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남녀공학 고등교육의 등장과 교육 기회의 젠더 평등 - `통합`으로서의 남녀공학 사례를 중심으로

        이혜정 ( Hae-joung Lee ) 한국여성사학회 2015 여성과 역사 Vol.- No.22

        `한국 여성들은 언제부터 고등교육을 받기 시작했을까?` `여성이 재학할 수 있는 남녀공학 고등교육 기관은 언제 등장했을까?` 이러한 질문은 그간의 한국 여성사 혹은 교육사 연구에 있어 매우 생경한 것들이다. 이 연구는 한국 고등교육에서 남녀공학의 등장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남녀공학 제도와 공학 대학이 여성고등교육 기회 확장과 평등한 성의식 고취에 어떤 역할을 하였는지 밝혀보았다. `남학교와 여학교의 통합` 유형인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의 경우, 형식상으로는 두 학교의 통합이지만, 실제로는 남자 학교인 경성사범학교가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으로 발족되는 데에 경성여자사범학교가 편입되는 형식으로 남녀공학 대학이 되었다. 남녀공학 사범대학의 교수 구성, 학생 구성 및 학교 문화를 보았을 때, 여성고등교육 기회의 확장은 낮은 수준에서 이루어졌지만, 평등한 성의식 고취와 젠더 평등 문화를 이루는 데에 남녀공학 제도가 기여했는가에 대해서는 이론의 여지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남녀공학 제도는 여성에 대한 교육의 기회를 넓혀주는 것으로 인식되지만, 한국사회에서 남녀공학 고등교육 기관이 등장하는 과정은 여성에게 교육의 기회를 제공했으되 교육기관 내에서 대상화되고 차별받는 소수자의 위치에 있게 함으로써 대학 내 젠더 평등 의식의 확장에는 기여하기 어려웠다. 한국사회 고등교육의 남녀공학화는 해방 이후 미군정 당국의 결정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여기에는 민주교육의 당위와 남녀평등 이념, 그리고 여성고등교육 기회의 확장에 관한 담론이 기반이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담론은 실제 구체적인 학교 차원의 남녀공학화 과정에서는 큰 힘을 발휘하지 못한 것이다. “When did women in South Korea began receiving higher education?” “When did the coeducational institution of higher education start?” These questions are very unfamiliar things in the Korea Higher Education Research. This study is about the emergence process of coeducation coeducational institution of higher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this study reveals whether the coeducational institution expanded higher education opportunities of women and promoted equality of education. In the case of `integration of the Boys and Girls School` typ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chool integration of the two was indeed unbalnced. Configuring Normal University professor of coeducational student when viewed configuration and school culture, but women made from low expansion of higher education opportunities, equitable and Consciousness raising for the coeducational institutions did contribute to achieving the gender equality culture Many seem to have a lot of theory. In general, coeducational institutions are considered to widen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women, and to empower women. But in fact, the process of coeducation could make women minoritie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give discrimination to women. By making the position seems difficult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the university gender equality. Coed policy of Korea society of higher education was conducted by the decision of the US military authorities after the liberation. There ought gender equality and the principles of democratic education, and this discourse was based on the expansion of higher education opportunities for women. But this discourse seems to not exert a significant force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actual concrete coeducational school level.

      • KCI등재
      • KCI등재

        여성 교사 연구에 대한 젠더 분석: 교육 연구에서 여성 교사는 어떻게 표상되는가?

