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기성폐자원을 이용한 산불토양의 생태학적 복원을 위한 토양의 생물학적,물리화학적 기초특성연구

        정영률,송인근,김영준 유기성자원학회 2005 유기물자원화 Vol.13 No.1

        Forest soils were analyzed on their 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for the ecological restoration of burnt forest soil using organic wastes and proper microorganisms. Three kinds of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undamaged soil(US), naturally restoring soil(NS) and artificially restoring soil(AS). All soil samples were sandy soil and acidic soil, ranged 5.34 ~5.78. Moisture content was higher in the soil of NS region. And the others were similar. Total organic matter and soluble sugar were higher at the surface, generally. Heterotrophic soil microbes were abundant at the surface soil of NS and subsoil of AS. Dehydrogenase, cellulase and phosphatase activities were higher at the NS soil. Especially, Dehydrogenase activity as primary index of soil microbial process showed high correlationship with moisture content(r=0.90, P < 0.05). 유기성폐기물 및 토양미생물을 이용하여 산불로 훼손된 산림토양을 생태적으로 복원하기 위한 일환으로 동해안 지역에서 발생한 산불토양의 물리화학적 환경요인 및 생물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토양 시료는 산불의 영향을 받지 않은 정상토양(US), 산불 후 자연적으로 복원된 토양(NS)과 산불 후 인위적인 복원이 시도된 토양(AS) 등, 세 지역의 표토와 심토를 이용하였다. 모든 토양 시료는 사질토가 우세한 pH 5.34~5.78의 산성 토양이었으며, 함수량은 정상토양에서 높게 나타났고 자연복원지와 인위복원지에서는 표토의 함수량이 심토보다 낮았다. 총 유기물량과 수용성 당량은 정상토양에서 특히 높았으며, 전체적으로 심토보다 표토에서 높게 나타났다. 토양 종속영양세균의 군집크기는 정상토양의 표토 (UST)와 자연복원지 심토(NSS)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탈수소효소, 섬유소 분해효소, 산성 인산 분해효소의 활성도는 정상토양에서 높게 나타났다. 미생물 작용의 1차지표가 되는 탈수소효소의 활성도는 함수량과 0.902 (P<0.05)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 KCI등재후보

        훼손된 산불토양의 미생물다양성

        정영률,송인근,김영준,김진용,이신근 유기성자원학회 2005 유기물자원화 Vol.13 No.2

        Changes of biochemical and genetic diversity of microbial communities in the soil damaged by a forest fire were analyzed.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Gangnung area where a forest fire was broken out in 2000. Two soil samples were from the burnt area, one from the naturally restoring soil (NS) and the other from the artificially restoring soil (AS). A normal, unaffected soil sample (US) was also included as a control. For the biochemical diversity, each sample was directly applied to the BIOLOG system, and the cluster analysis through a statistic process (SPSS) were performed. Genetic diversity was analyzed through DGGE using 16S-rDNA amplified from soil DNA. Among the samples tested, top soils of US and NS, and sub soil of NS revealed more than 70% of the similarity value in biochemical diversity. In case of genetic diversity, however, the similarity value was found to be in the range of 53% to 68% in all samples.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biochemical diversity is not always correlated with the genetic diversity in the analysis of microbial communities. 산불로 훼손된 토양 미생물군집의 생화학적, 유전적 다양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2000년에 산불이 일어났던 강릉지역에서 자연복원지 토양(NS), 인공복원지 토양(AS), 정상토양(NS)을 표토층과 심토층에서 채집하였다. 생화학적 다양성 분석을 위해 각 시료를 BIOLOG system에 직접 적용하였으며 통계처리(SPSS)를 통해 군집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군집의 유전적 다양성은 토양 미생물의 16S-rDNA를 증폭하여 DGGE(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연복원지의 심토와 표토, 정상토양의 표토에서만 70% 이상의 생화학적 다양성이 나타났으나, 유전적 다양성의 경우 모든 시료에서 53%에서 68%의 범위의 상동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토양미생물 군집의 생화학적 다양성이 반드시 유전적 다양성을 반영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무시멘트형 대퇴골 삽입물을 이용한 고관절 재치환술

        정영률 ( Young Yool Chung ),임채현 ( Chae Hyun Lim ),김충영 ( Chung Young Kim ),김정석 ( Jeong Seok Kim ) 대한고관절학회 2013 Hip and Pelvis Vol.25 No.4

