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지체 특수학교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요구 조사

        김경애 ( Kyung Ae Kim ),문장원 ( Jang Won Moo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2 지적장애연구 Vol.14 No.2

        문화예술교육은 2008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창의적 재량활동이 전 학년에 걸쳐 주당 평균 2시간 이상의 수업 시간 수가 재량활동에 배당되어 학교의 실정에 따라 융통성 있게 운영하도록 확대되면서 부터이다. 이것이 2010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창의적 체험활동과 함께 학교 교육의 재량권이 대폭 확대되면서 개별 학교의 실정에 맞도록 재량(창체)활동 교과를 정할 수 있도록 되면서 특수학교에서 문화예술을 재량활동 혹은 교과 시간에 운영하면서 교육과정에 포함시키게 되었다. 정신지체학생의 문화예술교육이 짧은 기간 적용 운영되면서 학교 현장에서 정신지체학생에게 알맞은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의식 부족과 특수교사가 인식하고 요구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이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해 특수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정신지체학생에게 맞는 문화예술교육 내용과 방법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부산광역시에 있는 정신지체 특수학교에 근무하고 특수교사 1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조사 결과 정신지체학생 문화예술교육을 위해 문화예술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분명히 세워서 정신지체학생이 사회적, 문화적 의사소통과정에서 소외되는 경우를 예방하도록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사회 관계 형성 지원과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요구하고 있다. Art & cultural education has been offered since the revised 2008 special school curriculum allowed each school to let every student engage in two or more school hours of optional activities in a flexible way in consideration of its own circumstances. The 2010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offered creative hands-on programs and gave schools the drastic discretion to decide on which subject is taught in optional activities. So special schools are authorized to offer education on art and culture during optional activities or normal classroom hours as part of their curriculums, and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ave accordingly received art & cultural education for a short period of time. However, school administrators don`t yet have a full understanding of art & cultural education, and no studies have ever attempted to find out the wa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perceive art & cultural education and what they expect from it. The purpose of 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on art & cultural education and their needs for that in a bid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how to tailor art & cultural education to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30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special schoo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en a survey was conducted, they requested that the goal of art & cultural education and what to teach should carefully be determined to help students to build good social relationships without being left out from others, to express themselves.

      • KCI등재

        중학교 발달장애학생의 완전통합교육, 이대로 지속가능한가?

        이은별 ( Eunbyul Lee ),박승희 ( Seung Hee Park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20 지적장애연구 Vol.22 No.1

