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지역의 양성 평등(gender equality) 분야 공적개발원조(ODA) 사업 특성 분석: 모저(Moser)의 젠더 진단 방법론을 활용하여

        이진랑,홍솔,카린 필로 셀랑가이,비낭그마 봉치,마글로아 아우아,나탈리 디우프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5 국제지역연구 Vol.19 No.2

        This research examines how the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projects in Sub-Saharan Africa contributes to gender equality and women empowerment in recipient countries, and seeks the efficient cooperation with Korea and Africa. We observe five projects executed in different countries; Togo in education sector, Ethiopia in public health care, Cameron in local governance, Senegal in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a combating gender-based violence project done in Côte d'Ivoire. These cases are analyzed by a gender diagnostic tool of Caroline Moser. In order that the practical gender needs enlarge to the strategical gender needs proposed by Moser as a gender equality policy process, the ODA projects in Sub-Saharan Africa should guarantee the continuity with a long-term planning integrating the local cultures and the opinions of beneficiaries, with a multi-sectorial approach and the community level cooperation platform. Based on this result, the Korean government to strengthen cooperation with Africa needs to develop communication for development(C4D) methods that promote the beneficiaries' participation from the initial phase of the project. 이 연구는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국가들의 양성평등 부문의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의 사례 연구를 통하여 개발원조가 어떻게 수원국의 양성평등과 여성 권한 강화에 기여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향후 한국의 아프리카와의 협력 방안에 대해 모색해 보고자 한다. 즉, 토고에서의교육 부문, 코트디부아르의 여성에 대한 폭력 퇴치, 에티오피아의 보건의료, 카메룬의 공공부문 의사결정과정, 세네갈의 환경개선사업 등 다섯 개의 사업을 캐롤린 모저(Caroline Moser) 의 젠더 진단 모형 및 설계 방법론을 활용하여 여성의 삼중 역할에 대한 인식, 젠더의 두 가지차원의 요구 및 정책접근 방식 등 세 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사하라이남 아프리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양성평등 사업이 모저가 제안한 실질적 젠더요구에서 전략적 젠더요구로 확장되기 위해서는 가시적이고 단기적인 사업보다는 해당 지역 문화와 수혜자의 의견을 반영하면서 장기적인 계획을 갖고 연속성이 보장되는 방향으로, 한 가지 영역에서의 여성의 권한 증진보다는 다양한 영역을 통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결론을 얻는다. 또한 국가 간 협력틀을 넘어선 지역 간 혐력틀이 수혜국 주민들과의 소통을돕고 지속성을 보장받기 쉽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아프리카와의 협력을 강화하고자 하는 한국정부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수혜자가 사업의 초기과정부터 참여토록 하여 협력국 주민들의 의견과 필요를 반영할 수 있는 개발을 위한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for Development) 방법론을 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다국어도메인의 대중화 실패 요인 탐색:국제표준화 과정 분석을 통하여

