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 말 이효석과 유진오의 도시 읽기

        이양숙(Lee, Yangsook) 한국현대문학회 2014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3

        본고는 이효석의 「하얼빈」과 유진오의 「신경」을 대상으로 ‘도시체험’이라는 동시대성의 양상이 ‘만주’라는 역사성의 의미와 교차되는 지점을 포착하고자 하였다. 두 작품이 비교의 대상으로 선정된 이유는 일제 말기 만주 근대도시 탐방의 소설적 기록이라는 공통점 때문이다. 이효석과 유진오의 상상과 기억을 통해 재생산된 두 도시의 공간에는 이전 시대와는 다른 1940년대의 도시성이 반영되어 있다. 1930년대 모더니즘 소설에서와 달리 이효석과 유진오의 작품 속 주인공들은 ‘낡은 것’과 ‘새로운 것’(「하얼빈」) 혹은 ‘과거’와 ‘현재’(「신경」) 사이에서 갈등하는 자들이다. 이때 후자에는 ‘근대성’보다 제국주의 권력이라는 의미가 더 강하게 내포되어 있다. 이들 주인공들은 제국주의 권력의 외화형태인 만주의 도시경관에 심리적 저항감을 느끼면서도 그것을 적극적으로 거부할 수 없는 현실에서 갈등을 느끼는 자들이다. 이효석의 「하얼빈」에는 낡은 것의 가치를 옹호하는 고집스러운 주인공이 등장한다. 그는 하얼빈의 도시경관에서 오로지 백계 러시아인들의 이미지가 남아 있는 특정지역을 벗어나지 않는다. 그는 하얼빈에서 ‘청각’이미지만을 선택적으로 수용하는데 이는 제국주의 권력에 의해 강제적으로 재편된 새로운 도시경관에서 눈을 돌리는 행위이다. 이처럼 「하얼빈」에서 드러나는 ‘감각의 전환’은 현실의 논리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고자 하는 행동으로 평가할 수 있다. 유진오의 「신경」에는 새로운 도시경관으로 탈바꿈한 만주국의 수도 신경에서 변하지 않는 것, 변할 수 없는 것에 대한 기억을 떠올리고 그에 강한 향수를 느끼는 주인공 ‘철’이 등장한다. ‘장춘’과 ‘신경’처럼 동일한 공간이 서로 다른 장소로 변화할 수 있었던 것은 ‘시간’의 힘이며 그것은 ‘역사’로 지칭된다. 이 시간을 거부할 수 있는 것은 벗인 ‘욱’처럼 죽음의 세계로 건너가는 것 이외에는 아무것도 없다. 그러나 현재라는 시간이 빚어낸 ‘사실’을 그대로 수용할 수 없는 주인공은 그곳에서 과거 자신들의 흔적을 끊임없이 떠올린다. 이들 작품에 나타난 1940년대의 도시성은 이처럼 제국주의적 근대의 폭력성에 대한 문제의식으로 드러난다. 이는 ‘만주’가 내포하고 있는 왜곡된 근대성의 문학적 반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meaning of "urban experience’ of Manchuria in novels at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period. Lee, Hyoeok’s 「Harbin」 and Yoo, Jinoh’s 「Shinkyoung」 are a kind of fictional record about visiting cities in Manchuria. The urbanism of the 1940s was reflected in the reproduction of both urban space through the imagination and the memory of the writers. Unlike the 1930s modernist novels, the main characters were suffering conflict between ‘the old one" and ’the new one" or "the past" and the "present" or "the changed" and "the unchanged". A symbol of imperial power was implied in the latter. The protagonists were feeling the psychological aversion to urban landscape of Manchuria, but in reality they could not deny it vigorously. So they had to selectively consume the cityscape. In 「Harbin」 the protagonist was a stubborn character to defend the value of the old. He does not deviate from the specific area of Harbin in which Russians lived. And he accepted only "Auditory image" of Harbin. This is the act of turning his face away from the new urban landscape created by Japanese imperialistic power. Change of the sense from ‘sight’ to ‘hearing’ can be evaluated as an effort to relearn the logic of reality. In 「Shinkyoung」, ‘Shinkyoung’ was completely replaced by the new urban landscape by construction of ’‘Manchukuo’, "Changchun" and "Shinkyoung" was the same space, but changed to a different place to each other. It was due to the power of ‘history". There is nothing in the world except death as in the case of ‘Wook’ to deny history. But as those "facts" created by ‘the history’ were unacceptable, the protagonist constantly traced a trail of friend and the past. The urbanism in these novels showed awareness of the problems of modern imperialism. It could be called literary reflection on distorted modernity caused by Japanese imperialism in Manchuria.

