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의 만남과 이별, 그 중층성(重層性)의 의미

        이강엽 ( Kanh Yeop Lee ) 한민족문화학회 2015 한민족문화연구 Vol.49 No.-

        이 논문은 <李生窺墻傳>이 만남과 이별이 세 차례 지속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그 중층성이 갖는 문학적 의미에 대해 탐구했다. 첫째, ‘만남이별’ 의 단계적 변화와 그 의미에 대해 살폈다. 먼저, 제1 차 만남이별에서는 그 만남이 등장인물의 기질에 따라 비대칭성을 이루 며 진행되었다. 소심한 남자와 대범한 여자, 열정에 그친 남자와 거기에 더하여 결심/헌신으로 나아가는 여자가 만나, 서로의 간극을 좁히는 데는 실패하고 마는 대목이다. 다음으로, 두 번째 만남과 이별에서는 개인의 기 질을 넘어 그들의 생장 환경에 따라 만들어진 성격이 문제가 되는데, 특히 가문과 가문의 문제가 드러나면서, 富貴榮華를 누려온 최랑 집안과 한미 한 이생 집안이 지향점을 달리하면서 긴장이 조성되었다. 마침내 전란을 만나 국가간의 문제로 확대되면서 파국을 맞는데, 이생이 절의를 위해 목 숨을 버림으로써 종적을 감춘 이생과의 어긋남이 더욱 극심해졌다. 끝으 로, 세 번째 만남과 이별은 앞의 두 차례 만남과 이별에서 보여준 등장인 물의 행보가 뒤바뀌는 양상이다. 혼령으로 다시 나타난 최랑이 이별을 고 하자 이생이 막고 나서는 형국이 되어 그간의 비대칭성을 깨고 대칭적인 사랑을 일구어낸다.둘째, 중층성과 소설에서의 긴장에 대해 살폈다. <李生窺墻傳>에서 ‘만남이별’ 은 다양한 층위에서 만남과 이별이 이루어지면서 맨 아래층 부터 위층으로 차곡차곡 포개나감으로써 독특한 서사 구조물이 완성되어 나갔다. 또, 소설에서 한 사건이 서로 다른 방향을 지향하면서 서로 맞설 때 긴장이 이루어지는데, 중층성과 어우러져 소설적 응집력과 완결성이 커졌다. 이를 통해 볼 때, <李生窺墻傳>은 최랑의 입장에서나 이생의 입 장에서 사랑의 성취라는 공동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과정으로서 자리매김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is paper did research on literary meaning of the quality of the multi-layer by observing that in <Leesaenggyujangjeon>, meeting and parting continue three times. First, this paper looked into the phased change of ``Meeting-Parting`` and its meaning. First, the first meeting-parting was in progress while forming asymmetry according to the disposition and the line of love pursued by character. The story is that a timid man and a free-hearted woman-a man who just ended up in passion and on top of that a woman, who pushes herself with determination/dedication, meet, and for some period of time, the man and woman get together as they have passion in common, but they fail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 man and woman after all. In addition, both of them come to be exposed to a situation where ``Meeting-Parting``begins from an individual and their meeting is linked to family problems. Next, in the second ``Meeting-Parting``, a problem was their personality which was made according to their growth environment beyond an individual disposition. In addition, as the problem of family is uncovered, tension was created when Choi Rang family, which has enjoyed wealth and honor, and Lee, Saeng family, which is poor with low social standing, differed from each other in their directing point. At last, as the war broke out, their problem was enlarged to the problem between countries, causing both to face debacle which was impossible to go over through the strength of an individual or family; Choi Rang``s mismatch with Lee Saeng, who disappeared by throwing away his life to the cause of fidelity, got extreme. Lastly, in the third ``Meeing-Parting`` the move shown by the two characters in previous two-time ``Meeting-Parting`` was reversed. Choi Rang who re-appeared in spirit of the dead said good-bye to Lee, Saeng, Lee Saeng flatly blocked her intention. Consequently, the man and woman broke their asymmetry all this while and managed to achieve symmetric love. In addition, with the appearance of the surrealistic world, their relations are enlarged up to even a problem of destiny. Second, this paper looked into the quality of the multi-layer and tension in the novel. ``Meeting-Parting`` in <Leesaenggyujangjeon> assumes the quality of the multi-layer means that a unique narrative structure is completed by stacking ``Meeting-Parting`` from the bottom floor to the uppermost floor neatly while ``meeting & parting`` take place on various layers. In addition, when an event is facing each other aiming for mutually different direction in a novel, there forms a tension, which is mingled with the quality of multi-layer, causing fictitious cohesiveness and completion to run high.Like this, <Leesaenggyujangjeon>is worth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the two main characters`` going toward the joint goal of achievement of love; through this paradoxically, this work comes to get established as a tragic, but romantic love story with the message that meeting can be achieved through parting.

