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의 경제적 수준과 사회적 지지 -도시와 농촌 비교를 중심으로

        이상붕(Sang-boong, Lee)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9 OUGHTOPIA Vol.3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와 농촌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경제적 수준이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여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 자료는 「한국인의 사회적 삶, 건강과 노화에 대한 조사(KSHAP; Korean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이며, 연구대상은 서울시 K구(2017년 조사)와 B군의 D면(2015년 조사) 자료이고, 연구 대상자는 각각 400명, 514명이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사회인구학적 분석에서 도시 노인과 농촌 노인 사이의 주관적 경제수준 차이보다는 객관적 경제수준에서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둘째, 전체 노인의 사회적 지지는 ‘배우자>가족/친척>친구/이웃’의 모습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경제적 수준이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농촌 노인의 경우, 경제 수준과는 별개로 배우자 및 가족/친척으로 부터 질적·정서적 측면의 사회적 지지를 받을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정책적으로 노인의 삶의 질과 사회적 지지의 향상할 수 있는 부부 및 가족 상담프로그램, 통합형 건강관리프로그램, 경로당이나 복지관과 같은 지역사회 커뮤니티, 사회공헌형 일자리 사업 등이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policy implication by analyzing the effect of economic status on social support for elderly people living in urban and rural areas. The research data are "Korean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KSHAP)“. The research subjects are urban and rural areas and the subjects are 400 cases and 514 cases, respectively. As a result, first, in the socio-demographic analysis,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the objective economic status rather than the subjective economic status difference between the urban elderly and the rural elderly. Second, the social support of the elderly showed "spouse > family/relative > friend/neighbor". Finally,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economic level on social support showed that the rural elderly are more likely to receive qualitative and emotional social support from their spouse and family/relatives apart from the economic level. In terms of policy, it is necessary to activate marital and family counseling programs, integrated health management programs, local communities such as senior citizen centers or social welfare centers, and job projects of social contribution typ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social support of elderly people.

      • KCI등재

        부의 불평등 시각에서 바라본 연령 집단의 경제 불평등

        이상붕(Sangboong Lee)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0 현상과 인식 Vol.3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연령 집단 차원에서의 경제 불평등을 소득과 더불어 부(net worth)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보다 깊이 있게 외환 위기 이후의 연령 집단에 따른 경제 불평등 양태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첫째, 일반화된 엔트로피 GE(1) 지수를 통해 본 경제 불평등은 소득 보다는 부에 의한 불평등이 약 5배정도 크며, 연령 집단 간 불평등보다는 연령 집단 내 불평등이 크다. 또한 8년간의 불평등 확대는 연령 집단 내 불평등 보다는 연령 집단 간 불평등이 더 크며, 8년 간의 불평등 확대는 소득 불평등 보다는 부의 불평등이 더 크다. 둘째, 순자산 원천 Gini 계수는 비금융 자산의 Gini 계수가 가장 크고, 근로 소득의 Gini 계수가 가장 작다. 금융 자산과 부채는 비슷한 수준의 Gini 계수를 보인다. 순자산과 순자산 원천의 상관 관계에서는 비금융 자산, 금융 자산, 근로 소득은 정적 상관이고 부채는 부적 상관이며, 상관계수의 절대량에서는 비금융자산 > 금융 자산 > 부채 > 근로 소득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부의 구성요소에 따른 절대 기여도가 수렴하는 모습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잠재성장모델의 결과를 살펴보면 순자산의 경우 초기치의 평균과 분산은 각각 30대와 60대가 높지만, 변화율의 평균과 분산은 모두 50대에서 높다. 소득의 경우 초기치의 평균과 분산은 모두 40대에서 높지만, 변화율의 평균과 분산은 각각 40대와 50대에서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conomical inequality with the aspect of the net worth along with the income on the basis of age cohort, particularly in regards to economic inequality after the recent financial crisis. The analysis showed that, First, economical inequality looked through the generalized entropy GE(1) index, inequality by the net worth is five times greater than that is by the income. And for age group, inequality within-group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is between-groups. Also, during the 8 years of inequality expansion period,greater inequality was found between-groups rather than within-group and the inequality of the net worth was greater than the income inequality. Second, the source of net worth Gini coefficient showed that nonfinancial asset has the highest coefficient while earned income coefficient marked the lowest. Financial asset and liability showed similar coefficient. In correlation between the net worth and source of the net worth, nonfinancial assets, financial assets, and earned income indicates the positive correlation while liabilities indicates the negative correlation. The absolute amount of correlation coefficient turned out to be in following orders, non-financial asset>financial asset>liability>earned income. As the age rises, convergence of absolute level of contribution has been found according to factors of the net worth. Finally, by examining the growth latent model result, mean and variance of level of initial value for net worth is high for age groups of 30 and 60 respectively, but the high rate of change for both means of variance can be found in age group of 50. For earned income, initial means and variation is high in age 40 group, but the means and variance of rate of change turned up to be high in age 40 and 50 group, respectively.

