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혁신공간으로서의 클러스터에 관한 분석 : 동대문 패션클러스터 사례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the Dongdaemoon Fashion Cluster

        장승권 한국생산성학회 2001 生産性論集 Vol.15 No.2

        Based on the concept of cluster, the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logic of innovation processes in a Korean traditional market, Dongdaemoon. For this purpose, the paper sums up the current theoretical efforts on cluster and innovation, which are widely seen in social sciences from geography to innovation studies. And the author proposes to employ analytical frameworks of cluster, namely the anatomy of cluster and the dynamical trajectories in the evolution of cluster. Finally, these frameworks are applied for understanding the dynamic innovation in Dongdaemoon.

      • KCI등재

        이해관계자 관리를 통한 협동조합의 사회적 책임 실천:아이쿱생협의 필리핀 공정무역 사례

        장승권,김선화,전지윤,정지현 한국동남아학회 2022 동남아시아연구 Vol.32 No.1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에 대한 요구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주식회사와 같은 투자자소유기업뿐 아니라, 조합원이 소유하는 협동조합도 상황은 같다. 국내 생산자와의 연대를 통해 국내 친환경 유기농 시장을 형성하고 확장하기 위해 탄생한 한국 생협은 소비자의 필요를 반영하면서 공정무역을 시작하였다. 국내 유기농 시장의 확장이라는 사회적 책임을 사명으로 실천해 온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은 공정무역(Fair Trade)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글로벌 차원으로 확장하면서 소비자 조합원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본 연구는 이해관계자 관리 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어떻게 한국의 협동조합이 글로벌하게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는지를 분석했다. 한국에서 가장 큰 생협인 아이쿱생협 사례를 통해서 이 주제를 연구했다. 아이쿱은 필리핀의 마스코바도 생산자들과 장기적 파트너십을 발전시켜왔다. 본 연구를 위해 문헌연구와 관계자 면접을 했다. 연구결과, 아이쿱생협은 공정무역 사업으로 인해 영향을 받는 많은 이해관계자 중에서 가장 핵심이해관계자인 생산자와 소비자를 중심으로 협업전략을 실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본 연구는 한국 기업이 동남아시아국가에서 사회적 책임을 어떻게 실행할지에 대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산업현장친화형 대학교원 인사제도의 방향

        장승권,최종인,홍길표,Jang, Seungkwon,Choi, Jong-In,Hong, Kilpyo 한국벤처창업학회 2013 벤처창업연구 Vol.8 No.4