      • KCI등재
      • KCI등재

        <혜통항룡(惠通降龍)〉의 치병(治病)과 구제(救濟)

        이강엽 ( Lee Kang-yeop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5 문학치료연구 Vol.37 No.-

        이 논문은『삼국유사』「신주(神呪)」편의 <혜통항룡〉에 나타난 질병의 퇴치 과정을 통해, 병자의 병을 치료하면서 치병자와 주변 인물, 나아가 중생을 구제하는 문제에 대해 다루었다 첫째, <혜통항룡〉의 서사구성의 상당부분이 독룡(毒龍)의 퇴치에 할애되고 있으며, 첫머리의 출가 이전의 이야기와 맨 끝에 있는 혜통의 불교사적 의미가 맞물린다. 혜통은 불필요한 살생에서 문제를 인지하고 스승을 찾아 해결책을 찾은 후 스스로 문제를 풀어나가지만, 독롱의 퇴치로 인해 더 심각한 문제를 드러냄으로써 치병을 넘어선 조치가 필요함을 일깨워준다. 둘째, <혜통항룡〉은 치병에 그치지 않고 중생을 구제하고 깨침을 얻는 데까지 나아가고 있다 우선, 세 차례의 치병(治病)이 등장하면서 단계적인 진화를 보인다. 가장 낮은 단계에서는 병을 병자의 밖으로 내모는 데에 중심을 두다가, 다음 단계에서는 병자의 삶에 관심을 두면서 병의 퇴치와 함께 삶을 반성하게 하고, 맨 마지막 단계에서는 병마로 지목되는 대상을 찾아 위무하여 원을 풀고 화합하게 한다. 다음으로, 치병 과정에서 치병자 혜통 자신도 변하고, 나아가 그의 스승 무외나 그에게 도움을 청했던 정공 또 한 변화한다. 혜통은 처음 수달의 살생에서 촉발된 문제의식을 놓치지 않고 자기 병통을 씻어내기에 이르렀다. 무외는 변방 사람을 제자로 거둘 수 없다는 자기모순을 벗어나 금세 가르침을 베풀고 밀교의 전파에 성공한다. 정공은 치병에 성공함으로써 오만함을 보였다가 해원(解寃)한다. 셋째, <혜통항룡〉은 밀교사(密敎史)에서 혜통이 차지하는 위상을 드러내 보이면서 전체 주제에 맞닿게 짜여 있다. 밀본이 치병에, 명랑이 호국에 중점을 두었다면, 혜통은 치병을 하면서도 결과적으로 호국에 연결되도록 한 인물이다. 또, 초기 밀교에서 강조하던 현세이익적인 성격을 넘어섬은 물론, 신라 지역 이외에까지 밀교의 깨침을 전해 사람을 구제하고 만물을 교화하는 이상에 근접했다. 이처럼 <혜통항룡〉에서는 치병 행위를 중생 구제와 구도의 문제로까지 확대하면서 상생(相生)과 선린(善離)의 기치를 높여주는 작품이다. This paper addresses the problems of a Healer, the people surrounding him in the course of curing patients of their diseases, and the relief provided to mankind through the process of disease termination specified in〈Buddhist Monk Hyetong`s bringing Dragon into Submission〉in book 「Mystical Charm(神呪)」, 『Samgukyusa』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Buddhist Monk Hyetong`s bringing Dragon into Submission〉,can be read as three parts. A considerable part of the initial descriptive co比position of it is devoted to the execution of a venomous dragon. Here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n apparent connection between the story before Hyetong became a Buddhist in and the meaning of his very existence in terms of Buddhist history. The second part provides relief to mankind and enlightens them by not letting them settle just for the remedy of diseases. In the initial phase the〈Buddhist Monk Hyetong`s bringing Dragon into Submission〉 focuses on dispelling a disease from a patient and in the next phase, it helps the patient reflect on their life along with disease extermination with the focal point being the patient`s life. In addition, in the last phase, it gets the disease to vent its spite and to be harmonized with the patient by looking for and pacifying the object pointed out as the disease. Then, in the process of remedying the disease, the curer Hyetong himself undergoes a transformation, and his teacher Muwoe also known as Jeonggong, who asked Hyetong for assistance, is also transformed. In the third and final part the〈Buddhist Monk Hyetong`s bringing Dragon into Submission〉connects the entire theme while revealing the status of Hyetong in Esoteric Buddhism history. If Milbon put his focus on remedy for diseases, and Myeongrang on the defense of fatherland, then Hyetong is the figure who while curing a disease connected it to the defense of the fatherland.

