 표암에 관한 다양한 정보가 담겨져 있어서 표암과 星湖家 인물간의 구체적인 교유양상을 엿볼 수 있다.   이에 본고는 먼저 『성고수창록』의 자료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표암과 星湖家 인물들의 교유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그 방법은 檀園詩社로 명명된 시사활동과 산수유람과 같은 探勝活動으로 나누어 그 구체적인 모습을 살피는 것이었다. 표암은 檀園詩社를 통해 星湖家의 인물들과 시 창작 및 비평, 그림 감상 같은 문예취미의 공유는 물론, 예술창작의 동기를 부여받고 시를 단련시켜가는 등 문예에 대한 이해를 확대시켰다. 또한 星湖家의 인물들과 元堂寺, 冠岳山을 유람하는 등 생활 속의 자연에 대한 탐승활동도 활발히 벌이며, 생활 속의 자연 역시 향유할 수 있는 대상이라는 미적취향을 공유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association face between Pyoahm Kang, sewhang(豹菴 姜世晃) and the Seongho Family in 18C through the Seon- gosuchangrok(聲皐酬唱錄) which is not known to he academic world. The Seongosuchangrok(聲皐酬唱錄) was written mainly by Lee, Jaedeok(1711~1768) who was Seongho"s relative, and addressed the social activity of the Seongho Family between 1753 and 1767. This book showed the concrete association between Pyoahm and the Seongho Family.   First of all this study reviews the book of the Seongosuchangrok(聲皐酬唱錄), and presents the association between Pyoahm and the Seongho Family by the way of studying the poem writing club, Danwonsisa(檀園詩社), and the sightseeing of scenic beauty. Pyoahm magnified understanding of the arts by sharing the arts fondness like the poet writing, literary criticism, and painting appreciation with the Seongho Family through Danwonsisa (檀園詩社). Also he shared with the Seongho Family the aesthetic fondnessthat the nature of every day life is the enjoyable subject, going sightseeing of scenic beauty, Wondangsa(元堂寺), Kwanaksan(冠岳山), with the Seongho Family.

      • KCI등재

        표암 강세황의 일상으로의 시선과 문예적 실천

        정은진(Jeong, Eunjin)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4 泰東古典硏究 Vol.33 No.-

        본고는 18세기 서화가이자 비평가인 표암 강세황의 일상으로의 시선과 문예적 실천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이에 먼저 표암의 안산생활과 일상 공간으로의 시선을 포착하고, 이후 그 실천적 양상을 시문 창작 및 회화 품평이라는 두 가지 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일상이란 크게 변함이 없는 매일의 삶으로, 본고에서 말하는 일상이란 귀족적이고 고급화된 사대부에 한정된 것이 아닌 일반 민중의 삶을 아우르는 확장된 개념이다. 알려진 대로 표암은 회화사에서 중국 남종화의 기법을 수용하여, 조선의 정취가 묻어나는 우아한 문인화의 경지를 확립했던 인물이다. 또한 서양화법을 적극 수용하여 창작에 응용하였고, 조선시대 작가 중 가장 많은 초상화를 남기며 자아에 관한 탐색을 했다. 이처럼 표암의 회화하면 특정한 한 가지로 규정할 수 없는, 다양한 빛을 지닌 스펙트럼과 같다. 예술가에게 서 분야 및 시야의 확장이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영역, 재료의 확장은 새로운 사유를통해 형성되고 발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본고는 문인예술가로만 강하게 부각된 표암의 면모에서 벗어나, 표암의 개방적 사고와 실험 정신의 또 다른 방향을 보여주는 표암의 일상 미학을 주목해 보았다. 표암은 경기도 안산에서 청장년 시기를 보내면서 자신과 같은 사대부뿐 아니라 민중들을접할 기회를 많이 가졌다. 아울러 그 과정에 사대부적 세계관을 확대시키면서도, 일상의 자연과 그 속에 사는 일반인들을 주목하였다. 곧 민간의 언어라든가 삶, 주변 자연에 관심을 표현하면서 이를 소재로 시를 지었다. 속어(俗語)를 활용한 시작활동을 유경종과 공유하고, 이러 한 시풍을 확대한 유경종의 작품을 고평하였다. 서울로 상경한 이후, 이러한 미의식을 회화분야로 확대시켜 김홍도나 조영석 등 민중의 일상을 소재로 했던 속화에 긍정적인 비평을 가하면서 이론적 지지기반을 확립하였다. 곧 18세기 문화계의 거장 표암이 보여주었던 일상에 관한 지지는 민중의 삶을 예술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는 기폭제 역할을 하면서,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세계와 사물, 인간에 관한 관심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그렇다고 해서 표암 회화작품의 전부가 이러한 세계를 반영한 것은 아니었다. 일상의 자연은 포착하여 회화로 승화시킨 반면, 민중의 모습을 회화에 담아내지는 못했다. 곧 일상에 대한 그의 태도는 다소 유보적인 느낌이 들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민중의 일상이 재현되는 것을 지지하고 확대시킨 표암의 일상미학은 18세기 당대 예술 정신을 선진적으로 대변하는 모습이자, 21세기 현재 그를 주목하는 이유이기도하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view point of everyday life and its execution phase of Pyoam Kang se-hwang, who was an artist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s well as a critic in 18C. First of all, I studied Pyoam’s viewpoint as of everyday living environment, and then divided its execution phase into two axises, the creation of poetry and prose and the evaluation of paintings. The everyday life means routine living with no big change, and its meaning in this study is not the aristocratic concept limited in the noble man but the extended concept including the ordinary people’s life. As is widely known, Pyoam accepted the skill of the Chinese painting of the Southern school and set up the painting in the literary artist’s style of Josun’s own mood. Also he accepted the skill of western painting aggressively and applied his creation, so he left the most portraits among the artists of Josun Dynasty and researched himself. Like this, Pyoam cannot be defined by one characteristic. For artist, the expansion of his own field and viewpoint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can be formed and developed by the new thinking. In this study, I paid attention to the everyday aesthetics showing Pyoam’s open thought and experimental spirit, not as his strong aspect of nobleman artist. Living in Ansan in his young adult, Poyam had many opportunities to meet the people as well as noblemen like him. In doing so, he expanded nobleman’s outlook of the world, paid attention to ordinary nature and the ordinary people. He wrote the poet, taking a interest in people’s words and natural environment. He shared the poetic activities using slang with Yu, gyeong-jong and evaluated his poet actively. After moving to Seoul, Pyoam expanded this aesthetic sense to paintings, gave a positive criticism to Kim hong-do’s and Jo yeung-suk’s genre painting with people’s ordinary living theme and set up the academic base. Namely, Pyoam’s support for everyday life became a trigger that people’s life was accepted as the art. But all of Poyam’s paintings did not reflect these view points. While ordinary nature was sublimated in a painting of the literary artist’s style, the scene of ordinary people was not expressed in his paintings. This point is Poyam’s limitation as a nobleman. But Poyam’s everyday aesthetics supporting the reproducing of ordinary people life speaks for the spirit of the 18C art and also is the reason why we pay attention to him now in the 21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