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등교사의 정서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일반교과교사를 중심으로

        임유하,김진선,신주연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4 상담심리교육복지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교사가 인식하는 정서역량에 대한 중요도 수준과 실제수행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고 교사의 정서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의 우선순위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중등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중등교사 정서역량 척도를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t검정, Borich 요구도 분석, 허쉬코비츠 임계함수 분석을 실시하여 종합분석을 통해 교육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교사의 정서역량은 모두 현재수행 수준이 중요도 수준보다 낮았고,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Borich 요구도 값 상위 에 속하며 허쉬코비츠 임계함수 LH분면에 모두 속한 ‘교육 최우선순위 역량’은 정서조절 3문항, 정 서이해 및 평가 3문항, 의사소통 2문항, 긍정성 1문항으로 주로 개인정서역량들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등교사 대상의 정서역량 증진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교사들이 자기감정을 적절히 조 절하고 관리하며 정확하게 이해하는 정서역량들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gap between the importance level and their current performance level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emotional competencies and to identify the priority of education to improve emotional competencies. Using the emotional competency scale for secondary school teacher, a survey was conducted involving 250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examined using a t-test, Borich's need analysis and Hershkowitz criticality function to determine the priorities of the educational needs regarding emotional competenc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formance level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were lower than the importance levels in all of competencie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areas. Second, the highest priority educational competencies include emotional regulation, emotional understanding and appraisal, communication, and positivity, primarily focusing on individual emotional competenc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n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s for secondary school teachers, it is important to prioritize the emotional competencies that enable teachers to regulate, manage, and accurately understand their own emotions.

      • KCI등재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대학생 대상 데이트폭력 연구 동향 분석

        임유하,임하진,이영선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research trends in dating violence among college students.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steps: 1) collecting articles published between 1999 and 2020 from RISS, KISS, and KCI, 2) extracting and detecting the terms, “college students” and “dating violence” from the abstracts and keywords, and 3) analyzing semantic networks using the NetMiner4.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as follows: First, dating violence studies involving college students have increased steeply since 2014. Second, the subjects were largely classified as domestic violence, recognition and attitude, gender issues, mental health, delinquency, prevention and intervention, and social competence. Third, frequency analysis revealed that “victimization”, “perpetration”, “recognition” and “prevention”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key words. Fourth, early studies showed high centrality in the keywords “conflict, victimization, perpetration, parents” whereas studies from the last five years showed high centrality in the keywords “prevention, recognition, victimization, perpetr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The keywords were concentrated on personal, family, and related factors over the entire period. In particular, family factors were issues that were constantly studied. However, in recent years, prevention was mentioned frequently. Thus, positive changes in the direction of studies and the necessity of quantitative expansion were confirmed.

      • KCI등재

        상담자 정서역량 모델 개발과 교육요구도 분석

        임유하,신주연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3 상담심리교육복지 Vol.10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자의 직업특성과 직무내용을 고려한 정서역량 모델을 개발하고, 교육요구도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현장전문가 면담을 종합하여 초안을 개발하고 델파이조사를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확정된 역량모델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총 4개 역량군 10개 역량요소와 48개의 역량지표가 도출되었다. 역량군과 역량요소는 정서인식 역량(자기정서인식, 자기효능감, 공감), 정서관리(정서표현, 낙관성, 스트레스 관리, 문화적 감수성), 조직정서인식(조직문화이해), 조직정서관리(협조적 관계구축, 갈등관리)로 구성되었다. 교육요구도 분석결과, 스트레스 관리, 공감, 문화적 감수성 역량이 최우선으로 개발되어야 할 역량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상담자의 정서적 역량을 상담자의 타고난 자질 혹은 인격, 성품 등으로 간주하기보다는 교육과 훈련을 통하여 개발 가능한 능력으로 보았으며 이를 상담 장면에서의 구체적인 지표를 통하여 체계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는 상담자 정서역량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내용 및 구체적인 교수목표 구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motional competence model that considerscounselors' job characteristics and job contents, and to analyze their educational needs. For thispurpose, a draft model was developed by literature studies and interviews with experts, andvalidity was verified through a Delphi survey. Finally, we analyzed educational needs for thefinalized competence model. As a result, a total of 4 competence groups, 10 competenceelements, and 48 competence indicators were derived. The competence groups and competencefactors consisted of emotional awareness(self-emotional awareness, self-efficacy, empathy),emotional management(emotional expression, optimism, stress management, cultural sensitivity),awareness of emotions at work(understanding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management ofemotions at work(building cooperative relationship, conflict management). Based on the result,stress management, empathy, and cultural sensitivity were identified as priority competencies tobe develop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siders counselor emotional competence asan ability that can be developed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rather than as an innate quality,personality, or character of the counselor, and systematically presents it through specificindicators in the counseling scene. In addition, it can be used to organize the contents andspecific teaching targets of programs to promote counselor emotional competence.