        대학에 산학협력 제도가 정착되었지만, 대부분의 한국 대학이 연구중심 인사관리 체계를 유지하며, 교육과 연구의 현장 적합성이 부족하다. 대학의 학술중심 문화와 인사제도 때문에 정부정책과 지원에도 불구하고 산업현장친화형 교수는 자리 잡기 어렵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현장친화형 교수인력을 채용하고 평가할 수 있는 인사제도를 연구하여, 한국 대학의 문화에 산학협력 풍토가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변화시키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내용분석, 연구문헌조사, 사례분석, 면접 등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한국 대학의 교원 인사제도는 법제도에 근거하여 운영되기 때문에 대부분 유사하며, 산학협력을 잘 하지 못하는 이유는 대학과 산업체가 다른 요구와 문화를 갖고 있다는 '죽음의 계곡'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를 극복하려면 대학교원 인사제도를 혁신해야 한다. 다양한 산학협력프로그램 운영은 산학협력성과, 연구성과와 교육성과 향상에 영향을 준다. 산학협력 인사제도와 지원제도의 도입은 산학협력 성과, 교육성과와 연구성과 향상을 촉진한다. 교육성과를 높이기 위해서 다양한 산학협력 프로그램 운영, 산업체 경력 전임교원 확보 등 산업친화형 대학풍토조성이 중요하다. 정책제안으로 산업현장 친화형 대학교원 인사제도 도입 및 확산을 위해서 간접 지원정책과 제도 환경 조성을 제시한다. 산업현장친화형 교원인사 자율목표 채택 대학에 인센티브 제공, 산학협력 지원프로그램과 산업현장 친화형 교원인사 연계, 산업현장 친화형 대학교육을 강화하는 정보공개 등이 중장기적으로 성과를 낼 수 있다. 기대성과와 활용방안은 산업현장 친화형 대학교원 인사제도 개선방안을 제시, 대학 특성화 유형별 인사제도 제시, 산업현장 전문가의 교수채용 활성화를 통한 대학의 산학협력 인식 제고, 산학현장 친화형 교원 인사제도 강화를 통한 자발적인 산학협력 활성화, 대학유형별 산학협력 특성화 대학의 육성 정책수립 방향 제시, 산학연 협력 선진화 지원정책의 근거 조사자료를 제공했다. The practices and processes of HRM (Human Resource Management) for university faculty in Korea depend heavily on assessment of research and teaching rather than the UIC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performance. In this regard, HRM of Korean universities is said to be far distant from UIC. Although policy initiatives by the Korean government, notably the MoE (Ministry of Education) have implemented in most universities, the desirable level of UIC could not be achieved yet. Moreover, the very notion of 'university' in Korea is much more to do with 'pure' education and research institution than with 'applied' and 'vocational' purpose. Considering upon HRM practic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for enhancing UIC in Korea, the government's policy should be linked to alter deep-rooted university culture. So the aims of the research are to describe the current state of HRM in Korean and foreign universities; to find out the critical factors of UIC in Korean universities; to analyze the gaps between university research and industrial commercialization based on a conceptual framework, the 'valley of the death'; and to recommend HRM policies fostering UIC for the MoE. For achieving these objectives, we deploy multiple methodologies, namely, in-depth interview, literature survey, and statistical data analysis with regard to UIC. Analyzing the data we have collected, the present research sheds light on all aspects of HRM processes and UICs. And the main policy implication is restricted to the Korean universities, even if we have collected and analyzed foreign universities, notably universities in the USA. The research findings are mainly two folds. Firstly, the HRM practices among Korean universities are very similar due to the legally institutionalized framework and the government's regulations. Secondly, the difficulties of UIC can be explained by notion of the 'valley of death' ways in which both parties of university and industry are looking for different purposes and directions. In order to overcome the gap in the valley of death, the HRM policy is better to be considered as leverage. Finally, the policy recommendations are as follows. Firstly, various kinds of UIC programs are able to enhance the performances of not only UIC, but also education and research outcome. Secondly, fostering organizational climate and culture for UIC, employing various UIC programs, and hiring industry-experienced faculty are all very important for enhancing the high performance of university. We recommend the HRM policies fostering UIC by means of indirect way rather than funding directly for university. The HRM policy of indirect support is more likely to have long-term effectiveness while the government's direct intervention to UIC will have likely short-term effectiveness as the previous policy initiatives have shown. The MEST's policy means of indirect support might vary from financial incentives to the universities practicing HRM for UIC voluntarily, to information disclosure for UIC. The benefits of the present research can be found in suggesting HRM policy for UIC, highlighting the significance of industry-experienced faculty for UIC, and providing statistical analysis and evidences of UIC in Korean universities.

      • KCI등재

        공정무역의 가치사슬과 주류화: 한국의 공정무역 사례

        장승권,김선화,조수미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16 국제지역연구 Vol.25 No.4

