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글쓰기 기계들의 문학사, 보철 장치와 정동의 재구성

        임태훈 ( Lim Tae-hun ) 현대문학이론학회 2021 現代文學理論硏究 Vol.- No.84

        문학사와 기술사의 접점에서 글 쓰는 몸과 기계의 확장성을 발견하려 한다. 가족의 죽음으로 인한 상실감과 절망을 극복하려는 생의 실험, 시대와 불화하고 사회로부터 배척받는 고통을 다스릴 정동의 재구성, 망명과 탈주의 행로마다 생존과 저항의 도구로 변신하는 글쓰기 기계의 발견은 사회적 신체를 바꾸려는 열망과 직결된다. 이때 글쓰기 기계는 보철 장치로 재발명된다. 이 연구는 구술 집필, 타자기, 워드프로세서, PC 등의 글쓰기 기계들이 무슨 이유와 상황 속에서 사용자에게 선택받게 되는가를 미시적으로 고찰한다. 텍스트 생산을 둘러싼 문학과 기술의 논리는 효율성과 경제성의 원칙에 기계적으로 수렴되지 않는다. 오히려 그러한 원칙과 상충하기도 하면서, 텍스트 생산과 수용의 개별 미시 단위의 특이성을 가능케 한다. 그 구체적 사례로, 이광수, 박완서, 장정일, 구효서, 황석영의 작품과 문학 실천을 살핀다. This study considers the scalability of writing and machines at the intersection of literature and technology history. Life experiments to overcome family death and loss of despair, reconstruction of mind and body to control pain and social discord, and discovery of writing machines that turn into tools of survival and resistance are directly related to the desire to change the social system. and The writing tool is then reconstructed into a prosthetic device. The study investigates under what circumstances users choose writing machines such as language writing, typewriters, word processors, and PCs. The logic of literature and technology surrounding text production does not converge mechanically, but conflicts with the principles of efficiency and economics, enabling the specificity of individual microunits of text production and acceptance. Specific examples include Lee Kwang-soo, Park Wan-seo, Jang Jeong-il, Koo Hyo-seo and Hwang Seok-young.

      • KCI등재

        미시적 접근법을 이용한 국내 업종별 정전비용 산정

        임태훈(Tae-Hun Lim),정복만(Bok-Mahn Jung),정재훈(Jea-Hoon Jung),최유림(You-Rim Choi),김용하(Yong-Ha Kim)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19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33 No.11

        Estimation of interruption costs is indispensable to determine the optimal facility investment scale and optimum reliability level at the time of distribution system planning. For this, in this paper, we calculate interruption costs by microscopic method, which reflects the pattern of power consumption by customers. For continuity with past research results, based on “Assessment of Interruption Costs on the Industry Load through Using the Microscopic Method”[1], we conducted a direct visit survey on five industries that are practically applied in NDIS(New Distribution Information System) of KEPCO: industry, commercial companies, companies and institutions, agricultural fishery products, and houses. We obtained 2,500 valid data and performed Tobit Regression based on this data to calculate domestic interruption costs in and significant data was produced when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interruption costs in 2008 and 2013.

