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교육 교육과정 자율화의 실행 과제와 운영 방향 탐색

        정동영 ( Dong Young Chu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1 지적장애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단위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자율화를 지원하기 위해 ``2010년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도입된 자율화 실행 과제와 그 운영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2010년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은 단위 학교에 학교의 실정과 학생의 요구에 적절한 학년군제, 교과군제, 교과 집중 이수제, 수업 시수 자율 증감제, 선택 교과제, 창의적 체험활동 등의 실행을 통해 교육과정 자율화를 모색할 것을 요구하며, 단위 학교에서 특정 교과의 이수 학년과 이수 학기, 교과의 통합 여부나 정도, 보충 학습 과정의 설치 시기와 운영 방법, 선택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의 과목이나 활동 및 운영 방법 등을 결정하여 교육과정을 운영할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특수교육 교육과정 자율화는 단위 학교에서 양적으로 확대된 다양한 방안보다 구성원들의 자율적인 성찰을 토대로 하나의 실행 과제만이라도 질적으로 충실히 운영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ractical tasks and management direction of autonomy of ``2010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o support autonomy of school-based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2010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requires exploration on autonomy of curriculum by implementing grades band system, subjects cluster system, concentrated subject system, autonomy instruction time system, optional subject system,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and so on appropriate for actual circumstances of school-based special school curriculum and needs of students for autonomy of curriculum. Second, ``2010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requires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through determining course credits and semester of certain subjects in school, whether to include the subject and degree of it, time to install course of remedial education and how to implement it, and subject, activity, and ways for implementing optional subject and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for autonomy of curriculum. Hence, practical tasks from autonomy of curriculum introduced in ``2010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require ways differently adopted and implemented according to circumstances of school and needs of students. Therefore autonomy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achieved by management even one practical tasks faithfully in quality on the basis of autonomical consideration of members of school rather than various ways expanded quantitatively in school.

      • KCI등재

        최소 제한적 환경의 개념 진전과 그 함의 재고

        정동영 ( Dong Young Chu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8 No.4

        본 연구는 최소 제한적 환경의 개념에 대한 논쟁을 통하여 이 개념이 어떻게 진전하고 있으며, 그 진전이 장애학생의 배치 결정에 어떤 함의를 주는지를 재고하는데 목적을 두고있다. 본 연구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최소 제한적 환경의 개념에 대한 학문적.사법적 논쟁을 통하여 진전된 내용을 탐색하고, 그 함의를 재고하는 것을 연구구문제로 선정하고, 문헌연구를 통하여 문제를 해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소 제한적 환경의 개념은 학문적 논쟁에 따라 처음에 물리적 접근을 강조하던 개념에서 최근 사회적 관계와 사회문화적 맥락을 강조하는 개념으로 진전하였다. 둘째, 최소 제한적 환경의 개념은 사법적 논쟁에 따라 처음에 장애학생의 교육적 이익을 강조하던 개념에서 최근 장애학생과 일반학생 모두의 교육적 이익을 강조하는 개념으로 진전하였다. 따라서 현재 최소 제한적 환경의 개념은 장애학생의 배치를 장애학생의 교육적 이익과 일반학생의 교육적 이익을 모두 고려하여 결정하되, 이들의 사회적 관계와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한다고 요구하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out how the concept of the least restrictive environment is evolved and what the evolution implies on determination for plac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roughout debate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take reviewing the evolved contents through academic and judical debates about the least restrictive environment and inquiring its implication as its considerat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ppeared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the least restrictive environment evolved from the concept which was emphasizing physical access to the concept which is emphasizing transformation of the social relationship and social-cultural context according to academic debates. Second, the concept of the least restrictive environment evolved from the concept which was emphasizing educational benefi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only to the concept which is emphasizing educational benefits of both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ccording to judical debates. As stated above, the concept of the least restrictive environment reflect not only physical environment but also social relation and social-cultural context through debates. Therefore, the current concept of the least restrictive environment requires that the plac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consider their peers`` educational benefits as well as their educational benefits and social relationship and social-cultural context should be transformed.

