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기업 경영체제의 연구동향 분석 및 한국적 경영체제 특성의 이론화 가능성 모색

        홍길표,류성민 한국인사조직학회 2015 인사조직연구 Vol.23 No.1

        This study investigated research trends in corporate governance and management structure through a content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on Korean firms. This study also evaluated the contributions of previous studies to the development of theory-building for Korean-style corporate governance and management structure in Korean firms, and then derived future research issues. It was found that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corporate governance and management structure in Korean firms, though there has been a slight increase since 2005. There were also fewer studies in the HR/OB field than in other fields of management. Many of the previous studies used the agency theory to derive core theoretical arguments. The previous studies that used the agency theory could be separated into three categories. The first were studies on antecedents for the characteristics of corporate governance and management structure. The second were studies on consequences of the characteristics of governance and management structure, i.e., firm performance. Finally, there were a group of studies that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 of governance and management structure. These studies appli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the variables, measurements, analysis models, and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used in former studies that embraced the agency theory. As a result, the agency theory, which assumes the dispersion of shares and the separation of ownership and management, is the most commonly applied theory for corporate governance and management structure in Korean firms, which have a unique ownership structure. The problem is there has not been a comprehensive review to verify that this theory is relevant for the Korean context. Therefore, to encourage the development of context-relevant theory for Korean-style management, conceptual and theoretical studies that investigate and explain theunique characteristics of corporate governance and management structure in Korean chaebols must take precedence over others. 한국기업의 경영체제 연구에서는 대리인이론과 같이 서구에서 개발되어 확립된 이론들의 적용연구는 많았지만, 우리 기업들의 독특한 경영체제 특성을 반영해 이론적 지평을 확장하거나 새로운 이론개발 도전 노력은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이와 관련해 본 논문은 한국기업의 경영체제 특성을 연구해 발표한 기존 학술논문들의 내용분석을 통해 그간의 경영체제 연구가 연구방법, 분석수준, 연구주제, 핵심 기반이론 측면에서 어떤 특징을 보이는지 그 연구동향을 분석하고자 했으며, 한국적 경영특성 규명을 위한 이론개발 관점에서 기존 학술논문들의 공헌도를 평가하고 향후 연구 과제를 도출하고자 했다. 선행논문 분석 결과, 한국의 경영체제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를 불문하고 많지 않았지만 2005년 이후 조금 활성화되는 모습을 보였으며, 인사조직 분야 경영체제 연구는 타 분야에 비해 그 비중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존 선행연구의 약 50% 정도가 대리인이론이라는 특정이론을 중심이론으로 활용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난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발표논문에서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대리인이론 기반 논문들의 핵심변인 및 분석모형 구조를 분석한 결과, 경영체제 특성변인에 대한 영향요인을 규명하는 연구, 경영체제 특성변인이 기업성과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경영체제 특성변인을 조절변인으로 활용한 연구들로 구분되며, 기존의 대리인이론에서 자주 활용되던 변인과 측정방법, 분석모형과 변인 간 관계구조 등을 상당부분 준용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로 인해 발표논문의 양만을 기준으로 본다면 주식분산과 소유-경영분리를 전제로 출현한 대리인이론이 재벌 기업집단이라는 독특한 소유지배구조를 지닌 한국기업 경영체제 특성을 가장 잘 설명하는 대표이론으로 해석될 위험성이 발견된다. 문제는 한국적 상황에서의 이론적용을 위한 여건 적실성에 대한 심도 있는 고찰이나 검증이 없었다는 점이다. 향후 한국적 경영체제 특성 규명을 위한 이론개발을 위해서는 한국 재벌기업의 경영체제에서 나타나는 독특한 특성을 설명하고자 하는 개념적 이론화 연구 작업이 우선적으로 선행될 필요성이 있다.