      • KCI등재

        노인가구단위의 이전소득에 따른 빈곤완화분석

        이상붕(Lee, Sang Boong)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사회과학연구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미국, 영국을 대상으로 가구빈곤율을 통해 노인빈곤율을 측정하여 빈곤 완화의 효과성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가구의 소득 중에서 노인 가구의 소득이 차지하는 비율은 근로소득이 3-8%인 반면에, 총소득에서의 점유율은 7-19%로서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빈곤완화효과에서 우리나라는 2009년 기준으로 노인 가구 단위 근로소득의 상대빈곤율은 43.61%로 미국이나 영국에 비해서 매우 낮은 수준이다. 노인 가구의 근로소득 대비 총소득의 상대빈곤율 완화는 미국과 영국이 46.73%p와 54.99%p인 반면에, 우리나라는 10%p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노인빈곤율을 완화하는 방안과 빈곤율 자체에 대한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노인 가구의 빈곤 완화 방향을 미국 및 영국의 경우에서 찾는다면, 공적이전소득으로도 일정 수준의 노후생활이 가능하게 하는 수준에 도달하는 것이다. 둘째, 노인빈곤율에만 집중하여 분석하거나 빈곤율에 집착하여 현상을 해석하기 보다는 전체 집단에 대한 균등한 기회, 공정한 시장에의 개입, 사회안전망의 효과성 등의 차원에서 바라보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verty alleviation effect on elderly household in Korea, US, and the UK. The result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income of total households, while the share of income of the elderly households earned income is 3-8%, its share in gross income were higher as 7-19% Second, Korea is lower than US and the UK with regard to the relative poverty rate on labor income of the elderly household. Moreover Korea is smaller than two nations in the poverty alleviation effect on gross income compared to labor incom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he way to alleviate relative poverty rate on elderly people and to interpret that index. The policy implication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ublic transfer income can reach a level that enables a certain level of life after retirement as US and the UK. Second,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equal opportunity for the entire population, fair intervention in the market,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social safety net rather than analysis focused on the elderly poverty rate.

      • KCI등재

        소득 불평등의 국제 비교와 한국의 제도 개선에 대한 시사점

        이상붕(SangBoong Lee),한준(Joon Han)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2 현상과 인식 Vol.36 No.4

        This article intends to analyze the income inequality among the 12 OECD countries, focusing on production regime and social policy, particularly from the Varieties of Capitalism perspective. Since the recent financial crisis, Korea’s economic inequality has condensed and expanded. The worsened income inequality since the financial crisis can be explained by the effects of globalization from the outside and restructuring process of social-economic system based on the neo-liberalism from the inside. There is volatility in the index of social policy and production regime after the financial crisis. Despite increasing welfare expenditure and social safety-net resulted from the base effect, there is no warrant of the effectiveness in social policies. This is because quantitative approach of the government in the welfare budgeting, rebuilding social safety-net, and legislation rather than applicability and effectiveness of social policies.

      • KCI등재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ADL/IADL)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도시와 농촌 비교를 중심으로

