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patial Variability of Hydraulic Properties in a Multi-Layered Soils of Japanese Larch (Larix leptolepis) Stand

        정동영,진현오,Chung Doug Young,Jin Hyun O 한국농림기상학회 1999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 No.1

        본 연구는 경기도 광주지역의 낙엽송 임분에 인공 강우기를 설치하여 수리특성과 관련한 공간 변이와 상관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수분유속과 보유능은 원래 토성, 구조와 유기물을 근거로 지표면에서 인공가우기로 수분을 일정속도로 가하면서 측정하였다. 이 방법은 간단히 유기물을 제거하거나 기존의 상태에서 수평한 지표면에 3가지의 강우 강도에서 실시하였으며 한편 경계면은 안정하며 포화상태의 습윤 토양에서 투수계수와 매트릭 유속기능을 조사하였다. 투수계수는 $_1$( $Z_{c}$) = $_2$( $Z_{c}$) = $_{c}$ 이라는 지속적 유속 조건하에서 $K_{i+}$$_1$ $_{c}$= $K_{i}$( $_{c}$) [1-d /dz]의 공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토양내에서 유속에 영향을 미치는 공극 특성과 유기물 함량이 광범위하게 수분 보유능과 포화투수계수의 공간 변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것으로 조사되었다.되었다. Soil structure and organic matter have been known to strongly affect water flow and solute transport, yet little information is available concerning soil hydraulic properties related to soi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in the forest sit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quantify the spatial variability and spatial correlation of the measured parameter values from the plots established with the rainfall simulator on Japanese larch(Larix leptolepis) dominated site in Kwangju. Kyunggi-Do. Measurement of soil water flux and retention were made with the inherent soil texture, soil structure, and organic matter. The method was based on the observation that when water was applied at a constant rate to the soil surface on each plot. The method was simple to apply and consists of following steps: (i) Wet the soil from a rainfall simulator with several known discharge rates on a relatively leveled soil surface with and without organic matter. (ii) Once the borders of the ponded zone were steady,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K_{s}$) and the matric flux function(F) was evaluated from a regression of flux vs. the reciprocal of the ponded area. A conductivity of the form $K_{i+}$$_1$ $_{c}$= $K_{i}$( $_{c}$) [1-d /dz] where flux continuity implies. For this, continuity of matric potential at the interface at all times are as follows: $_1$( $Z_{c}$) = $_2$( $Z_{c}$) = $_{c}$ for steady state intake from water ponded on the soil surfac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showed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spatial variability in wide differences of water retention and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with respect to pore geometry and organic matter contents which influenced the water flux throughout the soil profile.l profile.ile.

      • KCI등재

        초등 특수교육 교사와 일반교육 교사의 다문화 인식에 따른 다문화 교수효능감 비교

        정동영(Chung Dong-young),강나혜(Kang Na-hye)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9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특수교육 교사와 일반교육 교사의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차이를 분석하고, 그들의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초등학교 특수교육 교사 119명과 일반교육 교사 83명을 선정하여 이들의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을 조사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초등학교 특수교육 교사와 일반교육 교사는 다문화 인식의 존중성을 가장 중요시하는데, 특수교육 교사보다 일반교육 교사가 다문화 인식의 존중성을 더욱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특수교육 교사와 일반교육 교사는 다문화 교수효능감에서 인간관계 증진을 가장 중요시하나, 특수교육 교사보다 일반교육 교사가 인간관계 증진을 더욱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육 교사의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다문화 인식의 개방성에 영향을 더 많이 받으나, 일반교육 교사의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다문화 인식의 개방성과 존중성에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특수교육 교사와 일반교육 교사는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에서 공통점을 지니나, 일반교육 교사가 특수교육 교사보다 다문화 인식의 존중성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인간관계 증진을 더욱 중요시하는 특징을 나타내며, 이러한 다문화 인식에 따라 이들의 다문화 교수효능감도 달라진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the elementary schools and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their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is study selected 119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83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and analyzed their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placed the highest importance on the respect of multicultural awareness, but general education teachers put more importance on respect for multicultural awareness than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placed the highest importance on promoting human relations in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but general education teachers put more importance on promoting human relations in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an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ird, the promotion of human relation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s been found to be more influenced by the openness of multicultural awareness, but the promotion of human relation by general education teachers has been found to be more influenced by the openness and respectability of multicultural awareness. Therefore, general education teachers value the respect of multicultural awareness more than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y place more importance on promoting human relations in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특수교육 교사의 과학교육 신념과 과학의 본성 인식 특성

