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상운,박중양,박재흥,Lee, Sang-Un,Park, Joong-Yang,Park, Jae-Heo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0 No.1
팀의 규모에 관한 연구 결과 전문가들은 일반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데 규모가 작은 팀이 큰 팀 보다 좋다는데 동의하고 있다. 또한, 항상 최소한의 실질적인 팀 규모를 구성하는데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작은"이 얼마를 의미하는지가 문제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젝트 인도율과 인도속도와 같은 생산성 측도를 도입하여 이상적인 팀 규모를 결정하였다 300개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데이터 집합을 2개의 서브 그룹인 개발 프로젝트와 유지보수 프로젝트로 분류하였다. 실험결과 가장 성공적인 프로젝트는 최대 5명으로 수행하는 경우였으나, 본 논문은 실제 개발 된 프로젝트들을 대상으로 생산성-기반 이론을 접목시켜 이상적인 팀 규모를 판단하는 지침을 제공한다. 지침을 제공한다. Experts work teams generally agree that small teams are better than large teams for getting things done. Also, always aim for the lowest practical team size. But what does "small" mean\ulcorner We Introduce to productive metrics such as project delivery rate (PDR) and speed of delivery (SOD) for decision criteria of ideal team size. The experimental is based on the analysis of 300 project data. These data sets are divide in two subgroups. One is a development project ; the other is a maintenance project. As a result of experimental in two subgroup, we co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molt successful projects has small teams indeed staffed with maximum five persons. This paper presents ideal team size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as a guide in selecting the most practical and productive-based team size for a software development project.t project.
이상운,Lee, Sang-Un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006 TTA저널 Vol.104 No.-
DMB는 첨단 휴대이동 멀티미디어 디지털방송 서비스로서 텔레매틱스 및 ITS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정보서비스의 전송채널로서 최고의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미 ITS분야에서는 DMB를 전송 플랫폼으로 하는 교통 및 여행자정보 전송규격의 국제표준화가 추진되어 왔다. 이번호에서는 언제 어디서나 교통정보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고 DMB의 양방향 서비스를 앞당김으로써 유비쿼터스 사회를 촉진시키게 될‘DMB + 텔레매틱스/ITS 컨버전스 관련 표준화 및 서비스의 현황과 전망’에 대해 이상운 TTA DMB PG 의장으로부터 알아본다
선형 근사 평활 발전 비용함수를 이용한 경제급전 문제의 최적화
이상운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4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4 No.3
본 논문은 복잡한 비평활 발전비용함수를 가진 경제급전의 최적화 문제를 풀기 위해 단순히 선형 근사함수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비평활 발전비용 함수를 선형으로 근사시키고, 요구량이 현재의 발전 량을 초과하는 경우 발전단가가 비싼 발전기의 가동을 중지시키고, 발전단가가 보다 큰 발전기의 발전량을 감소시켜 요구량과 발전량의 균형을 맞추는 개념을 도입하였다. 경제급전 문제의 시험사례로 빈번히 활용되고 있는 데이터에 대 해 제안된 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 기존의 휴리스틱 알고리즘의 최적화 해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현재 실무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2차 평활함수 근사법과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This paper proposes a simple linear function approximation method to solve an economic load dispatch problem with complex non-smooth generating cost function. This algorithm approximates a non-smooth power cost function to a linear approximate function and subsequently shuts down a generator with the highest operating cost and reduces the power of generator with more generating cost in order to balance the generating power and demands. When applied to the most prevalent benchmark economic load dispatch cases, the proposed algorithm is found to dramatically reduce the power cost than does heuristic algorithm. Moreover, it has successfully obtained results similar to those obtained through a quadratic approximate function method.
