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왕실 명기의 변천

        전나나(Jeon, Na-Na) 한국역사연구회 2017 역사와 현실 Vol.- No.103

        Examined in this article are artifacts (Myeonggi, Bokwan) usually found inside Joseon royal mausoleums, as well as other records of such items. Artifacts excavated from royal tombs of Joseon were various, but they can be identified either as those which belonged to the king or those which belonged to the queen, by types of Bokwan utensils and the inclusion of weaponry. In the early years of Joseon gold and silver utensils were put inside the royal mausoleums, but since the days of Sejong such practice was banned, and the types and number of utensils allowed to be placed inside the tomb were strictly specified in official records including the “Five Ritual Protocols” of the Annals of Joseon King Sejong’s reign (“Sejong Shilok O’rye-eui”). Meanwhile, another practice that began in the Sejong days was putting musical instruments in the tomb, and lasted through the 17th century. Mausoleums from the early half of the Joseon period was never excavated, so we can consult artifacts that came from tombs of other members of the Joseon royal family. Collection of artifacts that belonged to figures such as On’nyeong-gun, Jeonseong-gun and Gwangcheon-gun reveal that utensils put in tombs slowly changed from ‘Buncheong sagi’ items to White porcelain. And the shapes and figures of them match how such items are generally portrayed in pictorials inside records such as Sejong Shilok O’rye-eui. In the Joseon period’s latter half, 『Juja Garye (Household protocols dictated by Ju Hi)』 was embraced by the public as a mainstream authority, and as a result types and number of utensils to be put in tombs were either simplified or reduced. Such trend was especially evident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as in mid-18th century ‘Mogin’ utensils were completely excluded, and some of the dining utensils and weaponry were dropped as well. Other tombs of royal family members reveal what began to be not put inside tombs either, and the collection of articles from Jeongjo’s mausoleum Geon’reuing of 1800 shows us that choice of buried items exactly matched how it was dictated in Euigwe materials. We can see that reigns of Sejong and Yeongjo were turning points in the early and latter halves of the Joseon period respectively in terms of ‘buried items.’ This shows us that traditions of the Joseon royal family changed over time. King Yeongjo, who had earlier experienced quite a lot of national funerals, was very active in trimming down unnecessary aspects in burial practices, and therefore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Confucian frugality as well as ritual protocols based upon such mentality.

      • KCI등재

        Enhanced Sintering Behavior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Single Phase BiFeO3 Prepared by Attrition Milling and Conventional Sintering

        전나,문경석,Dibyranjan Rout,강석중 한국세라믹학회 2012 한국세라믹학회지 Vol.49 No.6

        Dense and single phase BiFeO3 (BFO) ceramics were prepared using attrition milled calcined (coarse) powders of an average particle size of 3 μm by conventional sintering process. A relative density of 96% with average grain size 7.3 μm was obtained when the powder compacts were sintered at 850oC even for a shorter duration of 10 min. In contrast, densification barely occurred at 800oC for up to 12 h rather the microstruce showed the growth of abnormal grains. The grain growth behavior at different temperatures is discussed in terms of nonlinear growth rates with respect to the driving force. The sample sintered at 850oC for 12 h showed enhanced electrical properties with leakage current density of 4 × 10−7 A/cm2 at 1 kV/cm, remnant polarization 2Pr of 8 μC/cm2 at 20 kV/cm, and minimal dissipation factor (tan δ) of ~0.025 at 106 Hz. These values are comparable to the previously reported values obtained using unconventional sintering techniques such as spark plasma sintering and rapid liquid phase sintering.