        이 연구는 서울 지역 중학교 발달장애학생의 일반학급 배치(전일제 통합학급)인 완전통합교육에 대한 통합학급 담임교사와 특수교사 집단의 지지 정도와 인식, 업무실행과 어려움 및 학생의 주요 학교생활을 질문지 조사한 예비연구이다. 질문지는 통합교육 관련 선행연구와 현직교사들과의 심층 면담 및 예비 조사를 통해 연구의 목적에 맞게 개발되었다. 2018년 5월 기준 서울 지역 특수학급 설치 공립중학교 194개교 전체의 특수교사에게 담임교사용 및 특수교사용 질문지를 배부하여 총 44명 완전통합 학생에 대한 88부 질문지 응답자료가 통계처리 되었다. 담임교사 집단이 특수교사 집단 보다 완전통합교육이 아닌 특수학급을 통한 특수교육의 필요성을 더 강하게 인식하였고, 두 집단 모두는 중학교 발달장애학생의 완전통합교육을 지지하지 않았으며 그 적절성을 낮게 평가했다. 특수교사는 완전 통합된 학생의 IEP를 작성하나 그 내용에서 교과별 장단기 목표 작성 비율이 낮았다. 완전통합교육 실행 어려움의 최상위로 담임교사는 발달장애에 대한 기본 지식 부족, 학생들 간 학력격차와 완전통합교육 필요성 확신 부족을, 특수교사는 교육과정 수정을 위한 교과교사와 협력 어려움,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이해 부족, 학생들 간 빈번한 괴롭힘을 지적했다. 특수교사의 완전 통합된 학생에 대한 지원 빈도는 낮았으며, 생활지도 보다 교과수업 관련 지원 빈도가 더 낮았다. 완전통합교육 배치 결정에 영향을 준 1순위는 학부모 요구였다. 학생들은 교과수업 학습목표를 잘 알지 못하였으며 창의적 체험활동에 보통 수준으로 참여했으며 교우관계에서 학교폭력에 노출된 경험이 있고 자발적 상호작용은 저조했다. 본 연구는 중학교 발달장애학생의 완전통합교육이 연구로는 거의 알려지지 않은 가운데 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경험에 대한 제한된 자료를 제공하며, 과연 중학교 일반학급 교육여건이 개선되지 않는 가운데 발달장애학생의 완전통합이 이대로 지속가능한지 문제를 제기하며, 이 학생들의 완전통합교육 실제의 개선을 위한 시급한 정책적 과제와 후속연구 주제들을 제안하였다. This is a pilot study to examine the current practice of full inclus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DD) from the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hrough analyzing previous studies on inclusive education and full inclusion,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a preliminary survey. However, there were considerable difficulties to collect data on the fully included students with DD due to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policy.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194 middle schools in Seoul in May, 2018. A statistical analysis on the responses of 88 questionnaires about 44 students with DD was conduct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s. The results show that general teachers recognize more necessity of special education not full inclusion than special teachers and both groups agree that full inclusion may generate the blind spot of instruction for the students.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arely collaborate to write IEP and special teachers include the educational goals of each subject with lower rate on the IEP. General teachers indicate the lack of basic knowledge about DD and special teachers indicate the collaboration with general teachers for instructional adaptation as the biggest challenge. Special teachers support students’ subject learning with lower frequency than behavior support and the first factor influencing determination of full inclusion was the demand of parents. The fully included students with DD do not understand the goals of instruction and not participate in educational activities as the peers do. Many of them have experience being victims of school violences and have difficulty to voluntarily interact with the peers. This study has significancy as a first pilot study that provides limited information on the practices for fully included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D that is not well known thus far. Moreover, this study raises a question that ‘is the current practice of full inclus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ustainable?’ and suggests priority policy tasks and follow-up studies to improve practices of middle school full inclusion.

      • KCI등재

        정신지체학교의 직업교육 실태와 개선에 대한 질적 연구

        송정은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00 지적장애연구 Vol.2 No.-

        본 연구는 정신지체 특수학교 직업교육의 전반적인 실태를 탐색하여 정신지체 특수학교 직업교육의 개선방향을 모색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전국 정신지체 특수학교 가운데 충청도와 전라도에 소재한 세 학교의 직업담당 부장교사와의 면담을 중심으로 정신지체 특수학교 직업교육의 전반적인 실태를 알아보았다. 이러한 면담을 통해 얻은 결과로 직업교육의 개선을 위해서는 취업현장과 연계 가능한 직업 종목의 선정과 다양화된 교육방향으로의 전환과 부족한 전문직업 담당교사 양성이 요구되며, 학생배치 시 흥미와 적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도구의 개발, 학교실정을 고려한 교육과정의 재편성, 지역사회와 관련기관 및 단체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직업교육이 직업생활로 지속적으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직업 인식개선을 위한 부모교육과 함께 학생에게도 세밀한 추수지도가 필요하고 국가 제도적 차원에서 특정 직업 종목이 정해져야 한다.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investigated to know real situations and desirable directions of vocational education on special school for th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method of this research was interview with three managing teachers in charge of vocational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n real situations of vocational education, the contents of vocational education were insufficient situation to cultivate realistic vocational men. The items of vocational education were consist of item required simple functional skills and certifications of teacher with charge of vocational education were different by three schools. The assignment of vocational teachers and students were appropriate, because it was to decide by teacher's major and student's vocational interest. But all schools didn't consider vocational program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profound mental retardation. Second, in desirable directions of vocational education, on qualification of vocational teacher, special education teacher should be train vocational education, and reeducation of vocational teacher will be necessary inservice training on vocation education. For desirable vocational education, positive attitude and support of the parents should be necessary in industry field and vocational curriculum for student's vocational interest should be develope in national dimension.