      • KCI등재

        헤르만 헤세의 ‘정치적 소설’,<데미안>

        홍길표 한국헤세학회 2019 헤세연구 Vol.42 No.-

        Der während des ersten Weltkrieges entstandene Roman Demian wird vor allem als ein Roman in der Tradition des deutschen Bildungsromans gelesen. Meines Erachtens findet bei dieser Lesart jedoch die Thematisierung des Ersten Weltkrieges gegen Ende des Romans und vor allem der Diskurs über das alte und neue Europa zu wenig Beachtung. Beide Themen scheinen in der Forschung dieses Romanes keine zentrale Rolle zu spielen, was darauf zurückzuführen ist, dass sie in der Bildungsgeschichte des Romanhelden zunächst keine besonders große Bedeuung zu haben scheinen. Die vorliegende Arbeit geht in diesem Zusammenhang davon aus, dass Demian nicht nur als eine Bildungsgeschichte zu betrachten ist, sondern auch als ein politischer Roman, der den Ersten Weltkrieg und auch über die Zukunft Europas thematisiert. Es ist bemerkenswert, dass Hesse in diesem Roman den (Ersten) (Welt)Krieg als etwas Notwendiges und Schicksalhaftes darstellt. Bekanntermaßen protestiert Hesse von Anfang an dezidiert gegen den Ersten Weltkrieg, und Demian entsteht im Jahr 1917, also inmitten des Krieges. Wenn Hesse im Roman diesen Krieg als etwas Positives zu interpretieren versucht, dann heißt das, dass er im Laufe des Krieges seine Meinung dazu deutlich geändert haben muss. Hesse betrachtet den Krieg nun für eine Zukunft Europas als notwendig: Im Roman bedeutet der Krieg auch die Geburt dieses neuen Europas. Abgesehen davon, dass diese Sinngebung des Krieges von Hesse sozialpolitisch problematisch ist, gilt besonderes Augenmerk seiner Vision von Europa im Roman Die vorliegende Arbeit beschäftigt sich in diesem Zusammenhang mit dem neuen Europa, das Hesse visioniert. Es gilt aufzuzeigen, dass es sich bei der Bildungsgeschichte des Romanhelden um die eines dezidiert europäischen Helden handelt, bei dessen Identitätsfindung Eurozentrismus und das Andere eine wichtige Rolle spielen. 소설 <데미안>은 분명 근현대 독일 소설사에서 확고하게 자리를 잡은 장르소설인 ‘성장소설(교양소설)’에 속한다. 서설에서부터 그리고 소설 전체에서 인간 개인의 내면과 그 성장 이야기는 바깥 사회에 대해 절대적인 우위를 점하는바, 주인공은 자신의 정체성 발견에서 사회 정치적 문제는 부차적인 것임을 역설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맥락에서 주목을 끄는 것은 이 성장담의 마지막 두 장에서 전쟁, 즉 1차 세계 대전을 중심으로 주제화되는 문제다. 주지하다시피 헤세는 당대 여러 작가들과 달리 일관성 있게 전쟁(제 1, 2차 세계대전)에 반대한 평화주의자였으나, 소설 <데미안>의 인물들은 전쟁에 열광하거나 그것을 환영하지는 않더라도 분명히 운명적인 것으로, 필연적인 것으로 해석한다. 특히 소설의 후반부에서 드러나는 작가의 이러한 전쟁에 대한 입장과 그와 관련한 유럽에 관한 담론은 소설의 성격을 본질적으로 바꾸어놓는다. 한 소년의 성장담은 더 이상 한 개인의 정체성과 자기발견만을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서구유럽 사회의 진단과 비판을 근간으로 새롭게 탄생되어야 할 유럽과 유럽인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 성장담은 일차적으로 보편적인 인간 개인의 정체성과 자기발견을 주제화하려고 하나, 소설에서 이야기되고 있는 것은 ‘새로운’ 유럽인의 자기발견이며 그것을 찾는 과정이다.<데미안>은 성장소설이면서 동시에 매우 유럽 중심적인 ‘정치적 소설’인 것이다.