      • KCI등재

        특집 1 : 미디어융합과 한국문학의 재매개 ; “사운드스케이프 문화론”에 대한 시고

        임태훈 ( Tae Hun Lim ) 반교어문학회 2014 泮橋語文硏究 Vol.0 No.38

        ‘사운드스케이프 문화론’은 시각과 청각의 이분법을 따르지 않는다. 소리와 듣기를 초역사화된 개별 감각의 본성 속에서 규정하는 작업에 반대하며, 이른바 ‘소리의 문화사’로 분류되는 연구 경향과도 구별되고자 한다. ‘사운드스케이프 문화론’은 오히려 ‘몸만들기의 문화사’에 더 가깝다. 이 연구에서 ‘소리’란 청각에 한정된 현상만이 아니라 몸 전체로 체험하는 ‘울림’을 의미한다. ‘사운드스케이프(soundscape)’는 물리적인 음(音)부터 정동적 에너지, 정보의 흐름 등이 총망라된 세계와 몸이 상호작용하는 관계망을 뜻한다. 이 울림의 관계망을 미디어 환경과 신체화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접근하려는 시도가 이 연구가 지향하는 ‘사운드스케이프 문화론’이다. 인간의 환경세계를 둘러싼 각종 장치가 새롭게 구성되고, 그 장치들에 얽힌 사회 정치 경제의 연결망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추적하는 역사적 작업이다. Soundscape Culture` does not follow the dichotomy between the visual and auditory. The opposition to the work in defining the nature of the sound and listen to the second historization individual sense, the so-called distinct research trends and also become classified as cultural history of sound. ``Soundscape Culture`` is rather closer to the cultural history of social body. Only limited to the auditory phenomenon is ``sound`` in this study refers to as ``ringing`` of experience throughout the body. ``Soundscape`` is the physical sound (音) from affect, global and exhaustive body, such as the flow of information means network to interact. The network of sounding a media environment and somatization an attempt is made to access the center of interaction-oriented research soundscape culture. Various devices and new configuration of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human world, the historical task of tracking how you are entangled in a network of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changes in the device.

      • KCI등재

        박정희 정권의 문화영화와 기억 상실의 형식

        임태훈(Lim, Tae Hun) 동악어문학회 2017 동악어문학 Vol.71 No.-

        1970년대 박정희 정권의 문화영화는 경제와 안보라는 두 개의 전황(戰況)을 시시각각 소개하는 한편, 이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는 병참학(兵站學)을 교육하는 매체였다. 「어느 근로자의 하루」(1970)와 「열사의 젊은이」(1979) 역시 산업자본의 군사적 배치를 정당화하는 서사의 전형이면서, 노동과 젠더, 민주주의가 병참학적 우선순위에 따라 어떻게 처리되는가를 특징적으로 보여주는 문화영화다.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고속도로의 스펙터클은 1970년대 박정희 시대의 성취를 과시하는 거대한 축적물이자, 국민적 기억을 육성하는 기억 상실의 형식을 집약하고 있다. 이 영화들은 관객의 내면에 침투하지 못하고 겉도는 일방적 프로파간다가 아니라, 생계의 압박과 가난의 공포에서 벗어나기 위해 당장에 집중해야 할 것의 우선순위를 합리화 하는 방식을 설득력 있게 제안했다. 그리하여 수탈적 경제 시스템의 구조적 모순과 폭력성에도 불구하고, 노동을 소외하는 노동에 희생적으로 몰두할 수밖에 없고 젠더와 민주주의의 퇴행이 방치된다. Machines were used quite dramatically as political propaganda during the Park Chung Hee era(1961-1979). His government publicized the image of “diligent workers handling machines” as a symbol of a modernizing country. This was particularly true during the Third Five-Year Economic Development Plan (1967-1976), when the government invested heavily in the large-scale heavy and chemical industries. In this period, the Ministry of Culture and Public Information, the propaganda agency of the regime, produced several “cultural films” that vividly displays the image of diligent workers in the new factories.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mechanical symbols and the patterns of political propaganda that appear in two films, <One Day of a Worker> (1970), <The Young Men of Hot desert> (1979). The “machine,” as depicted in these films, was an explicit design for a plan to make people, marketed by the regime. It is represented as a device to expand and constrain the meaning of the social body in the process of becoming national subjects. The image of a “father” handling a machine was commonplace in these films. Without exception, he was a diligent worker who carries out the government"s economic development policies as well as serving as the faithful head of the household, respected by his family, neighbors, and colleagues. A “father handling machine” was praised and designated as a hero by the Park Chung Hee regime, and could be seen in the scenes in which a tunnel is being dug through a mountain, a building is built, or a road is constructed. This kind of propaganda and symbolization policy has acted as a structural limit in the cultural history of Korean technology up to the present. Complex problems such as nationalism, meritocracy, gender bias, the absence of reflexive thinking in the technical culture of Korea are compressively anticipated in the four cultural films produced by the Park Chung Hee government.

