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 처리를 이용한 탄소 나노튜브 투명전극 특성 향상

        전주희,최지혁,문경주,이태일,문호준,김형열,명재민,Jeon, Joo-Hee,Choi, Ji-Hyuk,Moon, Kyeong-Ju,Lee, Tae-Il,Moon, Ho-Jun,Kim, Hyung-Yeol,Myoung, Jae-Min 한국재료학회 2010 한국재료학회지 Vol.20 No.2

        Transparent conductive films of single wall carbon nanotube (SWCNT) were prepared by spray coating method. The effect of acid treatment on the SWCNT films was investigated. The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 shows that acid treatment can remove dispersing agent. The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acid-treated films were enhanced compared with those of as deposited SWCNT films. Nitric acid ($HNO_3$), sulfuric acid ($H_2SO_4$), nitric acid:sulfuric acid (3:1) were used for post treatment. Although all solutions reduced sheet resistance of CNT films, nitric acid can improve electrical characteristics efficiently. During acid treatment, transmittance was increased continuously with time. But the sheet resistance was decreased for the first 20 minutes and then increased again. Post-treated SWCNT films were transparent (85%) in the visible range with sheet resistance of about $162{\Omega}/sq$. In this paper we discuss simple fabrication, which is suitable for different types of large-scale substrates and simple processes to improve properties of SWCNT films.

      • KCI등재후보

        Nilotinib으로 전환 후 호전된 Dasatinib 유발성 단백뇨: 증례 보고

        전주희 ( Joohee Jeon ),이동연 ( Dongyeon Lee ),안재성 ( Jae Sung Ahn ),백충희 ( Chung Hee Baek ),김효상 ( Hyosang Kim ) 대한내과학회 2023 대한내과학회지 Vol.98 No.3

        Tyrosine kinase inhibitors (TKIs), such as imatinib, dasatinib, and nilotinib, have been used to treat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CML). The adverse effects of these TKIs vary according to the site of signaling pathway inhibition. Here, we report a case of dasatinib-induced proteinuria. A 56-year-old Korean woman was diagnosed with CML and treated with dasatinib. However, 3 years later, the patient developed hypertension and microalbuminuria. Losartan was ineffective, so a kidney biopsy was performed, which revealed dasatinib-associated glomerular changes. Subsequently, dasatinib was switched to nilotinib. After 1 month, the spot urine protein/creatinine ratio decreased from 2,985.0 mg/g to 237.8 mg/g. This case of heavy proteinuria developed after long-term TKI treatment and improved rapidly after switching to another TKI. The proposed strategy is important because it eliminates the need to discontinue the medication or use immunosuppressive drugs to treat proteinuria. (Korean J Med 2023;98:144-150)