        목적: 무시멘트형 대퇴 삽입물을 이용하여 인공 고관절 재치환술을 시행한 후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10년 5월까지 본원에서 무시멘트형 대퇴 삽입물을 이용하여 인공 고관절 재치환술을 시행하고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2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재치환술 당시 나이는 평균 63.8세이었다. 추시 기간은 평균 45개월이었다. 재치환술의 원인은 무균성 해리 11예, 골절 6예, 골용해 6예, 감염 3예이었다. 방사선학적 결과는 삽입물의 침강, 해리, 응력 방패 현상을 관찰하였으며, 임상적 결과는 대퇴부 동통과 해리스 고관절 점수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재치환술 전 해리스 고관절 점수는 평균 41.2점에서 최종 추시시 평균 85.8점이었으며 18예(69%)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얻었다. 5예에서 대퇴부 동통을 호소하였다. 대퇴골 삽입물 침강은 3예에서 10 mm 이상 발생하였으며 평균 14 mm이었다. 2예에서 최종 추시시 해리 소견이 관찰되었다. 응력 방패 현상은 6예에서 관찰되었다. 지주 동종골 이식을 시행한 3예는 숙주골과 골유합 소견이 관찰되었다. 합병증은 2예에서 수술 중 발생한 대퇴 삽입물 주위 골절로 금속판과 강선을 이용하여 고정하였고, 3예에서 수술 후 탈구가 발생하여 정복 후 보조기를 착용시켰다. 결론: 무시멘트형 대퇴 삽입물을 이용한 인공 고관절 재치환술에서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직경이 너무 큰 삽입물을 사용한 경우에서 대퇴부 동통과 응력방패가 발생하였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results of patients who received revision total hip arthroplasty using cementless femoral stem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ncluded 26 patients who underwent revision total hip arthroplasty using a cementless femoral stems in our hospital, between Jan 2000 and May 2010, and were able to be evaluated in the final follow-up. The mean age was 63.8 years at the time of the revision surgery, and the follow up period was an average of 45 months. The causes of revision were aseptic loosening in 11 cases, periprosthetic fracture in 6 cases, femoral osteolysis in 6 cases, and infection in 3 cases. The radiologic results were evaluated in term of subsidence, loosening, and the stress shielding. The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by the Harris hip score and thigh pain. Results: Harris hip score improved from 41.2 points preoperatively to 85.8 points at the final follow-up. There were 5 cases that complained of thigh pain at the last follow-up. Subsidence of femoral stem of more than 10 mm was observed in 3 cases. Stress shielding was noticed in 6 hips. The 3 grafted strut allografts were completely fused with the host bone. Complications included 2 cases of intraoperative periprosthetic fracture and 3 cases of dislocation. Conclusion: We obtained favorable clinical and radiologic outcomes in revision total hip arthroplasty using a cementless femoral stems. However, thigh pain and stress shielding resulted from the diameter of femoral stem being too large.

      • 고령의 환자에서 발생한 대퇴골 전자간 불안정골절에서 활강 고 나사를 이용한 치료-소전자부 고정과 방사선학적 결과

        정영률, 안용철 김희동 대한고관절학회 2002 Hip and Pelvis Vol.14 No.1

        Treatment of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 of the Femur UsingSliding Hip Screw in the Elderly- Fixation of lesser trochanter and radiographic results-Young Ryool Chung, M.D., Yong Cheol Ahn, M.D., Hee Dong Kim, M.D

      • KCI등재
      • KCI등재

        AML® 인공삽입물을 이용한 인공고관절 전치환술: 생존한 환자의 최소 20년 추시

        임채현,정영률,김대희,안상호,김민욱 대한정형외과학회 201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7 No.6