      • KCI등재

        기혼남성의 추가 출산계획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전나,조복희 한국보육지원학회 2012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8 No.1

        본 연구는 저출산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기혼남성의 인구통계학적 변수, 양육 부담감, 역할 만족도, 출산장려정책 인지도가 어떠한지 살펴보았고, 추가 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연구방법은 서울・경기・인천지역에 거주하는 만 5세 이하의 자녀를 둔 기혼남성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하여, 최종 188부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현재자녀수가 적을수록, 배우자의 연령이 낮을수록, 역할만족도가 높을수록, 출산장려정책인지도가 높을수록, 배우자가 취업하지 않았을때 「남편과 아내 모두 자녀출산을 원함 」범주에 드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내만 원함」의 경우는 현재자녀수가 적을수록, 기혼남성의 역할만족도가 낮을수록, 배우자가 취업하지 않았을때 높은 것으로나타났다. 셋째, 「남편만 원함」의 경우는 현재자녀수가 적을수록, 배우자가 취업 하였을때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남편과 아내 모두 자녀출산을 원치 않음」의 경우는 현재자녀수가많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19~20세기 궁궐 정전의 용향로에 관한 고찰

        전나나(Jeon Nana) 국립고궁박물관 2020 古宮文化 Vol.- No.13

        조선과 대한제국 시기에 조성된 궁궐 중에는 정전의 좌우에 대형의 향로를 두는 경우가 있다. 경복궁 근정전과 덕수궁 중화전에는 월대의 동서 끝 부분에 대형의 향로가 남아 있다. 이 향로를 의궤에서는 용향로라고 지칭하였다. 경복궁 근정전의 용향로는 『경복궁영건일기』에 따라 1866년에 만들어져 이듬해 완성되었고, 덕수궁 중화전의 용향로는 1902년 제작하였다가 불탄 후, 1905년경에 다시 제작한 기록이 의궤에 남아 있다. 경복궁 근정전의 용향로는 1457년에 제작한 대종을 녹여서 제작하였고, 덕수궁 중화전의 용향로는 금속을 이용하여 새로 주조하였다. 특히 중화전 용향로는 제작에 소요된 물품과 장인 등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어 의미가 깊다. 경복궁 근정전의 용향로를 제작한 직후 조선의 정권을 잡았던 흥선대원군은 청에 사행을 다녀온 관원에게 청 자금성의 규모와 형태에 관하여 문의하였다. 이때 자금성 태화전에는 향로를 두었고, 중화전에는 두지 않았던 내용을 상세하게 전달받았다. 조선 후기부터 연행록과 연행도를 토대로 청 자금성의 기물에 관하여 확인할 수 있는데, 대형의 향로가 있다는 점이 조정에 전달된 것으로 보인다. 현존하는 청 자금성의 태화전 앞에 있는 대형 향로의 모습이 우리나라 정전 용향로와 문양과 형상이 완전하게 일치하지 않는다. 우리나라의 용향로는 조선 후기 18~19세기에 그려진 의궤 도설의 향로와 조선 후기 왕실 향로와 유사성을 보인다. 한편, 정전 용향로의 용 머리가 있는 뚜껑은 현대에 이르러 분실되었다. 조선과 대한제국 시기의 의궤 도설에서는 다양한 기록을 토대로 용 머리가 있는 용향로의 형상을 확인할 수 있다. 경복궁 근정전의 용향로 뚜껑은 일제강점기까지도 남아 있었지만, 1960년대 분실한 것으로 추정된다. 덕수궁 중화전의 용향로 뚜껑은 일제강점기 경에 한 점을 분실하고, 한 점만 국립고궁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정전의 용향로는 뚜껑의 형상을 갖추었으며, 제례시 사용한 향로와 유사한 모습이다. 특히 정전 용향로는 고종 재위시 설치되어 조선 후기 왕실의 권위를 내세우는 상징성을 보인다. The royal and imperial palaces of Joseon(1392-1897) and Daehan Empire(1897-1910) had a pair of large incense burners placed on both sides of the entrance to the throne hall. Of them, only two pairs are remaining today, one at the Moon Terrace of Geunjeongjeon Hall of Gyeongbokgung Palace and the other is from Junghwajeon Hall of Deoksugung Palace. These large incense burners were called “dragon Incense Burner(yonghyangno)” due to the dragon motif used to decorate then. According to The Diary of the Construction of Gyeongbokgung Palace(Gyeongbokgung Yeonggeon Ilgi), the dragon incense burners of Geunjeongjeon Hall were made in 1866 while, according to the records in the books of state protocols(uigwe), the dragon incense burners of Junghwajeon Hall were first made in 1902 but had to be made again three years later due to the fire that destroyed them. The burners of Geunjeongjeon Hall were made by melting a large bell produced in 1457, those of Junghwajeon Hall with molten metal. The incense burners of Junghwajeon Hall in particular are highly regarded as a source for the study of the political situation surrounding the Korean imperial court thanks to the details of records made regarding their production, materials used and the artisans who made the burners. Following the production of the incense burners for Geunjeongjeon Hall, Lord Heungseon Daewongun(1820-1898), chief of the government of Joseon at the time, asked the Joseon envoys sent to the imperial court of Qing about the size and structure of the Forbidden City, the imperial palace of Qing. The information he obtained from the envoys included the fact that there were a pair of large incense burners placed at the front of the Hall of Supreme Harmony(Taihedian), the imperial throne hall of the Forbidden City, while there were none at Junghwajeon Hall. It appears that it was after the report that the Korean imperial court studied the early records and drawings of the imperial palace of Qing documented by the Joseon envoys, finding that the Qing court used a pair of large incense burners for the adornment of the imperial throne hall. The incense burners at Taihedian Hall of the Forbidden City are uniquely different from those at the Joseon and Daehan palaces in their size and form. The dragon incense burners at the royal and imperial palaces of Joseon and Daehan Empire share similarities with the incense burners traditionally used by the Joseon court as shown by the illustrations contained in the books of state protocols published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e dragon incense burners at the throne halls were originally complete with the lids carved with dragon heads as shown by the uigwe illustrations produced in the Joseon and Daehan Empire periods. Of the remaining burners, those of Geunjeongjeon Hall of Gyeongbokgung Palace were lost sometime during the 1960s while those of Junghwajeon Hall in Deoksugung Palace only one lid is remaining today with the other lid lost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when Korean was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When complete with their lid, these incense burners feature the form similar to those traditionally used at state rites. The dragon incense burners newly adopted for the throne hall during the reign of Emperor Gojong were intended to strengthen the royal authority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 KCI등재