      • KCI등재

        사위 관련 설화 연구 : 사위와 처가의 관계, 이야기의 통과의례적 성격을 중심으로

        전주희(Jeon, Ju Hee) 한국구비문학회 2020 口碑文學硏究 Vol.0 No.58

        이 글은 한국의 사위 관련 설화에 나타나는 사위와 처가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야기에서 나타나는 ‘사위의 이미지’들을 통하여 남성 인물들에게 인식되는 ‘혼인’의 의미를 밝히고자 마련되었다. 그동안 사위 관련 설화는 주로 <거짓말 잘하여 장가든 사람>과 <바보 사위>를 중심으로 연구되었기 때문에 다양한 캐릭터의 사위는 물론 처가와 사위의 관계를 통합적인 관점에서 볼 기회가 없었다. 본 연구는 한국의 사위 관련 설화를 전반적으로 다루면서 사위가 처가와 맺는 질적 관계를 중심으로, ‘처가를 욕보이는 사위’, ‘처가에 득이 되는 사위’, ‘처가로부터 덕 보는 사위’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이 유형들은 하나의 이야기에서 서로 조합된 양상으로 나타나는데, 가장 많은 것이 ‘처가로부터 덕 보기 위해 처가를 욕보이는 사위’이다. 그들 대부분은 가난한 노총각이나 처가에서 대우받지 못하는 남자들이며, 앙혼(仰婚) 들기 위하여 혹은 처가의 인정을 받기 위하여 처가를 속이거나 골탕을 먹인다. 이러한 행위들은 주로 ‘거짓말 잘하는 사위’, ‘꾀 많은 사위’에 의해 이루어지며, 처가에서도 이러한 캐릭터의 사위를 선호하고 있다는 것은 흥미로운 점이다. 이러한 양상은 ‘남자다운 것’으로서 관념되는 ‘힘’의 자질이 무엇인지를 보여주며, 처가와 사위 사이의 묘한 긴장감을 생성하면서 사위라는 지위의 양면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현상은 전통 혼인 제도와 가부장제 문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혼인 관계를 통해 남성이 성취할 수 있는 물질적 이익과 힘의 획득, 이를 통한 사회적 성장에 대한 욕구를 시사한다. 따라서 설화에서 혼인을 통하여 얻게 되는 사위라는 지위는 남성이 거쳐야 할 통과의례이자 힘겨루기에서 승자에게 주어지는 보상으로서 나타난다. 이러한 맥락에서 사위 관련 설화는 혼인을 성취〔成婚〕하는 ‘사위 되기’ 이야기와 처가에 대한 자신들의 영향력을 과시하는 ‘사위 노릇하기’ 이야기로 나눌 수 있으며, 이러한 양상은 사위 관련 설화를 남성들의 성장 서사나 희망담으로 해석할 여지를 시사한다. 또한 사위 되기로서의 이러한 입사식을 적절히 수행할 수 없는 남자는 그에 대한 반대급부이자 그림자인 바보 사위로 형상화된다. This study attempts to show images of Sons-in-Law portrayed on Korean folktales and the meaning of their marriage to themselves on the narratives. We have had no chance to understand the various characters of Sons-in-Law and the relations between them and their Parents-in-Law from integrated viewing because the previous studies have been tended to focus on the specified tales like <a son-in-law telling a lie well> and <an idiot son-in-law> types. Thus this study deals with the whole tales of Son-in-Law in Korean tales and tries to classify Sons-in-Law into three types as a ‘Sons-in-Law bringing shame to Parents-in-Law’, ‘Sons-in-Law helping Parents-in-Law’ and ‘Sons-in-Law getting benefits from Parents-in-Law’ which are based on their functional relationships. These types are generally combined in one narrative, and the most prominent type is the ‘Sons-in-Law bringing shame to their Parents-in-Law’, and most of them are appeared as poor men or to be treated with contempt from their Parents-in-Law, so they try to cheat their Parents-in-Law to marry their daughter who belongs to her wealthy family or be deserved better from their Parents-in-Law. The cheating behaviours are mainly committed by a ‘man telling a lie well’ and a ‘resourceful man’, besides, the ironic thing is that many of Parents-in-Law prefer such the man as their Son-in-Law. These characters like ‘telling a lie’ and ‘resourcefulness’ mean a ‘power’ to control their wife’s family for Sons-in-law and the wisdom to live well with their daughter for the Parents-in-law, and the power game that Sons-in-Low almost always lead shows the double sidedness of Son-in-Law’s position, generating a tension between them and their Parents-in-Law on the narratives. The double sidedness of their position results from the traditional wedding and marriage customs and the patriarchal society in the past in Korea, on the one hand, it shows a material benefit which they could get and their desire of social growth through by having their in-laws. Therefore, the position of Sons-in-Law is portrayed as a goal given as an initiation rite and reward to men. Conclusionally, we can perceive the tales of Son-in-Law as a ‘being Son-in-Law’ and ‘acting as a Son-in-Law’, and they are men’s initiation narrative and dream, so some men who can not perform these rites properly are represented as ‘an idiot son-in-law’ in Korean tales.