      • KCI등재

        기숙사 거주 대학신입생들의 대학생활 적응경험 탐색:관계성을 중심으로

        임유하,이영선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9 학교사회복지 Vol.0 No.4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experiences of adjustments to university life of first-year students who live on campus, focusing on their relationships. A total of 10 first-year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llect data and constant comparative methods of qualitative analysis were employed. Results indicated that, (1) first-year students living on campus experienced opportunity to learn independence and self-regulation after separation from their families. Specifically, learning rules/standards of dormitory and university, and enjoying autonomous lifestyles, (2) to help themselves survive and thrive their fist year at classroom, they perceived networks were very important, including knowing their roommate and others in their residence hall, to get meaningful academic information, and some of them experienced negative emotions due to maladjustment to academic life, (3) by participating in community such as clubs, small circle of people, programs provided in residence hall, they could easily adjust to new environments while they used to have feeling of psychological distances from roommates and/or professors, and (4) through various activities such as career-exploration and self-reflections which they used to do with other people on campus, they experiences personal and emotional changes and/or growth.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and practices were provided. 본 연구의 목적은 기숙사 거주 대학신입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대인간 관계성을 중심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소재 기숙사 거주 신입생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고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자료를 분석했다. 기숙사 거주 신입생들의 대학생활 적응 경험을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기숙사 거주 신입생들은 가족과의 분리로 인한 심리적 변화, 기숙사와 대학의 규범 익히기, 자율적인 생활습관 형성 경험을 통해 독립심과 자기조절을 경험했다. (2)새로운 대학학업방식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학업정보를 얻기 위한 인적 관계망 형성이 중요하게 인식되었으며, 학업적 적응의 어려움으로 인한 부정적 정서를 경험 했다. (3)기숙사 거주 신입생들은 기숙사를 포함한 교내 모임에 참여하며 공동체에 소속되는 경험을 통해 대학생활에 적응하고 있음을 인식했고, 룸메이트와 교수에게 심리적 거리를 느끼기도 했다. (4)대학 내 주변인들과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진로탐색과 진로구체화 및 자기성찰을 통해 개인-정서적 변화를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기숙사 거주 신입생들의 적응적인 대학생활을 위한 시사점과 지원 방향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중등교사 정서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임유하,신주연,김진선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22 중등교육연구 Vol.70 No.4

        본 연구는 중등교사 정서역량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헌분석, 전문가 협의와 현직교사 심층 인터뷰를 통한 내용타당도 검증으로 예비문항을 개발하고 중등교사를 대상으로 예비조사와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내용타당도지수(CVI)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신뢰도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교사의 정서역량 최종 측정도구는 8요인 38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구체적인 구성요인은 개인차원(정서조절, 정서인식, 긍정성, 정서이해 및 평가)과 조직차원(의사소통, 조직정서이해, 조직문화이해, 긍정적분위기형성)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중등교사 정서역량 측정도구의 내적합치도는 높은 수준을 보였다. 셋째, 중등교사 정서역량 측정도구는 한국판 정서지능척도, 사회정서역량 척도, 교사 심리적 웰빙 척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중등교사 정서역량 측정도구는 양호한 심리측정적 속성을 지닌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교사교육에의 함의와 후속연구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학령기 대상 다문화 감수성·수용성 증진을 위한 집단대상 교육프로그램 동향 및 질적지표 분석