        정동영(Chung Dong-young),이철우(Lee Cheol-woo)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0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eliefs of science education and the perception of science nature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achieve these purpose, 133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selected and the belief in science education and the nature of science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beliefs about science education are that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Classroom are stronger than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school ,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stronger than Secondary teachers.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for Nature of Science are that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Classroom and elementary school are higher than special education school and Secondary school. This is because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Classroom and elementary school have easy access to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Third, The ratio of Traditional recognition and Mixed recognition is that special education school is more than Special education Classroom, and Secondary school is more than elementary school. Therefore,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beliefs about science education and perception for Nature of Science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where teachers work. 본 연구는 특수교육 교사의 과학교육 신념과 과학의 본성 인식의 특징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전국에서 특수교육 교사를 선정하여 ‘과학교육 신념 및 과학 본성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 특수교육 교사의 과학교육 신념은 특수학급 교사들이 특수학교보다 더 강하고, 초등학교 교사들이 중․고등학교 교사보다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수교육 교사의 과학의 본성 인식도 일반교육 교육과정 접근이 용이한 특수학급과 초등학교의 교사들이 특수학교와 중·고등학교 교사들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특수교육 교사들은 특수학급보다 특수학교의 교사들이, 초등학교보다 중·고등학교의 교사들이 전통적 인식과 혼합된 인식을 가진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특수교육 교사의 과학교육 신념 및 과학의 본성 인식은 교사들이 근무하는 학교 특성에 따라 다르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구성 체제 개선 요구 분석

        정동영 ( Dong Young Chu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적합성 제고를 위하여 그 구성 체제의 개선 요구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전국의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 재직 중인 특수교육 교사들을 선정하여 3차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특수교육 교사들은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에 초·중등학교와 동일한 학년군을 설정할 것을 요구하며, 학년군별 교육내용을 초등학교 1~2학년의 경우 기본 생활습관 형성 및 기초적인 학습내용을 중심으로 구성하고, 초등학교 3~4학년, 초등학교 5~6학년, 중학교 1~3학년, 고등학교 1~3학년은 해당 학년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의 기본적인 교육내용을 대체하는 대안적인 교육내용으로 구성할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은 구성 체제를 초·중등학교와 동일하게 5개 학년군으로 구분하고, 초등학교 1~2학년은 기본 생활습관 형성 및 기초적인 학습내용을 중심으로 교육내용을 구성하고, 초등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는 해당 학년 일반교육 교육과정의 기본적인 내용을 대체하는 대안적인 내용으로 교육내용을 구성하는 것이 적합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ng the requirement for improvement a organization system of special education fundamental curriculum to solve the problems in constituting the 3 steps of Ⅰ,Ⅱ, and Ⅲ level of the curriculum a.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select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works at special school and/or special classrooms throughout the country with intent, and inspect and analyse the needs by three times of Delphi method.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quired the dividing of grade-band to special education fundamental curriculum as same as that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and constituting grade-band by track or level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quire that the contents for each grade-band of special education fundamental curriculum should be centered on formation of basic life habit and basic contents for 1~2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other hand, the contents for 3~4 grade and 5~6 grade of elementary school, 1~3 grade of middle school, and 1~3 grade of high school are should be composed of alternative contents instead of fundamental contents for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secondary curriculum. Therefore, special education fundamental curriculum should expand its concept for curriculum from 3 steps to 5 steps by setting up same grade-band as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And, The contents of curriculum should be centered on formation basic life habit and basic contents in 1~2 grade of elementary school, but the contents should be substituted by alternative ones in lieu of fundamental contents of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of each grade level.