      • KCI등재

        <내왓당무신도>의 도상성(Iconicity)과 제주 무속의 생태성

        전주희(Jeon Juhee) 한국무속학회 2013 한국무속학 Vol.0 No.26

        본고는 <내왓당무신도>가 제주도 당신(堂神)에 대한 제주도인들의 관념, 혹은 이 그림들을 그린 화공의 당신에 대한 관념을 반영하는 도상적 기호라고 전제한 후, 그러한 관념들과 이 그림이 지니는 특성들이 어떤 면에서 유사성을 지니고 있는지, 즉 그 도상성(iconicity)에 대해 논의하는 글이다. 필자는 <내왓당무신도>가 탄생하게된 맥락으로 제주도 무속, 특히 당신본풀이를 주목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언어로 기술된 신은 틀림없이 그것을 접하는 신앙민들의 관념 속에 이미지화되며, 그러한 것들이 시각적으로 표현된 것이 <내왓당무신도>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신이라는 동일한 대상이, 언어에서 회화로 변환될 때에는 독특한 구조의 변환이 일어난다. 그것은 마치 지시대명사의 상징-지표적 특징을 띠는데, 이러한 의미에서 본고의 시프터(shifter)라는 개념은 중요하다. 이것은 기호의 양식에 따라 메시지가 조금씩 달라지지만 그 지시대상은 늘 동일한 ‘상징성’을 지니게 하는 작인(作因)이다. 또한 그림으로 표현된 신의 이미지는 이러한 시프터로 인하여 또다른 약호를 형성하는데, <내왓당무신도>의 새로운 약호인 그로테스크는 제주 무속 신앙의 생태성과 연관되어 있다. 비규격화된 자연물의 형상을 반영하는 신들의 몸을 통해, 신성한 자연에 대한 숭배의식인 토테미즘과 애니미즘을 아우르는 제주 무속의 성격을 엿볼 수 있다. This report discusses the iconicity, that is to say in what respect are there similarities between the ideas of Jeju island’s people and the characteristics of ‘Naewattang painting of Shaman God’. This opinion presupposes that ‘Naewattang painting of Shaman God’ is the iconic sign reflecting the ideas of Jeju island’s people or painters who drew this painting about Shaman God[Dangsin(堂神)] of Jeju island. I think that we have to take note of Dangsin bonpuri(堂神본풀이) among Jeju shamanism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creating ‘Naewattang painting of Shaman God’. The described god must be imagificated[imagined] into the ideas of people who have faith in Shaman God and ‘Naewattang painting of Shaman God’ is the visual expression of the ideas. When the object of god is converted from the language to the painting, there occurs a distinctive change of structure. It assumes like the characteristics of symbol-index of demonstrative pronoun. In this sense, the concept of ‘shifter’ is very important. Shifter is the operator which make the referent have same symbol while the message depends on structure. When the image of god expressed by painting makes another code by the shifter, the grotesque shown in Naewattang painting of Shaman God is related to the ecological property of Jeju shamanism. We can infer the characteristics of Jeju shamanism embracing totemism and animism meaning worships of sacred nature through the bodies of gods reflecting the shapes of irregular natural objects.