      • KCI등재

        도시적 삶과 폭력의 양상

        이양숙(Lee, Yangsook)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7 외국문학연구 Vol.- No.67

        이 글에서는 최근 소설에 나타난 도시적 폭력의 문제를 탐구하였다. 문학의 영역에서 폭력은 구조적인 병리에 대한 거부나 일상적인 현실질서의 억압적 성격을 드러내고 그것으로부터 일탈하고자 하는 욕망을 형상화함으로써 사회에 대한 비판의식을 드러내왔다. 그러나 최근 소설에서 폭력은 사회비판을 넘어 사회와 개인의 철저한 파괴(소멸)를 추구한다는 차이점을 보인다. 여기에는 폭력을 체감하면서도 어디에서 그 문제의 해결책을 찾아야 할지 알 수 없는 현대적 상황이 존재한다. 이 글에서는 현대도시에서 ‘공간의 분리’와 ‘사회적 배제’로 야기된 구조적 폭력이 ‘주관적 폭력’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분석하고 그것이 환기하는 사회적 물음에 주목하였다. 현대 도시에서 벌어지는 구조적 폭력과 그 폭력이 야기하는 불안과 두려움, 고립감은 특히 청년들에게 극심한 고통으로 나타난다. 염승숙과 김사과는 모두 1980년대 초에 출생한 젊은 소설가들로 이들의 작품에는 청년세대의 위기위식과 불안의 정동이 세밀하게 표현되어 있다. 염승숙이 존재감 없는 사람들의 위기의식과 소외감을 다루고 있다면 김사과는 사회적 소외가 불러일으킨 분노의 정동에 주목해왔다. 두 작가는 서로 다른 작품경향을 보여주면서도 공존이 허용되지 않는 현대도시에서의 고립에 주목한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이 글에서는 도시의 공적영역과 공공성의 부재로 야기된 ‘구조적 폭력’이 개인의 삶에 투영되는 두 양상을 검토함으로써 도시적 폭력의 현대적 특징을 검토하고자 한다.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recognition of a no-exit society and the literary response to it in recent Korean novels. The situation in which we experience violence but do not know where to find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violence is a peculiarly modern one. This paper analyzes urban violence in Korean literature in the early 2000s. ‘Structural violence’ in modern cities and the anxiety, fear, and isolation caused by violence appear to be particularly painful for young people. Sungsuk Yeom and Sagua Kim are all young novelists born in the early 1980s, and their works express in detail the crisis of the younger generation and their anxiety. If Yeom is dealing with the crisis of consciousness and sense of alienation of people without a presence, Kim has focused on the impatience and anger caused by social alienation. The two writers have a common point in that they presuppose isolation in a modern city that shows different works of art but do not allow coexistence. This paper examines the modern characteristics of urban violence by examining two aspects of "structural violence" caused by the absence of the public realm and publicity in the city. 이 글에서는 최근 소설에 나타난 도시적 폭력의 문제를 탐구하였다. 문학의 영역에서 폭력은 구조적인 병리에 대한 거부나 일상적인 현실질서의 억압적 성격을 드러내고 그것으로부터 일탈하고자 하는 욕망을 형상화함으로써 사회에 대한 비판의식을 드러내왔다. 그러나 최근 소설에서 폭력은 사회비판을 넘어 사회와 개인의 철저한 파괴(소멸)를 추구한다는 차이점을 보인다. 여기에는 폭력을 체감하면서도 어디에서 그 문제의 해결책을 찾아야 할지 알 수 없는 현대적 상황이 존재한다. 이 글에서는 현대도시에서 ‘공간의 분리’와 ‘사회적 배제’로 야기된 구조적 폭력이 ‘주관적 폭력’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분석하고 그것이 환기하는 사회적 물음에 주목하였다. 현대 도시에서 벌어지는 구조적 폭력과 그 폭력이 야기하는 불안과 두려움, 고립감은 특히 청년들에게 극심한 고통으로 나타난다. 염승숙과 김사과는 모두 1980년대 초에 출생한 젊은 소설가들로 이들의 작품에는 청년세대의 위기위식과 불안의 정동이 세밀하게 표현되어 있다. 염승숙이 존재감 없는 사람들의 위기의식과 소외감을 다루고 있다면 김사과는 사회적 소외가 불러일으킨 분노의 정동에 주목해왔다. 두 작가는 서로 다른 작품경향을 보여주면서도 공존이 허용되지 않는 현대도시에서의 고립에 주목한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이 글에서는 도시의 공적영역과 공공성의 부재로 야기된 ‘구조적 폭력’이 개인의 삶에 투영되는 두 양상을 검토함으로써 도시적 폭력의 현대적 특징을 검토하고자 한다.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recognition of a no-exit society and the literary response to it in recent Korean novels. The situation in which we experience violence but do not know where to find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violence is a peculiarly modern one. This paper analyzes urban violence in Korean literature in the early 2000s. ‘Structural violence’ in modern cities and the anxiety, fear, and isolation caused by violence appear to be particularly painful for young people. Sungsuk Yeom and Sagua Kim are all young novelists born in the early 1980s, and their works express in detail the crisis of the younger generation and their anxiety. If Yeom is dealing with the crisis of consciousness and sense of alienation of people without a presence, Kim has focused on the impatience and anger caused by social alienation. The two writers have a common point in that they presuppose isolation in a modern city that shows different works of art but do not allow coexistence. This paper examines the modern characteristics of urban violence by examining two aspects of "structural violence" caused by the absence of the public realm and publicity in the city.