이상운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2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22 No.4
This paper researched a study to find a combination of acquisition scores for 9 dart throws, which is the minimum number of dart tactile throws in 501 point dart games. The maximum score that can be obtained by throwing once in a dart game is 60 points, which can end the perfect dart game with 60 points eight times according to 60x8+21x1=501, and if you earn 21 points once, you can finish the game with 9 throws. This is called 9-dart finish. As such, only 18 and 14 studies on the combination of scores that can obtain 501 points with 9 throws are known, and no studies have been conducted applying the exhaustive search algorithm. This paper proposed a division branch-and-bound algorithm as a method of simplifying the exponential time performance complexity of the typical branch-and-bound method of a exhaustive search method, to polynomial time complexity. The proposed method limited the level to 8, jumped to a quotient level of 501/60, and backtracked to explore only possible score combinations in the previous level. The possible score combinations of the nine perfect games found with the proposed algorithm were 90(101 cases). 본 논문은 501 다트게임의 최소 다트 촉 투척 횟수인 9회에 대한 획득점수 조합을 찾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다트게임에서 한 번 투척으로 획득할 수 있는 최대 점수는 60점으로 60x8+21x1=501에 의거 60점을 8회, 21점을 1회획득하면 9회 투척으로 퍼펙트 다트게임을 종료할 수 있다. 이를 9-다트 종료라 한다. 이와 같이 9회 투척으로 501점을획득 가능한 점수의 조합에 관한 연구는 18개와 14개만 알려져 있으며, 전수탐색 알고리즘을 적용한 연구는 수행되지않고 있다. 본 논문은 전형적인 전수탐색법인 분기한정법의 지수시간 수행 복잡도를 다항시간 복잡도로 단순화시키는 방법으로 나눗셈 분기한정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레벨을 8로 한정시키고, 501/60의 몫 레벨로점프하고 역추적으로 이전 단계에서의 가능한 점수 조합만을 탐색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으로 찾은9회의 퍼펙트게임의 가능한 점수 조합은 90개(101개 경우)를 얻었다.
랜덤형 2차원 할당문제의 최소 거리-최대 물동량 점진적 증대 매칭 알고리즘
이상운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2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22 No.3
2차원 할당 문제는 다항시간 알고리즘이 알려지지 않은 NP-완전 문제이다. 본 논문은 위치간 거리가 일정하지 않은 랜덤형 2차원 할당 문제의 최적 해를 O(n2) 수행 복잡도로 찾을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위치 행렬 L에서의 최소 거리 합 위치 li와 시설 행렬 F에서의 최대 물동량 시설 fj를 M={(li,fj)}으로 매치키시고, M을 기준으로 최소 거리 합 li와 시설 행렬 F에서의 최대 물동량 시설 fj의 매칭 쌍 (li,fj)을 점진적으로 증대시키는 전략을 수행하고, 위치별 거리와 시설별 물동량 상관관계를 최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시설들을 교환하는 전략을 적용하였다. 실험 데이터에 적용한 결과, 제안 알고리즘은 O(n2) 의 다항시간 알고리즘임에도 불구하고 메타휴리스틱 방법의 일종인 유전자 알고리즘의 해를 개선할 수 있었다.
양방향 군집 알고리즘을 적용한 교차혼합 U자형 조립라인 균형문제
이상운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2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22 No.2
This paper suggests heuristic algorithm for single-model cross-over assembly line balancing problem that is a kind of NP-hard problem. The assembly line balance problem is mainly applied with metaheuristic methods, and no algorithm has been proposed to find the exact solution of polynomial time, making it very difficult to apply in practice. The proposed bi-directional clustering algorithm computes the minimum number of worker ∗ ⌈⌉and goal cycle time ∗ ⌈∗ ⌉ from the given total assembling time and cycle time . Then we assign each workstation ⋯ ∗ to ∗ ± ≤ using bi-directional clustering method. For 7 experimental data, this bi-directional clustering algorithm same performance as other methods. 본 논문은 NP-난제로 알려진 단일모델 교차혼합 조립라인 균형문제에 대해 휴리스틱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조립라인 균형문제는 주로 메타휴리스틱 방법들을 적용하고 있는 추세로 다항시간의 정확한 해를 찾는 알고리즘이 제안되지 않고 있어 실무에 적용하기가 매우 어렵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주어진 총 조립시간 와 순환시간 에 대해∗ ⌈⌉의 최소 작업자수와 ∗ ⌈∗ ⌉의 목표 순환시간을 구하고, ⋯ ∗ 개의 작업대에 ∗ ± ≤ 가 되도록 양방향의 공정들을 배정하는 양방향 군집방법을 적용하였다. 7개의 다양한 실험 데이터에 적용한 결과 제안된 양방향 군집 알고리즘은 타 방법들과 동일한 성능을 보였다.
