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일과 문화국가원리의 실현

        정상우(Chong, Sangwoo) 한국비교공법학회 2018 공법학연구 Vol.19 No.3

        이 연구는 한국 헌법의 문화국가원리와 평화통일원리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문화국가원리가 통일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문화국가원리는 분단국가에서 일정한 한계를 드러내기도 했지만, 궁극적으로 통일의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통일은 문화공동체의 통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문화국가 실현의 전제가 된다. 문화국가원리는 문화적 차이에 따른 편견과 차별을 예방하여 문화적 분단 상황을 극복하는데 기여하며, 남북 간 사회문화 교류협력을 촉진하여 남북한 문화공동체의 동질성을 회복시킬 것이다. 문화국가원리는 자유와 평등, 자율성과 다양성 존중, 사회․문화적 연대, 평화주의 등을 중요한 가치로 강조한다. 이러한 가치의 기반에서 문화국가원리는 통일 과정 중에 문화의 자율성과 다양성, 창의성 등을 존중하고 통일국가에서 민주주의와 법치주의를 확대한다. 통일문화공동체가 실현될 때 정치적․경제적 통일이 더욱 촉진되어 실질적인 통일이 달성될 수 있다. 나아가 문화국가원리를 통해 문화평화국가를 실현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문화국가원리가 통일에 기여하기 위한 법적 실천 과제로서, 남북문화교류의 제도화 또는 남북 간 문화협정 체결, 동아시아의 인권과 민주주의에 기여, 문화적 다양성의 존중, 문화민주주의와 문화적 지방분권의 보장, 민주시민교육을 통한 문화평화국가의 실현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nciple of a cultural nation and the principle of peaceful unification in the Korean Constitution, and to suggest a manner in which the principle of a cultural nation can make a contribution to reunification. While the principle of a cultural nation has certain limitations in a divided country, it ultimately suggests a methodology for reunification. Reunification means the integration of a cultural community, and is a prerequisite for realizing the goal of a cultural nation. The principle of a cultural nation will contribute to overcoming the state of cultural division by preventing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based on cultural differences. Moreover, it will recover the homogeneity of North and South Korea’s cultural communities, promoting social and cultural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The principle of a cultural nation, during the process of reunification, respects autonomy, diversity and creativity of culture and expands democracy and rule of law in the unified country. When a unified cultural community is realized, it will further promote political and economic reunification, which in turn will lead to achieving a substantive reunification. Furthermore, we can expect the goal of a cultural and peaceful country to be realized through the principle of cultural nation. The principle of a cultural nation puts an emphasis on freedom and equality, respect for autonomy and diversity, social and cultural engagement, and pacifism as important values. As a legal practice subject of the principle of cultural nation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reunification, this article suggest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cultural exchange or conclusion of a cultural agreement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contribution to human rights and democracy in East Asia, respect for cultural diversity, guarantee of cultural democracy and cultural decentralization, and realization of a cultural and peaceful country through democratic civic education.