      • KCI등재

        일제 말 북경의 의미와 동아시아의 미래

        이양숙(Lee, Yangsook)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4 외국문학연구 Vol.- No.54

        본고는 김사량의 「향수」에 나타난 북경의 의미와 동아시아의 미래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일제말기 반제국주의의 한 양상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 작품이 발표되었던 1941년은 태평양 전쟁이 발발되기 직전으로 일본과 조선에서는 어떤 저항세력도 활동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김사량은 작품의 배경을 1919년에서 1938년으로 설정함으로써 20여 년에 걸친 조선혁명가들의 헌신적인 활동을 간접적으로 제시하는 한편, 처참한 지경에 처해 있으면서도 북지를 떠나지 못하는 혁명가들의 삶을 통해 동아시아의 미래가 민중의 희생과 혁명가들의 고통에 찬 노력에 있음을 보여주었다. 「향수」는 1939년 이루어진 작가의 북경체험에 기초하고 있다. 이 작품의 배경이 되는 북경은 중층적 성격을 지닌 공간으로 설정된다. 과거 즉 1938년 이전에는 재 중국 조선 혁명가들의 활동공간이자 제국주의 일본의 손아귀를 벗어나 미국이나 유럽으로 이주할 수 있는 공간이었지만 현재는 아편의 소굴이자 곳곳에 일본특무대원의 눈이 번득이는 타락한 공간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중일전쟁이 계속 진행되는 곳이기도 하다. 전쟁 없이 일본에 병합되었던 조선과 달리 중국에서는 아직도 전쟁이 지속되고 있다는 사실, 모든 것이 불가능해진 동경이나 경성과 달리 북경에서는 아직도 끈질긴 저항이 시도되고 있다는 사실은 이 작품의 무대가 북경이 된 이유를 설명해주고 있다. 그러나 북경의 혁명가들은 처참한 지경에 빠져있었다. 이들은 향수의 유혹에도 불구하고 북경을 떠날 수 없었는데 그 이유는 이들이 전향을 끝내 거부하고 있기 때문이다. 혹독한 현실 때문에 인간적으로 타락할 수밖에 없었던 이들에게 갱생의 삶을 권하던 이현은 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갱생이 아니라 '구원'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는데 이는 갱생으로 표현되는 전향의 논리를 거부하는 것이자 현실 정치의 논리를 거부하는 것이다. 각 민족의 일원이자 세계인의 일원이라는 자각을 품고 귀국하는 현의 모습은 동아시아의 미래가 동아시아 민중의 피와 혁명가들의 헌신에 있으며 자신도 이에 동참하겠다는 의지의 표명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reveal anti-imperialistic aspects in "Nostalgia". In order to achieve such object, this study analyzed the meaning of Beijing and the outlook for the future of East Asia. This novel was published in April 1941, just before the outbreak of the Pacific War. At that time, Any resistance forces could not exist within Korea and Japan. By setting the background of the novel from 1919 to 1938, the writer could represent how the Korean revolutionist fiercely devoted over 20 years, even though it was indirectly. And the future of the East Asia depended on the sacrifice of the peoples and the painful efforts of the revolutionist. "Nostalgia" was based on visiting Beijing in 1939. In this novel, Beijing was a significant place in various ways. First of all, Beijing was a place where one could escape from the violence of Japan by emigration or studying abroad before 1938. But now there were many informants and opium addicts in Beijing. Nevertheless, Beijing was still in tenacious resistance, unlike Korea (Pyongyang) which had been merged into Japan without war, and unlike Japan (Tokyo) in which no one could resist on imperialism. This explains why the Beijing was chosen as a background of this novel. Then Korean revolutionists were in a terrible predicament in Beijing. In spite of strong nostalgia they could never leave Beijing because it meant conversion for them to return home or go back to the past. They had fallen by the harsh reality and Hyun -Lee advised them to be rehabilitated. But after that he saw their pain, he realized that what was needed for them was not rehabilitation but salvation. It was a denial of the logic of conversion represented in the word rehabilitation. Consciousness as a members of each ethnic and a member of the world led him to act. Finally he determined to be back in Beijing, that was a manifestation of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resistance movement or the future of East Asia.