        근대 사진으로 본 조선 초기 왕릉의 원형

        전나 조선시대사학회 2014 朝鮮時代史學報 Vol.69 No.-

        The Royal Tombs of Joseon are the tombs of Joseon kings and their wives, including posthumously named kings and their wives. All these tombs of the royal couples, including those of the last kings, namely, King Gojong (r. 1863-1907) and King Sunjong (r. 1907-1910) and their wives have been preserved in good condition. However, some tombs have not been classified as Royal Tombs of Joseon due to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colonial period (1910-1945), despite the existence of historical materials that confirm their status as Royal Tombs. The Palleung Royal Tombs (referring to the eight tombs of the father, grandfather, great-grandfather, and great-great-grandfather of King Taejo, the founder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ir wives, who were posthumously named kings and queens) in Hamgyeong-do, North Korea is sometimes excluded from the scope of the Royal Tombs of Joseon. Photos of Deongneung and Alleung (the tombs of King Taejo’s great-great-grandfather and his wife, built in the early Joseon Period) taken during the colonial period show that they were similar to Hyeolleung and Jeongneung (the tombs of King Gongmin of Goryeo and his wife). Jeongneung and Hwareung, which count among the eight Royal Tombs mentioned above, were maintained in good condition until the late Joseon Period. Photos of Jeongneung, the tomb of Queen Sindeok, the wife of King Taejo, taken in the early modern period show the existence of a kitchen for preparing food to be served to the dead, along with stone cooking implements, which have since disappeared. Meanwhile, photos of Gwangneung, the tombs of King Sejo and his wife, taken in the early 20th century show a spirit road, which has also disappeared. The photos taken in early modern times and the relevant literature give a reasonably accurate idea of what the Royal Tombs of Joseon looked like. 조선왕릉은 조선을 통치한 왕과 왕후를 비롯하여 추존된 왕과 왕후의 무덤이다. 조선왕릉은 조선을 건국한 이후로 꾸준히 조성하였으며, 일제강점기까지도 고종과 순종의 능을 조성하였고, 그 능을 지금까지도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조선왕릉에 대한 다양한 조선 후기의 사료가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조선왕릉으로 분류되지 않기도 하였고, 조선왕릉의 목조, 석조물의 원형을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다. 특히 함경도 소재의 팔릉은 태조의 선조가 안장된 능으로 북한에 위치하였고, 추존 왕의 능인 까닭에 조선왕릉의 범주에 포함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일제 강점기를 전후로 촬영한 함경도 팔릉의 사진을 통하여 조선 초기에 조성된 덕릉․안릉은 고려 후기 공민왕과 노국공주의 현릉․정릉과 유사성을 갖는다고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팔릉 중의 하나인 정릉․화릉도 조선 초기 능의 특징을 지니며, 후기까지 꾸준히 관리되어왔다. 태조의 비 신덕왕후의 정릉은 현재 정자각 옆에 수라간이 없고, 석물 부재가 없는 경우가 있는데, 근대 사진을 통하여 수라간의 위치와 모습을 파악하였고, 석물 부재를 확인하였다. 세조와 정희왕후 광릉은 현재 홍살문과 정자각을 잇는 향로가 없는 모습이지만, 20세기 초 사진으로 향로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근대 사진과 문헌을 토대로 조선왕릉의 원형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朝鮮王陵石人像硏究