        임유하,지은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아시아교육연구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view studies on the group teaching programs to promote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acceptance for school-aged students and to explore the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This study selected 17 studies and systematic analysis based on qualitative indicators suggested by What Works Clearinghouse(WWC), established by the U.S. Institute of Education Sciences(IES) was conducted. Result indicated that, First, most participants of the studies conduct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econd, in experimental design of the studies,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was used in a similar proportion to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ird, research settings of the experimental studies were mostly classroom, and the type of intervention were mainly discussion and creative activities. Fourth, some studies aimed to improve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empathy. Fifth, various measuring tools were used. Sixth, every program of the studies has been effective in promoting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acceptance. Seventh, none of the studies met all quality indicators, especially most studies did not offer identifying criteria, effect size, maintenance effect.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and practices were provided.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대상 다문화 감수성·수용성 증진을 위한 집단대상 교육프로그램 관련 국내 연구물들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후속 연구에의 시사점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정된 17편의 연구를 대상으로 미국 교육부의 교육과학 연구소에서 설립한 WWC(What Works Clearinghouse)에서 제시하는 질적지표에 기반하여 집단대상 교육프로그램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연구 대상은 초등학생이 중·고등학생 보다 많았다, 둘째, 실험설계는 통제집단 사전사후설계와 단일집단 사전사후설계가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다. 셋째, 실험환경은 주로 교실이었고, 주된 개입전략은 토론과 창작활동이었다, 넷째, 소수의 프로그램은 종속변인으로 학업성취도와 공감 능력 등을 함께 설정하였다. 다섯째, 측정 도구는 다양한 척도들이 사용되었다. 여섯째, 모든 프로그램은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수용성 증진에 효과적이었다. 일곱째, 질적지표를 분석한 결과 연구대상자 선별기준, 효과 크기, 유지효과 확인 지표를 충족하는 연구가 부족했다. 마지막으로 다문화 감수성·수용성 증진을 위한 집단대상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후속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살펴본 초등교사의 정서지능에 대한 인식 및 정서지능 관련 연수에 대한 경험

        임유하,신주연,이지민 한국초등교육학회 2019 초등교육연구 Vol.3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lementary school teachers’perceptions on emotional intelligence(EI) and their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EI-related training. This study sought to provide effective strategies to impro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I. A total of 12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in Incheon participated in Focus Group Interviews an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method. The results indicated that, first, participants tended to perceive EI as similar concepts such as empathy, active listening, and social competence and to focus mainly on emotions of "others," rather than those of their own. Second, their perception of teachers with high levels of EI was associated with strong empathy with others, conflict resolution ability, and compet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ird, with regard to their EI-related training experience, teachers voluntarily or involuntarily participated in EI-related training, considered one-way lecture-based online training lacking emotional interactions problematic, and expressed difficulty in self-disclosure during training sessions. Fourth, the teachers hoped to have greater support to promote self-understanding, self-monitoring, and self-care of their emotional aspects. They also asked for experiential forms of training and voluntary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designed to develop their EI. Finally, on the basis of the results, implications on teacher education to promote teachers' EI are suggested.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are also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정서지능에 대한 인식과 정서지능 관련 연수 참여 경험을 탐색하고 교사들의 정서지능 향상을 효과적으로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2명의 인천 소재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실시하고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CQR)을 사용하여 인터뷰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들은 일반적으로 정서지능을 공감, 경청, 사회성 등의 유사개념으로 인식하였고 자신보다는 타인정서에 초점을 두었다. 둘째, 정서지능이 높은 교사에 대한 인식은 타인에 대한 공감, 갈등해결능력, 대인관계 유능성이 핵심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정서지능 관련 연수에 대한 경험을 보면, 정서적 역량 발달을 위한 연수 동기는 자발적 혹은 비자발적이었으며, 정서적 상호작용이 불가능한 기존의 단순 원격강의에 회의를 느끼며, 교사로서 자기 정서를 개방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들은 정서지능 관련 연수에서 교사 정서적 측면의 자기이해, 자기점검, 그리고 자기돌봄을 위한 지원이 확대되기를 희망했다. 더불어 정서지능 신장을 위해 체험적 형식의 연수 제공과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교사들의 전문적 공동체 학습에 대한 지원을 촉구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정서지능 향상을 위한 교사교육에의 시사점이 제시되었으며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 방향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상담전공 특수대학원에 재학하는 성인학습자의 학습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임유하,김진선,정윤경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기대-가치 이론을 활용하여 상담전공 특수대학원에 재학하는 성인학습자의 학습경험의 내용과 그 의미를분석하는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상담전공 특수대학원 석사과정 학생 10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합의적 질적 연구란 평정자와 감수자로 이루어진 연구 팀이 팀원 간의 합의를 통해 자료를 분석하고 전체적인 패턴을확인하는 방법이다. 결과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대학원 진학 전 가진 동기는 주로 상담학에 대한 관심과 배움의 욕구와 같은 내재가치, 제2의 직업준비 및 센터개원 계획과 같은 유용가치를 인식하면서 갖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위과정을 성공적으로 잘 해낼수 있을 것이라는 성공기대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입학 전 예상한 비용은 직장 및 가정에서의 활동에 이전과 같이 참여할 수 없게됨으로서 발생하는 기회비용, 학위를 취득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노력이 필요한지에 대한 노력비용이 있었다. 원생들은 비용을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진학을 결정했고, 입학 후에도 이러한 비용인식의 일부는 지속되었다. 입학 후에는 상담역량에 대한 고민과의구심, 상담연구방법론의 높은 체감 난이도 등 능력과 관련한 믿음이 추가적으로 인식된 비용으로 나타났다. 셋째, 원생들은 입학전에는 자격증 취득, 제2의 직업준비와 같은 실질적으로 유용한 가치에 대한 기대와 인식이 컸으나 입학 후 학업과정에서는 대인관계에서 받는 정서적 지지와 상담자로서의 역량향상과 같은 숙달경험과 성공에 대한 기대인식이 학업을 지속시키는데 중요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상담전공 특수대학원에 재학하는 성인학습자가 학습 과정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어려움과 학업을 지속하게 하는 원천을 심층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후속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빅데이터를 통해 본 ‘코로나 블루’에 대한 이슈 분석