      • KCI등재

        기생 경제와 기식음의 정보 체계로부터 : 이광수 『개척자』 재독

        임태훈(Lim, Tae-Hun) 한국문학회 2020 韓國文學論叢 Vol.84 No.-

        이 연구는 『개척자』를 기생 경제의 관점에서 새롭게 해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소설의 전반부는 상호부조의 경제와 약탈적 금융 자본의 충돌로 구성되어 있다. 성재 집안은 상호부조의 경제를 대대로 믿고 실천했으나 이윤추구의 극대화를 노리는 금융 자본에 무너지고 만다. 실험실을 에워싼 성재 가족의 관계 역시 경제와 무관하지 않다. 성재의 실험실은 한성은행과 고리대금 업자, 법조인이 엮인 실사회의 금융 질서에 종속된 장소이면서, 상호 기식하는 가부장제의 장소다. 그래서 『개척자』는 후반부로 전개될수록 상호부조의 경제와 약탈적 금융 자본의 구분이 불분명해지고, 빼앗고 빼앗으려는 책략과 시도로 채워진다. 『개척자』는 기생 경제의 치부책으로 읽을 수 있다. 기식자들이 생존을 모색하고 또 다른 기식 대상을 포섭하려는 장면마다, 『개척자』는 특징적으로 소리와 청각에 민감해진다. 서로 뺏고 빼앗는 기식자들의 정보 체계에선 메시지와 소음, 언어와 소리의 위계와 코드화가 권력 관계에 따라 민감하게 변동한다. 기식의 관계망마다 특유의 방식으로 코드화된 정보 체계를 노출하고 있는 것이 ‘소리’이다. 이 연구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그간의 연구사에서 『개척자』를 과학 소설의 관점에서 접근한 주요 무대인 성재의 실험실을 중심으로, 이곳이 어떠한 기식의 관계망에 있는지 분석한다. 그리고 실험실의 운영과 상실, 복구를 위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서로 뺏고 빼앗는 기생 경제의 양상을 살펴보고, 이 소설의 ‘소리’와 ‘청각’에 대한 특징적 서술을 통해 ‘기식’과 ‘소음’의 문제가 어떻게 함께 사유될 수 있는지 탐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new interpretation of The Pioneer from the perspective of parasitic economy. The first half of the novel is comprised of the conflict between the economics of mutual aid and predatory financial capital. Seung-Jae’s household had believed and practiced the economics of mutual aid for generations, but it eventually falls for financial capital, which aims to maximize profit seeking. The relationship of Seung-Jae’s family with the laboratory is also related to economics. Seung-Jae’s laboratory is a site subjected to the financial order of the real world where Hansung Bank, loan-sharks, and legal personnel are all intertwined, as well as a site representing the mutually parasitic patriarchy. This is why, as the story progresses in the second half of the novel, the division between the economics of mutual aid and predatory financial capital becomes blurred, with schemes and attempts to plunder and steal abound. The Pioneer, thus, can be considered an account of the parasitic economy. In each scene where the parasites look for ways to survive, or try to capture hosts for parasitization, The Pioneer characteristically becomes more sensitive to sound and hearing. In the information system of parasites that plunder and steal from each other, the hierarchy and codification of messages and noise, and language and sound change very sensitively based on power relations. “Sound” reveals the information that is codified in unique ways for every parasitic relationship network. This study is largely divided into three sections. The first section analyzes what kinds of parasitic relationship networks exist, focusing on Seung-Jae’s laboratory, using the approach of previous studies to view The Pioneer as a science fiction novel. The next section examines the forms of parasitic economy that plunder and steal from each other, through the series of processes conducted for the operation, loss, and restoration of the laboratory. The third section explores how the issues of “parasitism” and “noise” can be considered together through the characteristic narrative regarding “sound” and “hearing” in The Pioneer.