      • KCI등재

        언택트 시대의 공공디자인: 공공시설을 중심으로

        이양숙 ( Lee Yangsook ),최익서 ( Choi Ikse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코로나 19(COVID-19) 팬데믹(pandemic)으로 인해 뉴노멀로서 언택트(untact) 시대가 도래하였다. 언택트는 사회 전반에 빠르게 자리잡고 있으며 기술 발전 및 변이 바이러스 출현으로 앞으로도 지속될 전망이다. 이러한 현상은 대면 중심의 공공디자인에도 영향을 미쳐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있다. 이에 본 연구는 언택트 시대에 요구되는 공공디자인, 그중에서도 공공시설 디자인 방향 및 역할을 탐구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는 첫째, 국내외 기술 변화에 대해 살펴보고 둘째,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산업 환경 변화와 전망에 대해 검토한다. 셋째, 국내·외 기사, 연구자료 및 문헌 분석을 통해 언택트 시대의 특성을 도출한 후, 넷째, 언택트 시대에 요구되는 공공성 양상을 연구 및 사례를 통해 분석한다. 다섯째, 앞에서 도출한 언택트 시대 특성 및 공공성의 변화 분석을 토대로 공공시설 디자인 방향 및 역할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가치 제안을 위한 NABC 분석법을 통해 타당성을 검증한다. (결과) 연구를 통해 언택트 시대에 요구되는 공공성을 다음과 같이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위기관리를 위한 전방위적 국가 보장 확대, 둘째, 민첩한 상황 대응 및 문제해결력, 셋째, 인간의 존엄성에 바탕을 둔 공공서비스, 넷째, 디지털 영역에서의 민주적 규범 및 상호작용 확립, 다섯째, 협력 및 윤리 책임 공유, 마지막으로 공공공간에서의 접촉 및 밀도 감소, 유연성 강화로 나타났다. 언택트 시대의 사회, 경제, 공공 환경 특성들을 토대로 한 공공시설 디자인 방향 및 역할은 첫째, 서비스 제공과 참여의 측면에서 물리적, 디지털 경험의 융합, 둘째, 탄력적 역할로서 가변적인 공간 활용, 셋째, 지역사회의 완충지역으로서 소규모의 열린공간의 분산 활용, 넷째, 지속가능한 환경 및 운영시스템 구축으로 제안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제안을 통한 목표 및 기대효과는 첫째, 공공행정 및 시설 운영의 효율화를 기대할 수 있으며, 둘째, 인간의 존엄성을 바탕에 둔 보다 세분화되고 다양한 계층에 소구할 수 있는 서비스 개발 및 제공이 가능하다. 셋째,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장소의 연결을 새롭게 하고 더욱 확장시킬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지역의 회복탄력성을 제고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공행정 주체 및 시민들로 하여금 시대 변화에 따른 공공시설의 역할과 활용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갖게 할 수 있다. 향후 공공시설을 사용자 중심으로 최적화하여 운영, 관리할 수 있는 디지털 기술 기반 운영시스템 개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 and Purpose)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e era of Untact as a new normal has arrived. “Untact” is rapidly becoming established throughout society and is expected to continue in the future due to technological advances and the emergence of mutant viruses. These phenomena also affect face-to-face public design and create new challeng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and present the public design required in the untact era, especially the direction and role of public facility design. (Method) The research first examines domestic and foreign technological changes, and second, reviews the changes and prospects of the industrial environment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Third, it deriv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tact era through the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articles, research data, and literature. Fourth, the publicness aspect required in the untact era is analyzed through research and examples. Fifth, based on the analysis of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and publicness of the untact era derived earlier, the direction and role of public facilities design are presented. Finally, the validity is verified through the NABC analysis method for the value proposition. (Results) Through the research, it was possible to derive the publicness required in the untact era as follows. First, it expands the total national security for crisis management. Second, it is an agile situation response and problem-solving ability. Third, it is a public service based on human dignity. Fourth, it is the representation of democratic norms and interactions in the digital realm. Fifth, cooperation and sharing of ethical responsibility. Finally, it appears as a result of reducing density and increasing flexibility in public spaces. The direction and role of public facility design based on the social, economic, and public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the untact era are as follows: First, the convergence of physical and digital experiences in terms of service provision and participation. Second, the use of variable space as a flexible role. Third, regions as a buffer zone for society, and the distributed use of small open spaces is mentioned. Fourth, it could be proposed by establishing a sustainable environment and operating system. (Conclusions) The goals and expected effects through the proposal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icienc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facility operation can be expected. Second, it is possible to develop and provide services that are more specialized and appealing to various classes based on human dignity. Third, digital technology can be used to renew and expand the connection between humans as well as humans and places. Finally, it can contribute to enhancing the resilience of the region. This study can give public administration subjects and citizens a new perspective on the role and use of public facilitie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times.