      • KCI등재

        전환교육 관점에서 본 정신지체아 여가 교육 활동의 이론적 탐색

        조인수,류현주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02 지적장애연구 Vol.4 No.-

        전환교육의 영역이 최근 협의의 영역에서 포괄적인 영역으로 이동함에 따라 여가 및 레크리에이션에 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신지체 학생에게 여가교육이 차지하는 중요성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정신지체 학교교육 현장에서 여가교육 프로그램을 계획ㆍ구성하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연구방법으로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고찰했다. 선행연구들(Schleien & Ray, 1998; Hughes & Fullwood, 1985; Moon & Bunker, 1987; Meyer & Evans, 1989; Heyne, Schlein & Rynders, 1997)은 정신지체 학생들이 일반 학생들에 비해 실패감을 많이 경험하고 자아 개념과 동기수준 결여 및 사회적 상호작용 결핍을 보이기 때문에, 인지적 요구가 적은 여가활동을 통해 자아개념과 자신감, 정상화 촉진, 부적절한 행동 감소 등의 교육적 가치를 강조하여 여가교육을 중요한 영역으로 다루고 있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학교 현장에서 여가교육을 실시할 때 학교 교육과정 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방법과 여가프로그램을 구성할 시 정신지체 학생에게 적합한 여가 활동 프로그램을 고려하여 시행해야 한다. Recently, as the domains of transition education move it from a narrow sense to comprehensive sense, importance of leisure and recreation in domains of transition education be highlighted. Therefore, this study is a basic search that may use for make a planning and constitution of leisure education programs at school for mental retardation in korea, as we look into importance of leisure education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described in literature. As preceding literature(Schleien & Ray, 1998; Hughes & Fullwood, 1985; Moon & Bunker, 1987; Meyer & Evans, 1989; Heyne, Schlein & Rynders, 1997) showed that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have a more failure experience, deficient in self concept, motive and social interrelation than normal children stress value of education of leisure activities, because leisure activities demanded less intellectual accelerate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to self concept, confidence, normalization, reduction of inadequacy behavior. In conclusion, when implementation to leisure education in the field of school, we should be several considerations that how to act in school curriculum and leisure activities programs fitted to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 KCI등재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의 장애영아 교육지원 실태 및 요구

        김성애 ( Sung Ae Kim ),이정현 ( Jeong Hyun Lee ),박현옥 ( Hyun Ok Park ),이병인 ( Byung In Lee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1 지적장애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장애영아 교육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는데 필요한 제반 사항들에 대해 관리자, 교사, 보호자의 의견 조사를 실시한 것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운영 실태를 알아본다. 둘째, 발견, 의뢰 및 선별, 배치절차 실태를 알아본다. 셋째, 교육활동 및 교육형태에 대한 만족도 및 인식도를 알아본다. 넷째, 특수교육 관련서비스에 관한 요구 및 인식에 대해 알아본다. 다섯째, 가족지원에 대한 요구도 및 인식에 대해 알아본다. 여섯째, 관련경비의 실태에 대해 알아본다. 일곱째, 기관 및 보호자가 국가 및 관련 부처로부터 받는 정책지원에 대해 알아본다. 여덟째, 기관 간 연계 및 전문가 협력에 대해 알아본다. 아홉째, 전환계획 및 실행에 대해 알아본다. 열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알아본다.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의 장애영아 교육을 효율적으로 실시하도록 한 설문결과를 중심으로 중요하게 언급될 내용을 다음과 같이 논의·제언한다. 첫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운영을 조직적으로 구성하고 그에 합당한 전문 인적 자원을 확보해야 한다. 둘째, 발견, 의뢰 및 선별, 배치절차의 원활한 운영체계를 시급히 구축하고 전문적인 진단·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도적인 장치가 필요하다. 셋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성격과 장애영아의 요구에 적절한 교육활동 및 교육형태를 구체적으로 개발하여야 한다. 넷째,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지원하는 장애영아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다섯째, 장애영아 교육의 효율적인 지원을 위한 기관 간 연계 및 전문가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 여섯째, 장애영아의 전환계획 및 실행에 대한 보다 내용 있고 실천력 있는 프로그램이 구안되어야 할 것이다. The study focuses on conducting survey about publ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special education center. The subjects of the survey are chair person, teacher, and parents in the center. The concrete goals of the study are as followed: the study investigates the realities of administrating special education center; the processes of finding, referring, screening, and placement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satisfaction & requirement on education activities and education-patterns in the center; satisfaction & requirement on special education related services in the center; satisfaction & requirement on the family supporting in the center; the realities of budget, for which the parents spend extra money for educating their child with disabilities except public education; the realities of public supporting, which parents are given by government; the realities of connecting between institutions and collaborating specialists, education with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center related; the realities of implementing transition for the young children in the center; opinions on function and role of special education center for educating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several significant discussions and suggestions are notified through investigating the realities and opinions of three different subjects of the survey. First, it is necessary to prepare systematic management plan for the effective role of the special education center. Second, it is necessary to be fully equipped the efficient system of finding, referring, screening, and placemen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center, and for it to be done in the political aspect as well. Third, it has to be done that the center develop effective- and well-directed programs for education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rth, the center has to develop revitalization programs to support family who have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Fifth, the center should collaborate to other professional specialists, who are working with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various area except education. Sixth, the center has to prepare transition plans and implement strategies, which are able to be fruitful and fulfillment.