      • KCI등재
      • KCI등재

        납 활자 인쇄소의 퇴출과 문학적 기록

        임태훈(Lim, Tae Hun) 동악어문학회 2019 동악어문학 Vol.77 No.-

        납 활자 인쇄 기술의 퇴출은 지난 백 년 동안의 인쇄 출판 시장에서 가장 큰 사건이었다. 한국 문학은 이 시기의 되돌릴 수 없는 변화를 어떻게 기억하고 있을까? 그 최후의 장면을 기록한 소설로 김하기의 「노역장 이야기」(1990)와 최일남의 『만년필과 파피루스』(1996)가 있다. 이 작품에선 납 활자 인쇄 기술의 정상적 생산 과정이 아니라, 그 일이 실패하거나 고장 나는 순간이 역사화 된다. 이 기술에 연동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영역들도 다른 삶의 가능성을 드러내 보인다. 사라진 문선공들의 마지막 나날은 우리 시대의 노동과 맞닿아 있다. 매체와 기술환경 변화에 떠밀려 도태된 대표적인 직업이라는 일반적 인식과 달리, 오늘날 우리가 처한 노동 현실이 비정상이라는 것을 드러내는 기준점이 문선공과 그들의 일터인 납 활자 인쇄소이다. 어떻게 이곳은 일세기 넘도록 산업 생태계의 변화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을까? 문선공을 기억하고 의미를 발견한 문학을 찾아 역사적 맥락을 살펴봤다. Regression of printing technique for lead type was the biggest event on the printing publication market. How does Korean literature remember this irreversible period? The book called 「The Story of the Workers’ Hall (노역장 이야기)」 (1990) by Kim Haki (김하기) and 『Fountain pen and Papirus (만년필과 파피루스)』 (1996) by Choi Il Nam explained the situation. This work does not describe the normal production process of printing technique for lead type but describes moments when the printing technique breaks down or fails. The areas of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interlocked with this technique also reveal other possibilities of life. The last day of now-defunct type picker is in line with labor of our time. Unlike the current general recognition that a type picker is a typical job fallen behind by changes in the media and technology environment, the standard point that reveals that the reality of labor of the situation that we face is abnormal is a type picker and lead type printing house. How could this place survive changes in the industrial ecology for over a century? I examined the historical context with the literature that remembers a type picker and the meanings.

      • KCI등재

        소음화 지향과 ‘목소리’의 고현학

        임태훈(Lim, Tae Hun) 구보학회 2008 구보학보 Vol.3 No.-

        박태원이 소설에서 가장 예민하게 다뤘던 ‘소리’는 사람들의 ‘목소리’였다. 그가 발견할 수 있었던 것은, 어떤 장소·상황·인물들의 관계성에 교차하는 ‘소리’의 상태-즉, ‘음경(音景)’이었다. 그는 이 ‘소리’를 어떻게 표기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과 함께, ‘음경’의 의미에 대한 탐구도 병행했다. 그리고 고현학은 물질적 환경과 풍속에 대한 탐구와 더불어 ‘음경’을 이해하는 한 인식틀이 될 수 있었다. 특히 이 방법은 어휘의 뉘앙스에 내재한 사회적 의미망을 분간해내는 일에 유용했다. 달라지는 사회적 환경, 새로운 상품, 재편되는 인간관계, 달라지는 풍속 등에 따라 ‘말’은 변화한다. 사람의 ‘목소리’는 그 변화상을 감지할 수 있는 ‘음경’이다. 그리고 소설은 이 ‘음경’을 사유하는 데 가장 유용한 예술이다. ‘소리 그 자체’를 만들어낼 순 없지만, ‘소리의 흐름’에 얽힌 관계를 드러내는 일에 소설의 가능성은 탁월하기 때문이다. 박태원의 고현학을 ‘목소리의 고현학’이라 부르려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Tae Won Park treated people’s ‘Voice’ the most keenly as ‘Sound’. He could discover a condition of ‘Sound’ crossing each other in relationship of places, situations and characters―Namely, ‘Soundscape’. He considered carefully how he would express ‘Voices’ and studied on the meaning of ‘Soundscape’. After that, modernology could become a frame of recognition understanding about ‘Soundscape’ with studies on physical environment and customs. Specially, the method was of use in distinguishing social semantic network built in a nuance of vocabularies. ‘Language’ is changed according to changed social environment, new goods, reorganized personal relations and changed customs. People’ ‘Voices’ are ‘Soundscape’ to perceive the changes. And novels are the most useful art in thinking about the ‘Soundscape’. For, the possibility of novels is enough to expose relations intertwined in ‘A flow of sound’ though it cannot create ‘Voice itself’. It is the reason why Tae Won Park’s modernology is named ‘Modernology of Voice’.