      • KCI등재

        디지털시대의 경계불안과 포스트휴먼

        이양숙(Lee, Yangsook) 구보학회 2020 구보학보 Vol.0 No.26

        포스트휴머니즘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면서 분과 학문 간의 경계허물기가 중요한 화두로 떠올랐다. 이처럼 각 분과학문에서 제기되는 탈경계적 사유는 과학기술을 활용하면서도 과학기술적 패러다임을 뛰어넘는 새로운 세계에 대한 상상력과 위기에 대한 대안 모색을 강조하고 있다. 최근 문학에서 과학적 상상력과 고도기술사회의 명암을 다룬 작품들이 다수 등장하고 있는 것은 이와 같은 상황에 부응한다. 최근의 과학소설은 이처럼 인간과 사물의 결합에 대한 이해가 인간에 대한 기존의 정의와 인간중심적 패러다임을 대체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들은 기존의 관점에서는 생각할 수도 없었던 다양한 문제가 과학 소설적 관점에서 포착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윤이형의 「결투」(2011)와 「수아」(2019)를 중심으로 디지털시대의 다중 자아의 문제를 다루었다. 디지털 시대의 핵심기술 중 하나인 정보통신기술로 시공간을 초월한 초연결이 가능하게 되었다. 초연결사회란 인간과 인간(P2P)은 물론 인간과 사물(P2M), 사물과 사물(M2M)이 네트워크를 통해 상시 접속하고 상호작용하는 사회를 의미한다. 그러나 초연결의 결과가 항상 긍정적인 것이 될 수만은 없다. 서로 상충할 수 있는 다양한 경험세계는 한 개인에게 혼란을 줄 수 있으며 다양한 정체성과 가변적인 역할들 속에서 끊임없이 변화를 추구하는 것은 자기 자신은 물론 외부세계와 타자에 대한 지속적인 질문을 수반하는 일이다. 「결투」와 「수아」는 여성주인공들이 자신들의 도플갱어를 마주하는 데서 빚어지는 사건을 다룬다. 이들과의 마주침은 피할 수 없으며 결코 행복한 결말을 맺을 수도 없다. 그들 사이에는 둘 중 하나는 반드시 죽어야 하는 현실법칙이 존재하거나(「결투」) 자신의 억압된 무의식이 공공연히 까발려지는 당혹스러운 상황(「수아」)이 벌어지기 때문이다. 이처럼 두 작품은 죽음과 삶, 원본과 복제, 분열과 해체 등 포스트모더니즘적 문제의식과 디지털 시대의 경계불안, 인공지능로봇과의 공존이라는 과학소설의 문제의식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 「결투」와 「수아」는 이전에는 경험할 수 없었던 낯선 세계에 내던져진 주인공들이 결코 이전으로는 돌아갈 수 없는 선택에 내몰리는 상황을 다룸으로써 인간이 인간으로 존재할 수 있는 조건이 무엇인지 탐구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problem of multiple egos in the digital age, focusing on Yoon s “Dueling” (2011) and “Su-a” (2019). Wit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one of the core technologies in the digital age, hyper-connection beyond time and space has become possible. A hyper-connected society refers to a society in which humans and humans (P2P) as well as humans and things (P2M), and things and things (M2M) are constantly connected and interacted through a network. However, the result of hyper-connection cannot always be positive. Diverse experience worlds that can conflict with each other can confuse an individual, and constantly pursuing change in various identities and variable roles entails constant questioning not only of oneself but also of the outside world and the other. “Dueling” and “Su-a” deal with the incidents caused by female protagonists confronting their Doppelganger. Confrontation with them is inevitable and there is never a happy ending. One of the two is because there is a law of reality that must be killed (“Dueling”) or an embarrassing situation (“Sua”) in which their suppressed unconsciousness is openly exposed. As such, the two works simultaneously show the consciousness of postmodern problems such as death and life, originals and reproduction, division and deconstruction, and the problem consciousness of science fiction such as border anxiety in the digital age and coexistence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Dueling” and “Su-a” explore the conditions under which humans can exist as humans by dealing with the situation in which the protagonists thrown into an unfamiliar world that they have never experienced before are driven to choices that they can never return to.