      • KCI등재

        제주도 서사무가 〈지장본풀이〉의 신화적 의미 연구

        전주희(Jeon Ju-hee) 한국무속학회 2015 한국무속학 Vol.0 No.31

        이 논문은 이전에 필자가 발표했던 동일한 연구 대상의 논문을 보완하고, 그 논의를 더 심도있게 다루고자 한 결과물이다. 이 두 번째 연구에서 주로 집중한 문제는 〈지장본풀이〉에서 ‘지장은 왜 부정한 새가 되었는가?’이다. 그리고 위의 질문의 ‘왜’는 제주 무속에서 ‘지장’이라는 기호가 지니는 의미와 매우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필자는 일단 ‘왜’라는 질문에 답하기 위해, 〈지장본풀이〉를 텍스트의 측면에서, 그리고 제의적 맥락에서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지장은 결국 정(淨)과 부정(不淨), 제의와 삼각관계를 형성하면서 그 신화적 의미를 드러내고 있음을 밝혔다. 제주 무속에서 〈지장본풀이〉는 제의, 즉 굿의 중요성을 말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지장본풀이〉는 굿을 할 수 밖에 없게 만드는 부정한 사건의 주체이자 굿을 통해서라도 대접받길 원하는(먹길 원하는) 부정한 존재의 불멸의 욕망을 말한다. 동시에 〈지장본풀이〉는 이러한 부정을 두려워하고 기피하려는 인간의 적극적인 제의 행위에 대한 의지를 보여주기도 한다. 즉 부정이라는 상태적 존재인 ‘지장’과 인간은 제의를 통하여 증여의 신화를 계속 이루어나간다. 또한 〈지장본풀이〉는 유일하게 부정(不淨)과 악(惡)에 관해서 이야기하고 있는 서사무가로서 그 특수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여기서 악은 윤리도덕적 차원의 악이 아니다. 지장이라는 기호가 강하게 드러내고 있는 부정함이라는 의미는 사람들이 기피하고 싫어하는 것, 더러운 것, 그래서 질병과 죽음과 같은 것을 불러일으키는 불길한 것이며, 이것은 일반적으로 제의에서 중요시되는 생산과 풍요, 복(福)과 길(吉)한 것과는 반대축에 있는 것이다. 그러나 부정한 것의 본초인 지장과 그 근원을 이야기하는 〈지장본풀이〉는 제의적 행위 자체가 지니고 있는 신성성을 통해, 신화는 물론 인간 삶에서의 정과 부정의 끊임없는 갈등을 해결하고자 하는 인간의 의지를 그린 본풀이라고 할 수 있다. In this thesis, I amended the earlier thesis which treated the same object of study and carryed out an in-depth study. In this second study, I mainly concentrated on the question why Jijang became the Sae[bird, evil spirits] which has misfortune and dirtiness. And the ‘why’ at the above ques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meaning which the sign of Jijang has in the Jeju shamanism. To answer the question why, I analysed Jijangbonpuri in terms of text and ritual context. Through this analysis, I revealed that Jijang finally showed the mythical meaning forming triangular relations with fortune[cleanness], misfortune[dirtiness] and ritual. In the Jeju shamanism, Jijangbonpuri presents the importance of ritual, that is to say Gut[Korean exorcism]. In other words, It shows an immortal desire of an unfortunate and dirty existence which is the subject of an unfortunate and dirty accidents, because of these accidents, people have to perform the Gut[Korean exorcism], and wants to be given full treatments or wants to eat through the Gut[Korean exorcism]. At the same time, Jijangbonpuri shows will for the active ritualistic behavior of human beings who are frightened about and avoid these misfortune and dirtiness. Jijang which is unfortunate and dirty and human beings continously mythologize the myth of giving. And Jijangbonpuri has special meanings as the only shaman song which presents the misfortune[dirtiness] and the evil. This evil doesn’t mean ethical or moral dimension. The misfortune and dirtiness which the sign of Jijang strongly presents means that these are the things that people avoid and hate, because they are ominous and sinister arousing diseases and death, and they exist at the other side of production, richness, good fortune, goodness which are commonly regarded as important in the ritual. But Jijangbonpuri which tells us about Jijang who is the beginning of misfortune and dirtiness, shows human will to try to solve the continuous conflict between fortune[cleanness] and misfortune[dirtiness] in the human life as well as in myth through the holiness of ritualistic action.

      • KCI등재

        교수설계에서의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 가능성 탐색: 문헌고찰 및 HRD 담당자의 요구분석을 중심으로

        전주희 ( Juhui Jeon ),김경혜 ( Kyeonghye Kim ),정보영 ( Boyoung Jung ) 한국교육공학회 2023 교육공학연구 Vol.39 No.0

        This study explored the application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instructional design, focusing on a comprehensive review of 17 studies (10 overseas and 7 domestic) using the PRISMA method. The analysis centers on exploring the potential of employing generative AI in instructional design based on the ADDIE model. A guidebook detailing practical examples of using ChatGPT for instructional design was developed. To gauge the current performance and perceived importance of generative AI in instructional design,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30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actitioners utilizing the guidebook. The results underwent analysis through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and Locus for Focus analysis. Results underscored a high priority for demand analysis during the analysis phase, lecture script writing and case creation in the development phase, learner-customized knowledge provision, and learner-driven task support in the implementation phase, along wi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f learning results in the evaluation phase. This study advocates considering these strategies primarily when guiding instructional designers on how to use generative AI. Notably, it offers practical and specific strategies for incorporating generative AI in instructional design, reflecting the perceptions of instructional designers.