      • KCI등재

        개화기 군민동치 제도화 과정 및 입헌군주제 수용 유형 연구

        정상우(Chong, Sangwoo) 한국헌법학회 2012 憲法學硏究 Vol.18 No.2

        이 글은 우리나라 개화기 입헌군주제 사상의 수용과 헌법적 문서에 규범화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개화기 입헌군주제의 수용 과정과 입헌군주제를 어떠한 유형으로 인식하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개화기 우리나라는 근대 국가의 건설을 위해 헌법개념을 수용하고 갑오개혁과 독립신문, 대한국국제 등에서 입헌군주제를 수용하고자 하였다. 개화기 입헌주의는 정치형태에 있어 군민공치 또는 입헌군주제를 의미하였으나, 유형에 대한 인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었다. 즉 개화파들은 영국식의 입헌군주제 모델을 이상으로 삼았지만, 정치 현실에 있어서는 국왕과 관료들을 중심으로 군주 중심의 입헌군주제를 대안으로 삼고 있었다. 그리고 개화파들은 자신들의 정치적 참여가 보장된다면 군주 주권의 입헌군주제를 수용하는 자세를 가지고 있었다. 즉 입헌군주제가 국왕의 권한의 제약과 의회의 존재를 전제하면서도, 황제권을 강화하고 국민국가를 건설하는 도구적 개념으로도 수용되었다. 따라서 입헌군주제를 채택해야 한다는 주장이 반드시 국왕의 권한을 제약하는 것으로 귀결되지는 않았다. 같은 맥락에서 법률은 국민의 인권 보장이 아닌 국가적 법질서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하였다. 따라서 개화기 입헌군주제의 수용 과정에서 국민과 의회의 개념은 확립되기 어려웠고, 개화파가 의회의 설립을 요구하는 경우에도 보통선거를 전제로한 것은 아니었다. 개화파들은 전제군주제와 입헌군주제 사이에서 입헌군주제를 지지하였지만, 이들이 인식한 입헌군주제는 의회의 설립과 사법부의 역할에 대해 바르게 이해하지 못했으며 국민이나 국민의 인권에 대한 이해도 미진하였다. 그 결과 개화기 입헌주의 수용의 목표는 국민국가의 수립이었으나, 헌법은 국민국가 수립을 위한 도구에 불과하였다. 입헌군주제의 수용은 헌법의 우위가 아닌 부국강병의 수단적 개념이 되었다. This writing was intended to understand how the procedure of accepting the constitutional monarchy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along with the constitutional monarchy as per se, were received by the contemporary consciousness. In doing so, both the acceptance of the concept of constitutional monarchy in Korean history and the progress during which the concept was led to the course of being ratified for the constitutional documents were reflected upon.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Korea had strived to accept the concept of constitution in order to modernize itself and worked on implementing the constitutional monarchy through the historical stages such as the Gabo Reform of 1894, the Independent Paper, and the Daehankuk Kukje(established as of Aug.17th, 1899). Constitutionalism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implicated bifunctional political system of the monarchial constitutionalism, but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it was largely divided into two different sides. In other words, the pro-enlightenment group idealized the contemporary British model of constitutional monarchy but, at the same time, considered the constitutional monarchy that centralized a monarch in respect of royal sovereignty and bureaucrats as a real alternative in countering the actual political reality. The group posed to accept the sovereignty-centered constitutional monarchy as long as their political participation was guaranteed. Hence, constitutional monarchy was accepted as a tool in empowering the emperor’s seat and constructing a democratic nation, which made sure limitation within the sovereignty’s jurisdiction and emphasized the presence of the congress. It was thus supposed that the very insistence upon choosing the constitutional monarchy meant by no means exerting to limit the power of the sovereignty. What is bordering to such supposition is an understanding that the legislation exists to secure the national law and order rather than human rights of the citizens. As a result,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the constitutional monarchy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the newly-minted concepts of ‘citizen’ and ‘congress’ had a hard time of assimilating into people’s general consciousness, and, in the event the group demanded an establishment of the congress, the universal suffrage was not something of the guaranteed condition. Between despotic monarchy and constitutional monarchy, the group opt for the latter. However, the constitutional monarchy within the hands of the group did not really understand som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like the significance behind the establishment of the congress, roles of the judiciary branch, existential value of the citizens and their human rights. Consequently, although the original purpose of accepting the constitutionalism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was to establish the democratic nation, the constitution was in fact no more than a leverage for establishing the democratic nation. The acceptance of the constitutional monarchy was really a methodological concept under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 while overlooking the value of the constitution.