        이혜정(Lee, Hae-Joung),박미희(Park, Mihee) 한국교육사회학회 2020 교육사회학연구 Vol.30 No.1

        본 연구는 교직의 여초 현상이 문제적인 교육 현상으로 논의되는 시대, 교육 연구에서 여성 교사는 어떻게 표상되는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교직의 여초 현상이 보편화되었던 2000년 이후 이루어진 여성 교사 관련 연구를 젠더 관점을 활용하여 분석했다. 분석 대상이 되었던 여성 교사 연구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것은 여성 교사의 체육수업과 관련된 연구였다. 이 연구들에서 여성 교사는 신체 활동과 운동 기능에 미숙하여 체육 수업에 어려움을 겪는 존재들이었다. 여성의 신체 활동 능력이 남성에 비하여 열등하다는 성별 고정관념이 이 연구들에도 유사하게 반영되어 있다. 여성 교사의 가정생활과 교직수행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들도 적지 않았는데, 이 연구들은 여성 교사가 가정 내 어머니역할과 교직을 동시에 수행해야하는 상황의 어려움을 드러내었다. 이 연구들이 전제하고 있는 여성 교사의 성역할은 어머니 역할과 육아였다. 이러한 인식 또한 여성의 기본 역할을모성 수행으로 보는 성역할 고정관념의 연장선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여성의 특성을 신체 활동의 미숙함으로 보고, 여성 역할을 모성 수행으로 규정하는 이러한 고정관념은 학교 내에서 여성 교사가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갖고 커리어를 쌓아가는 데있어 부정적인 여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담론의 힘이 실제 학교 현장의 인식과 지식의 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교육 연구자와 학교 현장의 교육자들은 스스로의 성역할 고정관념과 편견을 성찰하고 젠더 감수성을 고양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female teachers are represented in the field of education research and investigate the discourses on female teachers using the gender perspective. This study explored the research papers that were published from 2000 year. The most frequent reports of the female teachers were that they had difficulties in the physical educational (PE) class. These studies commonly assumed that female teachers suffered from inadequate physical ability than male teachers in the PE class. The other issue is to maintain the balance between job and family. Several studies emphasized that female teachers frequently experienced uncontrollable circumstances in their working places while they nourished their children. These studies mostly focused on motherhood in a family that is one of the biases to female teacher. These approaches could be associated with the traditional gender role which is required of the female in society. These traditional gender stereotype can negatively influence professionalism of female teacher and their careers. Therefore, Educational researchers and school educators should reflect the gender stereotypes and draw up measures to improve the gender sensitivity because the discourses related to the fixed gender issues to female teachers would negatively impact to the recognition and knowledge in education fields.

      • KCI등재

        초등돌봄정책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이혜정(Hae-Joung Lee) 한국교육정치학회 2022 敎育政治學硏究 Vol.29 No.4

        이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초등돌봄정책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을 통해 이 정책이 내포한 돌봄의 의미와 초등학교의 위치를 살펴보고,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초등학생에 대한 방과후 돌봄 사업이 학교 본연의 역할로 여겨지지 않는 정책적 맥락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책의 텍스트 분석 결과, 이 정책은 명시적으로는 초등학생 방과후 돌봄에 대한 국가 책임의 이행을 표방하고 있지만 암묵적으로는 학부모를 대상으로 돌봄교실 규모 확대를 약속하고, 교사와 돌봄전담사를 대상으로 운영 방안 개선 계획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정책의 담론적 실천 분석 결과 이 정책은 현재 맞벌이 부부의 풀타임 중심 노동 여건을 당연한 것으로 여기고, 돌봄 서비스의 책임을 국가가 이행해야하는 것으로 상정한다. 또한 돌봄 규모의 양적 확대를 강조하는 담론적 실천을 함으로써 질 높은 돌봄이나 돌봄의 교육적 의미에 대한 논의를 간과할 가능성이 높다. 셋째, 이 정책에서 돌봄은 학교 공간에서 초등학생들을 방과후 안전하게 돌보는 것을 중심으로 의미화 되어 있으며, 학교는 교육부나 교육청이 주도하는 돌봄 정책을 적용하는 곳으로 대상화되어 있다. 이러한 정책 담론은 초등학교가 초등돌봄 업무를 학교 본연의 교육적 의미나 역할과 연결시킬 수 없게 만드는 데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방과후 초등학생에 대한 돌봄을 공공 서비스로 만들어 가는 과정에서 학교가 주요한 역할을 할 수밖에 없음에도 불구하고, 정책의 기획과 실행 과정에서 초등학교의 교육적 역할과 의미를 정책의 주요 요소로 통찰하지 못하고, 학교 교육 주체들의 목소리와 입장,이들 간 토론을 고려하지 않았음을 드러낸다.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care and the position of elementary schools in this policy through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n elementary school care polici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text analysis of the policy, these policy documents explicitly claim to fulfill the state responsibility for after-school care for students, but implicitly promise to expand the size of the care class for parents, and provide teachers and care specialists the suggested improvements. Second, as a result of the discursive practice analysis of the policy, this policy takes the working conditions of dual-income couples for granted and assumes that the state should fulfill the responsibility of care services. In addition, that discussions on high-quality care or the educational meaning of care will be overlooked by emphasizing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the scale of care. Third, in this policy, care is centered and signified in safely car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fter school in school space, and schools are targeted as places where care policies l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re applied. This frame of policy discourse has an impact on making it impossible for elementary schools to connect care work with the school's original educational meaning or role. The results shows that there is few insight into the educational role and meaning of elementary school as a major factor in policy even though schools are playing a major role in after-school care policy.