        전나 동악미술사학회 2011 東岳美術史學 Vol.0 No.12

        조선왕릉은 조선의 최고 통치자인 왕의 무덤으로 왕릉 주변에 석물을 배치하여 무덤을 치장하였다. 조 선왕릉 석물은 조선 최고의 장인이 제작하여 석물의 조형성이 뛰어나다. 이 연구는 조선왕릉의 석물 중 에서 석인상의 조형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시대에 따라 양식적 특징이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본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기존에 알려진 바와 다른 석인상의 제작 시기를 고찰하였다. 왕릉 석인상의 양식 변천은 평균적으로 50년의 분기에 따라서 변화가 이루어지며, 당시의 역사적인 변 화에 따라서 양식의 변화가 이루어진다. 우선 15세기 전기에 제작된 석인상은 조선의 기반을 갖추어가는 과정에 있었기 때문에 아직 조선의 양식을 정립하지 못하고 고려 왕릉 석인상 양식의 영향을 강하게 받 았다. 15세기 후반에 제작된 왕릉 석인상은 일정한 양식으로 정립되지 못하고, 여러 가지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졌다. 두 번째로 16세기에는 조선왕릉 석인상의 성격을 영속적으로 왕릉으로 수호하는 인물로 규정하였다. 그래서 영구적으로 왕릉을 수호할 수 있도록 크고, 단순하게 제작되었다. 그런데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은 이후 조선 왕실의 문화는 규범을 잃고, 모든 제도를 새롭게 시작한다. 왕실 미술품인 왕릉 석인상도 그러한 움직임이 보이는데, 17세기 석인상은 16세기와 마찬가지로 단순성을 강하게 보인다. 이렇게 16세 기부터 17세기 전반에 조성된 왕릉 석인상은 단순성을 보인다고 정의할 수 있는데, 16세기 석인상은 형 태의 단순성을 보이지만 17세기 석인상은 기법의 단순화로 확대된다. 세 번째로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 후반까지 제작된 석인상은 현실성을 보인다. 17세기 후반기 제작된 석인상은 전체적으로는 단순화된 윤곽선을 보이지만 세부적인 묘사에서 사실성이 보이며, 18세기 전반 기에는 복식의 전반적인 장식품이 석인상에 적용되었으며, 18세기 후반기 석인상은 자세와 안면 표현, 신체 비례 등에서 실제와 유사하다. 그러나 이러한 실재성은 19세기 세도정치를 시작으로 종결되었다. 외척에 의한 왕권의 장악으로 인하 여 조선의 문화는 해이해지고, 왕릉 석인상도 전대의 사실성이 쇠퇴하는 경향을 보인다. 조선왕릉 석인상의 양식 분석을 토대로 기존에 알려진 바와 다른 조선왕릉 석인상의 제작 연대를 재 고해 볼 대상은 함경도 소재의 왕릉, 순조 인릉, 철종 예릉, 신덕왕후 정릉, 단종 장릉 석인상이 있다. 먼저 함경도 소재의 조선 왕릉은 현재까지 조선시대 제작한 왕릉으로 분류되어 있지 않았으나 조선 건국 이후 태종대에 능을 이장하면서 새로 조성되었기 때문에 조선 시대의 왕릉으로 구분해야 한다. 함경도 소재 왕릉의 석인상은 조선 전기의 모습을 다분히 보이고 있다. 순조 인릉은 19세기에 조성되었으나 인릉 석인상은 1446년에 제작한 소헌왕후 영릉의 석인상을 다시 사용하였다. 철종 예릉도 19세기에 조성되었으 나 예릉 석인상은 1544년 중종 정릉의 석인상을 다시 사용하였다. 신덕왕후 정릉은 1409년에 이장된 후 여러 차례에 걸쳐 보수되는데 정릉 석인상은 1583년에 새로 제작하였으며, 단종 장릉은 여러 차례에 걸 쳐 보수되었으나 장릉 석인상은 1580년에 새로 제작하였던 석물이다. 무덤은 보수적인 성격을 지니기 때문에 변화의 양상이 천천히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조선왕릉도 천 천히 변화하기 때문에 전시대를 통해서 파악이 가능하다. 그 중에서도 왕릉 석인상은 조선 왕실의 미술 품을 대표하며, 조선의 대표적인 인물상이다. 본 연구에서는 왕릉 석인상의 양식 변화가 어떻게 이루어 졌는지 살펴보았다. 앞으로 조선왕릉의 석물을 전체적인 시각에서 조망하고, 사대부 묘의 석물에 대하여 고찰하여 조선 석조 미술의 범위를 확장하도록 하겠다.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朝鮮王陵) were decorated by stone figures(石物) which were placed around them. The stone statues(石人像) of royal tombs have outstanding formative beauty since they were made by the best craftsmen at the times. In this study, the formative beauty of stone statues, a type of stone figures of royal tombs, as well as how the distinctive features of stone statues with the time changed, are examined. The time of stone statues’production which is different from what is known to the general public are also inquired into. The style of stone statues had changed almost every 50 years with the historical changes. Firstly, stone statues made in the early 15th century were strongly influenced by the