        이상붕(Sang-Boong Lee),허남욱(Nam-Wook Hur)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와 농촌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영향을 주는 사회인구학적 요인의 차별성과 영향력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자료는 패널 자료인 「한국인의 사회적 삶, 건강과 노화에 대한 조사」이며, 분석 대상은 도시 노인 400명(서울시 K구: 2017년 4월부터 2017년 6월까지 조사), 농촌 노인 524명(경기도 B면: 2015년 12월부터 2016년 2월까지 조사)이다. 연구방법은 기술 통계 분석, 교차 분석을 통한 카이제곱검정, 상관 분석, 로짓 분석을 실시한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ADL/IADL의 ‘완전 자립’의 비율은 ‘ADL(도시) > ADL(농촌) > IADL(도시) > IADL(농촌)’의 모습을 보인다. 둘째, 농촌에 거주하는 노인이 도시 노인에 비교하여 낮은 ADL 수준을 경험할 확률은 7.1배, 낮은 IADL 수준을 경험할 확률은 3.25배 높다. 마지막으로, 도시 노인의 ADL 수준에 영향을 통계적 유의미한 변수는 우울감이고, IADL 수준은 성별, 연령, 경제활동유무, 배우자 유무, 우울감이다. 농촌 노인의 ADL 수준은 연령과 경제활동유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이며, IADL 수준은 성별, 연령, 경제활동유무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tiation and influence of socio-demographic factors that affect the daily living ability of the elderly living in urban and rural areas. The research data is 「Korean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 The analysis target was 400 urban elderly people (K-gu, Seoul: surveyed Apr. ~ Jun. 2017) and 524 rural elderly people (B-myeon, Gyeonggi-do: surveyed Dec. 2015 ~ Feb. 2016). The research method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hi-square test through cross-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logit analysis.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ratio of ‘complete independence’ in ADL/IADL was ‘ADL(city)> ADL(rural)> IADL(city)> IADL(rural)’. Second, the probability that the elderly living in rural areas will experience a lower ADL level and lower IADL level was 7.1 times and 3.25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urban elderly. Lastly,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 affecting the ADL level of urban elderly was depression, and the IADL level was gender, age, economic activity, spouse presence, and depression. Age and economic activ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for the ADL level of the rural elderly, and the IADL level was gender, age, and economic activity.

      • KCI등재

        경제 불평등 구조 분석

        이상붕(Lee Sangboong) 한국사회학회 2011 韓國社會學 Vol.4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외환위기 이후 전개된 계급(class), 지역(region) 및 연령 집단(age cohort) 차원에서, 세 가지 변수의 상호작용의 결과 부(net worth)와 소득의 증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분석함으로써 부와 소득 불평등 구조 형태를 분석하는 것이다. 차감순자산이 차감소득보다 더 큰 경제적 불평등 기제로 작동할 수 있으며, 차감순자산은 계급, 지역, 연령집단 중에서 계급의 위치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이러한 계급은 연령대의 위치와 결합함으로써 차감순자산을 결정짓는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결국, 외환위기 이후 전개된 경제 불평등은 소득 보다는 부에 의해 큰 영향을 받았으며, 이러한 경제 불평등의 구조는 계급, 지역, 연령집단 차원에서 각 집단별로 차별성을 보이면서 경제적 가치의 응축과 불평등 확대가 진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intends to analyze the structure of Korean economic inequality, focusing on the class, region, and age cohort in the wealth and income inequality perspectives, particularly in regards to economic inequality after the recent financial crisis. According to the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by means of a dummy variable, the research confirmed that the balanced net worth, which is calculated by deducting the previous year’s net worth from the base year’s net worth, can create a more serious economic inequality problem than the balanced net income, which is calculated by deducting the previous year’s income from the base year’s net income. In addition, the balanced net worth can be influenced mostly by the class level among other factors, such as class, region, and age cohort; this class associated with the age level can work as one of the major factors that determine the balanced net worth. In the end, since the financial crisis, the economic inequality has been heavily influenced by net worth rather than income. The development of wealth inequality further indicates differences among class, region, and age cohort levels, and confirms the process of condensation in economic value and the expansion of inequality.

      • KCI등재

        잣나무 생장특성의 광의의 (廣義) 유전력과 수형목 (秀型木) 클론선발에 의한 개량효과

        한상억,최선기,권혁민,이상붕 ( Sang Urk Han,Sun Ki Choi,Hyuk Min Kwon,Sang Boong Lee ) 한국산림과학회 1985 한국산림과학회지 Vol.69 No.1

        Growth characters such as height, DBH, crown width, branch length and branch diameter were measured from 23 clones of plus trees of Pinus koraien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Differences between the largest and smallest clones were amounted to 41% in height, 81% in DBH, 50% in crown width, 55% in branch length and 83% in branch diameter.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lones in every growth characters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growth characters were positive and significant (r = 0.418^*-0.917^(**)). 3) The broad sense heritabilities were 0.46 for height, 0.45 for DBH, 0.28 for crown width, 0.26 for branch length and 0.18 for branch diameter. 4) The genetic gains predicted for each characters were ranged from 4.1% to 11.1%, when selecting the best 3 out of 23 clo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