이상운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2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22 No.2
This paper presents a subset sum problem (SSP) algorithm which takes the time complexity of log. The SSP can be classified into either super-increasing sequence or random sequence depending on the element of Set . Additive algorithm that runs in log has already been proposed to and utilized for the super-increasing sequence SSP, but exhaustive Brute-Force method with time complexity of remains as the only viable algorithm for the random sequence SSP, which is thus considered NP-complete. The proposed subtractive algorithm basically selects a subset comprised of values lower than target value , then sets the subset sum less the target value as the Residual r, only to remove from the maximum value among those lower than . When tested on various super-increasing and random sequence SSPs, the algorithm has obtained optimal solutions running less than the cardinality of . It can therefore be used as a general algorithm for the SSP. 본 논문은 부분집합 합 문제의 해를 수행 복잡도 log으로 얻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SSP는 집합 의원소가 초증가수열과 랜덤수열로 구성된 경우로 구분된다. 초증가수열 SSP의 해를 구하는 알고리즘은 수행 복잡도 log의 가산 알고리즘 (Additive Algorithm)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랜덤수열 SSP의 해를 구하는 알고리즘은 의 가능한 모든 경우수를 확인하는 Brute-Force 방법으로 수행 복잡도는 만이 알려져 있다. 결국, SSP는NP-완전 (NP-Complete) 문제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은 초증가수열과 랜덤수열 SSP에 대해 수행 복잡도 log으로 해를 구하는 감산 알고리즘 을 제안하였다. 기존 개념은 목표 값 보다 작은 값으로 구성된 부분집합 에 대해 부분집합의 합에서 목표값을 뺀 값을 잉여량 (Residual, r)으로 하여 잉여량 보다 작은 값들 중 최대 값을 에서 제거하는방법을 적용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다양한 초증가수열과 랜덤수열 SSP에 적용한 결과 의 원소 개수보다 적은 수행횟수로 해를 빠르게 얻는데 성공하였다. 결국, 제안된 알고리즘은 SSP의 해를 얻는 일반적인 알고리즘으로 적용할 수있을 것이다.
이상운,Lee, SangWoon 한국ITS학회 2020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9 No.5
In this paper, Korea's standardization capacity in the ITS field was examined, and the status of participation in ITS standardization and services of ASEAN countries, and the degree of hope for cooperation with Korea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Korea is recognized for its international competency in the field of ITS standardization, and most ASEAN countries, excluding Singapore, are found to have insufficient participation in ITS standardization and service introduction. In addition, most ASEAN countries are strongly hoping for ITS standardization cooperation with Korea, and the preliminary establishment of the ITS system architecture as the basis for ITS standardization was derived as a project of hope for cooperation. In addition, as a service field for introducing standardization, Freight transport was suggested as a priority application service field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logistics transportation between ASEAN countries.
이상운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2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22 No.4
This paper proposed a linear time algorithm for a three-partition problem(TPP) in which a polynomial time algorithm is not known as NP-complete. This paper proposes a backtracking method that improves the problems of not being able to obtain a solution of the MM method using the sum of max-min values and third numbers, which are known polynomial algorithms in the past. In addition, the problem of MM applying the backtracking method was improved. The proposed algorithm partition the descending ordered set into three and assigned to the forward, backward, and best-fit allocation method with maximum margin, and found an optimal solution for 50.00%, which is 5 out of 10 data in initial allocation phase. The remaining five data also showed performance to find the optimal solution by exchanging numbers between surplus boxes and shortage boxes at least once and up to seven times. The proposed algorithm that performs simple allocation and exchange optimization with less linear time performance complexity than the three-partition of data, and it was shown that there could be a polynomial time algorithm in which TPP is a P-problem, not NP-complete. 본 논문은 NP-완전으로 다항시간 알고리즘이 알려져 있지 않은 3-분할 문제(TPP)에 대한 선형시간 알고리즘을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기존에 알려진 다항시간 알고리즘인 최대-최소치와 제3의 숫자 합을 이용하는 MM법이 갖고있는 해를 구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개선한 역추적 법을 제안하였으며, 또한 역추적 법을 적용한 MM의 문제점도 개선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내림차순 정렬된 집합을 3-분할하여 순방향, 역방향과 최대 여유량 순서인 최적합 배정 법으로 배정한 결과 10개 데이터 중 5개 데이터인 50.00%에 대해서는 최적 해를 찾을 수 있었다. 나머지 5개 데이터에대해서도 최소 1회, 최대 7회의 잉여 상자와 부족 상자 간 숫자 교환으로 최적 해를 찾을 수 있는 성능을 보였다. 제안된알고리즘은 개 데이터를 3-분할한 보다도 적은 의 선형시간 수행 복잡도로 단순 배정과 교환 최적화를수행하는 알고리즘으로 TPP가 NP-완전이 아닌 P-문제인 다항시간 알고리즘이 존재할 수 있음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