style of stone statues of royal tombs during the Koryo Dynasty since Joseon was not yet settled down to develop its unique beauty. Secondly, Stone statues produced in early 16th century have front, back and side that are clearly divided, and a cross section of the stone statues looks like a square-shaped which is different from real human body. The stone statues made from the 16th to early 17th centuries can be described to be shown simplicity, but the difference is stone statues in the 16th century show simplicity only in their shapes, but stone statues in the 17th century reveal simplicity also in the techniques. Thirdly, stone statues made from the late 17th to late 18th centuries display reality. Stone statues made in the late 17th century have a simplified outline, but demonstrated reality in detailed descriptions. In the early 18th century, the decoration of the dress and ornaments of the times were applied to those of stone statues. Stone statues in the late 18th century are similar to real human in their posture, facial expression and proportion. But, this substantiality ended with the start of the royal in-law government(勢道政治) in the 19th century. As held regal sway, the culture of Joseon Dynasty slackened and the reality of stone statues also had a tendency to dwindle. Based on the analysis of stone status styles, Stone statues placed in Ham Kyung province(咸鏡道), Illeung of King Sunjo(純祖仁陵), Yereung of King Cheoljong(哲宗睿陵), Jeongneung of Queen Sindeok(神德王后貞陵) and Jangreung of King Danjong(端宗莊陵) will be examined to see if the age of those stone status is difference from previous studies. At first, the royal tombs located in Ham Kyung province(咸鏡道) which are generally unclassified as the royal tombs of Joseon Dynasty shall be understood as the royal tombs of Joseon Dynasty according to the Annals(朝鮮王朝實錄). Illeung of King Sunjo(純祖仁陵) and Yereung of King Cheoljong(哲宗睿陵) were constructed in 19th century but stone status of those royal tombs were reused from Yeungreung of Queen Sohyun(1446) and Jeongreung of King Jungjong(1544). Finally, Stone status of Jeongneung of Queen Sindeok(神德王后貞陵) and Jangreung of King Danjong(端宗 莊陵) were newly sculptured in 1583 and 1580. Because the style of tombs tend to be conservative, the change of styles are also made slowly. Likewise, because Joseon royal tombs change slowly, it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entire Joseon dynasty. Among them, stone statues at royal tombs represent the artwork of the Joseon royal family, and are the major sculpture at that time. This study shows how changes took place in the feature of stone statues in royal tombs. A further study will examine the stone statues of the Joseon royal tombs at a broader perspective and closely analyze the stone statues of scholars’tombs, to widen the boundaries of stone statues arts during the Joseon times.