      • KCI우수등재

        빈곤 청년의 대학 비진학 경험에 관한 연구

        이혜정(Hae-Joung Lee),박진아(Jin-A Park),남미자(Mi-Ja Nam) 한국교육학회 2019 敎育學硏究 Vol.57 No.2

        이 연구는 대학 진학이 보편화된 시대에 가정의 열악한 경제적 상황 때문에 대학에 진학하지 않은 청년들의 비진학 경험은 어떠한지, 청년들 스스로 그 경험을 어떻게 해석하고 의미화하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 비진학 빈곤 청년을 심층면담 하여 그 내용을 분석했다. 주요한 분석 내용은 이 청년들의 고등학교 때까지의 학교교육 경험과 대학 비진학의 과정 및맥락, 비진학 이후의 경험이다. 빈곤 청년들이 대학에 진학하지 않는 직접적인 이유는 열악한 경제적 상황 때문이지만, 이들은이를 나름의 논리를 통해 합리화한다. 이들은 학업 성적이 낮고 진로가 분명하지 않으며 자신의 진로보다는 가족의 경제적인 여건을 먼저 고려해야하는 자신들을 스스로 대학 진학에 적합하지 않은존재로 여긴다. 이는 빈곤 청년을 위한 다양한 지원 정책이 있음에도 학업 성적, 진로 계획, 가족의경제적 상황 등이 대학 진학의 걸림돌로 인식됨을 보여준다. 한편으로 이들에게 고등교육은 비용대비 쓸모가 많지 않은 공부다. 즉, 대학 공부는 취업 준비와 기술 습득의 측면에서 별 필요가 없거나 비용에 비하여 효율적이지 않은 공부로 간주된다. 그럼에도 이들은 여건이 된다면 대학 교육을 받고 싶어 한다. 대학에 진학하지 못한 이들에게 고등교육은 고등학교 때까지와는 다른 교육, 하고 싶은 공부를 적극적으로 찾아서 할 수 있는 교육으로 이상화 되어있다. 그리고 고졸자로서의차별을 겪고 있는 이들에게 고등교육은 취업과 경력을 위한 졸업장을 제공해주는 교육이기도 하다. 빈곤으로 인하여 대학에 진학하지 못한 이 청년들은 대학교육이 보편화된 시대에 고졸자로서 학력차별을 경험하며 살아간다. 형식적으로는 모두에게 열린 고등교육의 기회가 빈곤 때문에 대학에 진학하지 못하는 청년들에게는 차별의 이유가 된다. 이러한 이들의 경험은 고등교육이 결코 모두에게기회를 보장하는, 열려있는 교육이 아님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meaning of higher education in young people who have not entered college due to the poor economic conditions in the age of universal college entrance. For this purpose, I interviewed three young people who have not entered college because of poverty four to five times in depth and analyzed their contents. The main analysis is the experience of these young people s school education up to high school, the process and context of non-admission to college, and experience after college non admission. First, for these young people, higher education is not cost-effective. For them, college is considered to be an inadequate space or a not cost-effective place to study for life. Second, for poor youth, college is a space of extravagant romance. For them, higher education is only allowed for those who do not have to worry about poverty. Third, for those who did not enter college, higher education is idealized as a place where they can actively find and do the study they want. Fourth, higher education for poor young people is meaningful as an education to provide diplomas for employment and career. The process of rationalizing the reason for non-admission to college by these young people who have not gone to college because of poverty is a subjective process that actively interprets and accepts their situation. Despite these efforts, these young people experience discrimination as a high school graduate, which means that the individual pays for the poverty, not the one s fault, in the form of educational discrimination.

      • KCI우수등재

        ‘명문대’ 저소득가구 전형 입학생의 대학교육 경험에 관한 연구

        이혜정(Lee, Hae-Joung),이지연(Lee, Jiyeon),이희원(Lee, Heewon) 한국교육학회 2019 敎育學硏究 Vol.57 No.4