        This study aims to explain Fair Trade in terms of value chain model and to investigate Fair Trade value chains in Korea. Fair Trade value chain has been developed by various organizations around the world. Recent researches have showed mainstreaming of Fair Trade in Western countries might cause fair-washing, co-optation, and dilution of Fair Trade values. This research sheds light on the issues and the ways in which Fair Trade in Korea can minimize those drawbacks. In Korea, Fair Trade market has been developed by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notably Fair Trade Organizations (FTO), consumer co-operatives, and social enterprises even if few retailers and traders involved in Fair Trade market with FLO mark. However, it is practicable major retailers or multinational corporations are likely to take part in Fair Trade market in Korea. Hence it is needed to act to minimize the problems caused by mainstreaming of Fair Trade. Having value chain perspective, the present research is different from many of previous researches in Korea, which are mainly concerned with consumers’ and producers’ aspects of Fair Trade. 본 연구는 한국의 공정무역(Fair Trade)을 가치사슬(value chain) 이론으로 분석한 것이다. 유럽과 북미를 중심으로 공정무역이 주류화(mainstreaming)되면서 공정무역 가치사슬은 복잡하고 다양하게 변화되고 있다. 주류화로 인해 공정무역 가치사슬이 페어워싱(fair-washing), 포섭(co-optation), 희석(dilution) 되는 과정을 겪기도 한다. 한국 공정무역이 이러한 문제들을 최소화하면서 주류화 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한국 공정무역 시장은 공정무역단체, 생협, 사회적기업 등 사회적경제 조직을 중심으로 커가고 있다. 일반기업들도 공정무역 인증제품을 판매하고 있으나 시장규모는 크지 않다. 하지만 대기업들이 언제든지 공정무역시장에 참여할 수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공정무역의 주류화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문제들을 최소화 하기 위한 실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공정무역 가치사슬 이론을 기반으로 한국의 공정무역 사업참여자들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국내연구와는 차별점을 갖는다.

      • KCI등재

        「한국협동조합연구」 학술지 발간 40년:1983년부터 2022년까지의 성과와 과제

        장승권,김아영,유한나,전혜원 한국협동조합학회 2022 韓國協同組合硏究 Vol.40 No.4

        This study examines publication patterns in the Korean Journal of Cooperative Studies, a peer-reviewed academic journal founded in 1983 by the Korean Society for Cooperative Studies. The study provides a longitudinal overview of the Korean Journal of Cooperative Studies, contributing to a broader discussion of the Journal’s role in advancing the scholarship of Cooperative Studies in Korea. 549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from 1983 to October 2022 were analyzed for authorship, research method, article content, impact factor, centrality, and immediacy index of KCI (Korea Citation Index).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Korean Journal of Cooperative Studies has grown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over the past 40 years. In other words, the number of publications, published papers, citations, and impact factor increased. Second, looking at the citation information of the Journal, the influence of the Journal is growing. Third, the research topics of paper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Cooperative Studies have changed in various topics. Meanwhile, the Journal is regarded as highly selective and accepts high-quality articles, obtaining the highest impact factor among the agricultural economics journals published in Korea. It is imperative to expand and broaden the research base to advance the scholarship of Cooperative Studies in Korea. 본 연구의 목적은 1983년부터 2022년 10월까지 「한국협동조합연구」에 게재된 논문을 비교 분석하고, 그동안의 변화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협동조합연구」를 통해 한국의 협동조합에 관한 연구 동향을 파악하였다. 또한 협동조합과 관련된 여러 학술지와의 비교를 통해 「한국협동조합연구」의 성취와 도전과제를 도출하여, 학술지의 향후 발전 방향과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협동조합연구」는 지난 40년간 양적 그리고 질적으로 성장했다. 즉, 발간 횟수와 게재논문, 그리고 인용 횟수와 영향력지수(Impact Factor) 등이 모두 증가했다. 둘째, 학회지의 영향력 지수 등 인용통계를 보면 학회지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셋째, 「한국협동조합연구」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주제가 다양하게 변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협동조합연구」의 세 가지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 첫째, 「한국협동조합연구」는 다학제적(multi-disciplinary)이고 총체적(holistic)으로 협동조합을 연구하는 학술지가 되어야 한다. 둘째, 영향력이 큰 협동조합 연구 학술지가 되어야 한다. 셋째, 글로벌 연구자들이 인정하는 협동조합 학술지가 되어야 한다.