      • KCI우수등재

        헌법상 문화국가원리 실현을 위한 ‘국가유산’ 법제 체계화

        정상우(Chong, Sangwoo) 한국공법학회 2020 공법연구 Vol.48 No.3

        이 연구는 헌법상 문화국가원리를 실현하고 문화재보호법의 복잡화를 극복하며, 유네스코 협약에 따른 세계유산 제도에 대응하기 위한 방법으로 국가유산 개념 정립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가유산기본법 제정의 필요성을 헌법, 국제법, 문화재보호법, 문화재행정 현실의 차원에서 제기하고, 국가유산기본법이 제정될 경우 포함시켜야 할 과제와 내용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국가유산기본법의 하위 개별법제 체계를 어떻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와 관련하여 국가유산 행정의 원리와 분류체계를 고려한 법체계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국가유산 개념의 정립과 국가유산기본법 제정이 필요한 것은 헌법의 문화국가원리 실현 이외에도 국제법상 세계유산제도와 정합성 제고, 문화재보호법의 한계 극복, 방대해지고 복잡해진 문화재행정과 조직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필요하다고 보았다. 가칭 국가유산기본법은 현행 문화재보호법을 대신하여 국가유산정책을 새로운 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신법으로 제정하고, 하위 법체계가 국가유산 유형별 법체계, 국가유산 부속 법률, 국가유산 관계 법률, 국가유산 지원 법률로 성격을 갖도록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새로운 국가유산 법체계에서는 국가유산 정책의 통일성, 체계성, 효율성이 제고되고, 공동체 구성원의 문화유산에 대한 향유 보장, 국가유산을 통한 국격 제고가 기대된다. This research attempted to establish the concept of national heritage as a way to realize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of the Cultural State, overcome the complexity of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and respond to the World Heritage System under the UNESCO Convention. To this end, the necessity of enacting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Heritage was raised in terms of the Constitution, the International Law,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ct and the reality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when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Heritage was enacted, the tasks and contents to be included were analyzed in detail. Further, a legal system considering the nature, functions and procedures of national heritage was proposed by reviewing how it was desirable to organize the lower legal system of a Framework Act on National Heritage. According to th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concept of national heritage and enact a Framework Act on National Heritage, as well as to enhance the world heritage system and consistency, overcome limitations of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and enhance the efficiency of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organization that have become vast and complicated. As a sub-law of Framework Act on National Heritage, the legal system for each type of national heritage and various laws related to national heritage were specifically proposed. In the new national heritage legal system, the unity, systemicity and efficiency of national heritage policies are expected to increase, guarantee the enjoyment of cultural heritage of community members, and raise national prestige through national heritage.

      • KCI등재

        헌법상 전통문화 규정과 국가의 문화유산 보호

        정상우(Chong, Sangwoo) 한국헌법학회 2021 憲法學硏究 Vol.27 No.3

        우리 헌법은 문화국가원리를 천명하면서 전통문화와 민족문화에 대해서는 특별한 보호를 명시하고 있다. 문화 일반에 대한 중립성 원칙과 달리 전통문화에 대한 보호 의무를 규정함에 따라 보호해야 할 전통문화의 범위를 보다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우선 헌법상 전통문화의 의미를 탐색하면서 전통문화와 문화유산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문화유산이 문화공동체의 기반이면서 공동체 구성원이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국가의 보호 의무 이외에 국민이 향유하고 접근할 수 있는 권리 측면에서도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그리고 국가가 보호해야 할 문화유산의 범위에 대한 양적 접근(보호범위)과 질적 접근(보호수준)을 나누어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소수의 문화유산을 우선 보호하는 중점보호주의보다는 대장주의가 바람직하고, 원형유지에 한정하지 않고 지속가능하면서도 주변 경관과 함께 보호하는 원칙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문화유산에 대한 국가의 보호범위 확대 경향을 살펴보면서 이를 체계화할 수 있는 입법 체계로서 기본법 제정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비교헌법적으로 보아도 전통문화보다는 문화유산의 보호를 헌법에 규정한 경우가 다수라고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헌법개정시 문화유산 용어의 사용 필요성에 대해 제안하였다. The Korean Constitution explicitly emphasizes the special protection of traditional culture and ethnic culture, unlike the principle of neutrality in culture. Accordingly the scope of traditional culture that should be protected needs to be further embodied. In this article, we explored the meaning of traditional culture in the Constitutional law and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culture and heritage. In relation to the scope of traditional culture or cultural heritage that the state should protect, standards were presented regard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anges. In addition, we would like to propose the necessity of enacting a basic law as a legislative system that can systematically expand the scope of protection for traditional culture and cultural heritage. Furthermore, we proposed the need to use heritage terms when revising the Constitution. Even in comparative constitution, the term cultural heritage is more commonly used than traditional culture.