      • KCI등재
      • 설화의 유화(類話) 교육을 통한 창의성 신장 방안

        이강엽(Lee Kang-yeop) 한국어문교육학회 2005 어문학교육 Vol.31 No.-

        This paper examines the educational value of folktales that could boost children's creativity emphasized by the 7th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First, analyzing the tales in textbooks,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m give wisdom to the readers, especially by solving problems with original ideas. Such tales require reasoning and imagination, which lead to creativity featured by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elaboration. Therefore, it is only natural that studying the tales can encourage creativity. Second, this paper also discusses the way to utilize similar groups of tales in education with cases. There is a good possibility of using tales for creativity education if we utiliz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found in the stories. Giving proper questions can encourage students' flexibility and originality. In addition, based on the fact that a number of tales have similar structure but differ only in details, we could instruct children to understand that the details can be replaced by others and to present new ideas to substitute them. Finally, I took a close look at the way to understand the tales with sound criticism and develop comprehensive thinking ability. Such an approach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solving the problem that the 7th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is focused on microscopic aspects of the tales despite its aim of pursuing integrated education.

      • KCI등재

        연행록(燕行錄)의 "코끼리" 기사(記事)와 박지원(朴趾源)의 「상기(象記)」

        이강엽 ( Kang Yeop Lee ) 한국한문학회 2011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48

        본 논문은 『熱河日記』 이전의 燕行錄에 실린 코끼리 관련 記事를 추적하여, 그 내용이 어떻게 변화하여 「象房」을 거쳐 「象記」에 이르게 되었는지를 살폈다. 첫째, 연행록의 코끼리 서술은, 처음에는 그저 단순한 奇物로서의 구경거리를 소개하는 정도에서 차츰 관찰을 통해 구체적인 묘사로 나아가고, 나중에는 傳言과 탐문을 동원하여 사유의 단초를 마련하면서 형용하기 어려운 복잡한 형상을 그려내는 데까지 진척되었다. 이런 양상은 허봉의 『朝天記』, 인평대군의 『燕途紀行』, 김창업의 「燕行日記」, 홍대용의 「湛軒燕記」를 거치면서 구체적으로 확인된다. 둘째, 박지원의 「象房」은 관찰을 통해 코끼리의 외양을 상세히 묘사하고, 부족한 부분은 탐문을 통해 좀 더 깊이 있게 알아내면서 코끼리의 靈物스러움을 확인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코끼리의 양면성을 드러내는데, 특히 이전의 연행록에 비해 코끼리의 자율적으로 움직이려 들지 않으면 강제로 부릴 수 없다는 내용이 강조된다. 셋째, 박지원의 「象記」는 크게 두 단락으로, 앞 단락이 코끼리와 관련한 단편적인 이야기라면 뒤의 단락은 코끼리를 끌어다 쓴 論辨이다. 그 구성을 살피면 「象房」에서 양면성을 강조한 내용이 그대로 이어 오면서 몇 개의 에피소드를 첨가하는데, 이러한 각각의 소단락들은 뒤의 논변 단락과 정확히 대응되도록 꾸며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결국, 「象記」에 소용되는 코끼리 관련자료들은 대체로 그 이전의 연행록에서 쉽게 구할 만한 것들이며, 그것이 「象房」을 거쳐 특정한 부분이 강조되면서 하나의 주제로 집약될 기반을 마련했고, 다시 「象記」라는 걸출한 記文을 만들어낸 것이다. This paper looked at how the contents of the story changed and passed through 「sangbang」to 「sanggi」by tracing the story related the an elephant printed in yonghaengrok(i.e. records on envoys' visits to Peking) prior to 「yeolhailgi」. First, in the description of the elephant in 「yonghaengrok」, Park, Jiwon started its description at a level of introduction of simply an spectacle as a weird thing, and then gradually made a concrete portrayal through close observation and at length, went forward with a description of an indescribable complicated shape of it with the preparation of a clue to his thoughts by mobilizing a message and questioning. Such an aspect is actually identified by going through with Huh Bong's 「jocheongi」, Inpyong daegun's 「yondoilgi」, Kim, Changeop's 「yonhaengilgi」, and Hong, Daeyong's 「Damhenyongi」. Second, Park, Jiwon's 「Sangbang」identified the elephant's looks like a mystical animal thr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uter appearance of an elephant based on his observation and more in-depth grasping of the shortage of its description through questioning. In the process like this, Park, Jiwon managed to naturally expose the elephant as an intelligent animal assuming double sidedness, and particularly the content that the elephant was difficult to handle forcibly when it wouldn't try to move autonomously, was emphasized comparing to the previous 「yonhaengrok」. Third, Park, Jiwon's 「sanggi」is roughly divided into two paragraphs; its former paragraph is a fragmentary story related to the elephant while the latter paragraph is a kind of argument written by citing the elephant. To look at its composition, it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 content focusing on double-sidedness of the elephant in 「sangbang」is linked to 「sanggi」as it is, with the addition of some episodes. and such sub-paragraphs were devised to accurately be responded against the latter argument paragraph. After all, the materials related to the elephant used for 「sanggi」were already easily available in previously written 「yeonhaengrok」,and Park, Jiwon laid foundation for integrating those materials into one theme with specific parts of those emphasized in his work 「sanbang」, finally creating 「sanggi」which is rated as a writing of outstanding merit.