      • KCI등재

        시,도 교육연수원 특수교육 연수 운영실태 및 개선 방안

        김경신 ( Kyung Shin Kim ),김남순 ( Nam Soon K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5 지적장애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시·도 교육연수원의 특수교육관련 연수 운영 실태를 알아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교육연수원의 특수교육 관련 연수를 수행할 수 있는 연수 인프라를 조사하고, 연수현황을 알아보는 것이다. 2013년 운영 실태를 평가하는 ‘2014년 시·도 교육연수원 운영평가 자료’를 조사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14년 8월 15일부터 ~ 9월 30일까지 였다. 연구결과 교육연수원의 특수교육관련 연수를 개설할 수 있는 인프라가 매우 미흡했다. 이로 인해 특수교육관련 연수들이 모두 2%이하로 개설되고 있었으며, 일반교사 뿐만 아니라 특수교사들의 참여도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첫째, 국립특수교원과 교육연수원의 업무협약을 통해서 양질의 특수교육관련 연수들이 교육원에서도 개설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교육연수원 평가 시 특수교육관련 연수 현황을 평가지표로 개발함으로써 연수담당자들의 관심과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다. 셋째, 일반교사들의 특수교육 관련 연수 수요 조사를 통해 실질적으로 현장에서 요구하는 연수를 개발·보급해야 한다. The study investigated operational state of training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in educational training center in city and province, and tried to suggest improvements. The study questions for this are to examine infrastructure for training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in educational training center and to know state of training. The author examined ‘2014 assessment material for operation of educational training center in city and province’ which assesses operational state during 2013. The survey period was Aug. 15, 2014~Sept. 30. As the results of study, it was found that infrastructure for opening training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in educational training center was very poor. Due to this, trains related to education in special school were all opened to less than 2%. And participation of not only teachers in general school but also teachers in special school was very low. To supplement such problems, first, training related to good special education should be opened in the educational center through job agreement with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KNISE) and Education training institute. Second,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persons in charge of training can be drawn by developing assessment index of training state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when assessment is made in Education training institute. Third, training actually required in field should be developed and spreaded through survey of training demand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for general teachers.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아동의 통합교육 참여 수준에 대한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이한얼 ( Han Eol Lee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4 지적장애연구 Vol.16 No.4