        이진랑 한국정보화진흥원 2016 정보화정책 Vol.23 No.3

        This research analyzes the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process by observing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sourc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ason of its current poor use. Using the ‘organizing theory’frame, we observe the initial discourse on the need of internationalized domain names in ICANN and the process of negotiation for technical choice of layers. Lastly, we take Korean domain names as a case study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flict and the cooperation of different stakeholders. We summarize the factors of failure of IDN as follows. First, the need of IDN in the beginning was raised around non-English speaking countries, in Asia and Middle East, with the discourse on ‘digital divide solution and cultural value’ICANN rather pursues the ‘technical stability of Internet Infrastructure’, which made its standardization take as long as 10 years. As a result, a variety of standards and services are proposed in the marketplace, which engendered inefficient competition and domain name-related disputes such as cybersquatting, technical instability and confusion of users. In addition, the government agencies fail to present the appropriate policies adjusting multiple interests of different stakeholders. 본 연구는 인터넷 다국어도메인의 국제표준화에 대한 국제커뮤니케이션을 분석하여 그 대중화 실패 요인을 이해하고자 한다. 조직화 이론을 활용하여 ICANN에서 다국어도메인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는 초기 담론을 관찰하고, 기술적으로 계층적 방식이 선택되는 과정에서 어떤 갈등이 있었는지 살펴보며, 선택된 결정이 주요 이해당사자들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졌는지 살펴본다. 분석 결과, 대중화 실패 요인은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ICANN과 그 필요성을 제기하였던 비영어권 국가 간의 인식론적 차이에서 찾을 수 있다. ‘정보격차 해소’와‘문화적 가치 추구’라는 담론은‘인터넷 인프라의 안정성’이라는 ICANN의 기술적 담론과충돌한다. 이로써 국제표준화는 10년이라는 오랜 시간이 걸렸고 시장에서는 다양한 서비스들이 난립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한국의 적용 사례를 보면, 도메인 무단 점유, 홍보 비용, 기술적 불안정성 및 이용자의 혼란 등 사회적 역효과가 대중들에게 외면받게 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고 정부는 일관성 있는 정책을 제시하는데 실패했다.

      • KCI등재

        사회적경제 기업에 관한 주류 언론 담론과 대응 담론: 이중적 존재성과 대항적 정체성

        이진랑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2 시민인문학 Vol.42 No.-

        본 연구는 사회적경제 기업의 사회적 가치가 충분히 소통되지 못하는 현실을비판적으로 분석하고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빅카인즈(Bigkinds)를 이용하여‘사회적 기업’과 ‘사회적 경제’에 관한 기사를 추출하고 담론 분석을 한 결과, 사회적 책임의 주된 수행자인 SK 그룹이 사회적경제 기업을 바라보는 다양한 담론을 생성하고 있으며 정부와 공공기관 역시 이를 역할 모델로 따르고 있었다. ISO 26000이라는 국제 의제로 사회적 책임과 사회적경제 기업이 융합되면서 사회적경제 기업 역시 사회적 책임의 주체임에도 여전히 타 조직의 ‘사회책임의 수혜자’ 라는 수동적 존재로 인식되고 있다. 한편, 사회적경제 주체들은 정치적으로 정부 주도에서 지자체와의 협력으로, 나아가 시민이 주도하는 사회적경제를 지향하고 있다. 또한 사회적경제는 빈곤과 실업이라는 취약계층 중심의 활동에서 교육, 문화, 예술, 보건 등 지역사회 모든 분야의 문제해결의 플랫폼을 추구하고 있다. 10여 년간의 제도화 과정을 거치면서 사회적경제는 새로운 세대를 만나 ‘21세기형 공동체성’이라는 상징적 가치를 지향하면서 새 시대에 대응하고 있다. 사회적경제 기업이 새로운 경제 체제에서 사회적 가치를 확산하기 위해 대항 담론 생산과 확산을 도모하여 시민 참여를유도해야 한다.