      • KCI등재

        연극 <궁리>에 나타난 하위도상의 `공간화` 지향 연구 - 인물의 갈등과 오브제를 중심으로 하여

        전주희 ( Jeon Ju-hee ) 한국기호학회 2017 기호학연구 Vol.50 No.-

        본고는 2012년에 공연된 이윤택 작, 연출의 <궁리>를 퍼스(Peirce)의 하위도상(hypoicon) 개념을 토대로 하여, 그것들이 만드는 도상적 기호와 작품의 메시지를 탐구한 논문이다. 연극 <궁리>의 극중 인물, 무대 조형, 오브제들이 구성하는 온갖 감각들(시각, 청각, 촉각)은 모두 일차성(Firstness)의 자질을 지닌 도상 기호의 기반 위에서 다양한 해석소들을 생산하며, 공통적인 의미로 묶일 수 있는 거시적 상징 기호, 즉 작품 전체에 대한 일련의 해석소를 구축한다. 극의 제목처럼 극중 인물인 장영실과 세종은 공통적으로 `궁리`하며, 궁리하는 행위 속에서 극의 모든 상황과 사건들은 연계되어 있다. 또한 실제 연극 무대에서 보이는 인물의 상태(배우의 다양한 연기를 통해서 드러나는), 무대 조형, 오브제들의 이미지 및 다이어그램은 시각적으로 매우 강하면서도 은유적(metaphorical)으로 `공간화`를 지향하고 있다. 다시 말해 극중 캐릭터의 몸, 심리, 인물 간의 위계 그리고 물리적 배경은 상징적으로 공간화되며, 심지어 오브제들의 이미지가 형성하는 메시지 자체도 모종의 `공간성`에서 자유롭지 않다. 극중 장영실이 자신을 옥죄고 있던 물리적·심리적 공간을 탈피하고 죽음과 동시에 새로이 탄생하는 순간에도 작품의 메시지는 영실이 위치한 어떤 `자리`를 표상하고 있다. 그리고 필자는 <궁리>의 이러한 동위성, 혹은 작품의 해석소를 이끌어 내는 데 있어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하위도상으로서의 이미지, 다이어그램, 메타포라고 생각한다. 메시지 전달에 있어 시각적·청각적 요소들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날 수밖에 없는 연극이라는 장르 매체 안에서 도상 기호는 그것의 재현체인 하위도상들을 통하여, 관객의 인지 및 해석 활동을 끊임없이 촉진한다. 그런 의미에서 연극 <궁리>는 도상 기호가 `공간화` 내지 `공간성`을 지향하는 상징 기호로 이동하는 과정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In this thesis, I studied iconic signs and messages which hypoicons create based on the concept of Peirce`s hypoicon, of the drama Gungni written and directed by Yi Yun-taek. All the senses(senses of signt, hearing and touch) which characters, stage designs and objets of the drama Gungni constitute produce various interpretants on the base of iconic signs having the quality of Firstness, and construct a series of interpretants for the whole drama, that is macroscopic symbolic signs which can be bound in the common sense. As the title of the drama, the character Jang Yeong-sil and King Sejong `deliberate`(Gungni means deliberation) and the whole situations and accidents are connected in the acts of deliberation. The condition of the characters(which is shown through a variety of acts), stage designs, images and diagrams of the objets are visually very powerful and aim at the spatialization metaphorically. In other words, the character`s body, mentality, the rank between characters and physical background are symbolically spatialized. What was worse, the messages which are created by the images of objets are not free from a certain of the spatialization. At the time when Jang Yeong-sil got out of physical and mental space which has tightened himself and was reborn as soon as he died, the messages of the work represent a certain `position` where Jang Yeong-sil is located. I think the images, diagrams and metaphors as hypoicon have a decisive role in leading the isotopy of the drama Gungni or the interpretants of the work. The iconic signs promote the audience`s act of recognition and interpretation through hypoicons which are the representation of the signs in the media of drama genre where the visual and auditory elements distinctively appear for message delivery. In that sense, the drama Gungni shows that the iconic signs move to the symbolic signs orienting spatialization.

