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랫트에 있어서 절수, 절식 및 절수 절식이 혈액학 및 혈액생화학적 PARAMETERS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상섭,송창우,이치호 한국독성학회 1991 Toxicological Research Vol.7 No.1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on-watering, fasting and non-watering fasting for 16-17 hrs on haematological and biochemical parameters in SD rats. 1. Liver weight was decreased in the order of in the fasting group, non-watering fasting group and non-watering group in both sexes. 2. In fasting group and non-watering fasting group, haematologic parameters of male (HGB and MCH) and femal (MCHC) were trends to decrease compared with normal feeding & watering group. 3. In the differential leucocyte coun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with noraml feeding % watering group.

      • KCI등재후보
      • PSA공정에 의한 프로필렌/프로판 분리

        한상섭,범희태,고창현,박종호,조순행,김종남,심규송,최선 한국화학공학회 2007 화학공학의이론과응용 Vol.10 No.1

        현재 나프타분해공장에서 프로필렌을 분리생산하기 위해 220단∼260단의 증류탑을 이용하기 때문에 석유화학 분야에서 대표적인 에너지 다소비 공정일 뿐만 아니라 투자비가 많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필렌 선택성 흡착제를 직접 제조한 후, 이 흡착제가 충진된 PSA장치를 사용하여 프로필렌과 프로판 성분의 분리성능을 살펴보았다. PSA장치는 2.5cm(ID)x100cm(L)의 제원을 가지는 3개의 흡착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흡착탑의 온도조절을 위하여 흡착탑 외부에 heating jacket을 설치하였다. 3개의 흡착탑에는 프로필렌 선택성 은화합물 흡착제를 충진하였다. 그리고 나프타분해공정을 거치고 메틸아세틸렌(MA)과 프로파다이엔(PD) 제거단계를 거친 가스를 대상원료(에탄 25ppmv, 프로필렌 94.8vol%, 프로판 4.8vol.%, MAPD & C4``s 100ppmv, C6+ 0.40vol.%)로 하였다. 프로필렌 분리를 위해 흡착단계-린스단계-탈착/제품생산단계-축압단계로 공정을 구성하였고, 가열자켓을 사용하여 흡착탑 온도를 70℃로 조절한후 공정실험을 수행하였다. 흡착압력을 900mmHg, 최저탈착압력을 45mmHg로 하면서 원료유량을 2000sccm으로 하였을때 프로필렌 제품을 99.8 vol.% 이상의 순도로 얻을 수 있었고, 이때 프로필렌 회수율은 83% 이었다.

      • 수목 · 생태 · 에너지분야 : 잣나무림과 물참나무림에 있어서 Litter fall , 녹엽의 (綠葉) 분해 및 양분동태 (養分動態)

        한상섭,허성두 한국임학회 1988 한국임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Vol.1988 No.-

        32年生 잣나무造林地, 58年生 잣나무 造林地 그리고 萌芽에 의하여 更新된 33∼37年生 물참나무林의 litter fall의 量과 養分供給量, 그리고 綠葉의 分解에 따른 養分動態를 12개월간 調査하여 分析한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年間 litter fall量은 32年生 잣나무林, 58年生 잣나무林 그리고 33∼37年生 물참나무林에서 각각 4.23, 3.22 ton/ha/yr이었다. 2. Litter fall은 9∼10月에 가장 많이 落下하였으며, 年間 litter fall 중 葉이 잣나무林에서 81∼85%, 물참나무에서 73%를 차지하였다. 3. 年間 litter fall에 의하여 1ha의 林地로 供給되는 養分量은 잣나무林에서 C 1.9∼2.3 ton, N 30∼37kg, P 2.2∼2.5kg, K 6.0∼6.2kg, Ca 23∼25kg, M 5.1∼5.6kg이었으며, 물참나무林에서는 C 1.4ton, N 31kg, P 0.9kg, K 6.7kg, Ca 21kg, Mg 5.0kg이었다. 4. litter bag에 의한 綠葉의 分解은 12개월 후 잣나무綠葉이 최초 무게의 64∼68%, 물참나무綠葉이 32%로 감소했다. 5. 綠葉의 分解에 따른 養分이 殘存率은 12개월후 C·N·P·K·Ca·Mg 등 모든 養分에 있어 잣나무綠葉이 물참나무綠葉보다 현저히 높았다.