        본 연구는 ‘소외계층 학생에게 제공된 평등한 대학교육의 기회가 당사자인 학생들에게는 어떻게 경험될까?’라는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본 질문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하여 한국 사회에서 ‘명문대’로 여겨지는A대학의 저소득가구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 14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고, 각 학생의 ‘학습생애사’를 수집하였다. 두 가지 연구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저소득 전형 학생들은 열악한 가정 배경 속에서도 스스로 열심히 공부하여 명문대인 A대학에입학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대학에서 저소득 전형 입학이 불공평한 ‘특혜’나 ‘역차별’로 인식되고있음을 경험하면서 자신들의 빈곤을 명문대 입학자격으로 여기게 된다. 이러한 빈곤 인식은 학업에 대한위축감의 원인이 된다. 둘째, 저소득 전형 학생들에게 대학 공부는 다른 학생들과의 지적 격차로 경험된다. 선행 학습과 특목고 수학 경험 등으로 인한 격차는 학생들의 능력을 고려하지 않고 방대한 지식 전달 위주로 이루어지는 A대학의 수업을 통해 보다 확대된다. 셋째, 지적인 격차를 수업을 통해 줄이지 못한 저소득 전형 학생들은 낮은 학점을 받게 되는데 그 결과 장학급 수혜, 기숙사 입사 자격의 박탈로 이어져 대학생활을 지속하는 데 어려움이 생긴다. 학생들은 학비와 생활비를 벌기위해 경제활동을 하게 되고, 과도한 결제활동은 다시 낮은 학점의 원인이 되는 악순환에 놓인다. 넷째, 학생들이 학업의 어려움을극복하는 경우는 주변의 교수, 선배, 동료의 도움을 받을 때이다. 그럼에도 학생들은 학업의 어려움을 개인적인 문제로 여기며, 자구책으로서 휴학이나 입대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저소득층 학생들에게 제공된 평등한 대학교육의 기회가 그 자체로 평등한 대학교육을 보장하는 것은 아닐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저소득층 학생들에게 대학 차원의 보다 적극적이고 통합적인 지원이 제공되어야 하며, 나아가 평등한 대학교육 기회 제공만으로는 극복하기 어려운, 대학교육 자체의 불평등성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what are the actual experiences of underprivileged students who have been provided with the equal opportunity of higher education? .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4 students who were admitted through the low-income households route at A university, which is considered to be a prestigious university in Korea. And the information on each student s academic journal was collected. After analyzing such data, the following facts were found. First, even though such students had been admitted to the prestigious university of A despite their underprivileged family backgrounds, they perceived their poverty as the reason for their admission to university A as they experience at university that low-income admissions route is perceived as an unfair preference or reverse discrimination . This perception became a cause of their deteriorating self-confidence in academics. Second, for students from low-income households, intellectual disparities with other students are experienced during their university studies. The gap caused by other students prior learning and experiences in special high school math is widened through classes at A University, which focuses on the transfer of knowledge without considering individual students abilities. Third, students from low-income households who are unable to close out such intellectual disparities through their classes result in receiving lower grades. This leads to their failure to meet the scholarship and dormitory provision qualifications, making it difficult for them to continue college life. Students are then forced to engage in economic activities to earn tuition and living expenses, which again puts them in a vicious circle of low grades. Fourth, students are able to overcome their academic difficulties when they receive help from their professors, seniors, and colleagues. Nevertheless, students consider academic difficulties as a personal matter and often choose to take leave or enlist in the army to temporarily resolve this. These findings show that the equal opportunities for college education offered to students from low-income households may not in itself guarantee equal university education. This suggests that such students need more active and integrated support at the university level. Furthermore, these findings on the ine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itself, which cannot be overcome by the sole provision of equal university education opportunities, suggest that the equal university education opportunities offered to students of low-income households may not in themselves guarantee equal university education.

      • KCI등재

        의복 디자인 시스템을 이용한 웹 3차원 의복 애니메이션 구현

        김주리,이혜정,정석태,Kim, Ju-Ri,Lee, Hae-Jung,Joung, Suck-Tae 한국정보통신학회 2011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5 No.10