        이 연구는 특수교육대상아동의 통합교육 참여 수준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초등학교 통합학급에 입급된 특수교육대상아동 102명의 통합학급담임교사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통합교육 참여 영역을 교과학습, 체험활동, 교우활동, 학교행사로 구분하고 이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수준을 밝혔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대상아동의 통합교육 전체 및 모든 하위 영역 참여에 대한 교사의 인식 수준은 학부모의 인식 수준보다 높다. 둘째, 특수교육대상아동의 통합교육 전체 및 하위 영역인 교과학습, 체험활동, 교우활동 참여에 대한 저학년 교사의 인식 수준은 고학년 교사의 인식 수준보다 높다. 셋째, 저학년 학부모는 고학년 학부모보다 통합교육 전체 및 교과학습, 체험활동, 학교행사에서 특수교육대상아동의 참여 수준이 높다고 인식하며, 학급 규모에 따른 학부모의 인식 수준은 통합교육 전체 및 모든 하위 영역에서 특수교육대상아동의 참여가 과밀학급에 비하여 과소학급에서 더 높다. 학부모의 인식이 교사의 인식에 비해 낮은 것은 특수교육대상아동의 통합교육 참여에 대한 학부모의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한 데에서 나타난 결과로 볼 수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수요자의 입장에서 특수교육대상아동의 통합교육 참여를 보장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학부모를 대상으로 통합교육의 방식과 내용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통합학급의 학생 수를 적정 수준으로 낮추며, 고학년에서 발생하는 특수교육대상아동의 통합교육 참여 저해 요인을 파악하고 해소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eacher``s and parents`` recognition of special education needs children``s participation in inclusive education. To accomplish of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102 special education needs children``s inclusive class teachers and parents, and it was analyzed their recognition levels of inclusive education participation subareas divided subject learning, experiential activities, friendship activities and school event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recognition levels of special education needs children``s participation are higher than parents`` in inclusive education total and all of subareas. Second, the lower grades teachers`` recognition levels of special education needs children``s participation are higher than the higher grades teachers`` in inclusive education total and subareas of subject learning, experiential activities, and friendship activities. Third, the lower grades parents`` recognition levels of special education needs children``s participation are higher than the higher grades parents`` in inclusive education total and subareas of subject learning, experiential activities, and school event activities. The parents`` recognition levels of special education needs children``s participation in inclusive education total and all of subareas at undercrowded class are higher than at the overcrowded class. The results of parents`` recognition being lower than teachers`` are due to be unsatisfied with parents`` expectations of special education needs children``s participation in inclusive education. The suggestions of thes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should be various ways to ensure special education needs children``s participation of inclusive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ducation consumers and it is necessary to try to improve parents`` recognition of methods and contents in inclusive educ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number of students in inclusive classes in the appropriate level and it should be identified and eliminated disturbance factors on special education needs children``s participation of inclusive education.

      • KCI등재

        Debates of Inclusion : Implications on Knowledge Base of Special Education 특수교육 지식에의 시사점

        Yeo, Kwang-Eung,Cho, In-Soo,Chung, Yong-Seok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1999 지적장애연구 Vol.1 No.-