      • KCI등재

        가족생애사문학과 기록영화에 나타난 도시개발과 불공정한 도시경험 : 박완서, 조경란, 강유가람의 작품을 중심으로

        이양숙(Lee, Yangsook) 구보학회 2021 구보학보 Vol.- No.29

        이 글에서는 박완서, 조경란, 강유가람의 소설과 다큐멘터리 영화를 중심으로 1970년대 중반부터 2010년대 초반까지 한국문학에서 집과 가족의 이야기가 어떻게 생성되었는지에 주목하였다. 이들 작품은 자전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으며 또한 1970년대 이후 서울의 강북과 강남, 중심과 주변, 산동네와 전통시장, 아파트와 다가구 주택 등이 도시개발과정에서 어떻게 변모하였는지 그 과정에 투영되었던 사람들의 욕망은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되었는지 보여주고 있다. 박완서가 비판적으로 그리고 있는 도시 중산층의 가족주의는 ‘핵가족 가족주의’로서 박완서 소설의 주인공들이 ‘가족피로’와 계층적 불안 속에서도 ‘가족 개인’의 범주를 끝내 넘어서지는 못했다면 조경란의 「나는 봉천동에 산다」에는 이와 달리 가족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노력하고 행동으로 옮기는 인물들이 등장한다. 한편 강유가람의 다큐멘터리에 등장하는 부모는 1970, 80년대 박완서 소설의 젊은 부부를 연상하게 한다. 박완서 소설의 개발주의 가족이 언제 도달할지 모를 미래의 행복을 위해 현재를 희생하는 ‘잔혹한 낙관주의’자들이었음을 고려할 때 이 작품의 의미는 새롭게 다가온다. 조경란과 강유가람은 개발주의 시대의 젊은 부부가 30년 후 자신들이 만들어낼 것으로 기대한 미래가족을 그들 자녀의 시점에서 재구성하였기 때문이다. 아파트 1세대의 핵가족을 그리고 있는 박완서의 작품과 서울이주민 2세대 혹은 아파트 거주 중산층 2세대의 시선을 초점으로 하고 있는 조경란, 강유가람의 작품은 서로 다르지만 유사한 결론에 도달한다. 그것은 ‘가족 개인’의 한계를 넘어서야 한다는 것이다. 조경란의 봉천동 가족은 끝내 중산층 진입에는 실패하였지만 도시이주과정에서 겪은 불공정한 도시경험을 바탕으로 외부가족과 타인의 삶으로 관심을 확대할 수 있게 되었다. 강유가람의 주인공은 자신들이 중산층에 진입했다고 생각한 이후 그것을 유지하기 위해 자신의 가족이 지나치게 많은 것을 희생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을 깨닫는다. 그리고 결국 중산층, 혹은 강남 아파트라는 것은 담론적 구성물에 불과한 것이었음을 깨닫게 된다. 이들 작가는 부모세대와 집, 자신의 삶을 성찰하면서 개발주의 시대의 ‘가족 개인’이 그 존재 근거가 사라지고 없는 상황에서도 하나의 이데올로기로 살아있었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부모세대에게 짐이 되었을 ‘가족 개인’이 ‘개인들의 가족’ 으로 재구성되어야 한다는 것은 현재 그 자체에 주목하는 또 다른 삶의 태도로 볼 수 있다. This article focused on how houses and families are created in Korean literature from 1970s to 2010s. The works of Park, Wan-seo, Jo, Kyung-ran, and Kang Yu, ga-ram have in common that they are autobiographical. In addition, these works show how Gangbuk and Gangnam, the center and surrounding areas of Seoul since the 1970s, villages and traditional markets, apartments and multi-family houses have changed in the process of urban development, and how the desires of people reflected in the process were formed. The familism of the urban middle class in Park, Wan-seo’s novels is ‘nuclear family familism’. The