        본 논문에서는 가상 공간에서 의상을 직접 입어보는 체험을 해 볼 수 있는 웹 3차원 의복 애니메이션을 구현하기 위하여 2차원 및 2.5차원 의복 디자인 시스템을 이용한 3차원 의복 애니메이션 시스템을 설계하였고, 자연스러운 드레이핑을 구현하기 위하여 메시 생성 및 변형 알고리즘, 영역 추출 알고리즘, 워프 알고리즘, 명암 추출 및 적용 알고리즘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2차원 및 2.5차원 의복 디자인 시스템에서 추출된 좌표 점은 텍스트 형식의 데이터로 받아 의복 정보 파일로 입력하게 된다. 또한 이 의복 정보 파일은 3차원 의복 애니메이션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In this paper, we designed 2D, 2.5D cloth design system and a 3D cloth animation system. They make the 3D cloth animation possible by using coordinate points extracted from 2D and 2.5D cloth design system in order to realize a system that allows customers to wear clothes in the virtual space. To make natural draping, it uses for description the mesh creation and transformation algorithms, path extraction algorithm, warp algorithm, and brightness extraction and application algorithms. The coordinate points extracted here are received as text format data and inputted as clothing information in the cloth file. Moreover, the cloth file has a 2D pattern and is realized to be used in the 3D cloth animation system. The 3D cloth animation system generated in this way builds a web-based fashion mall using ISB (Internet Space Builder) and lets customers view the clothing animation on the web by adding the animation process to the simulation result.

      • KCI등재

        초등교사가 교직 수행 과정에서 경험하는 부정적 감정에 관한 질적 연구:‘행복 커뮤니티' 게시글 분석을 중심으로

        김윤영 ( Kim Yunyoung ),이혜정 ( Lee Hae-jou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3 초등교육연구 Vol.36 No.2

        본 연구는 초등교사가 교직 수행 과정에서 경험하는 부정적 감정의 양상과 맥락을 살펴보기 위해 2022년 10월부터 두 달 동안 온라인 교사 커뮤니티‘일상 게시판’에 게시된 글을 인터넷 문화기술지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초등교사들은 직무수행 과정에서 학생의 문제행동과 학부모의 민원으로 인해‘좌절감과 무기력’,‘서운함과 회의감’,‘불안과 위축감’,‘충격과 공포’, ‘허탈과 공황’등과 같은 부정적 감정을 경험하고 있었고, 직무수행 외에 교직에 대한 사회적 태도와 처우 등에 대해 ‘분노와 실의’,‘상실감과 암울함’등을 느끼고 있었다. 이를 토대로 교사의 스트레스와 소진 맥락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었고, 학부모의 변화와 생활지도의 어려움, 생활지도를 어렵게 만드는 교육정책 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초등교사의 교직 수행에 있어 부정적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맥락들에 대한 이해와 실질적 방안 마련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texts posted on the 'daily bulletin board' of an online teacher community for two months from October 2022 using the method of Internet Ethnography to examine the patterns and contexts of negative emotions experienc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process of teaching. The results show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experiencing negative emotions such as frustration and helplessness, sadness and skepticism, anxiety and atrophy, shock and horror, collapse and panic, etc. due to students' problem behaviors and parents' complaints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ir duties, and anger and disappointment, loss and gloom, etc. due to social attitudes and treatment of the teaching profession other than job performance. Based on this, it was possible to detect changes in the context of teachers' stress and burnout, and to identify changes in parents, difficulties in life guidance, and educational policies that make life guidance difficult.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have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the contexts that lead to negative emotions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b performance and for preparing practical measures.

      • KCI등재

        일제 말기 김활란의 일제 협력 배경과 논리 : the Background and Logic of Her Cooperation with the Japanese

        이혜정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04 여성학논집 Vol.21 No.2

        본 연구는 민족주의를 기준으로 김활란의 일제 협력 행위를 평가해 왔던 기존 담론에 대한 여성주의적 문제제기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가 식민지 시기의 지식인 '여성'이었다는 점과 그에게 '성별화된 협력의 논리'가 있었다는 점에 주목하여 일제 협력 배경과 그 과정에서 구성한 내적 논리를 밝혔다. 1937년부터 시작된 김활란의 일제 협력은 식민지 조선 사회에서 기독교계 인사들을 제외하고는 지원 세력이 거의 없었던 그의 현실에서 기인하였다. 그리고 그는 여성의 사회진출을 내세웠던 일제의 전쟁 동원 논리에 일말의 희망을 걸고 일제에 협력하였다. 그러나1940년대 전쟁 말기로 접어들면서 그의 이러한 희망은 실현불가능한 것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전쟁협력을 멈주치 못하였던 김활란은 자기모순의 고통을 경험하게 되었다. This paper is a feminist critique of the existing discourse that evaluates Helen Kim's life and activities within the discourse of nationalist historiography. Unlike the previous studies criticizing Helen Kim for her collaborations with Japanese Imperialism, this paper approaches her life with the question, why did she collaborate with the Japanese imperialists from the mid-I930s to 1945. In doing so, the paper pays attention to the fact that Helen Kim was an intellectual woman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she had her own "gendered logic for cooperating with Japane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