      • KCI등재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설화의 해석과 교육

        이강엽(Lee, Kang-yeop) 우리말글학회 2017 우리말 글 Vol.75 No.-

        이 논문은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의 올바른 해석을 통해 교육적 효과를 높이려는 목적으로 씌어졌다. 첫째,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의 근원이 되는 『삼국유사』와 그리스·로마신화를 살폈다. 경문왕 이야기는 복잡한 등위 과정과, 뱀과의 동침, 당나귀 귀의 변고, 화랑들의 노래 등을 통해 통치 방식을 깨치는 과정이다. 미다스왕 이야기는 왕이 선행에 대한 답례로 황금손을 갖게 되지만 그로 인해 불행이 찾아오고, 자연으로 돌아가 아폴로와 판의 음악 대결에서 판의 음악이 낫다고 평하면서 당나귀 귀의 수모를 겪는다. 둘째, 아동물에서의 재화(再話) 양상에 대해 살폈다. 우선,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에서는 당나귀 귀를 백성들의 이야기를 잘 듣는 능력으로 해석하였다. 이런 양상은 교과서 밖의 아동물에서도 확인되는 바, 비밀 누설의 죄를 뒤집어쓰고 궁지에 몰린 약자 측에서 권력자의 선의를 유도해내는 기지를 발휘함으로써 문제를 풀어낸다. 셋째, 이야기의 해석과 교육에 관해 살폈다. 먼저, 이야기 전체를 정합적으로 다룬 작품이 많지 않아 개작자의 의도대로 자의적으로 읽힐 소지가 크다. 다음으로, 문제해결의 주체로 나서는 사람이 임금으로 설정되어 본의에서 벗어나며, 재화 과정에서 디테일을 놓치는 경향이 짙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mprove educational effectiveness by appropriately interpreting “The King"s Ears are Donkey Ears“ First, the Samkuk Yusa and the Greek and Roman Mythology, the origin of “The King"s Ears are Donkey Ears", are exhibited. The story of King Gyeong-mun shows how the king learns to govern throughout a complicated accession process, a night with a snake, trouble with the donkey’s ears, and a song of ”Hwarang“s. In the story of King Midas, everything he touches turns into gold in return for good deeds, but he goes back to nature as that golden touch only brings him misfortunes. Back in nature, at a music competition, King Midas favors Pan’s music over Apollo’s, and the furious god Apollo gives him a pair of donkey ears. Second, the aspects of rewriting children"s books are analyzed. In textbooks, the donkey ears are interpreted as the ability of carefully listening to the people. This aspect is also confirmed outside the textbooks, and problems are solved by taking a tact of inducing the good faith of the superior, in the perspective of the inferior who is in trouble of revealing a secret. Third, the interpretation and the education of the story are studied. First of all, since there are not many works of the whole coherent story, the story is likely to be read according to the authorial intent. Next, in that the problem-solver is set to the king, it is off the original purpose. Finally, in the process of rewriting, it tends to miss out the finer details of the narration.

      • KCI등재

        현우형제담(賢愚兄弟譚)의 경쟁과 삶의 균형

        이강엽 ( Lee Kang-yeop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6 문학치료연구 Vol.41 No.-