protagonists of Park Wan-seo’s novels were not able to go beyond the category of ‘family individual’ despite ‘family fatigue’ and hierarchical anxiety. On the other hand, Jo Kyung-ran’s “I Live in Bongcheon-dong”, features characters who strive to escape from their family and put them into action. The parents appearing in Kang Yoo Ga-ram s documentary reminds us of a young couple in Park, Wan-seo’s novels in the 1970s and 1980s. Considering that the developmentist family of Park, Wan-seo’s novels were ‘cruel optimists’ who sacrificed the present for the happiness of the future, the meaning of this work is new. Jo, Kyung-ran and Kang Yu, ga-ram reconstructed the future family they expected to create 30 years later from the perspective of their children by a young couple in the era of developmentalism. Park, Wan-seo’s work, which depicts a nuclear family in the first generation of apartments, and Jo, kyung-ran’s and Kang Yu, ga-ram’s works, which focus on the eyes of the second-generation Seoul immigrants or the second- generation middle-class living in apartments, are different but reach a similar conclusion. That is, it has to go beyond the limits of the ‘family individual’. The Bongcheon-dong family of Jo, Kyung-ran eventually failed to enter the middle class, but based on the unfair urban experience they experienced during the urban migration process, they were able to expand their interest in the lives of outsiders and others. After thinking that they have entered the middle class, Kang Yu-Garam’s protagonist realizes that her family has had to sacrifice too much to maintain it. And in the end, she realizes that the middle class, or Gangnam apartment, was nothing more than a discursive construct. As these writers reflect on their parents’ generation, and their own lives, they discover that the family individual in the era of developmentalism was alive as one ideology even in a situation where the basis for its existence disappeared. The need to reorganize the ‘family individual’, which would have been a burden to the parents’ generation, into a ‘family of individuals’ can be seen as another way of life that pays attention to the present itself.