      • KCI등재

        제주도 본풀이에서 ‘동의’를 나타내는 언술의 서사적ㆍ화용론적 의미 연구 : ‘어서 걸랑 기영 헙서’를 중심으로

        전주희(Jeon, Ju Hee) 한국구비문학회 2021 口碑文學硏究 Vol.- No.62

        The phrase “Let us do it like that” (어서 걸랑 기영 헙서) is a common and important saying of shamans (shimbang in Jeju). It refers to an “agreement” between figures in the shaman myths (bonpuri) of Jeju. However, it is not a mere “yes” as in common parlance. Such sayings have a more functional role in traditional oral discourses. In this study, I determine the meanings and functions of the above statement of agreement at the narrative and pragmatics levels. At the narrative level, “Let us do it like that” is spoken by the figures as a mutual mode, namely, <order-adapt>, <instruct-recognize>, and <suggest-agree> (ask-permit, recommend-accept, convince-be convinced). These dialogs represent a process of agreement by the shaman or shimbang speaking and performing. As soon as the phrase is uttered, a situation that the figures have been expecting is actualized in the narrative. This is because such an utterance always leads to an action, that is, it is an agent of action or follows a sequence leading to realization. In this way, the agreement between figures generates a sequence and guides the narrative, connecting the myth’s plot to the choices and decisions of the figures. In short, the bonpuri in Jeju realizes the plot through an agreement between figures and the causality between these events. At the pragmatic level, the phrase “Let us do it like that” functions in the same way as “magic,” by allowing it to work as an incantation. That is, when a figure suggests doing something (“describing”), another agent agrees, and this agent performs the thing upon which they agreed (“second description”). In this way, similar or almost identical scenes are described twice by a shaman. This repetition allows the shaman to “memorize” the narrative but also serves to allow the audiences to comprehend the stories, thus creating smooth communication in the community. The community then forms a model of the narrative world that it pursues. One can also compare the phrase “Let us do it like that” with “Amen” in the Catholic divine services. This “agreement” also implies “I hope so” or “That is right,” uttered among mutuals such as God and humans or priests and believers. Just as Christians reaffirm their belief in the Catholic doctrine by uttering Amen, “Let us do it like that” serves a similar function in Jeju myths within the shaman community. It alludes to expectations, or their agreement and beliefs about their ideal world, which are then realized by an