      • KCI등재

        논문(論文) : 다문화교육을 위한 법체계 분석과 입법 대안 모색

        정상우 ( Sangwoo Chong ),박지인 ( Jiin Park ) 대한교육법학회 2015 敎育 法學 硏究 Vol.27 No.2

        한국 사회는 이주민의 지속적인 증가로 다문화사회에 대비한 다양한 법령이 제정되거나 정비되고 있으며 다문화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다문화교육은 다문화정책 중의 일부이기도 하지만, 다문화교육의 개념 속에 차별금지, 사회적응 지원, 교육개혁 등 교육법적 관점이 내포되어 있기 때문에 독자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취지에서 이 글에서는 다문화교육이 관련 법령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특히 다문화교육의 의의와 취지를 잘 구현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교육의 의의를 소개하고 다문화교육의 내용요소를 제시하였으며, 미국의 다문화교육과 관련한 대표적인 입법례에서 시사점을 얻은 후, 이들을 기초로 다문화교육 관련 법령에서 다문화교육이 구현되는 양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교육의 내용요소를 이주민에 대한 차별 금지, 사회적응을 위한 교육 지원, 학습권의 실질적 보장, 모든 학생 및 사회구성원 일반에 대한 다문화이해교육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다문화교육이 이주민에게 한정되어 강조되고 있었고 복지 차원으로 인식하는 경향을 띠고 있었다. 그리고 이주나 국적 이외의 다양한 문화적 배경에 대한 다문화교육, 모든 학생과 시민을 위한 다문화이해교육은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교육의 대상 및 범위 확대, 이주민에 대한 이중언어교육과 적극적 우대조치, 다문화이해교육의 강화, 독립된 다문화교육지원법의 제정 등을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In Korean Society, a variety of statutes have been enacted an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has been stressed in preparation for the multi-cultural society due to the sustained increase in migrants. Even i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s considered to be a part of the multi-cultural policy, as the concept of multi-cultural education implies the point of view from the law of education such as non-discrimination, support of social adaptation, education reforms etc., it is necessary to examine it on its own. For this purpose, this paper wanted to examine how the multi-cultural education has been implemented in the relevant legislation, in particular whether the significance and purpo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have been implemented well. In order to achieve them,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aspects of how this multi-cultural education has been implemented critically on the basis of extracting the content elem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obtaining the implications of the representative cases of legislation in the U.S.A.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ignifica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it was possible to organize the content elem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to the non-discrimination, ensuring the right of education along with the educational support, training support for social adaptation, and educating all students and general members in multi-cultural understanding. However, this country appeared tha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has been limited only to the migrant people and showed a tendency to recognize it only at the level of welfare.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on more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than that of migrants and the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of all students and citizens were insufficient. Accordingly, this study proposed expanding the target and scope of multi-cultural education, bilingual education and the affirmative action for migrants, strengthening the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and the legislation of the independent multi-cultural education acts as the measures of improvement.