      • KCI등재

        최소 제한적 환경의 개념 진전과 그 함의 재고

        정동영 ( Dong Young Chu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8 No.4

        본 연구는 최소 제한적 환경의 개념에 대한 논쟁을 통하여 이 개념이 어떻게 진전하고 있으며, 그 진전이 장애학생의 배치 결정에 어떤 함의를 주는지를 재고하는데 목적을 두고있다. 본 연구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최소 제한적 환경의 개념에 대한 학문적.사법적 논쟁을 통하여 진전된 내용을 탐색하고, 그 함의를 재고하는 것을 연구구문제로 선정하고, 문헌연구를 통하여 문제를 해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소 제한적 환경의 개념은 학문적 논쟁에 따라 처음에 물리적 접근을 강조하던 개념에서 최근 사회적 관계와 사회문화적 맥락을 강조하는 개념으로 진전하였다. 둘째, 최소 제한적 환경의 개념은 사법적 논쟁에 따라 처음에 장애학생의 교육적 이익을 강조하던 개념에서 최근 장애학생과 일반학생 모두의 교육적 이익을 강조하는 개념으로 진전하였다. 따라서 현재 최소 제한적 환경의 개념은 장애학생의 배치를 장애학생의 교육적 이익과 일반학생의 교육적 이익을 모두 고려하여 결정하되, 이들의 사회적 관계와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한다고 요구하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out how the concept of the least restrictive environment is evolved and what the evolution implies on determination for plac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roughout debate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take reviewing the evolved contents through academic and judical debates about the least restrictive environment and inquiring its implication as its considerat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ppeared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the least restrictive environment evolved from the concept which was emphasizing physical access to the concept which is emphasizing transformation of the social relationship and social-cultural context according to academic debates. Second, the concept of the least restrictive environment evolved from the concept which was emphasizing educational benefi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only to the concept which is emphasizing educational benefits of both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ccording to judical debates. As stated above, the concept of the least restrictive environment reflect not only physical environment but also social relation and social-cultural context through debates. Therefore, the current concept of the least restrictive environment requires that the plac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consider their peers`` educational benefits as well as their educational benefits and social relationship and social-cultural context should be transformed.

      • KCI등재

        초등학교 특수교육 교사와 일반교육 교사의 교과 특성 인식 및 수업행동 특징 비교

        정동영(Chung Dong-young),김상민(Kim Sang-min)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8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특수교육 교사와 일반교육 교사의 교과 특성 인식과 수업행동의 특 징을 분석하고, 그들의 교과 특성 인식과 수업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 구는 전국의 초등학교 특수교육 교사 97명과 일반교육 교사 83명을 연구 대상으로 조사 연구를 실 시하여 이들의 교과 특성에 대한 인식과 수업행동을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특수교육 교 사와 일반교육 교사는 교과의 정적 특성을 정의된 특성과 계열적 특성보다 더욱 중요하게 인식하 지만, 특수교육 교사는 일반교육 교사보다 교과의 정적 특성을 더욱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리고 특수교육 교사와 일반교육 교사는 수업행동에서도 상호작용 활발성을 가장 중요시하고, 그 다 음으로 수업절차 개별화를 중요시하지만, 특수교육 교사는 수업절차의 개별화를 일반교육 교사보다 더욱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육 교사의 수업행동과 그 구성요소는 모두 교과의 정적 특성과 체계적 특성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더 많이 받는 반면, 일반교육 교사의 수업행동은 교과의 정의적 특성과 계열적 특성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더 많이 받으나, 그 구성요소는 각각 다 른 특징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특수교육 교사는 일반교육 교사와 교과 특성에 대한 인식 과 수업행동에서 공통점을 지니고 있지만, 일반교육 교사보다 교과의 정적 특성을 더욱 중요하게 인식하고, 수업행동에서 개별화를 더욱 중요시하는 특징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교과 특성의 인식에 따라 이들의 수업행동도 달라진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subject matter characteristics of the element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to investigate relations between the perceptions of subject matter characteristics and teaching behaviors of them. This study selected 97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83 general education teachers elementary schools in Korea and analyzed the perception of subject matter characteristics and teaching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 the static characteristics of subject matter as more important than the defined and sequential characteristics. However, special education teachers place more emphasis on the static characteristics of subject matter than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put a bigger emphasis on the interaction activity in the teaching behaviors and then the individualization of the teaching process. However, special education teachers place more emphasis on the individualization of the teaching process than general education teachers. Second, the teaching behavior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re more influenced by the perception of the static characteristics of subject matter and the perception of the sequential knowledge characteristics of subject matter. However, the teaching behaviors of general education teachers are more influenced by the perception of defined characteristics of subject matter and the perception of the sequential knowledge characteristics of subject matter.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ve commonality in perception of subject matter characteristics and teaching behaviors of general education teachers. However, special education teachers are more aware of the static characteristics that are essential contents in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 matter than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show the importance of individualization in the teaching behaviors. The teaching behavio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 matter of these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