agent uttering this phrase. This phrase can be seen as a collaborative agreement—as a premise for establishing an ideal world in myths; One that is spoken between figures who create the world as a sacred incantation that generates the correct results. Such a phrase is remarkable in that it is only seen in myths in Jeju inside Korea and is a sort of tuning language among those residing in Jeju. In conclusion, the myths of Jeju are stories that people have agreed upon and accepted for a long time. If so, the phrase “Let us do it like that” is habituated speech for allowing good fortune as well as for agreement among community members. ‘어서 걸랑 기영 헙서’는 제주도 본풀이 채록집에서 반복적으로 발견되는 중요한 언술이다. 이 말은 기본적으로 ‘그렇게 하자’라는 등장인물들의 동의 및 합의를 뜻한다. 구술전통담화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언술은 반드시 기능을 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이 말이 지닌 서사적ㆍ화용론적 의미와 기능을 밝혔다. 첫째, 서사적 차원에서 ‘어서 걸랑 기영 헙서’는 명령-순응, 지도-인지, 제안-수용(부탁/요청-허락, 권유-동의, 설득-납득) 등과 같은 대화 상황에서 발화된다. 심방은 인물들의 대화 장면을 구연함으로써 그들이 합의에 이르는 과정을 재현한다. 또한 이 말은 발화 직후에 인물의 수행을 일으키며 기대하던 상황이 현실화되는 것을 보여 준다. 인물의 동의는 서사를 다음 시퀀스로 넘어가게 하면서 사건의 진행을 돕고, 합의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인물의 행위 및 시퀀스의 결과가 명백히 인물의 적극적인 선택과 결정으로 초래된 것임을 보여 준다. 곧 본풀이는 인물들의 선택과 동의 및 결과의 과정을 극적으로 보여 줌으로써 사건들의 인과적 연결을 공고히 하고 나아가 신화 장르 안에서 플롯의 개연성을 획득한다. 둘째, 화용론적 차원에서 ‘어서 걸랑 기영 헙서’는 인물들이 바라는 바가 현실화되는 말의 ‘주술성’을 조명한다. 문제 상황에서 인물은 상대와 대화하며 상대가 기대하는 어떤 상황을 예측하는 제안에 ‘어서 걸랑 기영 헙서’라고 동의한다. 그리고 담화는 곧바로 이것이 현실화됨을 보여 준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측 혹은 제안으로서의 상황이 다시 현실화되는 장면의 반복적 구연은 본풀이 전승자의 기억 및 청자의 이해를 돕고, 결과적으로 전승 집단의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그들이 지향하는 이야기 세계의 모델을 구축한다. 한편 인물 간의 동의를 통하여 현실화되는 이야기의 흐름은 ‘어서 걸랑 기영 헙서’가 지니는 말의 주술성과 신성성을 종교 의례의 맥락에서 재조명하게 한다. 많은 종교들은 그들의 신앙 안에서 그들의 지향을 이루어줄, 혹은 그들이 바라는 어떤 것에 동의하는 의미의 언술을 자주 사용한다. 대표적으로 가톨릭의 전례에서 신자들의 입을 통해 발화되는 ‘아멘’이 그러한데, 이는 ‘그렇게 되기를 바란다’라는 ‘동의’의 의미를 지닌다. 신자들은 ‘아멘’을 발화함으로써 가톨릭 신앙의 교리와 우주관을 적극적으로 믿는다는 것, 그리고 상대의 기도가 이루어지길 바란다는 나(그들)의 바람을 표명한다. 본풀이의 ‘어서 걸랑 기영 헙서’는 비록 심방 일인이 발화하는 말이지만, 그것의 반복적인 발화는 본풀이에서 인물이 기대하는 모종의 상황이나 그가 내린 결정에 대한 무속 사회의 암묵적인 동의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결과적으로는 이 말이 수반하는 행위들로 실현되는 신화 세계의 상(像)을 정당화하고 수용하는 집단의 표명이 된다. 곧 ‘어서 걸랑 기영 헙서’는 제주 무속 집단이 지향하는 신화 세계를 구축하기 위한 행위들의 성립 전제이며, 그를 바탕으로 하여 발화되는 인물 간의 협력적 동의이자 올바른 결과를 도출해 내게 하는 신성한 주술과도 같다. ‘어서 걸랑 기영 헙서’는 제주도 본풀이에만 발견되는 특수한 대화 언술이며, 그것은 이야기 속 인물들의 선택, 동의, 협력의 순간들을 내포하는 삶의 언어로 여겨진다. 본풀이가 제주도 무속 집단이 동의하고 합의한 이야기들이라면, ‘어서 걸랑 기영 헙서’는 타자와 공동체의 동의를 통하여 일의 순탄한 진행을 이루고자 했던 제주인의 공동체적 삶의 조율어이자 습관화된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 한국 현대도자 전시의 경향 연구