      • KCI등재

        정교분리 원칙의 모델에 관한 비교헌법학적 연구

        정상우(Chong, Sangwoo) 한국헌법학회 2014 憲法學硏究 Vol.20 No.1

        이 글에서는 서구의 다양한 정교분리 모델이 되는 영국, 독일, 미국, 프랑스의 정교분리 내용을 비교 검토함으로써 우리나라의 다종교 상황에서 정교분리 원칙의 의미와 적용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영국에서는 국교 인정에도 불구하고 영국 국교회에서 발전된 다른 종교에 대한 관용성으로, 독일에서는 국가와 종교 간의 파트너십과 종교의 자율성 및 정부의 중립성의 보장으로 각각 완화된 정교분립의 모습을 띠고 있다. 미국은 헌법 제정 당시부터 정부와 종교의 '분리의 벽' 이론을 토대로 엄격한 분리 이론이 발전하였으나 국민 일반의 자율적인 선택을 전제로 한 종교에 대한 배려의 강화라는 특징을 갖게 되었다. 프랑스는 '라이시테 원칙'에서 발전한 엄격한 정교분리로 세속주의의 지나친 강조가 특징으로 나타나고 있다. 어느 국가이든지 정교분리 원칙의 생성과 발전에는 각 국가의 헌정사의 특징이 내포되어 있었고, 정교분리에도 불구하고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고 종교의 사회적 기능을 촉진하는 정부의 배려가 긍정되고 있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헌법 제정 당시 정교분리 조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논의가 깊지는 못했던 것으로 보이고, 실제 정부의 종교 정책에 있어서 2-3개의 공인종교에 대해 교육, 문화, 복지 분야의 지원 정책이 있어왔다. 우리나라의 정교분리 조항의 도입과 실천과정을 보았을 때 엄격한 분리로 나아가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으나 정부의 종교 지원에 대한 종교 간 형평, 종교 단체에 대한 정부의 세속적 지원의 종교 목적 전용 제한, 정부의 종교 지원에 대한 중립성 강화 등은 앞으로 정교분리 원칙의 적용시 해결되어야 할 과제로 보았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duct the implications of the meaning and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religion and state in the multiple religions situation of Korea by comparing and reviewing the separation of religion and state of the United Kingdom, Germany, the United States and France, which becomes various separation of religion and state models of the West. In the United Kingdom, even though a state religion has been recognized, there is a moderate separation of religion and state by generosity toward other religions developed from the Church of England. Also, Germany has a moderate separation of religion and state by partnership between the religion and state, the religion's autonomy and the government's neutrality. In the United States, the government and religion were strictly separated based on a theory of "wall of separation" at the time of establishing the Constitution, but it was characterized by reinforcement of consideration for religion premised on people's autonomous choice. In France, there was a strict separation of religion and state developed by the 'Laïcité' principle, and it is characterized by excessive stressing of secularism. In the process of generation and development of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religion and state characteristics of each state's constitutional history were contained. Notwithstanding the separation of religion and state, there is the government's positive consideration to guarantee freedom of religion and to affirm religion's social function. In Korea, on the establishment of the Constitution, the separation of religion and state didn't seem to be properly recognized, notwithstanding the provision of the separation of religion and state. Actually, the government's religion policies include the religion support policy of two or three religion-centric education, culture and welfare sectors. Seen from the process of introducing and practicing the provisions related to the separation of religion and state in Korea, it seems difficult to make a strict separation of religion and state. Problems about the fairness of religion in the government's religion support, diversion limit of purpose of government's religion support, and reinforcement of the government's religious support neutrality must be solved when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religion and state applies.

      • KCI등재

        근현대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법정책학적 연구

        정상우(Sangwoo Chong),임초롱(Cho-long Lim)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法學硏究 Vol.21 No.1