      • SCIEKCI등재
      • KCI등재

        잣나무엽의 초기 분해과정에 있어서 무기태 질소 및 CO2 방출속도의 변화

        한상섭,이명종,김정제 한국임학회 1985 한국산림과학회지 Vol.69 No.1

        Forest soils mixed with organic matters (green needle, flesh needle litter and needle litter in F layer of Pinus koraiensis, and green leaf of Quercus dentata and Q. variabilis) were incubated under a constanl: 30℃ (±1) for 53 days to measure the changes of inorganic nitrogen and CO₂ evolution rate.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1) In the early incubation period the amounts of total inorganic nitrogen in soils by mixture of organic matters decreased rapidly because of immobilization by microbial uptake, and thereafter their amounts increased with further incubation, 2) The rate of immobilization of organic nitrogen in mixed organic matters was the highest in green needle among green needle, flesh needle litter and needle litter in F layer of P. koraiensis, but lower than that of green leaf of Q. variabilis and Q. dentata. 3) The rates of CO₂ evolution from soils mixed with organic matters increased sharply in the early time, and then decreased slowly with increasing time. The order of the CO₂ evolution rate was green leaf of Q. variabilis $gt; green leaf of Q. dentata $gt; green needle of P. koraiensis $gt; flesh needle litter of P. koraiensis $gt; needle litter of P. koraiensis in F layer from the largest to the least. 4) Nitrate nitrogen concentrations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throughout incubation time, so that their concentrations after 53 days were higher than that of ammonium nitrogen.

      • KCI등재

        수목(樹木)의 수분특성(水分特性)에 관(關)한 생리(生理)·생태학적(生態學的) 해석(解析)(VII) - Heat pulse법(法)에 의한 낙엽송임분(林分)의 수액류속(樹液流速) 계측(計測) -