      • KCI등재

        프랑스 디지털공화국법 입법 과정에 나타난 정책 소통(2012-2018): 디지털 민주주의 제도화의 전초역

        이진랑,박성우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9 국제지역연구 Vol.23 No.2

        This study analyzes the legislative process of the French digital republic law to understand how the Internet public sphere in France becomes an official policy communication channel that intervenes directly in the policy decision process beyond the citizen journalism. Digital Republic Law Legislation process, debated since 2012 and promulgated in 2016 and applied for two years until 2018, will be analysed in the frame of ‘policy communication’ with the systematics methode. In other words, the process is observed in three levels: setting up of a policy agenda (input), law contents making process in which various stakeholders debate (process) and after promulgation process (output). The digital republic law has raised the interest of the citizens as a governmental strategic intention to prepare the future digital society from the beginning of the issue. As a result, this became the unprecedented case of making the bill by active citizens from the early stage to the coordination. The French government has successfully focused on one or two platforms as a policy communication media and has gained a high level of quality interactivity with citizens. We note the participating netizens are relatively socially high-level and participated as a ‘citizen’ not representing organizations nor civic society. To the French government trying to extend this case to the whole domain of politics in the name of 'digital democracy', this research gives new problematics about ‘the representativeness of non-participating citizens’ and the weakening civil society in France. 이 연구는 프랑스 디지털공화국법 입법 과정에 나타난 정책 소통을 분석하여 프랑스에서 인터넷 공론장이 시민 저널리즘이라는 프레임을 넘어 정책 결정 과정에 직접 개입하는 제도적인 소통 창구가 되는 있는 현상을 밝히고, 이것이 가져올 수 있는 시민참여 민주주의의 가능성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연구의 분석 대상은 2012년부터 논의가 시작되어 2016년 공포되어 2018년까지 2년 여 간의 적용 과정을 거치고 있는 디지털공화국법이며 이를 정책소통이라는 프레임으로 체계이론적 방법론을 활용하여 평가한다. 즉, 정책 소통 과정을 새로운 법의 필요성 대두라는 환경에 따른 정책 의제 설정(투입),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법의 내용에 합의하는 정책 결정 과정(과정), 법의 적용을 집행하고 평가하는 정책 집행 및 조정 과정(산출)으로 나누어 분석한다. 분석 결과 프랑스의 디지털공화국법은 그 이슈화 초기부터 프랑스 정부가 사회 경제적으로 미래 디지털 사회를 준비하기 위해 전략적인 의지로 시민의 관심을 불러일으켰으며, 이로 인해 법률 내용 구성의 협의 과정에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시민이 초기 단계부터 조율 단계까지 적극 참여하여 법안을 만든 전례 없는 사례가 되었다. 프랑스 정부는 정책 소통 미디어로 한 두 개의 플랫폼에 집중하고 시민의 의견에 질적으로 높은 수준의 응답을 하여 성공적으로 소통의 양방향성을 획득하였다. 여기에 참여한 시민들은 사회적으로 비교적 높은 계층이었으며 참여자의 대부분은 조직이나 시민단체가 아닌 개인의 자격으로 참여하였다. 이번 사례를 ‘디지털 민주주의’라는 이름으로 정치의 전 영역에 확대 적용하고자 하는 프랑스 정부에게 이러한 결과는 참여하지 않는 시민들의 대표성 문제와 정부와 시민을 연결하던 프랑스의 강한 시민사회의 소멸이라는 새로운 문제를 던진다.

      • KCI등재
      • KCI등재

        북한의 국제표준화 활동 및 전략: 「계량 및 규격화」를 중심으로

        이진랑,정병기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14 국가정책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남북한 표준통합의 지름길이 북한의 국제표준화라고 보고 이를 북한의 관점에서 이해하기위해 현실사회주의권 개발도상국으로서의 북한의 국제표준화에 대한 활동 및 전략을 분석하고자 한다. 북한의 표준 정책에 관한 주요 원전, 「계량 및 규격화」를 중심으로 북한이 시장화에 따른 국제표준 수용의 대내적 요구와 체제 안정이라는 정치적 부담을 담론적으로 어떻게 극복하는지,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적 요소인 에토스(ethos), 파토스(pathos), 로고스(logos) 개념을 활용하여 분석한다. 북한은 인민생활 향상, 대외무역 활성화, 선진기술 도입, 등을 근거로 국제표준화에 대해 매우 적극적인 수용 태도를 보이며 경공업의 품질관리시스템의 표준화 및 표준 정보의 체계화에 대처하고 있다. 반면, 주체 농법이나 김일성화·김정일화 재배의 표준 제정 등 농업 부문과 다양한 문화 영역에서 ‘우리 식 규격화 사업’을 주장하여 주체사상을 절대화하고 민족주의적 감정을 발현함으로써 제체의 정당성 또한 확보하려고 하고 있다.