        통합교육은 최근 특수교육에서 주요한 논제 중 하나이다. 그러나, 논의는 종합되고 발전적으로 수용될 때만이 비로소 가치를 갖는다. 특수교육 지식과 관련한 Inclusion 혹은 REI로 불리는 통합교육의 논의는 그러나 특수교육 집단을 찬성과 반대진영으로 극한 대립관계의 모습을 만들고 있다. 연구의 논점은 어떻게 두 진영을 아울러 발전하게 할 것인가에 초점을 두고 있다. 특수교육에서의 Dunn, Skirtic, Lipsky와 Gartner 등의 통합교육론자의 신조는 흑인의 출현을, 평등 및 권리, 비판적 이론 등을 밑을 삼아 개인의 존엄성을 실현하기 위해 급진적 제도적 및 기존의 학문을 와해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포스트모더니즘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수교육에의 도입은 메커니즘(지식)/의미, 상식/비상식, 객관성/주관성, 확실성/불확실성, 표준/독특성, 질적/양적 측면 등에서 갈등관계를 유발함과 아울러, 기능주의 관점에서의 특수교육이론(병리 및 조직이론), 가설(전문적 진단), 모형(연속적 서비스 전달), 실제를 와해하고자 시도한다. 특히 전달모형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은 현행 미국에서의 학습도움실 모형을 와해하고 Inclusion 모형을 제안한다. 다시 말하면, 통합론자들은 포스트모더니즘의 기초해서 이론(비판적 이론 혹은 불확실성이론), 가설(조직의 병리 혹은 진단의 병리), 모형(Inclusion), 실제(팀티칭) 등을 수립하고자 시도한다. 양측 화해를 위한 시도에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포스트모더니즘을 우리가 인식하지 못했던 중요한 특수교육 지식의 한 축으로서 도입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나타나는 결과는 첫째, 통합론자들의 주장이 그들의 지배관점을 기본철학, 모더니즘을 와해하고자 시도하지만 그 와해란 의미를 없앤다는 개념이 아니고 주관과 객관의 공존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볼 때 이에 반한다는 것이고, 둘째는 특수교육 지식을 배타적 기능주의에 근거한다는 가설 하에 논의되는 현행의 포스트모더니즘의 주장의 설득력이 반쯤은 약해진다는 것이다. 화해를 위한 두 번째 논의로서 특수교육 전문적 개발의 시급함 즉, 양측 주장에서 일치되는 부분을 특수교육 개혁의 가장 큰 구심으로써 도입하여야 함을 제안하고 있으며, 이러한 실천의 과정에서 역동적인 특수교육학의 실체를 노출하고 있다. 다시 말해, 특수교육의 학문적 위계에서 갈등이 상하전달식, 즉 패러다임의 갈등으로부터 이론, 가설, 모형, 실제 등의 갈등으로 유도되었다고 보고, 화해는 이와 반대로 도구, 실제에서의 화해로부터 모형, 가설, 이론, 패러다임의 공존을 모색하고, 이런 과정에서 역동적인 구조로서의 특수교육학의 개념을 도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의 특수교육학은 특정 패러다임 혹은 배타적 가설적 구조로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끊임없이 학생의 요구에 따라 변화하는 역동적 구조이며, 국가, 지역사회, 시대, 교사의 전문적 실제, 학습자료, 학생특징, 대학(교사양성기관) 등에 따라 제각각 다른 모습으로 존재한다. It is criticized by proponents of inclusion that the knowledge base of special education has been based on functionalism. However, these critics were less led to productive results, more led to dividing special education into two groups. It is time to reconcile both sides in inclusion debates and review the knowledge base of special education. We introduce the exclusive postmodernism as another knowledge in special education as the dynamic knowledge base. professional development is suggested as an alternative to build the dynamic knowledge.

      • KCI등재

        정신지체학생 음악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김수려 ( Su Ryeo Kim ),정은희 ( Eun Hee Jeo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3 지적장애연구 Vol.15 No.2

        이 연구는 최근 정신지체학생 음악교육에 관한 전반적인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수행된 문헌연구이다. 문헌 분석을 위해 2002년부터 2012년까지 국내 학위논문 및 학술지에 게재된 정신지체학생 음악교육 관련 연구논문 104편을 대상으로 연구방법, 연구주제, 교육과정 영역, 연구대상에 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첫째, 첫째, 연구유형별 동향을 분석한 결과 실험연구가 전체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었다. 실험연구 중에서는 단일대상연구와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연구가 가장 많았고, 기술연구에서는 사례연구와 내용분석이 많았으며 상대적으로 조사연구는 적었다. 둘째, 연구주제별로 분석한 결과 사회·정서·행동, 인지·학습, 언어·의사소통 순으로 연구되고 있었다. 셋째, 교육과정 영역별로 중재활동을 살펴본 결과 음악활동이 대부분이었고, 그 중에서도 연주와 가창활동이 가장 많았다. 넷째, 연구대상은 초등학생의 연구가 전체 연구의 절반 가까이 차지하고 있었다. 연구 결과에 따른 연구의 방향에 대해 논의되었다. It is noticeable that the demand for music education for mentally challenged children has recently in order to cultivate their emotion, develop social force, and routinize music lessons. On this point, this research is oriented to analyze the current trend of research papers on music education for mentally handicapped children in relation to topics, methods,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and subjects. This analytic research is based on the 104 research papers, including the master′s theses, in this field published from 2002 to 2012 in Korea.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from the research; when the targeted papers are classified into research types, the half of them are the type of experimental design. Interestingly, single subject research and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re the most popular. Likewise, as for descriptive research, case study and content analysis are dominant. However, the number of survey research is relatively low. Second, we analyse the topics of the research papers. As a result, we that social adaptation is the most prevailing one which is followed by emotion, behavior, cognitive learning, language and communication in order. Third, we examine the contents of a curriculum and come to find the significant number of musical activities. In particular, playing musical instruments and singing are widely favoured activities. Last, we understand that almost half of the research subjects a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중등교육이후 전환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이성하 ( Seong Ha Lee ),나운환 ( Woon Hwan Na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2 지적장애연구 Vol.14 No.4