      • KCI등재

        자아 혹은 ‘말할 수 없는 것’에 관하여 - 헤르만 헤세의『싯다르타』와 개인(성)의 문제 -

        홍길표 한국헤세학회 2014 헤세연구 Vol.31 No.-

        In einem Interview im Jahr 1922, also im krisenhaften Höhepunkt der Nachkriegsjahre, appelliert Hermann Hesse an die amerikanische Jugend, dass sie den Egoismus überwinden sollte, um “ins Innerste aller Weisheit” zu gelangen, jedoch “nicht durch den Verzicht auf Persönlichkeit, sondern durch deren höchste Entwicklung”. Es ist von Interesse und Belang, dass Hesse hier die soziale Verantwortung und Hingabe hervorhebt, während er den Egoismus vom Individualismus kategorisch unterscheidet, auf dem er pathetisch insistiert. In der vorliegenden Arbeit gilt es zu betrachten, wie der sogenannte ‘exemplarische Individualist’ in Siddhartha seine Idee des Individuellen gestaltet und thematisiert, was unmissverständlich im Zeichen des Sendungsbewusstseins steht, die krisenhafte, europäische Gesellschaft zu erwecken: Er präsentiert eine ‘andere’, d. h., indische Dichtung, während er sich demonstrativ vom Europäischen abzuwenden scheint. Es ist aber dabei besonders hervorzuheben, dass man den Protagonisten meiner Ansicht nach nicht als einfache Verkörperung des Asiatischen betrachten darf: Hesse spielt seinen Siddhartha unmissverständlich gegen den historischen indischen Buddha. In diesem Zusammenhang wollen wir uns damit beschäftigen, wie Hesse das Ich konzeptualisiert, das m. E. auf dem fundamentalistischen Individualismus beruht: Er konzipiert nämlich das Ich eines Individuums als das Unaussprechliche, was vor allem bedeutet, dass das Individuelle im Zeichen des Einmaligen, das nicht zu universalieren ist, nicht versprachlicht und gedacht werden kann. Das Individuum stellt für Hesse die allerletzte, also göttliche Instanz dar, die sich auf nichts zurückführen lässt. In diesem Sinne lässt sich sagen, dass Siddhartha in der Tradition der literarischen Reflexion der Moderne über das Individuum in der Gesellschaft steht.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이분법적 사고 혹은 이성의 문제에 관하여 -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의 『펜테질레아』 소고

        홍길표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23 독어교육 Vol.87 No.87

        슈미트에 의하면 클라이스트의 의식을 지배한 것은 계몽주의(의 문제)와 프랑스 대혁명 이후 옛 질서의 해체와 다가온 변혁들이다. 혁명, 해체, 개혁 등의 시대적 열쇳말 앞에서 그의 관심사는 무엇보다 도래(해야)할 “사물의 새로운 질서 eine neue Ordnung der Dinge”에 관한 것이었다. 그리고 이것과 관련하여 중요한 것은 권위적인 사회적 규범과 제도에 대한 비판, 즉 자연스러운 인간적인 감정과 개인적인 자아의 실현을 인정하지 않는 전통적인 가치들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편견에 대한 결연한 거부”였다. 누구보다도 오디세우스가 보여주듯 (도구적) 이성이 폭력적인 편견의 기원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고는 “경계 넘기의 극 ein Drama der Überschreitung” 인 『펜테질레아』에서 클라이스트가 어떻게 새로운 사물의 질서를 위한 재고의 차원에서 기존의 도구적 이성이 지배하는– 특히 이분법적 - 질서에 대해 근본적인 질문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Das Ziel vorliegender Arbeit liegt darin, Kleists Penthesilea als grundlegende Kritik an die rationalistische, binäre Denkform zu verstehen, die seit dem 18. Jahrhundert im aufklärerischen Westeuropa zu herrschen scheint. Im Zentrum der Kritik befindet sich die Problematik der instrumentellen Vernunft, die anhand der binären Weltdeutung das Andere als das Barbarische und Gefährliche unterdrückt und ausschließt. Die Kritik richtet sich gegen beiden Kriegsstaaten von Griechen und Amazonen, die in dieser Tragödie mittels instrumenteller Venunft Staatssystem aufrechterhalten und Individuen unterdrückt, die das Andere liebt. Kleists Vernunftkritik gegenüber Griechen und Amazonen bedeutet jedoch nicht, dass er sich zugunsten der Welt der Nicht-Vernunft von Rationalismus oder Aufklärung abwendet. Kleist, der in der revolutionären Umbruchszeit um 1800 lebte, beschäftigte sich vor allem mit den Fragen nach einer neuen Ordnung der Welt. In der vorliegenden Arbeit soll aufgezeigt werden, wie Kleist sich anhand seiner tragischen Figuren im Zeichen der reflexiven Vernunft mit der Problematik der instrumentellen Vernunft und des Anderen auseinandersetz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