        현행 「문화재보호법」 체계 하에서 근현대문화유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등록문화재 제도가 2001년 도입되어 운영되고 있다. 등록문화재 제도는 근현대문화유산의 보전과 활용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를 받고 있는 한편 제도적 한계 및 법적 공백으로 인한 보완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대두되기도 하였다. 최근에는 「한옥 등 건축자산의 진흥에 관한 법률」, 근대건조물 또는 미래유산 관련 지방자치단체의 조례 등도 제정되어 근현대문화유산을 보호하는 법체계가 발전되어 왔다. 이 연구는 근현대문화유산을 보호하기 위한 법체계를 평가하고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근현대문화유산을 보호하기 위한 철학적 기초로서 근현대문화유산 보호 원칙과 근현대문화유산의 유형을 새롭게 하고자 하였다. 보호 체계에 있어 시·도등록문화재 제도, 현대문화유산이라고 할 수 있는 예비문화재 제도, 근현대문화유산의 면 중심 보호를 위한 근현대문화유산지구 지정 제도 등을 신설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등록문화재의 적극적 보호를 위해 행정명령, 수리 명령, 안전 기준 마련 등을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이 외 등록문화재의 활용 권장을 통한 지정문화재와의 차별화를 시도하고 국민의 자발적 보호와 문화향유 기회를 확대할 것을 제안하였다. Under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2001), a registration system was introduced to protect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in Korea. The registered cultural property system has been evaluated positively because it has laid the basis for preserving and utilizing modern and cultural heritage. Although the necessity of supplementing due to institutional limitations and legal vacancies has been continuously arising. In recent years laws and local government ordinances have been enacted, such as The Act on Promotion of Building Properties such as Hanok, in order to develop and protect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legal system in place to protect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 In order to protect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this study breaks down protection principles and proposes the protection of buildings and property equally. This study further proposes a city cultural property registration system, a preliminary cultural property system for so-calle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and a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district designation system for protecting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To actively protect registered cultural heritage, this study gives specific examples of administrative orders, repair orders, and safety standards. It proposes differentiation of cultural properties through the use of a cultural heritage registration system, and recommends the expansion of opportunities for people to voluntarily protect cultural properties.

      • KCI등재

        청소년 정치참여의 소통 플랫폼으로서 청소년의회 고찰: 청소년의회 조례 분석과 평가를 중심으로

        이윤주 ( Lee Yoonjoo ),정상우 ( Chong Sangwoo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4

        이 연구는 청소년의 정치참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에 대한 제도적 마련이 확산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론적 배경과 실천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청소년의 정치참여를 더욱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이론적 배경으로서 유엔아동권리협약 제12조의 아동의 의견이 청취되어야 할 권리를 논의의 시작점으로 하여 유럽과 한국의 청소년 참여기구 모델을 검토한 후,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고 있는 청소년의회에 관한 조례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함으로써 청소년의 정치참여 확대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사회 내 청소년들이 자신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정책이나 자신이 속한 지역 공동체의 문제에 스스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성인과 연계된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활동 또는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조례에 대한 분석과 평가는 청소년들의 참여권을 확대하는데 시사점을 주는 한편 궁극적으로는 조례 제ㆍ개정을 유도함으로써 청소년들의 청소년의회 참여를 확대하고 나아가 청소년들이 민주시민으로 성장 발달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youth participation in the policy decision making process and to explore how to facilitate youth participation. In order to do this,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of regulation about youth assembly based in local community society.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suggests several basic strategies to activate and improve youth political participation in local community; strengthening the initiative of youth based on institution such as regulation, implementing youth's self-governing through sustainable participation, and self-development through various participation experience. Therefore, these strategies will show that youth participation bring in positive changes such as increasing citizenship skills; community consciousness, trust, political efficacy and self-governing.

      • KCI등재

        일반논문 : 다문화사회 이주노동자에 대한개신교 교회의 역할 연구 -랄프 윈터(Ralph D. Winter)의 개신교 교회의 모델 중심으로-

        장영신 ( Youngshin Jang ),정상우 ( Sangwoo Cho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문화연구 Vol.21 No.2