      • KCI등재

        가족계획 정책에 관한 국제 커뮤니케이션: 사하라이남 불어권 아프리카 사례 (2012-2016)

        이진랑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7 국제지역연구 Vol.21 No.3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the reason for the failure of international family planning policy in francophone countries in Sub-Saharan Africa by analyzing international newspaper articles. In other words, the discourse of international communication on the family planning is analyzed from various stakeholders' perspectives in order to evaluate their persuasive effects. We compare the main international policy makers’ discourses with the news frames of articles whose sources are from main donor countries such as USA and Europe, and those are from african countries to see why the african society accepts or resists the international main discourses. A total of 300 articles are collected from the international news database Factiva, with the keyword ‘family planning’ limited to the sub-Saharan region between 2012 and 2016. As a result, international information about family planning goes through four process of discourse change as follows: The family planning policy has historically brought about a discourse change since the 1960s from ‘population policy’ to ‘sexuality right’ in 1994 Cairo conference and added ‘global health’ in London 2012 conference. However, the main donors of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in this domain emphasize discoursively ‘demographic dividend effect’, ‘maternity health’ and ‘HIV-AIDS’ weakening relatively the women rights issues. Third, with weak policy autonomy, the african countries’ discourses are mirroring those of donors’ or even returning to the ‘birth control’ discourse of the 1960s. Fourth, these african governments discourses are confronting the cultural resistance expressed by the opinion leaders of the local community with a distrust about Western policy or adhesion of traditional culture. In conclusion, a cognitive persuasion strategy based on economic and health improvement logics can be inferred as a failure to face the psychological and cultural resistance of local people. Based on these results which show the different perceptions of family planning according the international stakeholders, this study raises the necessity of seeking ‘participatory development communication’ model rather than behavioral perspective adopted in the recent field. 이 연구는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불어권 주요국에서 가족계획이 실패하고 있는 이유를 국제 뉴스를 분석하여 찾아보고자 한다. 즉 가족계획에 관한 국제 커뮤니케이션의 담론을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그 설득적 효과에 대해 평가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사하라이남 불어권 아프리카 국가에서 행해지는 가족계획에 대한 국제 커뮤니케이션을 국제 정책 담론, 뉴스정보원이 국제기구 및 공여국인 뉴스의 프레임 및 수여국인 뉴스의 프레임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함으로써 수용자가 왜 국제 담론을 수용 혹은 저항하는지 이해한다. 주요 분석 자료는 국제뉴스 데이터베이스인 팩티바(Factiva)를 이용하여 ‘가족계획’이라는 검색어를 시작으로, 2012-2016년 사이 사하라이남 지역에 한정된 기사를 수집하여 최종적으로 총 300여 건의 기사로 구성된다. 분석 결과 가족계획에 대한 국제 정보는 다음과 같이 크게 네 번의 담론의 변화 과정을 거친다. 첫째, 역사적으로 가족계획 정책은 1950년대 이후 인구정책에서 모성보호와 모성권을 강조하는 인권의 문제로(1994 카이로 회담), 다시 글로벌 헬스(2012 런던 회의)로 그 담론의 변화를 가져왔다. 둘째, 그러나 이러한 정책 담론은 2010년 이후 사하라이남 불어권 아프리카의 가족계획 사업의 주요 공여국인 선진국(미국, 영국 및 유럽)의 국가 담론이 국제 언론에 나타나면서 ‘인구 배당’, ‘모성 보건’ 및 ‘에이즈 퇴치’라는 개발 목표가 강조되고 상대적으로 여성의 인권 담론이 약화된다. 셋째, 공여국의 담론은 고스란히 정책 자율성이 약한 수여국의 주요 국가 담론이 되거나 5-60년대 출산 억제 담론으로 환원되는 결과를 낳는다. 넷째, 이러한 수여국 정부의 주요 담론은 해당 지역 여론지도자에 의해 전통문화 고수나 서구 정책에 대한 불신으로 나타나는 문화적 저항에 직면한다. 결론적으로 경제나 보건 향상을 근거로 하는 인지적인 설득 전략은 해당 지역 주민의 심리적, 문화적 저항에 부딪혀 실패하고 있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최근 국제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행동주의적 관점에서의 개발 커뮤니케이션을 지양하고 ‘참여적 개발 커뮤니케이션’ 모델을 모색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