      • KCI등재

        경복궁 광화문 월대(月臺)의 난간석 복원에 관한 고찰

        전나 국립문화재연구원 2021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4 No.4

        경복궁 광화문은 고종 연간인 1866년 흥선대원군이 경복궁을 중건하면서 함께 설립되었다. 광화문 남쪽으로 너 른 단인 월대를 설치하여 위계를 드러냈다. 광화문 월대는 좌우에 난간석을 설치하였고, 중앙에 어로를 두었으며, 남 쪽으로는 계단과 경사면을 설치하였다. 월대 어로와 이어진 남쪽 경사면에는 좌우에 용두석을 설치하여 왕의 길이라 는 점을 조형적으로 표현하였다. 광화문 월대 중앙에 있던 어로는 1915년 조선진흥공진회가 경복궁에서 개최됨에 따 라 넓혀졌고, 1925년경 월대가 훼철되었다. 이후 광화문 이전에 따라 그 형상을 찾을 수 없었다. 경복궁 광화문처럼 월대를 설치하는 모습은 다른 궁에서도 쉽게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월대 좌우에 난간석을 설치 한 모습은 광화문이 유일하다. 현재 광화문 월대의 난간석과 경사로에 위치한 석수가 남아 있지 않지만, 사진을 토대 로 비교한 결과 광화문 월대의 난간석은 19세기 조선 왕실에서 제작한 석물의 양상을 보이며, 용두석 역시 대한제국 시기에 조성한 상징물에서 유사한 모습을 찾을 수 있다. 한편 동구릉에는 능에 배치되지 않는 여러 석물이 남아 있는데, 홍예석, 문소전 구기비뿐 아니라 난간석의 부재인 난간석주, 동자석, 죽석이 전해진다. 조선왕릉봉분 주변에 설치하는 난간석은 민무늬로 된 석물이 없는 반면, 궁궐 주 변에 설치된 금천교에서는 문양이 없는 난간석을 설치하는 경우가 다수 남아 있다. 동구릉에 있는 난간석과 용두석은 광화문 월대의 석물로 보이는데, 시대적 양식 분석과 근대 사진과의 비교를 통하여 광화문에 설치했던 석물이라는 점 을 확인할 수 있다. 경복궁 광화문 월대의 석물은 1915년 공진회 때까지는 본래의 위치에 남아 있었지만 1920년대 조선총독부 청 사가 들어서고 전차가 부설됨에 따라 훼철되었다. 조선총독부 청사 위치에 자리한 영제교도 이 시기에 훼철되었으며, 1930년대까지 경복궁 지역에 남아 있다가 동구릉 지역으로 함께 옮겨지게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 광화문 월대 복원을 추진하는 시점에서 복원의 단초가 되길 기대한다. The Gwanghwamun Gate of the Gyeongbokgung Palace was established in 1866 when Heungseon Daewongun rebuilt the Gyeongbokgung Palace. In Gwanghwamun, a large platform, woldae was established to reveal its hierarchy. The Gwanghwamun Woldae was equipped with stone railing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fishing routes in the center, and stairs and slopes to the south. The Yongdu Stone was installed on the south side of the slope, which connected to the woldae, to express the path of the king in a formative manner. The Woldae King Road in Gwanghwamun was expanded in 1915 as the Joseon Promotion Conference was held at the Gyeongbokgung Palace and the woldae was destroyed around 1925. Since then, the figure has not been found since the time before the Gwanghwamun Gate. In the Donggureung royal tombs, there are many stones that are not placed in the royal tombs, including voussoir arch stones, Munsojeon Gugi-bi, as well as Nangan-Seokju, Dongja-seok, and Juk-seok, which are elements of the stone railings. These stone railings and Yongdu-seok are seen as stone objects of the Gwanghwamun Woldae, which can be fou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tyle of the times and comparison with modern photograph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