        전주희 ( Joohee Jeon ) 이화여자대학교 도예연구소 2019 陶藝硏究 Vol.- No.28

        한국의 현대도자 전시는 정전 이후 시작된 대학의 도자교육과 함께 태동하였고, 그 자장 안에서 정치·경제·문화 등의 영향을 받으며 실행되고 있다. 전시는 동시대 주요 현상들을 감지한 미술계 관련자들이 특정 주제를 선정하고, 그 주제에 대한 의미요소를 담은 작품들을 다각적으로 선택하여, 미술제도 안에 배치하는 종합 행위이다. 따라서 전시는 시대별 가치의 지향성을 나타내는 징후이거나 당시 상황을 확인하는 지표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는 1950년대부터 최근까지의 한국 현대도자 전시의 흐름과 주요전시를 짚어 경향을 분석하고, 키워드를 추출하여 시대별 변화를 읽어내고자 한다. 1950년대는 국가재건의 시기로 다양한 도자전시가 개최되지 못했으나, 일부 전시에서 근대를 탈피하여 현대로 가는 과도기적 징후들이 발견된다. 고려청자와 조선백자의 기술적 재현을 벗어나 도자기의 표면장식에 문양, 색감, 질감의 변화를 주는 새로운 시도들이 시작되었다. 1960년대 전시는 대학교육을 받은 작가들이 전통의 재해석을 시대적 과제로 받아들여 조형적 변화를 추구하였고 개인전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작업의 정체성을 형성하였다. 1970년대 도자전시는 양적 증가에도 불구하고, 전통의 재해석에 대한 진화된 담론이 전시 속에 구현되지 못하고 내용적으로 정체되었다. 다른 한편으로 젊은 작가들(1940년대 출생)은 전통 연구보다 개성을 드러내는 자유로운 조형표현을 선호하였고, 대학의 동문전을 통해 과거와의 문화적 분리를 진행하였다. 1980년대에는 현대미술의 한 범주로써 도자를 매체로 접근하고 확장시키는 전시들이 급증하였다. 이와 함께 서구와 일본에서 유학생들이 돌아오며 국제미술계의 이슈들이 반영된 도자 전시들이 폭넓게 전개되었다. 1990년대에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으로 전시주제에서 문화적 위계가 사라지며 다원화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놀이·어린이·장식·여성·민속·세계 등 일상과 주변에 대한 담론을 구체화시킨 전시에서 보여지며 실천적 경향을 강화하며 동시대성을 갖춰갔다. 2000년대는 외환위기 이후 삶의 만족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식기전시가 양적으로 증가하였다. 도자·공예 비엔날레가 개최되며 담론의 장이 일시적으로 형성되며 주목을 이끌었다. 2010년대 초반에는 국공립 전시공간 이외의 사설 갤러리에서 조형도자전시가 감소되며, 공예전시나 크로스오버 전시로 대체되었다. 후반부터는 미술시장이 공예로 확장되며 조형도자 전시와 실용도자 전시가 안정적인 균형감이 유지되고 있다. 따라서 지난 60여 년간의 현대도자전시는 시대적 변화를 수용하며 조형성과 실용성 간의 시소게임으로 적절한 긴장관계를 유지함으로써 서로를 견인하며 진화시켜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exhibition of modern ceramics in Korea launched along with the ceramics education of universities that started after the Armistice, and is being carried out under the influence of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The exhibitions are a comprehensive act in which art-related people who have sensed major contemporary phenomena select a specific theme, variously select works containing the elements of the theme, and place them within the art system. Therefore, the exhibition is a sign of the direction indicating the values of each period or is meaningful as an indicator of the situation at the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Korean contemporary ceramic exhibitions from the 1950s to the recent years, and to extract the keywords for each period. In the 1950s, various ceramic exhibitions were not held due to the period of national reconstruction, but in some exhibitions, transitional signs to modernity are found. Aside from the technical reproduction of Goryeo celadon and Joseon white porcelain, new attempts were made to change the appearance, color, and texture on the surface decoration of ceramics. In the 1960s, the university-educated artists accepted the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 as the task of the era, pursuing the formative change, and working around solo exhibitions to form the identity of the work. Despite the quantitative increase in ceramics in the 1970s, the eVolved discourse on the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 could not be embodied in the exhibition, but stagnated in content. On the other hand, young artists (born in the 1940's) preferred free formative expression to reveal their individuality rather than traditional studies, and proceeded to cultural separation from the past through university alumni exhibitions. In the 1980s, the ceramic exhibitions of approaching and expanding the ceramics into the medium as a contemporary art, were surged. At the same time, the return of students from the West and Japan has led to a wide range of ceramic exhibitions reflecting the issues of the international art world. In the 1990s, due to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cultural hierarchies disappeared from the exhibition subject and diversified. This phenomenon is seen in exhibitions that embodies the discourse about daily life and surroundings such as play, children, decoration, women, folklore, and the world, strengthening practical trends and equipping them with contemporaryity. In the 2000s, interest in life satisfaction increased after the financial crisis, and tableware exhibitions increased quantitatively. The Ceramics and Crafts Biennale was held, and a place for discourse was temporarily formed, attracting attention. In the early 2010's, plastic ceramic exhibitions were reduced in private galleries other than public exhibition spaces, and were replaced by craft exhibitions and crossover exhibitions. From the second half, the art market has been expanded to crafts, and the exhibition of plastic and practical ceramics has maintained a stable balance. Therefore, during the past 60 years, modern & contemporary ceramic exhibitions have been confirmed that they are embracing the changing times and are eVolving by leading each other by maintaining the proper tension as a seesaw game between formativeness and practicality.

      • KCI등재

        Au와 탄소나노튜브 복합체 전극의 연성 향상

        우정민,전주희,강지연,이태일,명재민,Woo, Jung-Min,Jeon, Joo-Hee,Kang, Ji-Yeon,Lee, Tae-Il,Myoung, Jae-Min 한국재료학회 2011 한국재료학회지 Vol.21 No.3

        Gold have been used as an electrode materials having a good mechanical flexibility as well as electrical conductivity, however the stretchability of the gold on a flexible substrate is poor because of its small elastic modulus. To overcome this mechanical inferiority, the reinforcing gold is necessary for the stretchable electronics. Among the reinforcing materials having a large elastic modulus, carbon nanotube (CNT) is the best candidate due to its good electrical conductivity and nanoscale diameter. Therefore, similarly to ferroconcrete technology, here we demonstrated gold electrodes mechanically reinforced by inserting fabrics of CNTs into their bodies. Flexibility and stretchability of the electrodes were determined for various densities of CNT fabrics. The roles of CNTs in resisting electrical disconnection of gold electrodes from the mechanical stress were confirmed using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optical microscope. The best mechanical stability was achieved at a density of CNT fabrics manufactured by 1.5 ml spraying. The concept of the mechanical reinforced metal electrode by CNT is the first trial for the high stretchable conductive materials, and can be applied as electrodes materials in various flexible and stretch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transistor, diode, sensor and solar cell and so 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