      • e-business의 확산과 산업혁신과정의 변화 : 섬유산업

        장승권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1 정책연구 Vol.- No.-

        연구의 목적 및 분석 틀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과 보급과 함께 전자상거래 규모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정보기술, 특히 인터넷이 상거래와 비즈니스 전 반에 미치는 변화의 힘과 방향에 대해 연구할 필요가 있다. 전통적인 굴뚝산업으로 인식되고 있는 섬유산업에도 정보통신 분 야의 신기술을 도입하고 활용하는 사례가 점차 늘어나고 고도화되 고 있다. 최근 인터넷의 급속한 전파와 활용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새로운 양상도 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섬유산업에도 새로운 도전 과 기회의 시간이 오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혁명과 함께 진행되고 있는 섬유산업의 구조 변 화 양상을 새로운 비즈니스모델(BM:Business Model)이라는 관 점에서 연구한다. 연구 대상은 섬유산업이라고 부르는 일군의 관련 산업을 모두 포함 한다. 섬유산업은 원료에서부터 패션부문까지를 포괄하는 연속적 종합시스템 산업이다. 따라서 섬유산업의 어느 한 부분만을 다룬다 면 전체 그림을 볼 수 없다. 본 연구는 새로운 연구주제를 모색하고 문제를 제기하려는 탐색적 성격을 띄고 있으며, 방법론으로는 문헌조사와 인터뷰를 사용한다. 본 연구의 분석 틀은 e- 비즈니스의 전략방향과 거래유형이라는 관 점에 기반하고 있다. - 전략방향이란 기업의 적극적이며 능동적 지향점이며 경영자의 전 략적 선택이다. 거래유형이란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거래의 형태 를 말하며, 현실적이며 객관적 현상이다. - 분석 틀의 가로축은 e- 비즈니스의 전략적 방향과 유형이다. - 세로축은 e-비즈니스가 일어나는 단위인 산업과 기업으로 나누었다. (1) 기존 연구 리뷰:e -비즈니스와 산업구조 변화 미국의 컨설팅회사인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는 네 단계의 e- 비즈니스 진화과정을 주장한다 (마틴 데이즈 외, 2000, p.27). 1단 계는 채널확대, 2단계는 가치사슬통합, 3단계는 산업해체, 그리고 4단계는 산업재구성이다. (2) 섬유산업과 e -비즈니스 ○섬유산업 현황을 제조업에서의 비중을 중심으로 보면, 비록 전통 산업의 하나로 많이 위축되고는 있지만 그 비중은 높은 편이다. 그러나 섬유산업의 전체 거래량과 비교하면 섬유의 전자상거래 규모는 불과 0.6%로 아주 미미한 수준이다 (국세청, 2001). 한국 섬유산업의 해체와 재구성 가능성 ○디지털화 방향을 중심으로 섬유산업의 변화를 평가하면 다음과 같다. ○산업구조 변화의 방향과 속도에 따른 e- 비즈니스 전략 (3) 섬유산업의 새로운 BM ① 섬유산업의 e- 비즈니스 ② 섬유산업의 B2C ③ 섬유산업의 B2B:QR ④ 섬유산업의 B2B:e-marketplace ⑤ 섬유산업의 B2E 정책적 시사점 및 결론 ○한국섬유산업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전략과 정책 이 필요하지만, e- 비즈니스를 통한 혁신도 필요하다. 이를 두 차원 에서 접근할 수 있다. ○섬유산업의 일반적 문제와 연결하여, 현재 한국 섬유산업 e- 비즈니 스 업체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IBGEN 보고서, 2000). ○e- 비즈니스를 통해 거래 상대방을 찾아내는 것은 잘 할 수 있고, 비 용도 적게 든다. 또한 인터넷을 통해서 자료검색 등은 잘되지만, 실 제 비즈니스는 쉽지 않다. ○일본 섬유산업에서 e- 비즈니스가 되지 않는 이유도 비슷하다. 즉, 섬유기업은 오래된 단골 고객을 무시하기 힘들다. 신용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섬유산업은 전통산업이고, 신용이 가장 중요하다. 때문에 인터넷을 통해 사업하기 힘든 산업이다. 지불 능력, 품질 등의 신용 문제가 있다. 또한 섬유산업은 전자부품산업과 같이 표준화 된 제 품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산업이 아니다. ○본 연구는 전통산업인 섬유산업에서 e- 비즈니스가 확산되면서 산 업구조가 어떻게 바꾸어가고 혁신이 일어나는지를 알아보려 했다. 섬유산업과 기업의 사례분석을 통해 얻을 수 있었던 연구결과를 요 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