        임유하 한국상담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big data related to the “Corona Blues” to explore major issues and meanings.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web crawling from January through August, 2020, and analyzed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top keywords related to Corona Blues were depression, overcoming, prolongation, mind, and anxiety. Topic modeling indicated that the main topics were psychological difficulties, mental health services, youth support, overcoming the corona virus, and medical interest. Additionally, the top N-gram keywords in positive data were depression- overcoming, and emotional guard-overcoming. On the other hand, the top N-gram keywords in negative data were depression-helplessness, and anxiety-helplessness. Big data analysis reveals the need for continuity of care and psychological support for Corona Blues. Implications for counseling intervention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provided.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블루’와 관련한 국내 빅데이터 자료를 분석하여 주요 이슈와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웹 크롤러 기능을 이용하여 2020년 1월부터 2020년 8월까지 국내 포털과 소셜미디어에 게시된 글을 수집하고,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 블루와 관련한 상위 핵심키워드는 우울감, 극복, 장기화, 마음, 불안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토픽분석 결과 다섯 가지 상위 주요 주제는 ‘심리적 어려움’, ‘정신건강 서비스’, ‘청소년 지원’, ‘코로나 이겨내기’, ‘의료분야 관심’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감성 분석 자료의 N-gram분석 결과 긍정데이터의 상위 연속키워드는 우울감-극복, 극복-심리방역이었다. 반면 부정데이터의 상위 키워드는 우울감-무기력증, 무기력증-불안이었다. 도출된 연구 결과에 따라 코로나 블루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극복을 위한 적극적인 심리지원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고려한 상담 개입 및 개선 방향에 대한 시사점과 연구의 의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빅데이터에 나타난 ‘프로아나’에 대한 동향분석: 국내 포털 및 소셜 미디어를 중심으로

        임하진,임유하,신주연 한국상담학회 2021 상담학연구 Vol.2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아나’ 관련 국내 빅데이터 자료의 분석을 통해 주요 이슈와 의미를 탐색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8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국내 포털과 소셜 미디어에 게재된 게시물을 수집하고,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아나와 관련한 상위 핵심키워드는 청소년, 찬성, 몸매, 소셜 미디어, 다이어트, 개말라 등이었다. 둘째, 토픽모델링 결과 2개의 주요 주제가 ‘프로아나의 현주소’, ‘마름에 대한 갈망’으로 명명되었다. 메인토픽인 ‘프로아나의 현주소’는 프로아나가 무엇인가에 대한 개념설명과 핵심 이슈들에 대한 논의였고, ‘마름에 대한 갈망’은 이상적 신체상 실현을 위한 극단적 체중감량 행위와 프로아나 단어 사용의 일상화에 관한 내용이 언급되었다. 도출된 결과에 따라 프로아나 정체성을 지닌 이들의 신념 및 활동 특성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프로아나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다양성 존중을 위한 인식 개선의 필요성을 제안하였으며 상담 및 교육적, 정책적 개입에 대한 시사점과 연구 의의를 논의하였다. The study aimed to explore key issues and meanings of ‘Pro-ana’ through big data in South Korea. Posts published on local portals and social medi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2008 to December 2020,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op keywords related to ‘Pro-ana’ were teenagers, agreement, body shape, social media, diet, and freaking skinny. Second, as the results of topic modeling, two topics were named ‘the current state of Pro-ana’ and ‘the desire to be thin.’ The main topic, ‘the current state of Pro-ana’, was a conceptual explanation of what Pro-ana is and a discussion of fundamental issues. ‘The desire to be thin’ was about extreme dieting for an ideal body shape and the daily use of the word Pro-ana. Based on the results, we confirmed what beliefs those with a Pro-ana identity have and how they behave online. Finally. The study suggested that social attention to the Pro-ana movement is necessary and that awareness of body diversity needs to be improved. Implications for counseling, education, and policy intervention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were also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