        이 글은 현우형제담((賢愚兄弟譚)에 나타난 형제 경쟁의 양상과 의미에 대해 살폈다. 첫째, 현우형제담의 자료와 유형에 대해 고찰했다. `바보 형제` 유형은 한쪽 형제는 정상이지만 한쪽 형제가 몹시 어리석어서 우행(愚行)을 일삼는 이야기다. `명의 형제` 유형은 한쪽 형제가 명의이지만 어머니 병에 속수무책으로 있고 다른 형제가 나서서 약을 구하는 이야기다. `명인 형제` 유형은 널리 알려진 명인과 그보다는 못하지만 역시 똑똑한 형제가 있는데, 국난이 일어나자 명인이 아닌 다른 형제가 나서거나 명인을 도와서 문제를 풀어나가는 이야기다. 둘째, 형제경쟁의 유형별 양상에 대해 분석했다. `바보 형제` 유형은 똑똑한 형제가 시키는 대로만 하다가 바보 형제가 실패를 거듭하는 내용이 주조이나, 따라만 하는 천진함이 동정을 사서 문제를 해결한다. `명의 형제` 유형은 명의로 소문난 형제는 머리로 어머니 병을 알지만 나서지 않고, 동생은 몸으로 나서 약을 구한다. `명인 형제` 유형은 밖으로 역사적 과업을 성취한 인물은 명인이지만, 그 과업을 이룰 수 있도록 안에서 준비하고 도운 인물은 다른 형제이다. 셋째, 형제 경쟁담을 통해 삶의 균형을 찾아가는 문제에 대해 살폈다. 먼저, 경쟁은 본디 공정한 규칙에 의한 겨루기를 그 속성으로 하는데, 민담은 경쟁 이외에 우연 같은 자질에 관심을 보인다. 경쟁이 힘을 발휘할 수 없는 영역에 우연이 개입함으로써 삶의 유연성을 키워나가는 것이다. 또, 이 세유형 모두에서 형제의 자질은 상호보완적이다. `바보 형제` 유형에서는, 똑똑한 동생은 인과론적 세계관을 가지고 특별한 목적을 위해 일을 하는 반면, 바보 형은 천진하게 주어진 대로 진행하여 새로운 돌파구를 찾게 한다. `명의 형제` 유형에서는, 형은 의술에 의한 처방만을 신봉하며 동생은 효성에 의한 실천을 중시하여, 형은 쉽게 포기한 것을 동생은 끝까지 모색하여 어머니 병을 치료한다. `명인 형제` 유형에서는, 빨리 성취한 동생이 사실은 그러느라 준비가 부족했으며, 늦게 성취하는 형은 동생의 그런 부족한 점을 채워줄 수 있었다. 현우형제담은 모두 형과 동생이 표면적으로 능력의 우(優)/열(劣), 지혜의 현(賢)/우(愚)를 갖지만, 그 이면에는 품성의 열/우 등이 작동하는 것을 보인다. 결국 이 설화는 형제가 일정영역을 감당하면서 이면적으로 전도된열(優)/우(優), 우(愚)/현(賢)이 한데 합쳐짐으로써 합일과 화합을 통해 온전한 삶으로 나아가도록 촉구한다. This paper looks into the aspect and meaning of sibling rivalry manifested in wise, foolish brothers. First, this study considers the materials and types of tales about wise, foolish brothers. The “Moron Brothers” type is the tale of habitually committing follies due to one brother`s excessive stupidity, though the other brother is normal. The “Noted Doctor Brothers” type is the tale, in which one brother is at a loss for what to do about his mother`s disease though he is a noted doctor, while the other brother rolls up his sleeves to find a medicine, and finally makes it. A “Master Brothers” type is the tale, in which there lives a widely known master. He has brother who is also smart though somewhat less competent. When a national crisis breaks out, it is none other than the less competent brother who comes forward to rescue of country, or solves the crisis by helping the master brother. Second, this paper analyzes the aspects of sibling rivalry. The main structure of the “Moron Brothers” story is that a foolish brother continually fails while doing things only the instruction of a smart brother, but problems are solved by winning others` sympathy. In the “Noted Doctor Brothers” type, a son famous as a noted doctor gives up on curing his mother`s disease, even though he knows that there is another who can find medicine he has prescribed. The “Master Brothers” type sends a message that it is the master who achieves a historical task, but the character, who prepares and assists so that the task can be accomplished is his brother. Although the master who attained eminence first, and was assigned an important task, the position of the two brothers is consolidated when the other brother, who failed to rise in the world, takes charge ofpreparations for the task. Third, this paper lookes into the meaning of sibling rivalry. First, the rivalry lies in sparring based on fair rules, and in this regard, the subversiveness of a the folktales is that they make the rivalry appear to be based on concidences. Next, no matter what the type of story, the quality of the two brothers is always complementary. In the tale of the `Wise and Stupid Brothers`, an elder brother and a younger brother have superiority/inferiority in ability, and cleverness/foolishness on the surface, but the tale ends with a narrative of oneness and harmony through ultimate reeversal of the inferiority/superiority, and foolishness/cleverness as the two deal with a challenge or proble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