      • KCI등재

        미국의 지적장애학생 중등과정 이후 교육 현황과 함의

        정동영 ( Dong Young Chu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2 지적장애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적장애학생들의 중등과정 이후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미국의 지적장애학생 중등과정 이후 교육과 관련된 법률과 그 현황을 고찰한 다음, 미국의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중등과정 이후 교육 현황과 실제를 분석하고, 그 함의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 미국의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중등과정 이후 교육경로와 교육모형의 현황과 실제는 우리나라 지적장애학생의 중등과정 이후 교육의 기회를 확대하기 위하여 중등학교와 대학에 이중 또는 동시 등록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육경로를 다원화하며, 혼합·혼성모형과 통합모형을 개발하여 교육모형을 다양화하고, 이를 위하여 인간중심계획, 교육적 코칭, 멘토링 등을 제도화하는 일이 필요함을 함의해 준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최근 증대되고 있는 지적장애학생들의 중등과정 이후 교육을 위하여 미국의 현황과 실제를 토대로 미국의 지적장애학생 중등과정 이후 교육모형은 우리나라에 지적장애학생들의 중등과정 이후 교육을 위하여 교육경로와 교육모형을 다양화하고, 우리의 실정에 적합한 지원 제도를 마련하는 일을 서둘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legislation and its current status of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U.S.A, analyse its current states and practices and analyse out a implication to seek a way of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current states and practices of educational paths of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U.S.A implicate that Korea need multiple ways for expanding opportunity of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by not only having college-initiated program and individual- or family-initiated supports program but also developing dual or concurrent enrollment program Second, current states and practices of educational models of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U.S.A implicate that Korea should diversify educational model by developing mixed/hybrid model and inclusive individual model as well as separate model, and then, to achieve these, Korea need to establish person-centered planning and systematize educational coaching and mentoring and so on. Therefore Korea must rush in preparing legislation and system appropriate for its actual condition to deal with increasing needs of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recent years based on current states and practices in U.S.A.

      • KCI등재

        초등학생의 읽기이해력 발달에서 글자판별과 단어재인의 역할

        정동영 ( Chung Dong-young ),김정민 ( Kim Jung-min ),김석진 ( Kim Suk-jin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6 No.3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읽기이해력 발달에서 글자판별과 단어재인의 역할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의 14개 시·도의 표집된 초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1~6학년 아동 중에서 저학년군(1~2학년) 아동 193명, 중학년군(3~4학년) 아동 195명, 고학년군(5~6학년)으로 총 579명이다. 학년군별로 읽기이해력과 글자판별과 단어재인 능력에 관한 조사를 실시한 후 일원분산 분석과 Pearson 상관계수 분석,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읽기이해력과 글자판별, 단어재인 능력은 학년군별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발달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의 읽기이해력과 글자판별 능력, 단어재인 능력은 상호 간에 유의한 상관을 가지고 있고, 특히 통문자변별과 철자지식은 읽기이해력과 가장 상관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초등학생의 글자판별과 단어재인 능력은 읽기이해력을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특히 통문자변별 능력과 철자지식이 읽기이해력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요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밝혀졌다.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verify the role of letter identification and word recognition in development of reading comprehens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ata was collected by a survey about letter identification and word recognition for reading comprehens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e 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dminister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revealed in reading comprehension, letter identification and word recognition based on the age of the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letter identification and word recognitio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one another. Particularly, whole word distinction and orthographic knowledge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to reading comprehens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fro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reading comprehension was explained by the subordinates of letter identification and word recognition. Whole word distinction and orthographic knowledge had a higher effects on reading comprehension when compared to other subordinates.