        한상섭,김선희,Han, Sang Sup,Kim, Sun Hee 한국산림과학회 1993 한국산림과학회지 Vol.82 No.2

        본(本) 연구(硏究)는 heat pulse법(法)을 이용하여 낙엽송 임분(林分)의 증산량(蒸散量)을 알기 위한 기초 연구로써, 일사량(日射量), 온도(溫度), 습도(濕度) 등의 변화에 따른 heat pulse 속도(速度)의 일변화와 계절변화, 방위별 heat pulse 속도(速度)의 차이, 변재부(邊材部)에 있어서 깊이별 heat pulse 속도(速度)의 차이, 우세목(優勢木), 준우세목(準優勢木), 열세목(劣勢木)의 heat pulse 속도(速度)의 차이, 엽(葉)의 수분(水分)포텐셜과 heat pulse 속도(速度)와의 관계, 줄기에 있어 수분상승의 방향, heat pulse법(法)으로 추산한 임분(林分)의 증산량(蒸散量)등에 대하여 측정 고찰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연 다음과 같다. 1 낙엽송의 heat pulse 속도(速度)(V)와 수액유속(樹液流速)(SFR)과의 관계는 SFR=1.37V($r=0.96^{**}$)의 식으로 나타냈다. 2. 우세목(優勢木), 준우세목(準優勢木), 열세목(劣勢木)의 heat pulse 속도(速度)를 비교하면, 수액유속(樹液流速)은 우세목(優勢木)이 가장 높고, 준우세목(準優勢木), 열세목(劣勢木) 순위였다. Heat pulse 속도(速度)는 일사량(日射量), 온도(溫度), 대기포차(大氣飽差) 등의 크기에 따라 심한 변화(變化)를 나타냈다. 3. 입목(立木) 개체간(個體間)의 heat pulse 속도(速度)의 차이는 이른 아침과 밤에는 거의 없으나, 일사량(日射量)이 높은 12시부터 16시 사이에는 약간의 차이를 나타냈다. 4. Heat pulse 속도(速度)와 수분(水分)포텐셜은 거의 비슷한 일변화 경향을 나타냈다. 5. Heat pulse 속도(速度)의 계절변화는 8월에 가장 높았고, 10월이 가장 낮았다. 그리고 6, 7, 9월의 heat pulse 속도(速度)는 거의 비슷한 값을 나타냈다. 6. 줄기에 있어 방위별 heat pulse 속도(速度)는 동측이 가장 높았고, 서측과 북측은 비슷한 속도를 나타냈으며, 남측의 속도가 가장 낮았다. 7. 변재부(邊材部)에 있어서 깊이별 heat pulse 속도(速度)의 차이는 수피(樹皮)로부터 2cm 깊이에서 가장 높고, 다음이 1cm 깊이, 그리고 3cm 깊이에서 가장 낮았다. 8. 줄기에 있어 수분이동방향(水分移動方向)은 5본 모두 오른쪽 나선상승(螺旋上昇)(spiral ascent turning right)을 나타내고 있었다. 특히 지상의 3m까지는 매우 느린 회선(回旋)을 나타내다가 그 이상의 수고(樹高)에서는 매우 빠른 회선(回旋)으로 상승됨을 알 수 있었다. 9. 수액유량(樹液流量)(SF)은 SF=1.37AV 식(式)으로 나타났고, 이 식으로 구한 수액유량(樹液流量)은 우세목(優勢木)이 준우세목(準優勢木)과 열세목(劣勢木)보다 현저히 높았다. 10. 1ha의 임분(林分)에 대한 1일의 증산량(蒸散量)의 구성비율(構成比率)은 낮이 83%, 밤이 17%였고, 증산량(蒸散量)은 약 30.8ton/ha/day이었다. 11. 1ha의 월별(月別) 증산량(蒸散量)은 8월이 1,194ton/ha/month로 가장 많았고, 5월이 386ton/ha/month로 가장 낮았다. 또 1ha의 연간(年間) 증산량(蒸散量)은 3,983ton/ha/yr이었다. This is the basic study in order to know the amount of transpirational water loss in a Larix leptorepis stand by a heat pulse method. Especially this study has been measured and discussed the diurnal and seasonal trends of heat pulse velocity by changes of radiation, temperature and humidity, differences of heat pulse velocity by direction and depth in stem, differences of heat pulse velocity by dominant, codominant and suppressed trees, diurnal change of heat pulse velocity by change of leaf water potential, sap flow path way in sapwood by dye penetration and amount of daily and annual transpiration in a tree and stand. The results obtained as follows : 1. Relation between heat pulse velocity(V) and sap flow rate(SFR) was established as a equation of SFR=1.37V($r=0.96^{**}$). 2. The sap flow rate presented in the order of dominant, codominant and suppressed tree, respectively. The daily heat pulse velocity was changed by radiation, temperature and vapor pressure deficit. 3. The heat pulse velocity in individual trees did not differ in early morning and in late night, but had some differed from 12 to 16 hours when radiation was relatively high. 4. The heat pulse velocity and leaf water potential showed similar diurnal variation. 5. The seasonal variation of heat pulse velocity was highest in August, but lowest in October and similar value of heat pulse velocity in the other months. 6. The heat pulse velocity in stem by direction was highest in eastern, but lowest in southern and similar velocity in western and northern. 7. The difference of heat pulse velocity in according to depths was highest in 2.0cm depth, medium in 1.0cm depth, and lowest in 3.0cm depth from surface of stem. 8. The sap flow path way in stem showed spiral ascent turning right pattern in five sample trees, especially showed little spiral ascent turning right in lower part than 3m hight above ground, but very speedy in higher than 3m hight. 9. The amount of sap flow(SF) was presented as a equation of SF=1.37AV and especially SF in dominant tree was larger than in codominant or suppressed tree. 10. The amount of daily transpiration was 30.8ton/ha/day and its composition ratio was 83% at day and 17% at night. 11. The amount of stand transpiration per month was largest in August(1,194ton/ha/month), lowest in May (386ton/ha/month). The amount of stand transpiration per year was 3,983ton/ha/year.