      • KCI등재

        추천 석사논문 : "소리"의 모더니티와 "음경(音景)"의 발견

        임태훈 ( Tae Hun Lim ) 민족문학사학회 2008 민족문학사연구 Vol.38 No.-

        `소리`를 `소리`의 성질에 입각해 사고하려는 인식론적 개념인 `음경(音景)`은, `소리`로부터 가능한 `차이`의 흐름을 뜻하며, `소리`와 지각의 교차점에서 발견된다. 지각된 `소리`의 어떤 상태에 대한 것이라기보다는, `소리`의 세계와 실존이 맺는 지각적 얽힘 관계에 대한 사유를 지향한다. 또한 `음경`은 시각 중심적이고 재현의 인식론인 `풍경`과는 차별된 해석이 가능하다. 지각된 것에 대한 지각의 반성은 필연적이고, 수정된 지각으로 이행되는 과정에서 세계와의 얽힘 관계를 거듭 갱신해 나간다. 그렇게 `소리`와 지각의 관계는 서로 위치를 바꾸고 위장하며 양상을 달리하고 언제나 새롭게 재창조되는 강렬도 (intensite)를 이룬다. 그런데 `음경`을 생성하는 변화의 동인(動因)은 자연 상태에만 있지 않다. 도시는 `소리`의 인위적 변화가 자연 상태를 압도할 만큼 증식해 있는 세계다. 산업혁명과 기술복제시대를 거치며 빠르게 심화되어온 현상이다. 우리의 지각도 이런 환경과 더불어 수정과 갱신을 거듭해왔다. 한국의 근대문학, 특히 소설에도 이러한 지각의 변화가 반영되어 있다. 소설은 그 자체로 이미 하나의 `음경`이기 때문이다. `Soundscape` of this study is a term differing from `Soundscape` of R·Murray Schaffer in common sense of acoustics and architecture. `Soundscape`, an epistemological concept thinking `Sound` in the viewpoint of `Property of Sound`, means a flow of `Difference` from `Sound` and is discovered at the intersection of `Sound` and perception. Soundscape heads for thinking about rather a perceptive relation of intertwining and chiasm connecting the world of `Sound` with existence than a condition of perceived `Sound`. Therefore, it is differentiated with `Landscape`, the epistemology of oculocentricism and representation. `Soundscape` is the ontology of becoming. It is apodictic to make a reflection of perception on perceived things and goes to renew relations of intertwining and chiasm with the world repetitively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o corrected perception. As above, `Sound` and perception has a relation of intensite changing and camouflaging mutual position, differing their aspects from each other and recreated newly at all times. A motive of change creating `Soundscape` is not only in conditions of nature. A city is the world that artificial changes of `Sound` are increased as much as overwhelming the conditions of nature, which is a phenomenon having been deepened rapidly over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Age of Mechanical Reproduction. Our perception has also been corrected and renewed with such an environment.

      • KCI등재

        집단에너지설비의 최적운영을 반영한 신재생에너지원의 열적투입한계용량 산정

        임태훈(Tae-Hun Lim),이혜선(Hye-Seon Lee),정재훈(Jea-Hoon Jung),최유림(You-Rim Choi),한상화(Sang-Hwa Han),김용하(Yong-Ha Kim)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20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34 No.1

        In response to recent energy and environmental issues,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ve announced climate change policies and are working to reduce greenhouse gases. As a result, many investments are being made to expand renewable energy. Considering domestic and foreign policies and changes in the environment, it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popular in the future, and district heating and cooling facility that combines the energy facilities of existing groups and renewable energy sources. Therefore, in this paper, considering the optimal operation of the heat load of the energy equipment of the existing group, when new thermal load is introduced and is in charge of supplying the heat load from the existing district heating and cooling facility, renewable thermal limit capacity algorithm for calculating the heat input limit capacity is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