        Purpose: We reviewed the radiological outcomes and survival rate of the total hip arthroplasty (THA) with AML® (Anatomic Medullary Locking, DePuy, Warsaw, IN, USA) hip prosthesis on long-term follow-up.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y 1988 to December 1990, 93 hip arthroplasties were performed on 77 patients in our hospital. In this study, 30 patients, of whom 41 hips underwent the procedure, were alive and able to be included. Follow-up was average of 21.4 years. The mean patient age was 45 years (35-60 years) at the time of operation. Of the hip procedures included in our study,the reasons for THA were osteonecrosis of the femoral head in 25 hips, rheumatoid arthritis in 3 and acetabular dysplasia in 2. We analyzed the wear rate of the polyethylene, osteolysis of the femur and acetabulum and stress shielding of the femur on the followup radiographs.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survival rate of the prosthesis and causes of revision in the last follow-up. Results: The polyethylene wear rate of the surviving acetabular cup was 0.15 mm/yr. Acetabular osteolysis was detected in 33 hips and was mostly in zone 2 and 3. Femoral osteolysis was showed in 32 hips in zone 1 and 7. Stress shielding over grade 3 was found in 5 of 21 femoral stems in over 13.5 mm in diameter. The grade of stress shielding did not progress with follow-up. Of the 33 hips,26 (63.4%) cups were revised for polyethylene wear and osteolysis. There were 6 (21%) femoral stems revised for osteolysis. Conclusion: The cause of a high revision rate of the prosthesis was polyethylene wear and osteolysis. We predict that THA using AML® prosthesis with wear-resistant bearing surfaces could increase the survival rate on long-term follow-up over 20 years. 목적: 인공삽입물 AML® (Anatomic Medullary Locking, Deupy)을 이용한 인공관절 전치환술 후 생존한 환자를 대상으로 삽입물의 생존율과 방사선 결과를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8년 5월부터 1990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인공고관절 치환술을 시행한 77명 중 생존한 30명 4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추시 기간은 평균 21.4년이었다. 결과: 생존한 비구컵의 폴리에틸렌 마모율은 0.15 mm/년이었다. 비구 골용해는 33예에서 관찰되었으며, 대퇴골 골용해는 32예에서 관찰되었다. 대퇴골의 응력방패는 모든 예에서 관찰되었으며, 삽입물의 직경이 13.5 mm 이상인 21예 중 5예에서 3등급 이상의 응력방패가 관찰되었다. 응력방패의 등급의 변화는 1예를 제외하고 증가는 없었다. 비구컵의 재치환술은 26예(63.4%)에서 시행하였으며, 1예는 재발성 탈구가 원인이었으며 25예는 폴리에틸렌 마모와 골용해가 원인이었다. 대퇴골 삽입물의 재치환술은 6예(21%)에서 시행하였으며 원인은 골용해였다. 결론: AML® 삽입물을 이용한 인공고관절 치환술은 폴리에틸렌의 마모에 의한 골용해로 재치환율이 높았으나 해리에 의한 재치환은 없어 마모에 강한 관절면을 사용한다면 20년 이상의 장기 추시에서 생존율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한다.

      • KCI등재

        골다공증성 천골 골절에서 시멘트 보강을 이용한 경피적 천장 나사 고정

        김철환,정영률,심승우,백성년,김충영 대한골절학회 2019 대한골절학회지 Vol.32 No.4

        Purpose: The prevalence of osteoporotic sacral fractures is increasing. Traditionally, conservative treatment is the 1st option, but it can increase the risk of comorbidity in the elderly. To reduce the complications and allow early mobility, iliosacral screw fixation with cement augmentation will be one of the treatment options for patients with osteoporotic sacral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reviewed 25 patients (30 cases) who had undergone percutaneous iliosacral screw fixation with cement augmentation for osteoporotic sacral fractures from July 2012 to December 2018 with a minimum follow up of six months. The clinical outcomes were assessed using the measures of pain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 hospital stay and the date when weight-bearing started. All patients were evaluated radiologically for pull-out of screw, bone-union, and cementleakage. Results: Bone union was achieved in 30 cases (100%). The mean duration of the hospital stay was 24 days (4-66 days); weight-bearing was performed on an average nine days after surgery. The VAS scores immediately (3.16) and three months after surgery (2.63) were lower than that of the preoperative VAS score (8.3) (p<0.05). No cases of cement-leakage or neurologic symptoms were encountered. Two patients (6.7%) experienced a pulling-out of the screw, but bone-union was accomplished without any additional procedures. Conclusion: Percutaneous iliosacral fixation with cement augmentation will be an appropriate and safe surgical option for osteoporotic sacral fractures in the elderly in terms of early weight-bearing, pain reduction, and bone-union. 목적: 골다공증성 천골 골절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는데, 치료로는 비수술적 치료를 주로 시행하였다. 보존적 치료는 욕창, 폐색전증 등의 위험성을 증가시킬 수 있어 저자들은 골다공증성 천골 골절에서 시멘트 보강을 이용한 천장 나사 고정이 적절한 치료 방법이 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2년 7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골다공증성천골 골절에서 시멘트 보강을 이용한 경피적 천장 나사 고정을 시행 받은 25명의 환자(30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최소추시 기간은 6개월이었다. 임상적 평가는 수술 전후 통증 변화 및 재원 기간, 체중 부하 시작 시기를 조사하였고, 방사선학적으로는 골유합과 나사 풀림, 척추관 및 신경공으로의 시멘트 누출을 평가하였다. 결과: 시멘트 보강을 이용한 경피적 천장 나사 고정을 시행한30예에서 30예(100%)의 골유합이 이루어졌으며, 평균 골유합 기간은 15주(12-23주)였다. 평균 재원 기간은 24일(4-66 일)이었으며, 체중 부하는 평균 9일(4-26일)이 걸렸다. 통증은 수술 전(8.3)과 비교하였을 때 수술 직후(3.16)와 수술 3개월 후(2.63)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시멘트 누출과 신경학적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2예(6.7%)에서 나사 풀림이 확인되었으나 추가적인 수술 없이 골유합이확인되었다. 결론: 골다공증성 천골 골절 환자에서 시멘트 보강을 이용한경피적 천장 나사 고정은 통증 완화, 조기 보행 및 높은 골유합률에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였기에 하나의 치료 방법으로고려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