      • KCI등재SCOPUS
      • KCI등재후보

        가정과 연계한 유아생태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양숙(Yangsook Lee),신현정(Hyunjung Shin) 구성주의유아교육학회 2020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가정과 연계한 유아생태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부모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S시의 K어린이집 만5세 2반 실험집단(13명)과 비교집단(13명)으로, 어린이에서의 하루일과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모두 누리과정으로 동일하게 운영하였다. 그러나 연구를 위하여 실험집단에게는 가정연계 생태활동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12주 동안 16회기에 거쳐 평일 귀가 후의 시간이나 주말을 이용하여 부모와 자녀가 활동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였다.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의 절차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연구결과 첫째, 가정과 연계한 유아생태활동은 유아정서지능의 하위요인인 자기정서의 이용, 타인정서 인식 및 배려, 자기정서 인식 및 표현,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 교사와의 관계, 또래와의 관계 등 유아정서지능 전체에서 실험집단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가정과 연계한 유아생태활동은 부모효능감의 탐색적 요인인 유능성과 안정감 전체에서도 실험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통해 가정과 연계한 유아생태활동은 유아의 정서지능 발달과 부모의 양육 효능감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가정연계 유아생태활동 프로그램을 부모에게 제공하여 적극적인 부모역할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자녀 양육에 있어 부모의 역할에 대한 자신감과 부모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family-connected ecological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affect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s well as their parents’ parenting efficacy. For this study, two classes of 5-year-old children at ‘K child-care Center in ‘S si, Gyeonggi-do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s and comparative groups of 13 students per group, and the daily lives of the children were managed in accordance to the Nuri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with a family-linked ecological activity program, which allowed parents and children to spend time with each other during free time for a total of 16 times over 12 weeks.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the procedures of pre-examination, experimental treatment, and post-examin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cological activities linked to the family-connected progra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y increasing the overall score of young children s emotional intelligence factors, such as utilization of their emotions, empathy, recognition and expression of self-emotion, regulation of emotion, relationships between the child and their teacher, and relationships with their peer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in the overall factors of ability and stability, which are the exploratory factors of the parenting efficacy.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show that family-connected ecological activities are effective in develop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and enhancing parental efficac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parents with a home-linked ecological activity program to experience active parental roles, granting them with a method of improving their confidence in the role of parents in raising children and their overall parental efficacy.

      • KCI등재

        국내 도시브랜드 관련 연구의 경향과 특성

        김소은(Soeun Kim),이양숙(Yangsook Lee) 서울연구원 2013 서울도시연구 Vol.1 No.1

        최근 도시브랜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도시브랜드 연구 접근방법에 있어 다양한 분야의 시도가 진행되고 있으나, 개념적 정의에 대한 공통적 인식조차 없는 상태일 뿐만 아니라 특정 분야로의 집중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도시브랜드 연구 현황과 트렌드를 파악하고 도시브랜드와 연구가 보다 전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총 128편의 논문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연구경향과 분석방법 등을 파악하였다. 국내 도시브랜드 연구는 2001년 시작되어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다 2010년 이후 다소 주춤한 상태이다. 연구주제의 경우 상징적 측면의 도시 아이덴티티나 도시이미지에 관한 연구가 40.7%로 가장 많았으며, 2011년 이후에는 물리적 측면의 도시디자인 등과 관련한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질적 연구에 비해 양적 연구의 비중이 10% 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빈도분석 등 단순 기술통계의 활용도가 높았다. 연구결과, 도시브랜드 연구의 발전을 위해서는 연구의 양적 확대와 도시브랜드의 이론 정립을 위한 다양한 방식의 개념화 작업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다학제적ㆍ간학문적 접근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연구방법론에 있어서도 다양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가 향후 국내에서 진행되는 도시브랜드 연구에 있어 연구주제 설정이나 연구 대상 선정, 조사 설계 등에 있어 보다 적절한 접근방식을 찾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recent years, the interest in city brand has led to researches trying diverse approaches in various different fields. Nevertheless, common recognition about the conceptual definition does not exist, and the researches are concentrated in certain research subjects. This paper attempts to grasp the research status and trend of city brand research, and then suggests the direction of balanced research about city brand and branding. To achieve this, 128 papers were reviewed by using content analysis, and the research trend and methods of analysis were figured out.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expanding the amount of the research should be prioritized for development of city brand research. Secondly, conceptualization in diverse ways which could be a main theory of city brand is required. Thirdly, various research methodologies need to be utilized for development of city brand research as well as the multi-disciplinary approach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 The study could contribute to finding out suitable approach in choosing research subjects and designing methods of analysis for further city brand research.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