      • KCI등재

        수목(樹木)의 수분특성(水分特性)에 관한 생리(生理)·생태학적(生態學的) 해석(解析(IV) - 몇 종(種)의 침엽수(針葉樹)에 있어서 Leaf Conductance와 Water Potential, 상대함수율(相對含水率), 팽압(膨壓)과의 관계(關係) -

        한상섭,전두식,Han, Sang Sup,Jeon, Doo Sik 한국산림과학회 1984 한국산림과학회지 Vol.63 No.1

        본연구(本硏究)는 몇 종(種)의 침엽수(針葉樹)의 지엽(枝葉)에 있어서 P-V 곡선법(曲線法)에 의해 얻은 수분특성인자(水分特性因子)와 기공폐쇄작용(氣孔閉?作用)과의 관계(關係)를 측정고찰(測定考察)한 것으로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P-V 곡선법(曲線法)에 의해 구(求)한 초기원형질리점(初期原形質離點)의 water potential 값과 완전기공폐쇄점(完全氣孔閉?點)의 water potential 값은 거의 일치(一致)하였다. 2) 완전기공폐쇄점(完全氣孔閉?)는 잣나무 -21 bar(음엽(陰葉) -17 bar), 리기다 -20 bar, 소나무 -22 bar, 일본잎갈나무 -24 bar 전후(前後)에서 일어났다. 상대함수율(相對含水率)로 나타내면 잣나무 85%(음엽(陰葉) 82%), 리기다 77%, 소나무 85%, 일본잎갈나무 70% 전후(前後)에서 완전기공폐쇄(完全氣孔閉?)가 일어났다. 3. 초기기공폐쇄(初期氣孔閉?)는 잣나무 -14 bar(음엽(陰葉) -12 bar), 리기다 -10 bar, 소나무 -15 bar, 일본잎갈나무 -6 bar 전후(前後)에서 일어났다. 상대함수율(相對含水率)로 나타내면 잣나무 90%, 리기다 93%, 소나무 90% 일본잎갈나무 93% 전후(前後)에서 초기기공폐쇄(初期氣孔閉?)가 일어났다. 4. leaf conductance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팽압(膨壓)은 증가(增加)하며, 상대함수율(相對含水率)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팽압(膨壓)은 직선적(直線的)으로 증가(增加)하였다.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relation between the water relations parameters obtained from P-V curves and stomatal closure.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water potential at incipient plasmolysis obtained from P-V curves was similar to the water potential at critical stomatal closure. 2) The critical stomatal closure of sun leaves appear at -21 bar (-17 bar, shade leaves) in Pinus koraiensis, -20 bar in Pinus rigida, -22 bar in Pinus densiflora, and -24 bar in Larix leptolepis. On a relative water content basis, the critical stomatal closures of sun leaves appear at 85% (82%, shade leaves) in Pinus kordiensis, 77% in Pinus ragida, 85% in Pinus densiflora, and 70% in Larix leptolepis. 3) The incipient stomatal closures of sun leaves appear at -14 bar (-12 bar, shade leaves) in Pinus koraiensis, -10 bar in Pinus rigida, -15 bar in Pinus densiflora, and -6 bar in Larix leptolepis. On a relative water content basis, the incipient stomatal closures of sun leaves appear at 90% in Pinus koraiensis, 93% in Pinus rigida, 90% in Pinus densiflora, and 93% in Larix leptolepis. 4) The leaf conductance was increased by increase in volume-averaged turgor pressure was linearly increased by increase in relative water content.

      • 조림 (造林) · 육종분야 (育種分野) : 몇종의 침엽수에 있어서 leaf conductance 와 water potential , 상대함수율 , 팽압과의 (膨壓) 관계 및 xylem conductivity

        한상섭,전두식 한국임학회 1984 한국임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Vol.1984 No.-

        몇種의 針葉樹 枝葉에 있어서 P-V 曲線法에 의해 얻은 水分特性因子와 氣孔閉鎖作用과의 關係 및 xylem conductivity를 測定 報告한다. 1) P-V 曲線法에 의해 얻은 初期原形質分離點의 water potential과 完全 氣孔閉鎖點의 water potential 값은 거의 一致했다. 2) 完全氣孔閉鎖는 잣나무 -21bar(陰葉 -17bar), 리기다 -20bar, 소나무 -22bar, 일본잎갈나무 -22bar 前後에서 일어났다. 相對含水率로는 잣나무 85%(陰葉 82%), 리기다 85%, 소나무 77%, 일본잎갈나무 70% 前後에서 完全氣孔閉鎖가 일어났다. 3) leaf conductance가 增加함에 따라 膨壓은 增加하며, 또 相對含水率이 增加함에 따라 膨壓은 直線的으로 增加했다. 4) 枝의 xylem conductivity는 일본잎갈나무에서 가장 큰 값을 나타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