        1980년대 이주노동자가 한국에 본격적으로 유입된 이래로 개신교 교회는 예배와 선교 이외에도 교육과 봉사, 인권 보호 등의 다양한 차원에서 이주노동자들을 지원하여 왔다. 1990년대 초반 이주노동자의 인권과 교육 면에서 가장 먼저 관심을 가진 지원 그룹은 종교단체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그 중에서도 개신교의 활동이 주도적이었다. 이후 개신교 교회는 종교 전파 차원과 더불어 이주노동자들의 한국 적응 교육과 인권 신장 등에 많은 기여를 해 왔다. 그러나 개신교 교회의 일정한 유형에 따라 이주노동자들에 대한 다문화적 교육활동과 역할이 서로 다른 내용을 갖기도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교회의 유형에 따라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의 차이와 각각의 한계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밝히기 위해 이주노동자를 대상으로 활동하고 있는 교회를 6곳 선정하여 랄프 윈터(Ralph D. Winter)가 말한 소달리티 교회와 모달리티 교회 및 양자를 절충한 절충형 교회로 구분하고 각각의 역할과 한계를 살펴보았다. 교회에서 이주노동자에 대한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사람들과 인터뷰를 한 결과, 교회의 유형에도 불구하고 이주노동자에 대한 인식과 지원 목적은 유사하지만, 이주노동자를 위한 교회의 역할과 이주노동자 교육 및 지원에 대한 구체적 내용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음을 밝히고 각각의 한계와 개선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Since the influx of immigrant workers flowed into Korea full-scale in the 1980s, the Protestant Church has supported immigrant workers in various ways such as education, service and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in addition to worship and missionary work. In the beginning of the 1990s, most support groups that were initially interested in human rights and education for immigrant workers were religious groups, and the activities of the Protestant Church took the lead among them. Since then, the Protestant Church has greatly contributed to immigrant workers, helping them adapt to life in Korea and providing education to improve their human rights in addition to the spread of religion. However, multicultural education activities and roles of immigrant workers have various contents in accordance with certain types of the Protestant Church.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perception differences i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ir limitations. In order to investigate this, we selected six churches that serve immigrant workers, and divided them into the Sodality church and the Modality church by Ralph D. Winter and the types comprised by those churches, and examined the roles and limitations of each church. As a result of conducting interviews with people in charge of education for immigrant workers in the churches, while the perception and the purpose of support for immigrant workers are similar in spite of the type of church, we fou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details of the roles of the churches regarding immigrant workers and the education and support for immigrant workers, and discussed their limitations and the direction for improvements.

      • KCI등재

        교권의 개념과 침해 구제방안

        조기성 ( Cho Kiseong ),정상우 ( Chong Sangwoo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문화연구 Vol.22 No.6

        본 논문은 학교 붕괴의 원인이 되고 있는 교권 침해에 대한 의미와 교권 보장 내용을 명확하게 하고 교권 침해시 구제방안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최근 교권 침해 사건 증가로 인해 교권 개념이 주목되고 있는 바, 학자들이 주장하는 교권 개념과 시·도 조례, 시·도 교육청의 매뉴얼에서 규정하는 개념 사이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교권을 교육 법령에 의해 보장된 교사의 교육권 또는 인권 그리고 신분상 또는 직무상 특권 등이 침해되어 교사의 권위가 훼손됨으로써 결과적으로 학생의 학습권이 침해되는 경우로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첫째, 법령에서 교권 개념을 어떻게 인식하고 도입했는지 관련 법령들을 비교 분석하고, 둘째, 실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지침이 되는 시·도 교육청의 매뉴얼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셋째, 교권 침해시 구제 방안에 있어 보완되어야 할 사항들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significance of the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which is one of the causes behind collapsing schools, and clarifying the coverage of teachers` rights. Different perspectives on teachers` rights exist among lay people, scholars, and municipal offices of education, which may generate confusion and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teachers` right. First, this study conceptualizes teachers` rights, reviewing related concepts and theories. Second, it compares and analyzes how related acts of law define and interpret teachers` rights. Third, it analyzes different manuals on teachers` rights from different municipal offices of education. Fourth, it seeks to lay out the coverage of teachers` rights to help protect teachers. Fifth, it proposes that related manuals be unified and standardized to protect teachers` rights in eff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