      • KCI등재

        통합의 패러다임에서 본 정상화의 유산과 함정

        정동영 ( Dong Young Chu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0 지적장애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정상화가 통합의 구축에 적합한 토대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통합의 패러다임에서 정상화의 유산과 함정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목적으로서의 정상화와 수단으로서의 정상화에 포함된 유산과 함정이 무엇인가를 밝히는 것을 연구문제로 선정하고, 문헌연구를 통하여 문제를 해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목적으로서의 정상화는 장애인의 통합을 촉진하고 장애인을 위하여 환경을 바꿔야 하며 장애인의 권리를 인정하고 장애인을 위하여 법과 제도의 변화를 도모하여야 한다는 유산을 남겼지만, 정상이라는 단일가치를 지향하여 차이를 무시하고 장애를 일탈로 간주하며 장애인을 평가 절하하는 함정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수단으로서의 정상화는 사회에 조정을 요구하며 장애인의 참여를 요구하고 공공의 관심을 요구하며 사회의 수용능력 증대를 요구하는 유산을 남겼지만, 정상화의 대상을 개인으로 보며 정상적인 수단을 강조하고 프로그램 관계자들의 책임을 요구하며 장애인에게 준비를 요구하는 함정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통합은 장애인을 정상화시켜야 한다는 목적으로서의 정상화와 정상적인 수단을 이용하여야 한다는 수단으로서의 정상화에 포함되어 있는 함정을 극복하여야만 제대로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gacy and pitfall of normalization by the paradigm of inc1usion for investigating if the normalization is appropriate foundation for establishing the inclus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selects its research question as what is the legacy and pitfall which is included in normalization both as the purpose and as the mea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normalization as the purpose bequeaths the legacy that boosts inclusion and changes of environment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recognizes the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promotes the change of laws and systems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On the other hand, it has pitfall that ignores differences because it aims at normal as its single value and devaluates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because it regards disabilities as deviant. Second, the normalization as the means has its legacy in a regard that it requires the accommodation of society and particip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it also requires the public attention and the increase of social acceptability. But it is reveled that it has pitfall that it considers the subject of normalization as individual people, emphasizes the normal methods and requests the prepar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erefore, the inclusion should overcome the pitfall that it should normalize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perspective of the normalization as the purpose and it should use normal means in the perspective of the normalization as the means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inclusion properly.

      • KCI등재

        초등학교 특수교육 교사와 일반교육 교사의 교과 특성 인식 및 수업행동 특징 비교

        정동영(Chung Dong-young),김상민(Kim Sang-min)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8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특수교육 교사와 일반교육 교사의 교과 특성 인식과 수업행동의 특 징을 분석하고, 그들의 교과 특성 인식과 수업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 구는 전국의 초등학교 특수교육 교사 97명과 일반교육 교사 83명을 연구 대상으로 조사 연구를 실 시하여 이들의 교과 특성에 대한 인식과 수업행동을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특수교육 교 사와 일반교육 교사는 교과의 정적 특성을 정의된 특성과 계열적 특성보다 더욱 중요하게 인식하 지만, 특수교육 교사는 일반교육 교사보다 교과의 정적 특성을 더욱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리고 특수교육 교사와 일반교육 교사는 수업행동에서도 상호작용 활발성을 가장 중요시하고, 그 다 음으로 수업절차 개별화를 중요시하지만, 특수교육 교사는 수업절차의 개별화를 일반교육 교사보다 더욱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육 교사의 수업행동과 그 구성요소는 모두 교과의 정적 특성과 체계적 특성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더 많이 받는 반면, 일반교육 교사의 수업행동은 교과의 정의적 특성과 계열적 특성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더 많이 받으나, 그 구성요소는 각각 다 른 특징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특수교육 교사는 일반교육 교사와 교과 특성에 대한 인식 과 수업행동에서 공통점을 지니고 있지만, 일반교육 교사보다 교과의 정적 특성을 더욱 중요하게 인식하고, 수업행동에서 개별화를 더욱 중요시하는 특징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교과 특성의 인식에 따라 이들의 수업행동도 달라진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subject matter characteristics of the element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to investigate relations between the perceptions of subject matter characteristics and teaching behaviors of them. This study selected 97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83 general education teachers elementary schools in Korea and analyzed the perception of subject matter characteristics and teaching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 the static characteristics of subject matter as more important than the defined and sequential characteristics. However, special education teachers place more emphasis on the static characteristics of subject matter than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put a bigger emphasis on the interaction activity in the teaching behaviors and then the individualization of the teaching process. However, special education teachers place more emphasis on the individualization of the teaching process than general education teachers. Second, the teaching behavior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re more influenced by the perception of the static characteristics of subject matter and the perception of the sequential knowledge characteristics of subject matter. However, the teaching behaviors of general education teachers are more influenced by the perception of defined characteristics of subject matter and the perception of the sequential knowledge characteristics of subject matter.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ve commonality in perception of subject matter characteristics and teaching behaviors of general education teachers. However, special education teachers are more aware of the static characteristics that are essential contents in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 matter than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show the importance of individualization in the teaching behaviors. The teaching behavio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 matter of these teachers.