        이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중등교육이후 전환프로그램의 구성 요인들을 추출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발달장애인 중등교육이후 전환프로그램 요인을 구명하고, 전환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밝히기 위해 전환교육의 이론적인 모형과 전환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요인을 중심으로 문헌 분석하고 수집한 내용을 토대로 전문가 대상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 후 델파이 방법에 의한 설문조사를 2차에 걸쳐 실시하고 프로그램 구성요인에 대한 합의는 평균, 표준편차, 왜도로 나타냈으며 분석의 타당성을 밝히기 위해 켄달의 W검정을 실시하였다. 이렇게 구명된 중등교육이후 전환프로그램 요인을 최종적으로 탐색하여 한국형 발달장애인 중등교육이후 전환프로그램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발달장애인 중등교육이후 전환프로그램 구성요인은 크게 운영구성요인과 프로그램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운영구성요인에서 운영주체는 특수학교, 장애인복지관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 장애인복지관 등 지역사회기관에서 운영하는 것이 적절하다. 교육연한은 2~3년이 적절하며, 스텝구성은 직업재활전문가, 특수교사, 상담사, 사회복지사로 구성한다. 재정은 국가지원 무상교육이거나 국가와 본인이 적절하게 배분하여 부담하는 것이 적절하며, 연령은 18세~25세 혹은 18세~30세로 비슷한 연령대로 구성하는 것이 적절하다. 입학 자격은 고등학교 졸업 또는 이와 동등한 학력을 가진 자이며, 입학사정에서는 고등학교생활기록부 또는 IEP, 면접, 시험이 필요하고 이 중 면접이 가장 적절한 방법이다. 생활 형태는 기숙사 생활, 가정에서 생활, 이를 혼합한 형태 모두가 적절하다. 프로그램 요인은 크게 독립생활, 지역사회생활, 기능적 학업, 직업생활, 지원서비스 5개 영역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한국형 발달장애인을 위한 중등교육이후 전환프로그램의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 모형은 고등학교에서 사회로의 전환, 특히 고등교육으로의 전환에 초점을 두며 계속적인 추수지도와 지원, 기관간의 협력을 강조하는 모형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a model of the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study suggested the key factors of the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and developed a model of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fter a literature review,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by the experts for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Then questionnaire surveys which asked about essential factors of the program were conducted twice with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ofessors, experts for the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The data from surveys was analyzed by using Delphi method. The consensus on the factor of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marked with mean, SD and skewness. To clarify the validity of analysis, Kendall`s W test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ssential ingredients for the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were categorized into 13 factors. 8 operating factors include the central operating body, period of training, staffs, funding, age of participations, requirements, admission, and place of the living. 5 program factors include the independent living skills, community-based living skills, functional academic skills, employment, supportive service. Second,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are divided operation factors and program factors. Among the operating factors, Special education school and local organizations as the welfare center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qualified for management agent. That proved 2~3 years training period is most effective and the rehabilitation counselor, special educators, social workers are needed as staffs. For funding, most of specialists think both local government and one`s own self are responsible for it. Program factors are divided into 5 major factors - Independent living, Community- based living, Functional academic skills, Employment, and Supportive service. Third,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model of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presented. This model focused on transition from high school to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hat emphasized the independent living and cooperation between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and community agencies, follow-up ser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