      • KCI등재

        특수교육 교사의 과학교육 신념과 과학의 본성 인식 특성

        정동영(Chung Dong-young),이철우(Lee Cheol-woo)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0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eliefs of science education and the perception of science nature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achieve these purpose, 133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selected and the belief in science education and the nature of science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beliefs about science education are that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Classroom are stronger than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school ,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stronger than Secondary teachers.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for Nature of Science are that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Classroom and elementary school are higher than special education school and Secondary school. This is because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Classroom and elementary school have easy access to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Third, The ratio of Traditional recognition and Mixed recognition is that special education school is more than Special education Classroom, and Secondary school is more than elementary school. Therefore,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beliefs about science education and perception for Nature of Science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where teachers work. 본 연구는 특수교육 교사의 과학교육 신념과 과학의 본성 인식의 특징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전국에서 특수교육 교사를 선정하여 ‘과학교육 신념 및 과학 본성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 특수교육 교사의 과학교육 신념은 특수학급 교사들이 특수학교보다 더 강하고, 초등학교 교사들이 중․고등학교 교사보다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수교육 교사의 과학의 본성 인식도 일반교육 교육과정 접근이 용이한 특수학급과 초등학교의 교사들이 특수학교와 중·고등학교 교사들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특수교육 교사들은 특수학급보다 특수학교의 교사들이, 초등학교보다 중·고등학교의 교사들이 전통적 인식과 혼합된 인식을 가진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특수교육 교사의 과학교육 신념 및 과학의 본성 인식은 교사들이 근무하는 학교 특성에 따라 다르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지적장애학교 교사의 2011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교과용 도서 평가 및 만족도 분석

        정동영 ( Dong Young Chung ),김영석 ( Young Seok Kim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6 No.4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교 교사의 2011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교과용 도서에 대한 평가 및 만족도를 조사하는 데 목적을 두고, 지적장애학교 교사의 2011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교과용 도서에 대한 평가 및 만족도는 어떠한가?와 그들의 평가와 만족도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지적장애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의견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2011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교과용 도서는 지적장애학교 교사들로부터 체제구성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특히 교육경력이 많은 교사들보다 적은 교사들로부터 교과내용, 학생지원, 수업지원에서 유용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이들의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교과용 도서 만족도는 보통의 수준이나 초등학교과정의 교사들 중에서 교육경력이 10년 미만인 교사들의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지적장애학교 교사들의 2011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교과용 도서에 대한 만족도는 교과용 도서의 학생 지원내용, 수업 지원내용, 교사 지원내용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적장애학교 교사의 2011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교과용 도서의 평가와 만족도는 학교급별 및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교과의 내용을 전달하는 것과 학생과 교사의 수업을 지원하는 등에 유용성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A survey of 152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valuation and satisfaction of textbooks according to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revised in 2011.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valuation of textbooks according to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revised in 2011 showed that textbooks system was the highest but student support was the lowest. Special education teacher who had career of less than 10 years was more satisfied than special education teacher who had career of over 10 years on subject contents, student support, class support, availability in significant. Second, the overall satisfaction of textbooks according to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revised in 2011 was 4.15 points which was considered a normal level.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ing of school level or career variables on satisfaction of textbooks according to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revised in 2011. The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 was more satisfied than high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 Third, the satisfaction of textbooks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student support, availability, class support, teacher support in order. According to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at highschool textbook according to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revised in 2015 should be more functional, occupational. And it is important to make digital works and site to support special education teacher.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